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tablewidth=100%><rowbgcolor=#ffffff,#1f2023> [[네팔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45]]
]] || [[라오스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 ||<width=25%> [[네팔 야구 국가대표팀|네팔]] ||<width=25%>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대만]] ||<width=25%>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width=25%> [[라오스 야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rowbgcolor=#FFF,#1F2023> [[몽골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 [[미얀마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 [[방글라데시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 || [[몽골 야구 국가대표팀|몽골]]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미얀마 야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방글라데시 야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1]^^ || ||<rowbgcolor=#FFF,#1F2023> [[부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 [[북한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 [[베트남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 [[브루나이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 || [[부탄 야구 국가대표팀|부탄]]^^[1]^^ || [[북한 야구 국가대표팀|북한]] || [[베트남 야구 국가대표팀|베트남]]^^[1]^^ || [[브루나이 야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rowbgcolor=#FFF,#1F2023> [[사우디아라비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 [[스리랑카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 [[싱가포르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 [[아프가니스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width=50]]
]] || ||
[[사우디아라비아 야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1]^^
|| [[스리랑카 야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싱가포르 야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야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rowbgcolor=#FFF,#1F2023> [[이라크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 [[이란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 [[인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 ||
[[이라크 야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야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야구 국가대표팀|인도]] || [[인도네시아 야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rowbgcolor=#FFF,#1F2023>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 [[카자흐스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50]]
]] || [[캄보디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자흐스탄 야구 국가대표팀|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야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rowbgcolor=#FFF,#1F2023>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 [[파키스탄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 [[팔레스타인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 [[필리핀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 ||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태국]] || [[파키스탄 야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야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1]^^ || [[필리핀 야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rowbgcolor=#FFF,#1F2023> [[홍콩 야구 국가대표팀|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 ||
[[홍콩 야구 국가대표팀|홍콩]]
|| ||<-5><bgcolor=#ab3326> {{{#ffffff ^^ [1] [[WBSC]]에만 가입해 있는 상태.^^}}} ||


||


파일: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gif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中華臺北棒球代表隊
IOC 코드TPE
운영주체중화민국봉구협회(中華民國棒球協會)
연맹아시아 야구 연맹 (BFA)
홈구장타이중 저우지 야구장(타이중시)
감독파일:대만 국기.svg 린이웨핑(林岳平)
주장-
WBC[출전] 5회[1]
[최고] 8위 (2013)
프리미어 12[출전] 2회[2]
[최고] 5위 (2019)
올림픽[출전] 5회[3]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92)
아시안게임[출전] 7회[4]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6)
라이벌일본, 대한민국
팀이모지파일:WBSCPremier12TeamEmoji_CHINESETAIPEI_V2.png
WBSC 랭킹
5위 - / 3974점
(2023년 11월 2일 기준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모자/헬멧파일: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레드 화이트 로고.png파일: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레드 화이트 로고.png
상의파일:미즈노 로고 블랙.svg 파일: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gif


10

파일:미즈노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레드 화이트 로고.png


21

하의
파일:미즈노 로고 블랙.svg


파일:미즈노 로고 블랙.svg


1. 개요
2. 라이벌
3. 역대 성적
3.1.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3.2. WBSC 프리미어 12
3.3. 올림픽
3.4. 아시안 게임
3.5.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3.6. 과거의 대회
3.6.1. 세계야구선수권대회(야구 월드컵)
3.6.2. 대륙간컵
4. 로스터
5. 여담



1. 개요[편집]


TEAM CHINESE TAIPEI
파일:대만 국대 2019 premier 12.jpg
대만 스포츠의 자존심
대만야구 국가대표팀.

야구는 대만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 종목이자 리그의 프로화가 이루어진 스포츠이다. 따라서 대만인들은 야구에 자존심을 걸기에 야구를 자국의 국기(國技)이자 국가적 자존심으로 본다. 프로리그에서 대규모 승부조작 스캔들이 난 것 때문에 더더욱 국대에 목숨 거는 듯하다. 덕분에 과거에 존재했던 야구 대회였던 IBAF 대륙간컵이나 야구 월드컵에 거의 유일하게 프로급 주전을 상당수 내보냈다.[5][6] 그렇기 때문에 그래도 한국에선 이 두 대회는 방송 중계도 거의 안하고 가볍게 취급하는 정도인데[7], 대만은 거의 아시안 게임이나 WBC 수준급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이 대회에서 한국이나 일본에게 이기면 자국 야구 인프라의 막장성을 일시적이나마 날리는 위안감이 되는 듯.

