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77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주요 대표팀 | 역대 로스터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유니폼 | 역대 BI | 세대별 대표팀 | 논란
1975
대륙간컵
1976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
1976
세계야구선수권
1977
대륙간컵
1978
하를럼 베이스볼 위크
김계현호
1975
|
1976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1976
김응룡호
1977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1978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78
세계야구선수권
1980
서울컵
1980
세계야구선수권
1981
월드 게임
1981
대륙간컵
김응룡호
1978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
1980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
1980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어우홍호
1981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
1981
1982
세계야구선수권
1983
대륙간컵
1984
세계야구선수권
1984
LA 올림픽
1985
대륙간컵
어우홍호
1982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1983
한을룡호
1984
김청옥호
1984
성기영호
1985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86
세계야구선수권
1987
대륙간컵
1988
IBAF 야구 월드컵
1988
서울 올림픽
1989
IBAF 대륙간컵
성기영호
1986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김영빈호
1987
김병우호
1988
김충남호
1989
1990
IBAF 야구 월드컵
1990
베이징 아시안게임
1991
IBAF 대륙간컵
1993
IBAF 대륙간컵
1994
IBAF 야구 월드컵
강문길호
1990
장순조호
1990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강문길호
1991
장순조호
1993
김충남호
1994
1994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1995
IBAF 대륙간컵
1996
애틀랜타 올림픽
1998
IBAF 야구 월드컵
1999
IBAF 대륙간컵
김충남호
1994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김병우호
1995
김충남호
1996
주성노호
1998
|
1999
2002
IBAF 대륙간컵
2003
IBAF 야구 월드컵
2005
IBAF 야구 월드컵
2006
IBAF 대륙간컵
2007
IBAF 야구 월드컵
주성노호
2002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강문길호
2003
김정택호
2005
권영호호
2006
강문길호
2007
2009
IBAF 야구 월드컵
2010
IBAF 대륙간컵
2011
IBAF 야구 월드컵
2015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17
아시아 야구 선수권
김학용호
2009
김정택호
2010
천보성호
2011
윤영환호
2015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허세환호
2019
2019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윤영환호
2019
정보명호
2023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 1998년이 분기점이 되는 이유는 KBO 리그 소속 선수 선발을 책임지는 KBO가 참여하기 시작한 대표팀이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이기 때문이다.
1998년 이후 A급 야구 대표팀 목록→



김응룡호
TEAM KOREA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cb7ddLSsO1sqk8veo5_r1_400.png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응용
주장
C
-
킷 스폰서없음
팀 스폰서-
참가대회제1회 슈퍼월드컵, 제27회 대륙간컵
최종성적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4전 10승 4패
【평가전】 1전 1패
【대륙간컵】 8전 5승 3패
【슈퍼월드컵】 6전(결승전 포함) 5승 1패
선수성적
[ 펼치기 · 접기 ]
타자부분
【최다 타수】
【최다 안타】
【최다 홈런】
【최다 타점】
【최다 득점】
【최다 도루】

투수부분
【최다 출전】
【최다 이닝】
【최다 승리】
【최다 홀드】
【최다 세이브】
【최다 탈삼진】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 1980년파일:logo-IWGA.png 1981년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 1981년
1. 개요
2. 선수 선발
3. 최종 엔트리
4. 대회 본선
4.1. 1라운드 (대륙간컵)
4.1.1.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전 (11월 11일): 4:5 패배
4.1.4.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전 (11월 14일): 0:1 패배
4.1.5. 파일:WBSC 콜롬비아 국기.png 콜롬비아전 (11월 15일): 7:0 승리
4.1.6. 파일:WBSC 니카라과 국기_.png 니카라과전 (11월 16일): 8:1 승리
4.1.7.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전 (11월 17일): 1:2 패배
4.1.8.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전 (11월 18일): 3:1 승리
4.1.9. 1라운드 (대륙간컵) 결과
4.2. 2라운드 (슈퍼월드컵)
4.2.1.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전 (11월 21일): 0:2 패배
4.2.2. 파일:WBSC 니카라과 국기_.png 니카라과전 (11월 23일):13:3 승리
4.2.3. 파일:WBSC 콜롬비아 국기.png 콜롬비아전 (11월 23일):4:1 승리
4.2.5.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전 (11월 25일): 3:2 승리
4.2.6. 2라운드 결과
4.3. 결승전 :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전 (11월 26일): 5:4 승리
5. 대회 수상자


