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몽 푸앵카레

덤프버전 :




레몽 푸앵카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왕정복고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장조제프 데솔엘리 드카스
(제2대)제5대제6대제7대
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조제프 드 빌리에장바티스트 실베르 게 드 마르티냐크쥘 드 폴리냐크
제8대
카지미르루이빅투르니앙 드 로슈슈아르 드 모르트마르
7월 왕정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자크 라피트카지미르 페리에니콜라 장드듀 술트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제13대제14대제7대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에두아르 모르티에빅토르 드 브로이아돌프 티에르
제17대(제11대)(제16대)(제11대)
마티외 몰레니콜라 장드듀 술트아돌프 티에르니콜라 장드듀 술트
제18대(제17대)
프랑수아 기조마티외 몰레
제2공화국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프랑수아 아라고루이외젠 카베냐크오딜롱 바로
제23대제24대
알퐁스 앙리 도풀레옹 포셰
제2제국
제25대제26대
에밀 올리비에샤를 쿠쟁몽토방
제3공화국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루이 쥘 트로쉬쥘 아르망 뒤포르알베르 드 브로이에르네스트 쿠르토 드 시셰
제31대(제28대)제32대(제29대)
루이 뷔페쥘 아르망 뒤포르쥘 시몽알베르 드 브로이
제33대(제28대)제34대제35대
가에탕 드 로슈부에쥘 아르망 뒤포르기욤 워딩턴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36대제37대(제35대)제38대
쥘 페리레옹 강베타샤를 드 프레이시네샤를 뒤클레르
제39대(제36대)제40대(제35대)
아르망 팔리에르쥘 페리앙리 브리송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르네 고블레모리스 르비에피에르 티라르샤를 플로케
(제43대)(제35대)제45대제46대
피에르 티라르샤를 드 프레이시네에밀 루베알렉상드르 리보
제47대제48대(제47대)(제46대)
샤를 뒤피장 카지미르페리에샤를 뒤피알렉상드르 리보
제49대제50대(제40대)(제47대)
레옹 부르주아쥘 멜린앙리 브리송샤를 뒤피
제51대제52대(제42대)제53대
피에르 발데크루소에밀 콩브모리스 루비에페르디낭 사리앵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조르주 클레망소아리스티드 브리앙에르네스트 모니조제프 카요
제58대(제55대)제59대제60대
레몽 푸앵카레아리스티드 브리앙루이 바르투가스통 두메르그
(제46대)제61대(제55대)(제46대)
알렉상드르 리보르네 비비아니아리스티드 브리앙알렉상드르 리보
제62대(제54대)제63대제64대
폴 팽르베조르주 클레망소알렉상드르 밀랑조르주 레이그
(제55대)(제58대)제65대제66대
아리스티드 브리앙레몽 푸앵카레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시알에두아르 에리오
(제62대)(제55대)(제66대)(제58대)
폴 팽르베아리스티드 브리앙에두아르 에리오레몽 푸앵카레
(제55대)제67대제68대(제67대)
아리스티드 브리앙앙드레 타르디외카미유 쇼탕앙드레 타르디외
제69대제70대(제67대)(제66대)
테오도르 스테그피에르 라발앙드레 타르디외에두아르 에리오
제71대제72대제73대(제68대)
조제프 폴봉쿠르에두아르 달라디에알베르 사로카미유 쇼탕
(제72대)(제60대)제74대제75대
에두아르 달라디에가스통 두메르그피에르에티엔 플랑댕페르낭 부아송
(제70대)(제73대)제76대(제68대)
피에르 라발알베르 사로레옹 블룸카미유 쇼탕
(제76대)(제72대)제77대제78대
레옹 블룸에두아르 달라디에폴 레노필리프 페탱
비시 정권
(제70대)(제74대)제79대(제70대)
피에르 라발피에르에티엔 플랑댕프랑수아 다를랑피에르 라발
임시정부
제80대제81대제82대(제76대)
샤를 드골펠릭스 구앵조르주 비도레옹 블룸
제4공화국
제83대제84대제85대(제84대)
폴 라마디에로베르 슈만앙드레 마리로베르 슈만
제86대제87대(제86대)제88대
앙리 쾨유조르주 비도앙리 쾨유르네 플레뱅
(제86대)(제88대)제89대제90대
앙리 쾨유르네 플레뱅에드가르 포르앙투안 피네
제91대제92대제93대(제89대)
르네 마예르조제프 라니엘피에르 망데스 프랑스에드가르 포르
제94대제95대제96대제97대
기 몰레모리스 부르제스모누리펠릭스 가야르피에르 플림랭
(제80대)
샤를 드골
제5공화국
제98대제99대제100대제101대
미셸 드브레조르주 퐁피두모리스 쿠브 드뮈르빌자크 샤방델마스
제102대제103대제104대제105대
피에르 메스메르자크 시라크레몽 바르피에르 모루아
제106대(제103대)제107대제108대
로랑 파비위스자크 시라크미셸 로카르에디트 크레송
제109대제110대제111대제112대
피에르 베레고부아에두아르 발라뒤르알랭 쥐페리오넬 조스팽
제113대제114대제115대제116대
장피에르 라파랭도미니크 드빌팽프랑수아 피용장마르크 에로
제117대제118대제119대제120대
마뉘엘 발스베르나르 카즈뇌브에두아르 필리프장 카스텍스
제121대
엘리자베트 보른