그 외에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프리미어 12,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같은 국제대회들 유치 및 지원이 상당한 편인데 자국 리그에 1990년대 중반에 터진 승부조작 파문으로 인해 4개 팀만 남은 상황이었고, 아마추어라도 좋으니 국제대회 성적으로 위안을 삼는 경향이 더 컸었다. 그렇기 때문에 국제대회를 대거 유치하고 참가시 더 총력을 다하는 것도 큰 이유중 하나다.

하지만 아마추어가 아닌 프로레벨의 대회에 참여하는 대표팀의 경우에는 성적이 영 좋지 못하다. 사실 프로레벨에서 북미, 중남미, 일본, 한국과 비교했을 때, 니카라과를 제외하면 대만이 객관적인 전력이 가장 딸리니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선수단 전반적으로 세미프로인 중국, 호주 등을 제외하고 국가대표 선수진 대다수가 프로인 경우만 포함했을 때 말이다. 물론 한국 대표팀을 연장 혈투끝에 물리친 적도 있었고,[8] 2014 인천 아시안게임때처럼 결승에서 박빙의 승부를 펼치기도 하는 등 의외의 선전을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1라운드 탈락을,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한국에게 2:3으로 역전패당했지만 이번에는 지고도 기분좋게 라이벌시하는 한국에 져서 기분 좋지는 않았겠지만 2라운드에 진출했지만 별다른 성적을 내지 못하고 탈락했다. 그래도 왕웨이중, 린화칭, 우셩펑 등 좋은 선수들이 나오며 희망을 밝히고있다.

파일:2018CTbaseball.jpg
1990년대 후반 도입된 유니폼 디자인이 현재까지도 거의 변동없이 사용되고 있다. 2006년 로고를 살짝 바꾼 것 외에는 큰 변화가 없다. 대회마다 변화라고 해봐야 Y라인 유무나, 팔소매 색 변경 및 유니폼 전면 번호 표기 여부 정도다. 웬만한 팀들이 매 대회마다 유니폼 디자인에 변화를 주는 것과 비교해 보면 굉장히 특이한 부분이다. 심지어 유니폼 스폰서도 미즈노가 계속 맡고 있다. 1990년대 초반까지는 유니폼에 두 줄로 CHINESE TAIPEI라고 쓰인 유니폼을 입었다. 가로줄 위에 CHINESE를 배치하여 강조한 유니폼이었다. 96년 올림픽 예선에서는 현재 유니폼과 비슷한 디자인에 로고 대신 CHINESE TAIPEI라고 작게 쓰여진 유니폼을 입었다가 98년 아시안게임부터 현재까지 동일한 디자인의 유니폼을 채택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 때 유니폼 디자인은 바꿀 예정이었으나 최종 예선 불참으로 무산된 바 있다.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을 사실상의 홈 구장으로 쓰고 있다. 타이베이에는 대형 야구장이 없는데다가 2013년부터 대형 야구장 중 유일하게 연고지 팀이 없어서 이 곳에서 대거 국제경기를 열었는데, 중신 브라더스가 2015년부터 홈으로 쓰고 있고 가오슝이 비어있음에도 이 곳에서 대부분의 국제경기를 열고 있다.


파일:TW_N_BASEBALL_TEAM_LOGO.png파일:taiwanbaseball.jpg
CPBL 선발팀 로고2017 APBC 유니폼

해당 유니폼은 프로야구 연맹인 CPBL에서 사용하는 유니폼이다.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 입고 나와서 대표팀의 새 유니폼으로 착각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대표팀과는 무관한 유니폼이다. CPBL측에서 상표권을 가지고 있는 디자인으로 로고상의 동물은 대만 토종견을 모티브로 삼았다. CPBL에서 라이센스를 준 온라인 몰에서 판매되는 팀 타이완 굿즈

대만의 경우 국제대회 비중이 높다 보니 여전히 아마추어 협회의 힘이 강한데, 아마추어 협회와 프로 연맹간의 대립으로 대표팀을 구성할 때마다 잡음이 일어나는 편으로, 이 유니폼도 그런 갈등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 있다.