1. 개요[편집]


1977년 제27회 대륙간컵과 제1회 슈퍼월드컵등에 참가했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한 대표팀이기도 하다.


2. 선수 선발[편집]


대한야구협회는 1977년 11월 10일~24일에 니카라과에서 열리는 대륙간컵,이어 제1회 슈퍼월드컵대회에 참가할 대표팀 선수들을 선발하기 위해 한국대학야구 선발팀, 한국실업야구 청팀, 한국실업야구 백팀으로 총 3팀간의 경기를 통해 대표팀 엔트리를 결정하기로 한다. 각 팀별 27명의 엔트리로 구성, 동대문 야구장에서 하루에 한경기씩 풀리그를 치러 총 3일간 경기를 펼치게 된다.





2.1. 1경기 : 9월 20일, 동대문 야구장[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년 대표팀 선발전 1경기
1977 Exhibition game 1
━━━━━━━━━━━━━━━━━━━━━━━━━━━━
9.20(화요일) 18:00, 동대문 야구장, 8,000명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학 선발팀최동원00000010010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청팀이선희0000000011000

첫 경기에서는 1회부터 5회까지 단 하나의 안타를 허용하지 않으며 당대 최고의 스타들을 잠재운 대학 선발 최동원의 역투와 이선희를 상대로 1회에 터진 김우근의 솔로 홈런을 앞세운 대학야구팀이 선전했으나 결국 동점을 허용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2. 2경기 : 9월 20일, 동대문 야구장[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년 대표팀 선발전 2경기
1977 Exhibition game 2
━━━━━━━━━━━━━━━━━━━━━━━━━━━━
9.20(화요일) 18:00, 동대문 야구장, 8,000명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백팀-00000000110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학 선발팀-10000010X2000

7회에 장효조가 가까스로 따라가는 솔로홈런을 치는 등 결국 2점을 낸 대학야구팀이 승리를 거두었다.


2.3. 3경기 : 9월 21일, 동대문 야구장[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년 대표팀 선발전 3경기
1977 Exhibition game 3
━━━━━━━━━━━━━━━━━━━━━━━━━━━━
9.21(수요일) 18:00, 동대문 야구장, -명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학 선발팀-00100010120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청팀-10002100X4000

이날 경기에는 선발팀 주축이자 대학야구의 양대산맥인 연세대고려대 선수가 고연전/연고전을 이유로 무더기 빠졌기에 한양대건국대 위주로 선발출전 했다. 김우근이 3회에 솔로홈런을 때려내며 분전했지만 실업야구 선수들이 대거 맹타를 휘두르며 전날의 패배를 설욕하는데 성공한다.


2.4. 4경기 : 9월 21일, 동대문 야구장[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년 대표팀 선발전 4경기
1977 Exhibition game 4
━━━━━━━━━━━━━━━━━━━━━━━━━━━━
9.21(수요일) 18:00, 동대문 야구장, -명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백팀-01040010060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청팀-0010100002000

사실상 한국실업야구 올스타전. 선취점을 내는데 성공한 백팀은 이어 4회에 맹타를 몰아쳐 4점을 얻는데 성공, 이에 청팀이 5회 이해창의 솔로홈런 등으로 추격을 시도했지만 백팀의 구영석의 홈런이 7회에 터지며 사실상 경기는 뒤집기 힘들어 졌다.


