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인 맨(영화)

덤프버전 :


레인 맨의 주요 수상 이력 및 기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AFI 선정 100대 영감을 주는 영화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 2006년 미국영화연구소는 역대 미국 영화 중 가장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또 그들의 정신을 고양시킨 100개의 영화를 선정했다.
1위멋진 인생
2위앵무새 죽이기
3위쉰들러 리스트
4위록키
5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6위E.T.
7위분노의 포도
8위브레이킹 어웨이
9위34번가의 기적
10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11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12위아폴로 13
13위후지어
14위콰이 강의 다리
15위미라클 워커
16위노마 레이
17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18위안네의 일기
19위필사의 도전
20위필라델피아
21위밤의 열기 속으로
22위야구왕 루 게릭
23위쇼생크 탈출
24위녹원의 천사
25위설리반의 여행
26위오즈의 마법사
27위하이 눈
28위꿈의 구장
29위간디
30위아라비아의 로렌스
31위영광의 깃발
32위카사블랑카
33위시티 라이트
34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35위초대받지 않은 손님
36위워터프론트
37위포레스트 검프
38위피노키오
39위스타워즈
40위미니버 부인
41위사운드 오브 뮤직
42위12인의 성난 사람들
43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44위스파르타쿠스
45위황금 연못
46위들백합
47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48위아프리카의 여왕
49위게리 쿠퍼의 재회
50위씨비스킷
51위컬러 퍼플
52위죽은 시인의 사회
53위셰인
54위루디 이야기
55위흑과 백
56위벤허
57위요크 상사
58위미지와의 조우
59위늑대와 춤을
60위킬링필드
61위사운더
62위브레이브 하트
63위레인 맨
64위검은 종마
65위태양속의 건포도
66위실크우드
67위지구 최후의 날
68위사관과 신사
69위저것이 파리의 등불이다
70위광부의 딸
71위폭력 탈옥
72위어두운 승리
73위에린 브로코비치
74위강가딘
75위심판
76위버드맨 오브 알카트라즈
77위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78위델마와 루이스
79위십계
80위꼬마 돼지 베이브
81위소년의 거리
82위지붕 위의 바이올린
83위디즈씨 도시에 가다 : 천금을 마다한 사나이
84위형사 서피코
85위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86위스탠드 업
87위워킹 걸
88위성조기의 행진
89위해롤드와 모드
90위호텔 르완다
91위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
92위페임
93위뷰티풀 마인드
94위굿바이 마이 라이프
95위마음의 고향
96위위대한 승부
97위마담 퀴리
98위베스트 키드
99위레이
100위불의 전차
2006년 발표 / 출처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 수상작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황금곰상
제38회
(1988년)
제39회
(1989년)
제40회
(1990년)
붉은 수수밭레인 맨뮤직 박스
줄 위의 종달새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작품상 - 드라마
제45회
(1988년)
제46회
(1989년)
제47회
(1990년)
마지막 황제레인 맨 7월 4일생

레인 맨 (1988)
Rain Man
파일:레인 맨 재개봉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rain man poster.jpg
장르드라마
감독배리 레빈슨
각본배리 모로우
로널드 배스
제작피터 거버
마크 존슨
데이비드 맥기퍼트
제럴드 몰렌
게일 뮤트럭스
존 피터스
출연더스틴 호프먼
톰 크루즈
촬영존 시엘
편집스투 린더
음악한스 짐머
음향리차드 베그
미술윌리엄 A. 엘리엇
린다 드세나
아이다 랜덤
의상버니 폴락
분장조이 자파타
에드윈 버터워스
제공사파일:미국 국기.svg 파일:United Artists 로고.svg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구버-피터스 컴퍼니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스타 파트너스 II, Ltd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IP 코리아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파일:external/cdn3.iconfinder.com/globe-01-512.png MGM/U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IP 코리아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1988년 7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년 5월 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6월 7일 (재개봉)
상영 시간131 분
화면 타입파일:영화 2D 로고.png
제작비250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172,825,435 (최종)
월드 박스오피스 $354,825,435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33,571명(서울) (최종)
스트리밍 / VOD파일:왓챠 로고.svg
파일:wavve 로고.svg
파일:iOS Apple TV 아이콘.svg
파일:프라임 비디오 로고.svg
파일:구글 TV 로고.svg
상영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기타



1. 개요[편집]


더스틴 호프먼, 톰 크루즈 주연의 영화로 감독은 굿모닝 베트남, 왝 더 독으로 알려진 배리 레빈슨이다.