CPBL측은 앞으로 이 유니폼을 계속 밀 생각이라 2019년 프로야구 30주년 기념 올스타전 때는 양 팀에 각각 홈과 원정 유니폼을 입혀 경기를 치뤘다. 2018년 일본-대만 프로야구 친선전에서도 이 유니폼을 입고 나갔다. 사실 2013년 친선전 때도 NPB와 CPBL 양측 모두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고 나갔는데 이 때 중화야구협회에서 CPBL에 항의하면서 이미 갈등이 커진 상태였다.

2016년 일본-대만 프로야구 친선전 때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을 수 없었던 CPBL선발팀은 단순하게 CHINESE TAIPEI라고 쓰여진 유니폼을 입고 나갔다. 그런데 리그 측에서 판매한 굿즈에 중화민국 국기, CHINESE TAIPEI, CPBL로고를 혼용하면서 문제가 됐고#, 이는 아예 CPBL 선발 전용 유니폼을 만들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2019 프리미어 12와 2023 WBC에는 전부 기존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출전하였다. 2020 도쿄올림픽 최종 예선에는 양 측의 합의하에 이 디자인에 기존 대표팀 배색을 입힌 유니폼을 입고 나올 예정이었으나 거의 제로에 가까웠던 대만 내 코로나 확진자 수가 늘어나면서 참가를 포기하였다. 이 유니폼의 제작 및 판매도 중화야구협회가 아닌 CPBL이 할 예정이었다.[9]

2. 라이벌[편집]



2.1. 일본[편집]



일본 야구계와 꾸준한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매년 프로팀끼리의 친선경기는 물론이고 국가대항전도 지속적으로 열리고 있는데, 2013 베이스볼 챌린지라는 이름의 평가전을 시작으로 2016, 2017, 2018년[10]까지 꾸준히 평가전을 가지고 있다.


2.2. 대한민국[편집]


한국 대표팀을 라이벌로 여긴다. 물론 한국에서는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11] 국대 기준으로 한국 야구가 최악의 암흑기를 겪고 있는 현재도 엄연히 세계랭킹이 위이며,[12] 고점을 기준으로 하면 비교하는 것이 실례인 수준이기 때문. 무엇보다 후술하겠지만 상대전적만 봐도 한국에게 대만은 객관적으로 한 수 이상 아래면서 끈덕지게 달라붙는 귀찮은 상대, 그러면서도 한일전마냥 치열한 승부나 물고 물리는 전적을 만들어내지는 못 한 상대에 불과하다.

일단 대만 국가대표팀 수준에서 그나마 이길 수 있다 생각하는 대상이 한국 국가대표팀이고 한국과의 경기에서는 대만 국민들의 엄청난 관심이 쏠리는데, 한국에게 질 경우에는 한일전에서 패배한 한국대표팀처럼 무진장 까인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1년 파나마에서 열린 야구 월드컵에선 토너먼트에서 허무하게 탈락하면서 자국 인터넷에서 엄청난 비판을 받은 적이 있다. 자신들은 전력으로 참가하는 반면, 대학선수 위주로 대충 선수 뽑아서 출전한 한국이 토너먼트에 진출하면서 그 감정이 더 열폭한 모양.

야구 월드컵에서도 볼 수 있듯이 대만은 대학선수 등 아마추어들이 주로 참가하는 대회에서도 한.일보다 큰 관심을 가지고, 전력도 대만 주요 대표팀 자원인 현역 마이너리거 등 최대한 베스트로 끌고 나오곤 한다. 그로 인해 WBSC 세계 야구 랭킹에서도 한국이랑 엎치락 뒤치락하며 4, 5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 타도와 같은 격한 문구들이 자주 등장하였는데 최근 들어선 좀 양호해지긴 했다, 하지만 최근들어 대만의 성적이 한국보다 조금 좋아지자 다시 과격한 표현들을 쓰기 시작했다,[13] 대표적인 예시로 한국 드라마를 자주 수입 방송하는걸로 유명한 대만의 케이블 방송 동삼전시에선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이 한국을 4:0으로 이기자 해설위원들이 결승 당일 시합 전에 류중일 감독의 발언에 꼬투리를 잡으며 "한국 야구는 상고시대에 머물러 있다.", "한국의 정보수집은 대만에 훨씬 뒤떨어진다.", "한국 선수들은 2년간 군대를 갔다오면 야구를 할줄 모르게되니 대만이 우승해 그들을 군대에 보내야한다."[14] 등 상당히 격앙되고 조롱하는 어조로 아무리 케이블 방송이라도 상당히 과격한고 나아가선 인터넷 방송에서나 쓸법한 저질적인 발언의 평론을 하였다.[15]