2.5. 5경기 : 9월 22일, 동대문 야구장[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년 대표팀 선발전 5경기
1977 Exhibition game 5
━━━━━━━━━━━━━━━━━━━━━━━━━━━━
9.22(목요일) 18:00, 동대문 야구장, -명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학 선발팀유종겸10000000010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백팀황기선00000003X3000

선발투수 황기선을 상대로 장효조가 130m짜리 초대형 홈런을 때려내며 대학팀이 앞서나가기 시작했으나 8회말, 대학선발의 두번째 투수 김시진편기철권백행의 동점 홈런, 양창의의 2타점 적시타 등 4피안타 3실점으로 무너지며 역전패를 당했다.


2.6. 6경기 : 9월 22일, 동대문 야구장[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년 대표팀 선발전 6경기
1977 Exhibition game 6
━━━━━━━━━━━━━━━━━━━━━━━━━━━━
9.22(목요일) 18:00, 동대문 야구장, -명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청팀-000131010613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실업 백팀-1003000004000

사실상 한국실업야구 올스타전2. 청팀이 이종도, 박준영등의 맹활약에 역전승을 기록한다.


3. 최종 엔트리[편집]


선발전이 모두 끝나고 약 10일 후인 10월 5일, 대한야구협회는 선수선발위원회를 개최했다. 엔트리는 다음과 같다.

예비 엔트리
직책이름소속비고
단장박상규대한야구협회 전무이사대표팀 운영 총괄
감독김응용한일은행 감독
코치유백만한국화장품 감독
이재환연세대학교 감독
정두영철우 감독

예비 엔트리
포지션이름소속팀투타비고
투수이선희육군좌투좌타
유남호실업 롯데우투우타
방기만한국화장품우투우타
최동원연세대학교우투우타
김시진한양대학교우투우타
임호균동아대학교우투우타
유종겸중앙대학교좌투좌타
포수심재원한국화장품우투우타
박해종연세대학교우투우타
내야수김정수실업 롯데우투우타
천보성실업 롯데우투우타
배대웅기업은행우투우타
구영석육군
김재박한국화장품우투우타1977 한국실업야구 7관왕
김봉연연세대학교우투우타
외야수윤동균기업은행
김일권육군우투우타
이해창육군우투우타
장효조한양대학교좌투좌타
김우근건국대학교우투우타


4. 대회 본선[편집]



4.1. 1라운드 (대륙간컵)[편집]



4.1.1.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전 (11월 11일): 4:5 패배[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 IBAF 대륙간컵, 니카라과
1977 IBAF Intercontinental Cup

━━━━━━━━━━━━━━━━━━━━━━━━━━━━
11.11(일) 09:30, 치난데가 야구장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01022000059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최동원00100210049
첫 경기는 당시 아마야구에서 쿠바와 더불어 쟁쟁한 강팀이라 평가받던 미국. 대표팀은 아마야구 최강이라 불리던 최동원을 선발로 내세웠는데, 김응용감독은 3회 대표팀 좌완에이스 이선희 카드를 꺼내어 승부수를 띄웠으나 오히려 연이은 연타를 맞으며 실점을 기록했고 유남호를 6회에 투입 하였다.

안타수는 9개로 동일했지만 집중력에서 차이가 보였다는 평이었다.


4.1.2. 파일:WBSC 푸에르토리코기.png 푸에르토리코전 (11월 12일): 4:0 승리[편집]




4.1.3. 파일:WBSC 베네수엘라 국기.png 베네수엘라전 (11월 13일): 8:2 승리[편집]




4.1.4.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전 (11월 14일): 0:1 패배[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 IBAF 대륙간컵, 니카라과
1977 IBAF Intercontinental Cup

━━━━━━━━━━━━━━━━━━━━━━━━━━━━
11.14(일) 09:30, 치난데가 야구장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0100000001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0000000000

선발 최동원에 이어 3회부터 등판한 이선희가 12개의 탈삼진을 뽑아냈으나 타선이 침묵하여 아쉽게 졌다.