[ 펼치기 · 접기 ]

제9대1기제10대1기제11대제12대
쥘 아르망 뒤포르알베르 드 브로이에르네스트 쿠르토 드시세루이 뷔페
제9대2기제13대제10대2기제14대
쥘 아르망 뒤포르쥘 시몽알베르 드 브로이가에탕 드로슈부에
제9대3기제15대제16대1기제17대1기
쥘 아르망 뒤포르기욤 워딩턴샤를 드프레이시네쥘 페리
제18대제16대2기제19대제20대
레옹 강베타샤를 드프레이시네샤를 뒤클레르아르망 팔리에르
제17대2기제21대1기제16대3기제22대
쥘 페리앙리 브리송샤를 드프레이시네르네 고블레
제23대1기제24대1기제25대제24대2기
모리스 루비에피에르 티라르샤를 플로케피에르 티라르
제16대4기제26대제27대1기제28대1기
샤를 드프레이시네에밀 루베알렉상드르 리보샤를 뒤피
제29대제28대2기제27대2기제30대
장 카지미르페리에샤를 뒤피알렉상드르 리보레옹 부르주아
제31대제21대2기제28대3기제32대
쥘 멜린앙리 브리송샤를 뒤피피에르 발데크루소
제33대제23대2기제34대제35대1기
에밀 콩브모리스 루비에페르디낭 사리앵조르주 클레망소
제36대1기제37대제38대제39대1기
아리스티드 브리앙에르네스트 모니조제프 카요레몽 푸앵카레
제36대2기제40대제41대1기제27대3기
아리스티드 브리앙루이 바르투가스통 두메르그알렉상드르 리보
제42대제36대3기제27대4기제43대1기
르네 비비아니아리스티드 브리앙알렉상드르 리보폴 팽르베
제35대2기제44대제45대제36대4기
조르주 클레망소알렉상드르 밀랑조르주 레이그아리스티드 브리앙
제39대2기제46대제47대1기제43대2기
레몽 푸앵카레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살에두아르 에리오폴 팽르베
제36대5기제47대2기제39대3기제36대6기
아리스티드 브리앙에두아르 에리오레몽 푸앵카레아리스티드 브리앙
제48대1기제49대1기제48대2기제50대
앙드레 타르디외카미유 쇼탕앙드레 타르디외테오도르 스테그
제51대1기제48대3기제47대3기제52대
피에르 라발앙드레 타르디외에두아르 에리오조제프 폴봉쿠르
제53대1기제54대1기제49대2기제53대2기
에두아르 달라디에알베르 사로카미유 쇼탕에두아르 달라디에
제41대2기제55대1기제56대제51대2기
가스통 두메르그피에르에티엔 플랑댕페르낭 부아송피에르 라발
제54대2기제57대1기제49대3기제57대2기
알베르 사로레옹 블룸카미유 쇼탕레옹 블룸
제53대3기제58대제59대
에두아르 달라디에폴 레노필리프 페탱







프랑스 공화국 제10대 대통령
레몽 니콜라 랑드리 푸앵카레
Raymond Nicolas Landry Poincaré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oincare_larger.jpg
출생1860년 8월 20일
프랑스 뫼즈
사망1934년 10월 15일 (향년 74세)
프랑스 랑스
재임기간제39대 총리
1912년 1월 21일 ~ 1913년 1월 21일 1기
1922년 1월 15일 ~ 1924년 6월 8일 2기
1926년 7월 23일 ~ 1929년 7월 29일 3기
제10대 대통령[1]
1913년 2월 18일 ~ 1920년 2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직업정치인
정당민주 공화국 동맹
약력프랑스 공화국 총리
프랑스 공화국 제10대 대통령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프랑스 제3공화국 시기 프랑스 총리프랑스 대통령을 지낸 정치인. 동시대의 유명한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앙리 푸앵카레와는 사촌지간이다.