이는 야구는 대만의 국기인데다가 대만인들 나름대로 한국을 이길 수 있다 생각하고[16], 대만인들이 한국전을 바라볼 때 한국인들이 한일전을 바라볼 때처럼 비슷한 심정으로 바라보기 때문에[17] 대회를 불문하고 관심도가 상당하고 이겨야 된단 생각이 강하다. 이를 반한감정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건 한국-대만 관계 참고.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전력 분석원을 한국 대표팀 스태프로 위장시키고 덕아웃에 들여보냈다가 발각 된적도 있다. 이 사건은 CPBL[18]에서 사과하며 마무리 되었다.

대회 및 라운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결과비고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예선전165콜드게임 패배
더블리그43패배
1999 아시아야구 선수권본선 2차전54패배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예선전70패배
결승전43패배
2003 아시아야구선수권예선전45승리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20패배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예선전24승리
2007 아시아야구선수권예선전52패배
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예선전43패배
2008 베이징 올림픽예선전98패배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90패배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예선전61패배
결승전93패배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32패배
2014 인천 아시안 게임8강100패배
결승전63패배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118패배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U-24 대회
예선전10패배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예선 B조12승리[A]
2019 WBSC 프리미어 12슈퍼라운드07승리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B조 4경기04승리
결승전20패배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U-24 대회
예선전61패배

사실 전적만 보면 한국이 압도적으로, 1군 대표팀끼리의 맞대결을 보자면 24경기 5승 19패로 대만이 절대적인 열세를 기록하고 있다. 도하 참사삿포로 참사를 빼곤 대만이 한국에게 이긴 경기도 얼마 안되고 특히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한국이 4전 전승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갖고 있다. 그야말로 압살. 그러나 사실 경기 내용만 보면 이상하리 만치 한국만 보면 물고 늘어지는 늪야구를 선보였다.

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는 첫 만남에서는 콜드게임 승이라는 압도적인 실력을 보여주었으나 더블리그에서 다시 만났을 때는 8회에 가까스로 역전을 기록해 승리를 가져갔으며, 99년 아시아선수권때도 연장 11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박재홍의 끝내기 안타로 겨우 승리했다. 02 부산 아시안 게임때도 막판까지 추격을 허용하는 등 한국을 상대로 저력을 보여왔다.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때는 9회에 박진만의 호수비가 아니었다면 경기를 내줬을 지도 모르는 위기 상황을 맞이하기도 했고,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때도 8회의 기적이 나오기 전까지 시종일관 끌려다녔다.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에서는 실업 대표팀이 한국 대표팀을 꺾는 파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2019년 프리미어 12에서는 프로군단으로 지바 쇼크 압승을 거두었다.

2023년 WBC에는 만나지 않았지만 대한민국이 한 번도 이기지 못한 네덜란드를 꺾고[19] 우위를 점하는가 하면 아시안 게임에서도 4-0으로 한국을 이기며 간접비교 뿐만 아니라 직접 비교로도 한국에 크게 뒤지지 않는다는것이 증명되는듯 했으나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2-0으로 영봉패를 당하며 아직 한국이 한수 위 라는것을 보였다.[20][21] 2023 APBC에서 한국에 패배하며 다시 한국전 연패에 빠졌다

최근 대만이 12년간의 무승 징크스가 깨진 후 오히려 한국에 3연승을 했지만, 아시안게임 결승에서 한국에 털리며 한국 상대연승이 막히며 다시 연패에 길로 접어들었다.

그리고 한국 좌완 에이스들을 상대로 강세를 보인다는 점도 특징.

2.3. 중국[편집]


의아할 수 있는데 프로야구가 없는[25]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에게 비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전에는 오히려 대만이 콜드 2연승을하거나 무난하게 1승을 했으나, 이후에는 치열한 접전 끝에 패배를 겪었다.