4.1.5. 파일:WBSC 콜롬비아 국기.png 콜롬비아전 (11월 15일): 7:0 승리[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 IBAF 대륙간컵, 니카라과
1977 IBAF Intercontinental Cup

━━━━━━━━━━━━━━━━━━━━━━━━━━━━
11.15(일) 09:30, 치난데가 야구장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콜롬비아 국기.png 콜롬비아-00000000004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최동원10200040X7

대표팀은 1회말 김재박이 좌익수 실책으로 3루까지 진루에 성공, 이어 박해종이 첫 타점을 기록하며 기분좋은 시작을 했다. 그리고 3회말 김일권천보성이 2루타를 때려내며 2점을 기록했고 7회말에 다시 김정수, 김일권의 안타를 앞세워 4점을 기록하는데 성공했다.

폭발적인 타선과 더불어 선발 최동원은 콜롬비아 타선을 4피안타로 잠재우며 완봉승을 기록했다.

이날 경기 승리로 인해 대표팀은 잔여 경기 내용과 상관 없이 결선 리그 진출이 확정 되었다.


4.1.6. 파일:WBSC 니카라과 국기_.png 니카라과전 (11월 16일): 8:1 승리[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 IBAF 대륙간컵, 니카라과
1977 IBAF Intercontinental Cup

━━━━━━━━━━━━━━━━━━━━━━━━━━━━
11.16(일) 09:30, 레온 야구장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방기만005000021817
파일:WBSC 니카라과 국기_.png 니카라과-00000100016

개최국인 니카라과와의 맞대결은 한국의 완승이었다. 선발투수 방기만과 5회부터 올라온 유남호의 호투로 단 1점만을 내준 투수진의 활약과 17안타를 때려낸 타선의 조화가 이날 경기의 승리의 원동력이었다.

3회초, 이해창이 볼넷으로 출루한 후, 김재박배대웅이 연이어 안타를 때려내며 기분 좋은 선취 득점을 따낸데 이어 김정수의 출루로 1사 만루 이후 김일권의 2루타로 3점을 뽑아냈고 이어 윤동균이 또다시 안타를 때려내며 김일권이 홈으로 들어오며 1점 추가해 3회에만 5점을 뽑아냈다.

8회초 김정수가 2타점을 기록하고 9회초에도 천보성이 타점을 때려내며 쐐기를 박았다.


4.1.7.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전 (11월 17일): 1:2 패배[편집]




4.1.8.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전 (11월 18일): 3:1 승리[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 IBAF 대륙간컵, 니카라과
1977 IBAF Intercontinental Cup

━━━━━━━━━━━━━━━━━━━━━━━━━━━━
11.18(일) 09:30, 소모사 야구장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방기만0001001103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캐나다-0010000001

3회말 이선희가 와일드 피칭으로 1실점 했지만 4회초 배대웅이 안타로 출루한 이후 김봉연의 희생 번트때 캐나다의 에러가 나왔고 이 틈에 3루까지 진루에 성공, 4번타자인 김일권이 내야 땅볼을 때려내자 이틈에 홈을 파고들어 동점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7회초에 2사후 주자 없는 상황애서 박해종의 2루타와 심재원의 적시타가 나오며 역전에 성공했고 8회 초에 김재박이 에러로 2루까지 진루하는데 성공, 배대웅의 번트와 김정수의 내야땅볼때 홈으로 파고는 데 성공하며 또다시 점수를 내며 앞서 나갔다.


