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교통공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DTRO/디트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교통공사와 약칭을 공유했던 대구교통공사의 전신에 대한 내용은 대구도시철도공사 문서
대구도시철도공사번 문단을
대구도시철도공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지방공기업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대구교통공사 | 대구도시개발공사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대구농수산물유통공사
지방출연기관대구의료원 | 대구신용보증재단 | 대구테크노파크 |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 대구경북디자인진흥원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 대구광역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지방출자기관EXCO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전국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SR
수도권
  서울시메트로9호선  공항철도  인천교통공사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이레일   서부광역철도 용인경량전철  인천공항시설관리  남서울경전철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SG레일   남양주도시공사  넥스트레인     
동남권
  부산-김해경전철  스마트레일 가야철도
기타 권역
 
대전교통공사 
전라선철도  삼표레일웨이 
우진PRT
{{{#003478,#3090F0 주1 의정부경전철주식회사는 파산 이후 도시철도운송사업 폐업 절차를 마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주2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식회사서울교통공사9호선 2·3단계 구간을 직영하게 됨에 따라 2018년 11월 28일부로 해체되었다.
주3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9호선 1단계 구간 도시철도 관리운영위탁계약이 2019년 6월 30일부로 해지된 상태로, 운영기관이 아니다.}}}





대구교통공사
大邱交通公社
Daegu Transportation Corporation
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
설립일2022년 9월 1일
전신
[ 펼치기 · 접기 ]
대표자김기혁
주무부처대구광역시
주요 주주대구광역시: 100%
기업 분류공기업
상장 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2,979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6조 3,763억 5,507만원(2021년 기준)
매출액1,595억 8,135만원(2021년 기준)
영업이익-3,229억 6,848만원(2021년 기준)
당기순이익-1,935억 3,660만원(2021년 기준)
자산총액
부채총액
운영 구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대구 도시철도 4호선[개통예정]
싱가포르 센토사 익스프레스[수행업무1]
파나마 메트로 3호선[수행업무2]
영업 거리82.9km
자회사대구메트로환경
Daegu Metro Environment Corporation
미션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으로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비전시민 행복을 여는 스마트 도시철도, 글로벌 일류 HAPPY DTRO
주소본사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 250 (상인동)
웹사이트
대구교통공사 공식 웹사이트
대구지하철노동조합 공식 웹사이트
대구도시철도노동조합 공식 웹사이트
공식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대구교통공사 공식 블로그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대구교통공사 공식 페이스북
파일: 유튜브 아이콘.svg 대구교통공사 공식 유튜브
공식 캐릭터
파일:타구와 바쿠.svg
마스코트 '타구와 바쿠'
콜센터 및 유실물센터
고객콜센터: 1544-0104
대표전화: 053-643-2114
반월당역 유실물센터: 053-640-3333

파일:대구교통공사_본사.jpg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대구교통공사 본사

▲ 대구교통공사 임시 로고송[1]

밝은 세상 함께 만들어요 Happy DTRO

희망의 길 힘차게 달려요 Happy DTRO

아름다운 꿈을 모아 행복을 키워요

건강하고 여유로운 우리 누리 가꿔요

다정한 이웃처럼 변함없는 친구처럼

우리 곁에 웃음 가득한 대구도시철도[2]

밝은 세상 함께 만들어요 Happy DTRO

희망의 길 힘차게 달려요 Happy DTRO

대구교통공사의 임시 로고송


1. 개요
2. 연혁
3. 사업분야
4. 보유차량
4.1. 철도차량
4.2. 버스차량
5. 기업상세정보
5.1. 역대 대표
5.2. 조직
5.3. 직급 및 직위
5.4. 채용
5.5. 직장생활
6. 기타
7. 사건사고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구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하는 대구광역시 산하 지방공기업.

설립근거는 지방공기업법 및 대구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다.

2022년 9월 1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의 조직 혁신의 일환으로 공기업인 대구도시철도공사대구광역시청 조직인 '도시철도건설본부'를 업무유사성을 이유로 통합하고 일부 기관의 사업부문을 이관받아 탄생하였다. 이로써 다른 지자체에 이어 대구 도시철도도 건설부문과 운영부문을 분리하는 기존의 상하분리체제에서 건설부문과 운영부문을 같은 기관에서 하는 상하통합체제로 바뀌었다.


