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커스 시미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3278><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0111f,#ed3f4d> 17 이볼디 · 22 그레이 · 25 르클럭 · 31 슈어저 · 33 더닝 · 43 화이트 · 44 히니 · 46 버크 · 48 디그롬 · 57 로드리게스 · 60 · 61 브래드포드 · 65 앤더슨 · 66 스보즈 · 67 라츠 · 72 에르난데스 · 78 켄트 · # 켈리 · # 처치 · # 코니엘 · # 예이츠 · # 콜먼 · # 말리 ||
|| 포수 || 28 하임 · 55 허프 ||
|| 내야수 || 2 시미언 · 5 시거 · 6 · 20 듀란 · 30 로우 · 36 오넬라스 · 47 J.스미스 · # 포스큐 ||
|| 외야수 || 3 타베라스 · 32 카터 · 50 마르티네스 · 53 가르시아 · 67 해리스 ||
||<-2> 파일:미국 국기.svg 브루스 보치 파일:미국 국기.svg 윌 베나블 파일:미국 국기.svg 도니 에커 파일:미국 국기.svg 팀 하이어스
파일:미국 국기.svg 세스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매덕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락스데일 ·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비슬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렛 헤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바비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팻 칸트웰 ·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프레이저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라운드 락 익스프레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마커스 시미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레인저스챔피언로고.jp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23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21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1년 아메리칸 리그 2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DJ 르메이휴
(뉴욕 양키스)
마커스 시미언
(토론토 블루제이스)
호세 알투베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3년 아메리칸 리그 2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호세 알투베
(휴스턴 애스트로스)
마커스 시미언
(텍사스 레인저스)
2024년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1년 아메리칸 리그 2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세자르 에르난데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마커스 시미언
(토론토 블루제이스)
안드레스 히메네스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3년 아메리칸 리그 득점왕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마커스 시미언
(텍사스 레인저스)
2024년 수상자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3년 아메리칸 리그 안타왕
보 비솃
(토론토 블루제이스)
마커스 시미언
(텍사스 레인저스)
2024년 수상자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5번
앙헬 산체스
(2013)
마커스 시미언
(2013~2014)
욜머 산체스
(2015~2020)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0번
애덤 던
(2014)
마커스 시미언
(2015~2020)
마이크 알드레티
(2021)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10번
리즈 맥과이어
(2019~2020)
마커스 시미언
(2021)
폴 데용
(2023)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2번
찰리 컬버슨
(2021)
마커스 시미언
(2022~)
현역

파일:마커시미언.jpg
텍사스 레인저스 No.2
마커스 시미언
Marcus Semien
본명마커스 앤드루 시미언
Marcus Andrew Semien
출생1990년 9월 17일 (33세)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세인트 메리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
신체183cm / 88kg
포지션2루수, 유격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08년 드래프트 34라운드 (전체 1020번, CHW)
2011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201번, CHW)
소속팀시카고 화이트삭스 (2013~2014)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5~2020)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1)
텍사스 레인저스 (2022~)
계약2022 - 2028 / $175,000,000
연봉2023 / $26,000,000

1. 개요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경력
5. 여담



1. 개요[편집]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내야수.[1]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2015년부터 매년 두 자릿수 이상의 홈런을 기록할만큼 동 포지션 중에서 파워가 뛰어나며, 2021년에는 45홈런을 기록했을 정도. 2018년까지만 해도 wRC+가 90대를 기록하며 평균 수준의 타자였으나, 2019년에 138을 기록하며 타격에서 포텐을 완전히 터뜨린 모습. 2020년에는 단축시즌의 여파인지 이전의 모습으로 회귀했으나, 토론토로 팀을 옮긴 2021년에는 2019년만큼의 타격을 보여주고 있다.

수비는 데뷔 초창기에 돌글러브 수준이었으나, 론 워싱턴 코치로부터 전담 지도를 받은 2018년부터는 수비 면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이며, 어느새 시미언의 장점이 되었다. 팬그래프 기준으로 Def 지표에서 2015년만 하더라도 -5.0을 기록했으나, 2018년과 2019년에는 15.6과 14.1을 기록했을 정도.

스피드도 준수한 편. 베이스 러닝 역시 데뷔 초창기에는 스피드에 비해 센스가 부족해서 WAR을 깎아먹곤 했으나, 2017년부터는 꾸준히 양수대의 BsR을 기록중이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체력과 내구성이 철강왕급이다. 주전이 된 이후로는 손목 부상이 있었던 2017년을 제외하고 매시즌 전경기에 가깝게 출장하고 있고, 2023년 시즌 종료 기점으로는 지난 5시즌 중 4시즌에서[2] 최다 경기 및 최다 타석을 기록하고 있다.[3]

4. 수상 경력[편집]


수상 내역
월드 시리즈 우승 (2023)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회 (2021,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2루수 실버 슬러거 2회 (2021,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2루수 골드 글러브 (202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득점 1위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안타 1위 (2023)
파일:MLB 로고.svg All-MLB 퍼스트 팀 (2021)
파일:MLB 로고.svg All-MLB 세컨드 팀 (2019)


5. 여담[편집]


  • 2019년 포텐이 터진 이후 해마다 타격 성적의 편차가 크다. 19년, 21년은 MVP 3위를 기록, 20년엔 평범했으며 22년엔 좋은 성적을 냈으나 초반에 매우 극심한 부진을 겪었다.
[1] 주 포지션은 오클랜드 시절까지는 유격수였으나 현재는 2루수이다.[2] 3연속 포함[3] 이 중 2023년은 모든 경기에 출장하면서 팀이 월드시리즈까지 진출했기 때문에 179경기라는 많은 경기에 나선 것도 있지만, 역대 최다인 835타석에 들어서기도 했다. 타석만 많이 들어선게 아니고 월간 MVP 수상 없이도 정상급 타격지표를 보였으니 체력이 대단하다 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2:04:03에 나무위키 마커스 시미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