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2016년 전당대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더불어민주당/역대 전국대의원대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역사2015년 12월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전당대회역대 전당대회 (제2차(2016) · 제3차(2018) · 제4차(2020) · 임시(2021) · 제5차(2022))
선거지지 기반 · 인재영입
20대 총선20대 총선 체제 · 결과
19대 대선경선 · 국민주권선대위 · 결과
7회 지선결과
21대 총선총선기획단 · 후보자 · 결과 · 180석 드립
20대 대선경선 · 대선경선기획단 · 대한민국대전환 선대위 · 결과
8회 지선통합선대위 · 박지현 사과 기자회견 논란 · 결과
비판 및 논란정치·사회 관련 ·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 · 임미리 교수 고발 사건 · 초선 5적 논란 · 언론중재법 개정 논란 · 2021년 재보선 무공천 당헌 수정 · 경선 연기 논란 · 이낙연 지지자 선관위 결정 불복 시위 · 경선 무효표 규정 논란 · 노무현·김대중 합성물 게시 논란 · 2022년 내홍 · 당헌 80조 개정 논란 · 권리당원 전원투표 우선 당헌 신설 논란 · 3.1절 임시국회 논란 ·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 국회의원 티베트 방문 논란
대통령문재인
집권정부문재인 정부
관련 단체전국청년당 · 1618위원회 · 민주연구원 · 민주주의 4.0 연구원 · 김은경혁신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 민주당(2014년) · 더불어시민당 · 열린민주당 · 새로운물결
디지털 공보단
기타사회자유주의 · 진짜가 나타났다 ·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관련 틀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19대 국회의원 · 20대 국회의원 · 21대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더불어민주당 제2차 전국대의원대회
파일:160829정권교체.jpg
2015년 2월 8일
1차 전당대회
2016년 8월 27일
2차 전당대회
2018년 8월 25일
3차 전당대회
||
선출 대상당대표
최고위원 (노인부문 1인, 여성부문 1인, 청년부문 1인)
방식본선: (당대표) 대의원 투표(45%), 권리당원 투표(40%), 일반국민 여론조사(10%), 일반당원 여론조사(5%)
(최고위원) 대의원 투표(50%), 권리당원 투표(50%)
예비경선: 중앙위원회에서 당대표는 3인, 최고위원회는 6인으로 압축
당대표 당선인
파일:추미애 예비후보 공식.png
당대표
추미애
파일:송현섭.jpg
파일:양향자(정치인).jpg
파일:100148724.jpg
노인부문 최고위원
송현섭
여성부문 최고위원
양향자
청년부문 최고위원
김병관

파일:민주당2016전당대회.jpg
결과 발표 후 꽃다발을 전달했던 당대표, 최고위원 후보들
1. 개요
2. 상세
3. 일정
3.1. 지역 합동연설회
3.2. TV 토론회
4. 출마 후보군
4.1. 당대표
4.1.1. 김상곤 (원외)
4.2. 최고위원
4.2.1. 노인부문
4.2.1.1. 제정호
4.2.1.2. 송현섭
4.2.2. 여성부문
4.2.2.1. 유은혜
4.2.2.2. 양향자
4.2.3. 청년부문
4.2.3.1. 장경태
4.2.3.2. 이동학
4.2.3.3. 김병관
5. 여론조사
6. 투표율
7. 결과
7.1. 당대표 선거
7.2. 최고위원 선거
8. 총평



1. 개요[편집]


2016년 8월 27일 서울 KSPO 돔(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2기 중앙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이다.

2. 상세[편집]



3. 일정[편집]



3.1. 지역 합동연설회[편집]



3.2. TV 토론회[편집]



4. 출마 후보군[편집]



4.1. 당대표[편집]


  • 기호 번호 순서대로 정리함

4.1.1. 김상곤 (원외)[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김상곤 (金相坤)
파일:32040_11622_2043.jpg
출생1949년 12월 5일 (74세)
전라남도 광주시 산수동
(現 광주광역시 동구 산수동)
현직-
슬로건-

4.1.2. 이종걸 (5선)[편집]



4.1.3. 추미애 (5선)[편집]



4.2. 최고위원[편집]



4.2.1. 노인부문[편집]



4.2.1.1. 제정호[편집]


4.2.1.2. 송현섭[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송현섭 (宋鉉燮)
파일:송현섭.jpg
출생1936년 10월 12일 (87세)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현직-
슬로건-

4.2.2. 여성부문[편집]



4.2.2.1. 유은혜[편집]


4.2.2.2. 양향자[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양향자 (梁香子)
파일:양향자(정치인).jpg
출생1967년 4월 4일 (57세)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현직-
슬로건-


4.2.3. 청년부문[편집]



4.2.3.1. 장경태[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장경태 (張耿態)
파일:장경태1.jpg
출생1983년 10월 12일 (40세)
전라남도 순천시
현직-
슬로건-

4.2.3.2. 이동학[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이동학
파일:이동학노란컵.jpg
출생1982년 3월 12일 (42세)
강원도 화천군
현직-
슬로건-

