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현돈(정치인)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내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윤치영
제2대
신성모
제3대
김효석
제4대
백성욱
제5대
조병옥
제6대
이순용
제7대
장석윤
제8대
이범석
제9대
김태선
제10대
진헌식
제11대
백한성
제12대
김형근
제13대
이익흥
제14대
장경근
제15대
이근직
제16대
민병기
제17대
김일환
제18대
최인규
제19대
홍진기
제20대
이호
제21대
홍익표
제22대
이상철
제23대
현석호
제24대
신현돈
제25대
조재천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26대
한신
제27대
박경원
제28대
엄민영
제29대
양찬우
제30대
엄민영
제31대
이호
제32대
박경원
제33대
오치성
제34대
김현옥
제35대
홍성철
제36대
박경원
제37대
김치열
제38대
구자춘
제39대
김종환
제40대
서정화
제41대
노태우
제42대
주영복
제43대
정석모
제44대
김종호
제45대
정호용
제46대
고건
제47대
정관용
제48·49대
이상희
제50대
이춘구
제51대
이한동
제52대
김태호
제53대
안응모
제54대
이상연
제55대
이동호
제56대
백광현
제57대
이해구
제58대
최형우
제59대
김용태
제60대
김우석
1998년 총무처정무장관(제1실)과 통합
제61대
서정화
제62대
강운태
제63대
조해녕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초대
김정길
제2대
김기재
제3대
최인기
제4대
이근식
제5대
김두관
제6대
허성관
제7대
오영교
제8대
이용섭
제9대
박명재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초대
원세훈
제2대
이달곤
제3대
맹형규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초대
유정복
제2대
강병규
제3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초대
정종섭
제2대
홍윤식
제3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초대
김부겸
제2대
진영
제3대
전해철
제4대
이상민



역임한 지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사회부장관 (1948~1955)
초대
전진한
제2대
이윤영
제3대
허정
제4대
최창순
제5대
박술음

보건부장관 (1948~1955)
초대
구영숙
제2대
오한영
제3대
최재유


보건복지가족부장관 (2008~2010)
제46대
김성이
제47대
전재희

보건복지부장관 (2010~현재)
제47대
전재희
제48대
진수희
제49대
임채민
제50대
진영
제51대
문형표
제52대
정진엽
제53대
박능후
제54대
권덕철
제55대
조규홍




[ 펼치기 · 접기 ]

10대
조시형 (정무)
김재춘 (경제)
박원빈 (경제)
11대
김홍식 (정무)
김용식 (경제)
12대
윤주영 (정무)
원용석 (경제)
13대
윤주영 (정무)
원용석 (경제)
14대
김윤기 (정무)
원용석 (경제)
15대
김원태 (정무)
황종률 (경제)
16대
김원태 (정무)
김윤기 (경제)
17대
길재호 (정무)
이병옥 (경제)
18대
오치성 (정무)
이병옥 (경제)

19대
이병희 (정무)
이병옥 (경제)
20대
이병희 (정무)
구태회 (경제)
1975년 제1무임소장관과 제2무임소장관으로 분리 개편
(정무 담당: 제1무임소
경제 담당: 제2무임소)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현모
제2대
조재천
제3대
신현돈
제4대
이근직
제5대
송관수
제6대
오림근
제7대
조준영
제8대
이호근
제9대
박경원
제10대
김인
제11대
양택식
제12대
김덕엽
제13대
구자춘
제14대
김수학
제15대
김무연
제16대
김성배
제17대
정채진
제18대
이상희
제19대
이상배
제20대
김상조
제21대
김우현
제22대
이판석
제23대
이의근
제24대
우명규
제25대
심우영
제26-28대
이의근
제29-31대
김관용
제32·33대
이철우
파일:경상북도 민선8기 슬로건.svg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상북도지사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신현돈
제2대
장현식
제3대
김가전
제4대
이성득
제5대
이요한
제6대
신용우
제7대
김규진
제8대
이하영
제9대
박정근
제10대
이기세
제11대
임춘성
제12대
이용택
제13대
김상술
제14대
이존일
제15대
김인
제16대
이정우
제17대
이환의
제18대
이춘성
제19대
황인성
제20대
김학중
제21대
조철권
제22대
심재홍
제23대
홍석표
제24대
강현욱
제25대
최용복
제26대
강상원
제27대
이강년
제28대
조남조
제29·30대
유종근
제31대
강현욱
제32·33대
김완주
제34·35대
송하진
제36대
김관영