제61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본상 수상작 / 음악상, 미술상, 촬영상 편집상 후보작이다.


2. 예고편[편집]




3. 시놉시스[편집]


자동차 사업을 하면서 돈에 쪼들리던 찰리 배빗(톰 크루즈)은, 사이가 좋지 않아 오랫동안 만나지 않았던 아버지 샌포드 배빗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장례식에 참석한다. 헌데 찰리는 아버지의 1949년형 뷰익 로드마스터 자동차와 정원의 장미만을 상속받았을 뿐, 3백만 달러의 유산은 다른 사람에게 상속되었다는 편지를 받게 된다. 그리고 3백만 달러를 상속받은 사람이 있는 줄도 몰랐던 자신의 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찰리는 형이 생활하는 정신병원을 찾아가는데, 형 레이먼드 배빗(더스틴 호프먼)은 자폐성 장애를 갖고 있어 일반적인 의미의 의사소통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찰리는 아버지의 유산 중 절반을 자기 몫으로 얻어내기 위해 레이먼드를 돌보던 박사에게 알리지 않은채 레이먼드를 데려간다. 장애인이자 환자인 형을 유괴한 셈. 처음에는 유산을 노리고 레이먼드와 동행했던 찰리가 함께 여행하면서 점차 형제애를 깨닫게 된다는 이야기.


4. 등장인물[편집]




  • 발레리아 골리노 - 수잔나 역

  • 제랄드 R. 몰렌 - 브루노 박사 역

  • 랄프 세이모르 - 레니 역

  • 마이클 D. 로버츠 - 번 역


  • 루신다 제니 - 아이리스 역

  • 베리 레비슨 - 의사 역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더스틴 호프먼이 서번트 증후군에 걸린 자폐성 장애인 연기를 해 호평을 받아 오스카상까지 받게 된다. 호프먼이 영화 중에 보이는 기묘한 행동은 실제 서번트 증후군 자폐성 장애인 킴 픽의 행동을 참고로 하여 매우 사실적이다.[1] 80년대 후반 작품이지만 뉴 할리우드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로드 무비 장르에, 결코 선인, 악인으로 구분 지을 수 없는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주인공들, 해피엔딩도 새드엔딩도 아닌 결말 등등.


7. 흥행[편집]





흥행도 크게 성공했는데 2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북미 1억 7400만 달러, 해외 1억 8천만 달러, 총 3억 5400만 달러를 벌었다. 이는 레빈슨의 최고 흥행 기록이다.

비평에서도 꽤 성공하여 베를린 영화제 대상인 금곰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독일에서는 할리우드 상업 영화에 베를린 영화상을 헌납했다며 영화학과 대학생들이 항의 시위까지 벌일 정도로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다.

한국에서도 후술하는 대로 개봉 당시 한국영화계 반발이 거셌지만 서울관객 33만명으로 꽤 흥행했다.

2023년 6월 7일 재개봉했으나 그야말로 소리소문없이 개봉하였고 결국, 열흘이 넘도록 전국관객은 1,265명에 그쳐 막을 내리고 있다.


8. 기타[편집]


  • 제목 '레인 맨'은 찰리가 레이먼드를 부르는 별명이다. 찰리는 레인 맨을 어릴 적 상상 친구라고 생각했지만, 극 중반에 레인 맨은 형 레이먼드라는 걸 깨닫게 된다.[2]

