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명인전(일본)

덤프버전 :

名人戦 / The Meijin Title Match




1. 개요
2. 구(旧) 명인전
3. 신(新) 명인전
4. 역대 명인전 우승자
4.1. 구(旧) 명인전
4.2. 신(新) 명인전



1. 개요[편집]


일본바둑 기전. 첫 대회인 1962년부터 1975년까지는 요미우리 신문에서 주최했으나 1976년 대회부터는 아사히 신문에서 주최하고 있다.[1]


2. 구(旧) 명인전[편집]


1961년부터 요미우리 신문의 주최로 열린 일본의 프로 바둑 기전. 본래 명인은 일본의 바둑 최고수에게 붙이는 호칭이었다가 현대적 프로 기전의 명칭이 된 것. 기성전 출범 이전에는 혼인보와 함께 일본의 양대 기전이었다.

1기 구 명인전은 13명의 기사가 풀리그로 경기를 치렀는데, 제한시간은 각자 10시간 이틀 대국으로 덤은 5집이었고, 빅이면 백의 승리로 간주했다. 사실상 덤 5집 반이지만 덤 5집 반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그것은 후술한다. 어쨌든 1기 명인전은 최종적으로 우칭위안, 후지사와 히데유키, 사카타 에이오 세 기사의 경합이 되었다. 최종전을 치르기 전 1경기씩 남기고 있었을 당시 후지사와가 9승 2패로 선두를 달리고 있었고, 우칭위안과 사카타가 각각 8승 3패였다.

최종전에서 우칭위안과 사카타가 서로 대국을 하는 상황이었으므로 최종전에서 후지사와가 이기면 그대로 우승, 지면 우칭위안과 사카타와의 대국에서 승자와 재대국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후지사와가 6승 5패로 이미 우승이 좌절된 하시모토 쇼지에게 유리한 바둑을 역전패했고 이에 충격을 먹은 후지사와는 홧김에 술을 마시러 나가버렸다. 이후 우칭위안과 사카타의 대국이 흑이 반면 5집을 남기면서 끝났다. 즉 '빅'이 되었는데 78번의 대국들 중 유일한 빅이었다. 당시 우칭위안이 백이었으니 우칭위안의 빅승이었고, 우칭위안과 후지사와가 9승 3패로 동률이 되었다.

그런데 '빅으로 인한 승리는 일반적인 승리에 밀린다.'라는 특수규정이 있었고, 빅승이 없었던 후지사와는 이 특수규정 덕분에 정말 극적으로 재대국 없이 그대로 초대 명인 타이틀을 획득했다. 한편 후지사와는 우승한 지도 모르고 술에 취해 있었고 요미우리 신문사는 취재를 위해 후지사와를 찾아다녔으나 만나지 못했다는 해프닝이 있었다.

2기부터는 전 대회 리그 상위 6명+예선을 통과한 3명간의 풀리그를 진행한 뒤 리그 우승자가 타이틀 보유자와 7번기를 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이 방식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2]

1975년 14기 대회가 끝난 이후 아사히 신문이 대회 주최권을 사들이고 1기부터 다시 대회를 시작하여 이전의 명인전을 '구(旧) 명인전'으로, 이후의 명인전을 '신(新) 명인전'으로 부르게 되었다.


3. 신(新) 명인전[편집]


1975년 쇼기 명인전을 주최하던 아사히 신문요미우리 신문으로부터 명인전 주최권을 사들여, 1976년 1기부터 대회를 다시 시작했다. 따라서 이전과 이후 대회의 역사는 분리되게 되었고, 필요할 경우 이전 명인전은 '구' 이후 명인전은 '신'을 붙여 구분짓고 있다. 아사히 신문에 대회 주최권을 넘긴 요미우리 신문은 새로운 프로 기전인 기성(棋聖)전을 창설하여 1977년부터 현재까지 주최하고 있다.

혼인보, 기성(棋聖), 명인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을 대삼관(大三冠)이라고 부른다. 2021년 현재까지 대삼관을 달성한 기사는 조치훈 九단과 이야마 유타 九단 2명 뿐이다.[3]

2023년 현재 명인은 시바노 도라마루 九단.