대한민국 제24대 내무부 장관
신현돈
申鉉燉 | Shin Hyun-don
파일:external/www.jeonbuk.go.kr/s2_dojisa1.gif
출생1903년 4월 9일
경상북도 예안군
(현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1]
사망1965년 1월 5일 (향년 61세)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본관평산 신씨[2]
지남(芝南)
재임기간초대 전라북도지사
1948년 9월 10일 ~ 1949년 8월 16일
제3대 경상북도지사
1951년 6월 29일 ~ 1955년 2월 24일
제5대 보건사회부 장관
1960년 8월 23일 ~ 1960년 9월 12일
제6대 무임소 장관
1960년 9월 12일 ~ 1960년 11월 20일
제24대 내무부 장관
1960년 11월 20일 ~ 1961년 5월 3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신호균, 어머니 안동 권씨
형제자매형 2명, 남동생 1명
학력대구공립농림학교 (졸업)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 5
경력대한독립촉성국민회 무주군지부 위원장
대동청년단 무주군 단장
제헌 국회의원 (무주군)
초대 전라북도지사
제3대 경상북도지사
제5대 민의원의원 (무주군
제5대 보건사회부 장관
제6대 무임소 장관
제24대 내무부 장관

1. 개요
2. 생애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의사, 정치인.


2. 생애[편집]


1903년 4월 9일 경상북도 예안군(현 안동시 도산면)에서 아버지 신호균(申浩均, 1869년생)과 어머니 안동 권씨(1862 ~ 1920. 1. 16) 권우기(權祐基)의 딸 사이의 4형제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대구공립농림학교경성의학전문학교졸업하였다.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후 경성제국대학 부속병원(현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경기도립수원의원 내과 등에서 근무하다가, 전라북도 무주군으로 이주하여 본적을 옮기고, '지남의원(芝南醫院)'이라는 간판을 달고 보건의로 개업했다. 굳이 무주군과 같은 궁벽한 산촌을 고른 것은, 당시 백백교와 같은 끔찍한 사이비종교가 발상한 곳에서 봉사정신을 통해 계몽사상을 고취하면서 보람을 찾고 싶어서였다고 한다.

한편 8.15 광복대한독립촉성국민회 무주군지부 위원장, 대동청년단 무주군 단장 등을 역임하며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전라북도 무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10월 19일 관선 전라북도지사에 임명되어 국회의원직을 사임하고 1949년 6월까지 역임하였다. 1951년부터 1955년까지 관선 경상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같은 해 8월부터 9월까지 보건사회부 장관을, 같은 해 11월부터 1961년 5월까지 내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65년 1월 5일에 뇌일혈별세했다.


3. 제헌 국회 활동[편집]


1948년 6월 2일 제1회 3차 본회의 당시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30인 으로 뽑혔다.[3]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48제헌 국회의원 선거전북 18[A]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5,691 (65.62%)당선 (1위)초선[4]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8[A]8,018 (34.02%)낙선 (2위)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9[A]

후보사퇴[5]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12,596 (67.68%)당선 (1위)재선

5.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1] #[2] 제정공파 33세 현(鉉) 항렬.[3] 류성갑,김옥주,김준연, 오석주,윤석구,신현돈,백관수,오용국,최규옥,김명인,이종린,이훈구,류홍렬,연병호,서상일,조헌영,김익기,정도영,김상덕,이강우,허정,구중회,박해극,김효석,김병회,홍익표,서성달,조봉암,이윤영,이청천. [A] A B C 무주군[4] 1948.10.19: 의원직 사퇴 (전북지사 임명)[5] 민주당 중앙당에서 8곳의 지역구를 무공천 함에 따라, 후보직에서 사실상 사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