  • 한국에서는 당시 논란이 되던 직배 영화 문제(영화인들 반발로 극장 테러까지 벌어졌다.)로 극장 개봉을 대규모로 하지 못하고 변두리 재개봉관에서 소리 소문없이 상영했음에도 서울 관객 33만으로 꽤 대박을 거뒀다. 사랑과 영혼 성공 전까지만 해도 1년 넘게 계속 헐리우드 영화들이 재개봉관 직배를 해야 했다. 그리고, VHS 비디오로 나오면서 입소문은 꽤 탔다. 그런데 비디오 중 초기에 나온 비디오에는 연소자관람불가 등급이 붙었는데, 미국 등급인 R등급(만 17세 미만이 보기에는 부적절한 등급)을 따랐거나, 장면 중에 연소자가 보기에 문제가 되는 장면이 있어 그런 것으로 보인다. 연소자가 보기에 문제가 되는 장면은 찰리와 찰리의 애인이 침대 위에서 민망한 행위를 하는 장면인데 레이먼드는 그 소리를 듣고 아무렇지 않게 그 행위를 하는 방으로 들어가 TV를 보는 장면이 나온다. 이후 유두 노출도 아주 잠깐 있다. 34년 뒤에 한국에서 재개봉했지만 전국 2천명조차 관객을 채우지못하고 막을 내렸다.

  • 영화에서 찰리는 1루수가 누구야를 쉴 새 없이 낭송하는데, 다 알다시피 한국에는 후에 유명해진 개그지만 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있던 개그이다.

  • 영화 중간에 찰리가 레이먼드의 기억력을 이용해 카지노에서 돈을 따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서 이용하는 카드 카운팅(카드 배열을 외워 써먹는 것)은 불법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카지노에서 퇴장 사유가 될 수 있다. 때문에 카드 배열을 적어두는 것은 물론, 심지어는 손가락을 까닥거리며 셈하는 행위조차도 의심을 살 수 있으니 주의하자.[3] 참고로 요새는 카지노에서 매번 카드를 새로 섞기 때문에 머리가 아무리 뛰어나도 안된다.

  • 레인 맨의 모델이 된 사람은 킴 픽(Kim Peek)으로 2009년 만 58세로 사망하였다. 킴 픽은 자폐증 환자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자폐증이 아니라 FG증후군이라는 희귀한 유전병 환자라고 한다. 레인 맨이라는 별명을 따 브레인 맨이라는 별명이 영국의 아스퍼거 증후군 장애인 다니엘 타멧에게 붙었다.

  • 한스 짐머가 음악을 맡았는데 그의 이름을 헐리웃에 알린 작품이다. 그의 데뷔작이라고 알려진 경우도 있는데 정확히 한스 짐머가 첫 영화 음악을 맡은건 1984년으로 그 뒤로도 여럿 음악을 맡았지만[4] 알려지지 않은 액션 영화, 호러 영화의 음악을 맡았다. 따라서 레인 맨은 첫 헐리웃 메이저 영화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 중국어 제목으로는 '雨人'이라고 표기한다.[5][6]

  • 영화 내용 중에 더스틴 호프만이 공항에서 다른 항공사는 전부 사고 경력이 있다고 유일하게 사고를 내지 않은 콴타스 항공만 타겠다고 해 톰 크루즈를 열받게 만드는데 이 장면에 감복한 콴타스 항공사에서는 레인 맨 출연진을 포함한 프로듀서들에게 1등석 탑승 쿠폰을 지급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콴타스 항공은 과거 프로펠러 항공기 시절에는 추락 및 인사 사고가 있었다. 사고가 한번도 없었다는건 어디까지나 제트기 한정 기준.

  • 1988년 당시 전세계 최고 흥행작이다.

  • 한국 영화 그것만이 내 세상오 브라더스가 이 영화의 플롯과 설정들을 그대로 베껴왔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그것만이 내 세상은 이 영화를 거의 그대로 베끼다시피 했다.
[1] 더스틴 호프만이 이 배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할 당시 실제 모델인 킴에게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했다.[2] 찰리는 매우 어렸을 때 어머니가 사망해 그녀에 대한 기억이 없고, 아버지는 거의 냉혈한에 가까운 인물이었다. 이 와중에 레이먼드가 어린 그를 돌봐주며 자장가를 불러줬는데, 어릴 때라 (헤어질 때 만 3세였다) 레이먼드 발음이 안되어 레인맨이라고 부른 것. 이 사실을 깨닫자 그전까지 귀찮게만 여기던 형에게 처음으로 애정을 느끼게 된다.[3] 작중에도 카드를 세는 걸 들키면 안된다고 동생이 매우 강조한다.[4] 주로 영국 영화계에서 활동했다. 초창기엔 알렉상드르 데스플라처럼 아트하우스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유명했다.[5] 비 '우' 사람 '인', 그러니까 레인 맨.[6] 중국어 병음으로는 위런이라고 발음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