대회 및 라운드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결과비고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예선 라운드111대만 콜드 승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312대만 콜드 승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예선 라운드24대만 승
2008 베이징 올림픽예선 라운드87중국 승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본선 1라운드41중국 승


3. 역대 성적[편집]



3.1.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편집]


역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전적 순위 : 14위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20061라운드12위3121519
20091라운드15위202113
20132라운드8위5231725
20171라운드14위3032032
20231라운드13위4222631
합계출전 5회 / 우승 0회1751279120


3.2. WBSC 프리미어 12[편집]


역대 WBSC 프리미어 12 전적 순위 : 6위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20151라운드9위5232725
2019슈퍼라운드5위7432415
2024??????
합계출전 2회 / 우승 0회12665140


3.3. 올림픽[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1984[시범종목]4강동메달541285
1988[시범종목]예선라운드8위808412
1992준우승은메달9636734
1996예선 탈락으로 인한 불참
2000예선 탈락으로 인한 불참
2004예선라운드5위7342328
2008예선라운드5위7252933
2020예선 포기
합계출전 3회 / 우승 0회23111211995

2020 올림픽은 코로나 19 여파로 예선 참가를 포기했다.


3.4. 아시안 게임[편집]



3.5.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편집]


은근 콩라인에 많이 섰다.


3.6. 과거의 대회[편집]



3.6.1. 세계야구선수권대회(야구 월드컵)[편집]




3.6.2. 대륙간컵[편집]



4. 로스터[편집]



4.1.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편집]


등번호이름보직소속팀
70린이웨핑감독대표팀 전임
23펑정민타격 코치중신 브라더스
91성하오진타격 코치대표팀 전임
0쉬밍제투수 코치라쿠텐 몽키스
66장첸민외야 수비·주루코치웨이취안 드래곤스
13천치앙호주루 코치대표팀 전임
34가오즈강수석·배터치 코치퉁이 라이온스
40왕젠민불펜 코치중신 브라더스

등번호이름포지션투타소속팀
11뤼옌칭투수좌투좌타중신 브라더스
12왕웨이중투수좌투좌타웨이취안 드래곤스
13천관위투수좌투좌타라쿠텐 몽키스
14리전창투수우투우타중신 브라더스
15덩카이웨이투수우투우타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산하 마이너
16쑹자하오투수우투좌타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7후즈웨이투수우투우타퉁이 라이온스
18천관웨이투수우투우타웨이취안 드래곤스
21쩡쥔웨투수우투우타푸방 가디언스
22황쯔펑투수우투좌타라쿠텐 몽키스
26장사오칭투수우투우타푸방 가디언스
28천스펑투수우투우타푸방 가디언스
29우저위안투수좌투좌타중신 브라더스
24가오위제포수우투좌타중신 브라더스
27린다이안포수우투우타퉁이 라이온스
1정쭝저내야수우투좌타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마이너
2린쯔웨이내야수우투좌타뉴욕 메츠 산하 마이너
3왕웨이천내야수우투우타중신 브라더스
5장위청내야수우투우타보스턴 레드삭스
7우넨팅내야수우투좌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5판궈천내야수우투우타푸방 가디언스
33린리내야수우투우타푸방 가디언스
55장쿤위내야수우투우타중신 브라더스
8궈톈신외야수우투좌타웨이취안 드래곤스
9왕보룽외야수우투좌타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산하 마이너
23천천웨이외야수우투좌타라쿠텐 몽키스
34천제셴외야수우투좌타퉁이 라이온스
34청진외야수우투우타라쿠텐 몽키스


5. 여담[편집]



