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최강자전

덤프버전 :



대주배 남녀 프로시니어 최강자전
주최/주관재단법인 한국기원
후원TM마린
상금우승 : 1,500만원
준우승 : 500만원
대국 규정예선 :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
본선 : 제한시간 각자 15분, 40초 초읽기 3회[1]
계가한국룰 6집반
대회 방식16강 단판 토너먼트
참가 자격남자 : 만 45세 이상 프로기사
여자 : 만 30세 이상 프로기사
최근 우승자유창혁 九단 (제10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최다 우승자조훈현 九단, 서능욱 九단 (2회)
1. 개요
2. 상세 및 규칙
3. 역대 우승자
4. 대회 진행




1. 개요[편집]


2013년도에 열린 4기 대회를 끝으로 한동안 열리지 않았다가 2018년도에 재개된 시니어(여류) 기전이다.[2][3] 9기 대회까지의 참가 자격은 남자는 만 50세 이상, 여자는 만 30세 이상였으나 10기 대회부터 남자 시니어기사의 참가 자격이 만 45세 이상으로 완화됐다.

현재 정식 명칭은 '대주배 남녀 프로시니어 최강자전'이며 보통 대주배로 불린다.[4] 여기서 '대주(大舟)배'는 후원사인 김대욱 TM마린 대표의 호를 따서 지은 것이다

2. 상세 및 규칙[편집]


대회 개요는 다음과 같다.(표는 5기 기준)

제5기 시니어최강자전
주최 : K바둑후원 : TM마린
우승상금 : 1000만원 , 준우승 상금 : 300만원
제한시간(예선) : 각자 제한시간 1시간 + 초읽기 1분 3회가 주어진다.
제한시간(본선) : 각자 제한시간 15분 + 초읽기 40초 3회가 주어진다.[5]


3. 역대 우승자[편집]


회차개최년도우승자결과준우승자비고
12010조훈현2-0서봉수결승 3번기
22011서능욱1-0조훈현결승 단판승부로 변경
32012서능욱1-0서봉수현재 이 대회의 처음이자 마지막 연속우승
42013조훈현1-0최규병중단되기 전의 마지막 대회
52018조치훈1-0조혜연대회 재개
62019최규병1-0조혜연
72020조혜연1-0김영환조혜연, 대회 사상 최초의 여자기사 우승
82021서봉수1-0유창혁
92022김혜민1-0이민진대주배 첫 女-女 결승 / 김혜민, 대회 역대 두 번째 여자기사 우승
102023유창혁1-0권효진(女)

4. 대회 진행[편집]


2018년 : 제5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2019년 : 제6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2020년 : 제7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2021년 : 제8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2022년 : 제9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2023년 : 제10기 대주배 남녀 프로 시니어 최강자전


[1] 10기 부터는 초읽기 모두 소진시 벌점 2집 공제가 신설되어 40초 3회의 초읽기를 모두 소진시 2집 공제를 댓가로 추가 시간을 부여받게 된다.[2] 3기까지는 만 50세 이상 기사 한정(성별 제한 불명)이었으나 4기부터 만 30세 이상 여성기사들에게도 문호를 열었다. 해당 내용 참고 기사[3] 사족으로, 여성 프로 기사 중 가장 원로급이라 할 수 있는 루이나이웨이의 경우 2012년도에 열린 대주배 3회까지는 만 50세 미만(1963년 출생)이었기 때문에 출전할 수 없었다. 소속 기원이나 국적 제한은 조치훈 9단이 5기 우승을 한 것으로 보아 딱히 있지는 않았던 듯하다.[4] 만 30세 여성 기사들에게 문호를 열기 전(3기)까지의 대회 명칭은 '대주배 프로시니어 최강자전'이었다.[5] 신기하게도 본선이 예선보다 제한시간이 더 짧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