2. 연혁[편집]


파일: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_Logo.png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 당시 로고
파일:대구도시철도공사 CI_좌우.svg
대구도시철도공사 당시 로고

철도건설부문철도운영부문노선버스부문
지하철건설본부--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
도시철도건설본부대구도시철도공사-
대구교통공사(현재)

  • 2022년 9월 1일 대구도시철도공사와 시청 도시철도건설본부가 통합되어 대구교통공사로 출범했다.
  • 이후 노선버스, 특별교통수단, 공영주차장 관리, 교통교육, 교통학술연구용역, 자전거 및 PM, 신교통수단까지 아우르는 교통전담기관으로 확대할 예정이었다.
  • 2023년 7월 대구광역시장은 대구광역시의회에 대구교통공사의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조례안을 제출하였다.
  • 건설교통위원회 심사 결과 공영주차장관리와 특별교통수단(나드리콜)은 공사가 아닌 공단이 해야할 사무로 보고 이관하지 않기로 했다. 만약 공사가 하게 되면 부가가치세가 발생하여 이용자에게 불편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이관이 확정되었다.
  • 2023년 8월 10일 개정된 조례가 공포되었다.


3. 사업분야[편집]


대구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지방공기업법」 제49조에 따라 대구교통공사를 설립하여 경영의 합리화를 도모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대중교통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시민의 편익도모와 복리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6조(사업) 공사는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

1. 도시철도 건설·운영

2. 도시철도 건설ㆍ운영에 따른 도시계획 사업

3. 도시철도 운영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생활편익시설 및 복리시설 등의 건설 및 운영

4. 도시철도 관련 국내·외 기관의 시스템 구축, 운영 및 감리사업

5. 통합모빌리티서비스 플랫폼 관리 및 운영

6.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 따른 교통빅데이터 플랫폼 구축ㆍ운영 및 환승센터ㆍ복합환승센터의 개발사업

7.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전거 이용시설 건설 및 운영사업

8. 친환경자동차, 개인형 이동수단 등 신교통수단 관련 사업

9.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른 여객자동차운송사업

10. 교통 관련 교육서비스 및 학술연구용역 사업

1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위탁하는 사업

12. 제1호 부터 제11호까지의 사업에 부대하는 업무

13. 그 밖에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3.1. 도시철도[편집]


구분노선명사업 분류개통여부
국내대구 도시철도 1호선운영개통
안심-하양 복선전철시공미개통
대구 도시철도 2호선운영개통
대구 도시철도 3호선운영개통
대구 도시철도 4호선설계미개통
해외(싱가포르) 센토사 익스프레스유지관리개통
(파나마) 파나마시티 메트로 3호선시공 및 설계미개통


3.1.1. 관리역 목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구교통공사/관리역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안내방송[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안내방송/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시내버스[편집]


대구교통공사로 통합되면서 시내버스 사업에도 진출했으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도 공영제가 부분 도입된다.

2023년 10월 4일부터 대구 버스 의료R&D지구 DRT의 운영을 맡게 되었다. 실제 운행은 위탁사인 오성고속관광이 수행해서 보유차량은 없다.

노선 번호인가대수저상버스공동배차하는 회사
의료R&D지구 DRT000
정규 차량0대
예비 차량0대
0대


4. 보유차량[편집]



4.1. 철도차량[편집]




4.2. 버스차량[편집]


대구 버스 의료R&D지구 DRT의 운영을 맡고 있지만 화원읍에 본사를 둔 (주)오성고속관광이 위탁 운영하기에 보유 버스차량은 없다


5. 기업상세정보[편집]



5.1. 역대 대표[편집]


파일:BDE1EB27-8233-4A18-811F-E4F62AA39AE4.jpg대구교통공사
역대 사장
||
[ 펼치기 · 접기 ]

대구도시철도공사 사장
초대
신태수
2대
이희태
3대
윤진태
4대
이훈
5대
손동식
6대
배상민
7대
배상민
8대
김인환
9대
류한국
10-12대
홍승활
대구교통공사 사장
초대
김기혁








5.2. 조직[편집]