[1] 연속 5회 출전[2] 연속 2회 출전[3] 연속 3회 출전[4] 연속 7회 출전[5] 일본은 알다시피 여기엔 사회인 야구 대표팀을, 한국대학+프로 2군, 그중에서도 상무경찰청에서 차출해 데리고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다 보니까 이들 대회에서는 대만의 성적이 좋은 편. [6] 프로 출범 이전에는 한국에서도 선동렬, 최동원, 이선희, 장효조, 김봉연실업야구의 슈퍼스타들을 내보냈었다. 프로 출범 이후에는 구단들이 차출을 꺼리면서 대학야구 위주로 선발.[7] 2010 대만에서 열린 대륙간컵 대회에서 한국은 대만에게 5-11로 졌는데, 한국에선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대만전 선발이니 뭐니를 탐색할 정도로 다른 때와 달리 관심을 가졌기에 그나마 이 패배가 좀 크게 보도되긴 했다.[8] 이 때 승리도 극적으로 일궈낸데다 반한감정이 심했던 터라 대만의 애국가 방송때 해당 경기 장면이 사용되기도 했다.[9] 나중에 이 유니폼은 2022년과 2023년 CPBL 올스타전에서 팀 타이완으로 참여하는 선수들이 입게 된다. 이 때의 유니폼과의 차이점이라면 2022년부터 홈 유니폼과 원정 유니폼 모두 유니폼의 Y넥이 빠졌다는 것.[10] 2015년과 2019년엔 프리미어 12에서 맞상대 했다.[11] 요즘이야 인터넷상에서 한국 야구를 폄하하는 네티즌들이 많지만, 한국은 올림픽 금메달, 프리미어 12 우승 기록도 보유한 국가이다. WBC 8강 기록이 최고인 국가와 라이벌리를 논하기에는 급이 맞지 않다.[12] 그러나 2021년 12월부터 2023년 7월까지는 대만이 한국보다 랭킹이 높았다. 다시 회복한 지는 얼마 안 되었다.[13] 이 점은 배다른 형제인 중국과 똑같다, 중국의 경우 롤드컵에서 중국리그 소속의 팀이 5인제 게임에 한국 용병을 2명씩 데리고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 우승을 하자 e-스포츠의 종주국은 중국이라며 자화자찬한 것이 한국 게이머들 사이에서도 부정적인 의미로 화제가 되었다. [14] 이는 국군체육부대의 존재와 병역기간의 단축을 인지하지 못한 해설위원의 망언이다.[15] 그리고 평론보단 자뻑과 조롱에 가까운 이 방송이 끝나고 얼마 있지않아 야구 결승전에서 한국이 대만을 2:0으로 꺾고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6] 대만의 경우 축구는 동아시아 대표적인 약팀에 농구는 한국에 비해 확실하게 한수 아래인 반면, 야구만은 유일하게 한국에 비빌수 있는 정도다. [17] 일제에 맞서 싸우는 자를 중화권에선 "항일영웅"이라고 하는데 대만에선 자국의 야구 국가대표팀을 두고 한국에 맞서 싸우는 자라는 뜻의 "항한영웅(抗韓英雄)"이라고 부른다. [18] 대만 프로야구 리그를 관리하는 단체로 한국의 KBO, 일본의 일본야구기구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A] 실업+대학 선발 대표팀[19] WBC 대 네덜란드 전적 한국 2전 2패, 대만 3전 2승 1패.[20] 한편 대만 현지에선 해당 경기에서 한국이 득점한 2회초에 빗물이 거세서 폭투가 나온 것이 실점으로 이어진 주요 패배원인이니 실력문제가 아니라며 위안을 삼았지만 한국은 같은 조건에서 폭투 없이 무실점한 탓에 변명거리 밖에 안된다. [21] 이번에 대만은 비록 겉으로 보면 실업 선수를 6명이나 대동했지만 한국을 상대한 주전선수들은 전부 대만 프로 리그의 대표적인 선수들과 대만이 박박 긁어모은 마이너리거들이다보니 더더욱 변명의 여지도 없다. [22] 2006 도하 AG 4이닝 3실점 / 2007 올림픽 예선 5이닝 1실점 / 2009 WBC 3이닝 무실점 / 2010 광저우 AG 6이닝 1실점.[23] 2014 인천 AG 6이닝 3실점 / 2019 프리미어 12 3⅓이닝 3실점.[24] 2014 인천 AG 4이닝 무실점 / 2017 WBC 3이닝 3실점 / 2018 자카르타 AG 6이닝 2실점.[25] 중국야구리그가 있긴 하지만 메이저리그 등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실업야구에 가깝다.[시범종목] A B [26] 코로나19로 인해 1년 연기.[27] 1973년에는 2회 개최.[28]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한 국가가 아닌 한 대륙이 개최. 개최 국가는 네덜란드, 독일, 산마리노, 스웨덴, 스페인, 이탈리아, 체코, 크로아티아 8개국.[29]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 대만팀의 출전명단을 보면 더블A 투수인 린위민류즈룽이 등판하였고 더블A 내야수 정쭝저와 메이저리거 출신 외야수 린쯔웨이테이블세터로, 대만 리그에서 불방망이 타선으로 유명한 라쿠텐 몽키스의 리드오프이자 와일드카드인 린리와 신인왕, 홈런왕, 타점왕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퉁이 라이온즈의 거포 린안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뛰고 있는 우녠팅클린업 트리오로, 하위타선에 싱글A 선수와 프로선수를 배치하고도 영봉패를 당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53:42에 나무위키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