4. 역대 명인전 우승자[편집]



4.1. 구(旧) 명인전[편집]




4.2. 신(新) 명인전[편집]


회차연도우승전적준우승비고
1회1976년오타케 히데오 九단4:1이시다 요시오 九단
2회1977년린하이펑 九단4:0오타케 히데오 九단
3회1978년오타케 히데오 九단4:2린하이펑 九단
4회1979년오타케 히데오 九단4:1사카타 에이오 九단
5회1980년조치훈 八단4:1 1무[4][5]오타케 히데오 九단
6회1981년조치훈 九단4:0가토 마사오 九단
7회1982년조치훈 九단4:1오타케 히데오 九단
8회1983년조치훈 九단4:1오타케 히데오 九단
9회1984년조치훈 九단4:3오타케 히데오 九단조치훈 리버스 스윕, 최초 명예 명인
10회1985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3조치훈 九단
11회1986년가토 마사오 九단4:0고바야시 고이치 九단
12회1987년가토 마사오 九단4:0린하이펑 九단
13회1988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1가토 마사오 九단
14회1989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1아와지 슈조 九단
15회1990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2오타케 히데오 九단
16회1991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1린하이펑 九단
17회1992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3오타케 히데오 九단2번째 명예 명인
18회1993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1오타케 히데오 九단
19회1994년고바야시 고이치 九단4:0린하이펑 九단
20회1995년다케미야 마사키 九단4:1고바야시 고이치 九단
21회1996년조치훈 九단4:2다케미야 마사키 九단
22회1997년조치훈 九단4:2고바야시 고이치 九단
23회1998년조치훈 九단4:2 1무[6]왕리청 九단
24회1999년조치훈 九단4:1요다 노리모토 九단
25회2000년요다 노리모토 九단4:0조치훈 九단
26회2001년요다 노리모토 九단4:2린하이펑 九단
27회2002년요다 노리모토 九단4:1조치훈 九단
28회2003년요다 노리모토 九단4:1야마시타 게이고 九단
29회2004년장쉬 九단4:2요다 노리모토 九단
30회2005년장쉬 九단4:3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31회2006년다카오 신지 九단4:2장쉬 九단
32회2007년장쉬 九단4:3다카오 신지 九단
33회2008년장쉬 九단4:3이야마 유타 八단
34회2009년이야마 유타 八단4:1장쉬 九단
35회2010년이야마 유타 九단4:0다카오 신지 九단
36회2011년야마시타 게이고 九단4:2이야마 유타 九단
37회2012년야마시타 게이고 九단4:3하네 나오키 九단
38회2013년이야마 유타 九단4:1야마시타 게이고 九단
39회2014년이야마 유타 九단4:2고노 린 九단
40회2015년이야마 유타 九단4:0다카오 신지 九단
41회2016년다카오 신지 九단4:3이야마 유타 九단
42회2017년이야마 유타 九단4:1다카오 신지 九단
43회2018년장쉬 九단4:3이야마 유타 九단
44회2019년시바노 도라마루 八단4:1장쉬 九단7대기전 최초 10대 우승자
45회2020년이야마 유타 九단4:1시바노 도라마루 九단
46회2021년이야마 유타 九단4:3이치리키 료 九단
47회2022년시바노 도라마루 九단4:3이야마 유타 九단
48회2023년시바노 도라마루 九단4:2이야마 유타 九단
49회2024년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0:45:43에 나무위키 명인전(일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1975년까지는 (구)명인전, 1976년 부터는 (신)명인전이라고 표기한다.[2] 하지만 48회 대회는 리그 상위 5명이 잔류하고, 탈락자가 4명으로 늘어났다.[3] 조치훈은 2차례(1983년과 1996~98년), 이야마 유타는 3차례(2013년, 2017년, 2020년) 달성했다. 조치훈이 3년 연속 대삼관을 달성했으나 이는 3회가 아닌 연속된 1회로 쳐서 통산 2회로 인정되고 있다.[4] 원래 규정대로라면 2대1로 앞선 4국에서 흑을 잡은 조치훈의 반칙패가 돼야 하는 게 맞지만, 무난하게 두던 와중 갑자기 팻감을 써야 할 차례라는 걸 잊어버려 기록자에게 지금 패를 두어도 되냐고 질문해버린다. 그런데 이걸 또 기록자였던 히코사카 나오토 (당시)四단 두어도 된다고 답하는 바람에 조치훈이 정말로 팻감을 안 쓰고 패를 되따내 버렸다. 원래대로면 조치훈에게 반칙패가 선언되어야 할 상황이었지만 사태를 만들어낸 심판에게도 책임이 컸기 때문에 갑론을박 끝에 대국은 무승부로 결론지어진다.[5] 당시는 이를 제재하는 규정도 없었을 뿐더러 기록자도 어느 정도 용인해주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해당 사건이 터진 이후 착수와 관련된 질문은 금지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6] 3패빅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