4.1.9. 1라운드 (대륙간컵) 결과[편집]


대표팀점수상대팀결과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45파일:WBSC 미국 국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40파일:WBSC 푸에르토리코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82파일:WBSC 베네수엘라 국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01파일:WBSC 일본 국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70파일:WBSC 콜롬비아 국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81파일:WBSC 니카라과 국기_.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12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31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4.2. 2라운드 (슈퍼월드컵)[편집]



4.2.1.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전 (11월 21일): 0:2 패배[편집]


파일:국제야구연맹 로고.svg1977 슈퍼월드컵, 니카라과
1977 IBAF Super World Cup

━━━━━━━━━━━━━━━━━━━━━━━━━━━━
11.21(일) 09:30, 레온 야구장
선발123456789RHEB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스콧 가드너00020000027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이선희00100000004

4회에 빌 헤이스의 솔로 홈런을 비롯해 2실점을 기록한 반면 대한민국 대표팀은 미국의 투수진을 공략하지 못하고 산발적인 4안타만 때려내며 점수를 내지 못했다.
선발투수 이선희에 이어 방기만과 유종겸이 이어 던져 패배했지만 좋은 성적을 내긴 했다.


4.2.2. 파일:WBSC 니카라과 국기_.png 니카라과전 (11월 23일):13:3 승리[편집]


더블헤더로 1차전을 홈팀 니카라과와 경기에서 승리, 3대3의 박빙의 승부에서 4회초 심재원,김재박의 연속 안타에 김일권의 2타점 적시타로 승기를 잡은 후, 이회창의 2점 홈런 등 장단 17안타 13점을 거둬 콜드게임 승리를 거두었다.
투수는 선발 방기만-이선희(3회) -김시진(7회)로 효과적으로 던져 니카라과 타선을 무력화시켰다.


4.2.3. 파일:WBSC 콜롬비아 국기.png 콜롬비아전 (11월 23일):4:1 승리[편집]


주최측의 농간으로,1번째 경기장과 30km떨어진 경기장에서 열린 더블헤더 2번째 경기에서 우완에이스 최동원이 1피안타(1피홈런) 12탈삼진 완투승을 거두었다.
장효조의 3회말 솔로홈런 등 타자들이 4점을 뽑아 어렵지 않게 승리를 얻을 수 있었다.


4.2.4. 파일:WBSC 푸에르토리코기.png 푸에르토리코전 (11월 24일): 4:2 승리[편집]


방기만,유종겸에 이어, 전날 완투한 최동원이 다시 등판하여 호투하는 괴력을 보여주었고 결국 대표팀은 승리를 거두었다.


4.2.5.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전 (11월 25일): 3:2 승리[편집]


이선희의 완투, 배대웅의 적시타, 김봉연의 6회 홈런 그리고 9회 김정수의 승부를 결정짓는 적시타을 바탕으로 일본에게 3대 2로 승리를 거두었다. 아시아권 국제대회를 빼고는 세계대회에서 처음으로 난적 일본에게 승리를 거두는 쾌거를 이루었다.


4.2.6. 2라운드 결과[편집]


대표팀점수상대팀결과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45파일:WBSC 미국 국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133파일:WBSC 니카라과 국기_.png콜드 승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41파일:WBSC 콜롬비아 국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42파일:WBSC 푸에르토리코기.png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21파일:WBSC 일본 국기.png

1차전에서 한국에게 이겼던 우승후보 미국이 니카라과에게 불의의 일격을 당함으로 4승 1패로 두 팀이 동률이 되었다.


4.3. 결승전 : 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전 (11월 26일): 5:4 승리[편집]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54파일:WBSC 미국 국기.png
한국시간 11월 26일 오전 5시 30분에 열린 결승전에서 6회초 김봉연의 홈런과 이해창의 중전 2타점 적시타를 바탕으로 승리를 거둠. 당시 투수는 전날 이선희의 완투 여파로 궁여지책으로 일단 선발에 김시진을 등판시켰고 뒤이어 최동원-유남호가 적절히 호투하여 승리의 원동력이 되었다.

대한민국 야구 역사상 세계대회에서 첫번째 우승을 거둔 쾌거였다.


5. 대회 수상자[편집]


[대회 MVP 에 이선희, 베스트 나인에 유격수 김재박이 선정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50:20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77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