4.2.3.3. 김병관[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김병관(金炳官)
파일:100148724.jpg
출생1973년 1월 15일 (51세)
전라북도 정읍시
현직제20대 국회의원 (경기 성남 분당 갑)
슬로건-

5. 여론조사[편집]



6. 투표율[편집]


  • 최고위원

  • 노인부분

선거인수투표수투표율
대의원1,4561,07273.17%
권리당원17,0653,35619.06%

  • 여성부분

선거인수투표수투표율
대의원6,1293,20052.01%
권리당원79,35113,49717.01%

  • 청년부문

선거인수투표수투표율
대의원4,1532,12851.23%
권리당원93,33628,68730.74%

  • 당대표
선거인수투표수투표율
대의원14,2728,48159.41%
권리당원199,40155,12427.64%



7. 결과[편집]



7.1. 당대표 선거[편집]


기호성명대의원
(45%)
권리당원
(30%)
일반당원
(10%)
일반국민
(15%)
합산 득표율
(100%)
순위선거 결과계파
1김상곤23.24%20.25%19.6%23.9%22.08%3위낙선진보
2이종걸25.24%18.09%25.25%30.59%23.89%2위낙선친명
3추미애51.54%61.66%55.15%45.52%54.03%1위당선친문


7.2. 최고위원 선거[편집]


  • 노인 최고위원
기호성명대의원(50%)권리당원(50%)합계(100%)순위당선 여부
1제정호47.39%32.33%39.86%2낙선
2송현섭52.61%67.67%60.14%1당선

대의원에선 비교적 접전이 일어났으나, 권리당원에서 송현섭 후보가 더블스코어 격차로 앞서면서 승리를 거두었다.

  • 여성 최고위원
기호성명대의원(50%)권리당원(50%)합계(100%)순위당선 여부
1유은혜52.38%33.46%42.92%2낙선
2양향자47.63%66.54%57.08%1당선

대의원에선 유은혜가 앞섰으나, 권리당원에서 양향자가 더블스코어 차이로 앞서면서 당선되었다.

  • 청년 최고위원
기호성명대의원(50%)권리당원(50%)합계(100%)순위당선 여부
1장경태15.51%13.72%14.61%3낙선
2이동학40.65%19.02%29.83%2낙선
3김병관43.84%67.27%55.56%1당선

대의원에선 이동학 후보와 김병관 후보가 접전을 이루었으나, 권리당원에서 김병관 후보가 2/3을 쓸어가서 압도적인 격차로 승리를 거두었다.

  • 권역 대표 최고위원
    • 서울특별시 & 제주특별자치도 대표: 김영주 서울시당위원장 (2년)[1]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대표: 전해철 경기도당위원장 → 박남춘 인천광역시당위원장 (1년 씩)
    • 강원도 & 충청도 대표: 심기준 강원도당위원장 (2년)[2]
    • 호남권 대표: 김춘진 전북도당위원장(6개월) → 이형석 광주시당위원장(8개월) → 이개호 전남도당위원장 (10개월)
    • 영남권 대표: 최인호 부산시당위원장 → 임대윤 대구시당위원장 → 정영훈 경남도당위원장 → 임동호 울산시당위원장 (6개월 씩)[3]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8. 총평[편집]


이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추미애 전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제19대 대통령 선거 압승,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압승까지 이끌어내며 레전드 지도부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6년 뒤 TK출신 두번째 당대표가 탄생하였다.

또한 청년 최고위원 부문에서 낙선한 나머지 2명도 훗날 최고위원이 된다.[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6:04:39에 나무위키 더불어민주당/2016년 전당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우남 제주도당위원장이 김영주 서울시당위원장이 유일한 여성 시도당위원장이고 또 서울이란 상징성도 있다며 양보하였다고 전한다. 김영주 최고위원이 부득이한 사정으로 사퇴할 경우에만 승계하겠다고 밝혀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김영주 의원이 임기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2] 충청권 시도당위원장인 박범계(대전시당위원장), 도종환(충북도당위원장), 박완주(충남도당위원장) 의원이 양보하였다. 김영주 최고위원처럼 심기준 위원장이 임기를 끝까지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셋 다 국회에서의 요직인 상임위 간사(박범계-법사위, 도종환-교문위)와 원내수석부대표(관례적으로 운영위 간사로 선임)를 겸직중이라 업무에 전념해야하는 이유가 많이 작용했다. 또 나름 선전한 충청권에 비해 강원도는 여전히 열세지역이라 이에 대한 배려도 있었다고 전한다.[3] 오중기 경북도당위원장은 50만 원이 든 돈봉투를 건넸다는 고발이 들어와 당선 인준이 보류되었다.[4] 다만 임명 방식이 다른데 이동학 후보는 2021년 송영길 지도부가 탄생할 때 지명직으로 들어가고, 장경태 후보는 2022년 이재명 지도부가 탄생할 때 전당대회 순위 5위로 들어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