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덤프버전 :

||
파일:dtro_2000_20180728.jpg
202편성
차량 정보
열차 형식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생산량180량
편성6량 1편성[1]
운행 노선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도입시기2004 ~ 2005년
제작사로템[2]
소유기관대구교통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문양차량기지사업소
월배차량기지사업소[중정비]
편성번호
체계
201 ~ 230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17,500㎜
전폭2,750㎜
전고4,000㎜[1]
궤간1,435㎜
편성공차차중186.5 t
대차공기스프링 볼스타레스 대차
고정축간거리2,100㎜
차륜직경860㎜
급전방식직류 1,500V
운전보안장치GRS[2] ATP/ATO[3]
VVVF
인버터
전력소자: 현대로템 VVVF-IGBT (IPM)[4]
출력전압: 교류 3Φ 0 ~ 1100V
주파수: 0 ~ 180㎐
견인전동기형식: 3Φ 농형 유도전동기
전동기 출력: 210㎾
편성 출력: 2,520㎾ (4320마력)
회전수(RPM): 2200 RPM
제동방식회생제동 병용
아날로그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영업80㎞/h
설계100㎞/h
가속도3.0㎞/h/s
감속도상용3.5㎞/h/s
비상4.5㎞/h/s
저크한계0.8m/s³
MT 비3M 3T
(8량 증결시 4M 4T)

[1] 팬터그래프 접은 높이[2] #[3] 차상 속도코드 방식[4]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파일:DTRO_2000_interior_1.jpg
내부
1. 개요
2. 편성
3. 상세



1. 개요[편집]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 중인 현대로템제 전동차. 현재 30개 편성이 모두 문양차량기지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중정비는 월배차량기지사업소에서 한다.


2. 편성[편집]


6량 1편성(현재조성)

문양 방면
21## (1)Tc(운전실)
22## (2)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4## (3)T(무동력객차)
26## (4)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7## (5)M(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8## (6)Tc(운전실)
영남대 방면

8량 1편성(증결시)

문양 방면
21## (1)Tc(운전실)
22## (2)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3## (3)M(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4## (4)T(무동력객차)
24## (5)T(무동력객차)
26## (6)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7## (7)M(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8## (8)Tc(운전실)
영남대 방면

3. 상세[편집]


한국형 표준 전동차 모델에서 외장만 변형해서 사용하고 있다. 외장재는 1호선과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스틸. 수도권 외에서 최초로 곡선형태를 도입한 전동차, 국내 최초 자동 연결기 투입 전동차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파일:external/cfs2.blog.daum.net/46749db9ad8e1&filename=%B4%EB%B1%B82%C8%A3%BC%B1.jpg
당시 3D 모델링 모습. 지금의 전동차 디자인과 차이가 있다.

내부안내 LED는 1호선과 마찬가지로 차량 양 끝에 달려있는데, 한글-영어-한자 순서로 표시된다. 2021년부터는 열차가 역에서 출발하자마자 역 정보가 뜨는데 이는 한국어만 뜬다. 행선지 폰트는 Arial과 HY헤드라인 두 가지가 있다.

비교적 신형 전동차임에도 불구하고 차내 형광등이 깜박거리는 증상이 있다. 또한 방음 성능도 과거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보아 관련 소모품 교체를 잘 하지 않는 듯하다.
1호선 구동음보다 더 세련되고 듣기 좋다는 평이 많다. 특이한 건, 역에 섰다가 가속하기 전에 1~2초 정도 구동음도, 움직임도 없기 때문에 순간 열차가 고장났나 하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원계획상에서는 28편성이 투입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당시 대구 지하철 참사 때 전소된 1호선 차량 대체분을 1호선 대신 2호선에 추가 투입하여서 30편성이 되었다고 한다. 영남대역 연장 때 차량이 증차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5년 5월 10일 사월역 주박선에 있던 전동차에 그래피티가 칠해진 사건이 발생하였다. 참고로 2015년 5월 8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에 칠해진 그래피티도 사월역 주박선에서 그래피티를 칠하고 달아난 사람의 소행이었다.

측면행선판에서 나오는 영어 표기에 오류가 있는데, 막차 행선지인 이곡행의 경우 IGOK이 아니라 LEEGOK이라고 표시되어있고 수성구청행은 아예 표시조차 되지 않는다.

2023년에 전 객실에 CCTV가 설치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2:33:11에 나무위키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향후 8량 증결 가능[2]현대로템[중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