2. 생애[편집]


1860년 뫼즈 지역에서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파리 대학교에서 법률을 전공한 뒤, 27세였던 1887년에 국민회의[2]에 당선되면서 정치 인생을 시작했다. 소장파 보수주의자들을 지칭하는 '푸앵카레주의'라는 신조어[3]를 만들 정도로 일찌감치 두각을 드러내다가 1912년에 수상으로 취임하며 1913년에는 대통령이 되었다.

유럽의 열강 사이에서 충돌이 격화되던 이 시기에 그는 반독사상을 바탕으로 외교정책을 펼친다. 총리로서는 러시아 제국과의 동맹관계를 강화하여 삼국 협상을 더욱 굳건히 만들었고, 프랑스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던 1914년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마른 전투에서 보이듯이 강한 항전의지를 가지고 독일 제국과 맞서 싸웠다.

1917년 무렵부터 기나긴 참호전에 지쳐 프랑스 내부에서 염전사상이 짙어져 가자[4] 단호한 항전의지를 보여주던 조르주 클레망소(Georges Clemenceau)[5]를 총리로 임명하여 마침내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하지만 총리였던 클레망소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모든 실권을 사실상 잃어버린데 이어 베르사유 조약 등의 조건을 놓고 강화에 반대[6]하다가 1920년 대통령에서 물러나게 된다.

2년 뒤 다시 수상으로 취임한다. 그의 반독일 경향은 여전해서 초인플레이션에 시달리던 바이마르 공화국이 베르사유 조약에 의거한 배상금을 지불하지 못하자 벨기에와 함께 무력을 동원하여 루르 일대를 점령하는 외교적 초강수를 둔다. 그렇지만 이는 독일 내에서 극심한 반발과 더불어 사보타주만을 일으켰을 뿐이고[7] 독일에게 동정적이었던 영국과 미국과도 엄청난 외교적 마찰을 초래하면서[8] 결과적으로는 프랑스에게 마이너스로 작용했을 뿐이다. 여기에 전쟁으로 인한 불황까지 더해지면서 1924년 푸앵카레는 총리직에서 내려오게 된다.

이후 1926년 다시 한 번 총리직에 오르지만 고령으로 인해 1929년 정계를 은퇴하고 1934년 파리에서 사망한다.


3. 기타[편집]


예전에는 '포항가리'라는 쌈박한 표기로 불렸다. 스승에 대한 공손으로 유명한 포항가리 대통령이 바로 이분.



[1] 안도라 공동 영주 겸임.[2] 프랑스 제3공화국에서 하원 역할을 하던 의회이다. 상원의 기능을 하던 의회는 원로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3] 다만 이는 긍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조르주 클레망소를 위시로 한 푸앵카레의 정적들이 그를 비난하기 위해서 만든 신조어이다. 수구꼴통 정도의 뉘앙스인건가[4] 최전선 군부대에서부터 폭동이 일어나는 지경이었고, 프랑스 정부는 장병들의 분노를 달래기 위해서 무의미한 공세를 중단할 것을 약속해야 할 상황이었다.[5] 이 시기 클레망소가 한 유명한 말이 바로 '나는 싸운다.'[6] 당연히 너무 가혹해서가 아니라 너무 유약한(...) 조건이라고 생각해서 강화를 반대한 것이었다. 후일 회고록에서 푸앵카레는 자기가 실권을 쥐고 있었으면 라인란트 일대를 점령하는 것은 기본이고 독일 제국 영내로 계속 진격할 것을 명령했을 거라고 밝혔다.[7] 바이마르 공화국 정부에서부터 이를 갈면서 루르 일대 노동자들에게 파업을 명령했다. 물론 프랑스는 자국 노동자들을 데려와서 노동력을 메꾸긴 했지만..[8] 어찌나 영불이 이 때 서로 싸웠던지 하마터면 프랑스와 영국 사이의 동맹이 파기될 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