사장홍보법무실홍보부, 법무팀
감사감사실경영감사부, 기술감사부
경영안전본부기획조정처기획조직부, 예산성과부, 정보지원부
지원관리처총무인사부, 노사협력부, 회계자산부
┖인재개발원교육운영부, 교육개발팀
안전관리처안전관리부, 방재비상부
운영본부영업처영업계획부, 고객소통부, 역무관리부
┖1고객센터1역무지원부, 진천관리역, 송현관리역, 명덕관리역, 중앙로관리역, 동대구관리역, 신기관리역
┖2고객센터2역무지원부, 강창관리역, 용산관리역, 반고개관리역, 대구은행관리역, 만촌관리역, 신매관리역
┖3고객센터3역무지원부, 동천관리역, 매천시장관리역, 청라언덕관리역, 수성구민운동장관리역, 수성못관리역
운전처운전계획부, 운전지도부
┖1호선승무사업소월배승무부, 안심승무부
┖2호선승무사업소문양승무부, 경산승무부
전략사업처사업운영부, 신사업개발부, 기술개발부
┖종합관제센터운영부, 고객안전팀, 기술부, 경전철관제부
기술본부차량처차량계획부, 차량정비부
┖월배차량기지사업소월배지원부, 정비부, 월배검수부
┖안심차량기지사업소안심지원부, 안심검수부
┖문양차량기지사업소문양지원부, 문양검수부
┖경전철차량기지사업소경전철지원부, 경전철검수부, 범물운행관리팀, 경전철정비부
시설환경처궤도토목부, 건축관리부, 기계관리부, 환경관리팀
┖시설기계사업소궤도부, 토목부, 건축부, 기계부
기술처전기관리부, 신호관리부, 통신관리부, 전자관리부
┖전기통신사업소전력부, 변전부, 통신부
┖신호전자사업소신호부, 전자부
┖경전철기술사업소시설기계부, 전기통신부, 신호전자부
건설본부[3]건설관리처관리부, 계획안전부, 토목공사1부, 토목공사2부, 건축공사부
건설설비처전력공사부, 전기공사부, 차량신호공사부, 통신공사부, 기계공사부

5.3. 직급 및 직위[편집]


공기업 직장인으로 구성되는 구)대구도시철도공사지방공무원으로 구성되는 구)도시철도건설본부는 인적 신분과 직급 체계가 달라 통합 과정에서 인사와 관련해 적지 않은 마찰과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이런 형태의 통합은 전례가 없어서 더 큰 진통이 발생할 수 있다. 일단 대구시 발표에 따르면 도시철도건설본부 소속 공무원이 공무원 신분을 유지한채 대구교통공사로 '파견'되는 형식으로 과도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그런데 이렇게 될 경우 조직구성은 그대로두고 간판만 대구교통공사로 바꿔단 것 아니냐는 노조의 지적이 있다. 이런 형식의 통합은 조직개편을 통한 효율성 제고와 인력감축, 조직간소화를 통한 예산절감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금도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는 대구도시철도공사 건물에 입주하여 한 천장 아래 두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실질적인 내부 조직 개편 없이 물리적으로만 '교통공사'라는 간판 아래에 구)도시철도공사와 구)도시철도건설본부 조직이 따로 논다는 것은 현재 운영 상태와 큰 차이가 없다.

게다가 인력, 근무위치, 근무방식은 그대로 두면서 조직만 옮겨지면서 이 공무원 신분 직원들에게 대구시청에서 '파견수당'을 지급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직급[4]임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9급
명칭처장부장팀장차장과장대리주임선임사원
직위사장 및 이사처장, 실장, 원장, 센터장, 소장실무 직원
부장, 팀장, 관리역장담당, 운영역장, 분소장실무 직원

계급3급4급5급6급7급8급9급
명칭부이사관서기관사무관주무관
직위본부장부장과장팀장실무 직원


5.4. 채용[편집]




5.5. 직장생활[편집]




6. 기타[편집]



7. 사건사고[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지하철공사 및 대구도시철도공사 시기에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내용은 대구도시철도공사 문서
대구도시철도공사번 문단을
대구도시철도공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2:33:03에 나무위키 대구교통공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개통예정] [수행업무1] 유지관리 업무[수행업무2] 시공 및 설계 업무[1] 어느 시민이 관련 민원을 제기했었는데, 대구교통공사에 따르면 새 로고송 출시 전까지 도시철도 공사 시절 로고송을 임시로 사용한다고 한다.[2] 환승역 안내방송에서는 굵은 글씨 부분만, 3호선을 제외한 시·종착역 안내방송에서는 전곡을 틀어준다.[3] 구)대구광역시청 도시철도건설본부[4] 공무원/계급과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 공사6급과 공무원6급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