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리스톨 보파이터

덤프버전 :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항공기
전투기복엽기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LF/HF,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슈퍼마린 스파잇풀
함재기글로스터 시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F, 슈퍼마린 시팽, 호커 시퓨리 FBA, 드 해빌랜드 시호넷 F/NFA
쌍발기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FB/NF,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폭격기경폭격기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B,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빅커스 웰링턴,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아브로 랭커스터, 아브로 링컨
급강하폭격기, 공격기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웨스트랜드 와이번A
수송기빅커스 발레타
정찰기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R/PR, 슈퍼마린 시파이어 FR,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PR, 드 해빌랜드 호넷 FR/PRA
렌드리스 항공기전투기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V-156 체사피크,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마틴 볼티모어,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보잉 워싱턴A, 마틴 메릴랜드
회전익기시코르스키 호버플라이
수상기슈퍼마린 왈루스,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빅커스 베놈, 글로스터 E.28/39, 에어스피드 플리트 쉐도워, 호커 토네이도, 블랙번 파이어크레스트
노획 기체메서슈미트 Bf109, 포케불프 Fw190, 포케불프 Ta152, 하인켈 He219, MXY-7 오카A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A: 전후 도입/노획





파일:external/members.shaw.ca/RAF%20BeaufighterMkX_MBTphoto.jpg


Bristol Beaufighter

1. 제원
2. 개요
3. 대중 매체에서
4. 둘러보기



1. 제원 [편집]


제원
Beaufighter TF Mk X
전장: 12.6 m
전폭: 17.65 m
전고: 4.84 m
익면적: 46,73 m²
엔진: 브리스톨 14기통 성형엔진, 출력 1,600 hp
자체중량: 7,072 kg (전비중량 11,521 kg)
최대속도: 515 km/h (고도 10,000 ft)
항속거리: 2,816 km
무장:
* 기수 히스파노 20mm 기관포 4문
* 수동 조종 7.7mm 브라우닝 기관총
250파운드 폭탄 2발 혹은
18인치 어뢰 1발
마크 13 어뢰 1발
RP-3 '60파운드' 로켓 8발 장착 가능


2. 개요[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한 영국의 브리스톨 항공기 회사의 다목적 쌍발 중전투기.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09f1e8814191d4d8b2e5e202b9a41c48.jpg

같은 브리스톨사의 폭격기인 '보포트(Beaufort)'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름도 'Beaufort'와 fighter의 혼성어이다. 말하자면 '보포트 전투기'라는 의미.

2차 대전 초반 야간전투기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으고, 이후 뇌격 임무 및 지상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전폭기로도 다수 사용되었다.

쌍발의 경폭격기를 모체로한 기체였기 때문에 전쟁 초기부터 20mm 기관포 4문을 장비한[1] 강력한 화력과 나름 쓸만한 폭장능력을 지녔으며, 다른 지상공격기에 비해서는 빠른 속도를 지녀 범용성이 높은 기체였다. 때문에 유럽에서 태평양 전선까지 영국군 및 영연방 군에서 두루 사용되었다. 또한 작전반경이 비교적 넓어 지중해 및 태평양에서 해상공격에도 많이 활용되었다.

유럽 전선에서 보파이터는 전쟁 초반 1941년에서 42년에는 야간전투기로서 그리고 북해와 영불해협과 비스케이 만 등에서 독일공군의 Fw 200Ju 88 등을 요격하거나 U보트를 추적하는 장거리 초계기/요격기로서 운용되었다. 또한 북아프리카 전역에도 투입되어 주로 대지 기총소사 등으로 지상군을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1942년 중반, 영국공군 연안사령부의 Mk. VIC형 기체들을 시작으로 어뢰 운용능력 등이 추가되었고, 1942년 말에는 엔진을 150m 고도에서 최대 1725마력의 출력을 낼 수 있는 브리스톨 허큘리즈 엔진으로 엔진을 교체한 TF Mk.X (TF는 "torpedo fighter"의 약자이다)으로 발전하며, 어뢰 혹은 RP-3 '60파운드' 로켓 등으로 무장하고 보다 본격적으로 전폭기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어뢰 탑재가 가능한 버전의 보파이터들을 "Torbeau"라고 불리기도 했다.

연안사령부 산하, 노스코트 공격 항공대 소속의 보파이터 부대들은 어뢰를 탑재한 기체들이 뇌격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보파이터들이 기총소사와 로켓 공격으로 대공화력을 무력화시키는 합동 전술을 통해 1943년 중반부터 약 10개월 동안 29,762톤의 선박을 격침하며 위용을 떨쳤다.홍차국의 흉악한 무기 보파이터를 주력으로 사용한 노스코트 항공대는 유럽전선의 연합군 전체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대함, 대수상 공격전력으로 활약하며 종전시까지 약 15만 톤의 선박을 격침시켰다. 이는 1942년에서 45년 사이 연합군 공격항공대 전체의 격침 톤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한 태평양 전선에서도 보파이터는 영국공군 및 영연방 국가의 공군에 배치되어 널리 운용되었다. 주로는 전폭기로서, 대함 공격 및 해상초계에 사용되었다.

태평양 전선에서 보파이터가 활약한 대표적인 전투의 하나가 바로 비스마르크해 해전. 특히 보파이터의 강력한 화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전투였다.[2] 이 전투에서 호주공군의 보파이터는 '기총소사형 Strafer'형 B-25 폭격기[3]와 함께 투입되어 무자비한 저공 기총소사로 일본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보파이터 부대는 4문의 기관포와 기관총으로 일본군 구축함들의 대공포좌와 특히 함교를 집중공격해 함교시설을 대파시키고 호위함대 사령관 기무라 마사토미 제독에게 중상을 입히고, 다수의 함교요원을 사상시킨다. 덕분에 일본군 선단은 대공화력과 작전능력까지 거의 완전히 무력화 되버렸고 이어진 폭격에 그 대부분이 격침당한다.[4]

정확한 문서자료로 확인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한 보파이터들을 일본군이 "죽음의 속삭임 Whispering Death"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 이유는 '조용함' 때문이라고.# 보파이터에 탑재된 브리스톨 허큘리즈 엔진이 슬리브 밸브 방식이라, 당시 다른 항공기들의 엔진에 비해 소음이 적었고, 특히 다른 기종들에 비해 접근방향의 정면에서의 소음이 많이 적었다고 한다. 때문에, 일본군이 보파이터에게 공습을 당하는 경우 이미 근접한 후에야 뒤늦게 알아차리는 일도 종종 있었고, 그 때문에 그런 별명이 생긴 것 아닌가 추정하기도 한다고.

브리스톨사가 이 기체에 재미가 붙었는지, 브리스톨 블렌헤임도 보포트도 아닌 이 보파이터를 기반으로한 폭격기를 만들기도 했다. 이름은 브리스톨 버킹엄(Bristol Buckingham). 이 기체에 대해서는 브리스톨 브리건드 항목을 참조하자.


3. 대중 매체에서[편집]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영국 5티어 중전투기로 등장한다. 비행성능은 5티어 중전투기 중 떨어지는 편이지만, 높은 내구성과 히스파노 4문의 파괘광선, 4연장 .303 + 360도 전방향 회전 터렛이라는 심히 돼지스러운 스펙으로 난전에서는 가장 강력하다. 저티어 입장에선 중전차가 한대 날아다니는 것으로 보일 지경.

  • 워 썬더에서도 영국 공격기 트리에 등장한다. 등장 기체는 Beaufighter Mk. VIc, Mk. IX, 그리고 Mk. 21 이다. HS.404가 게임에서는 저위력으로 욕을 먹는 와중에도 기본적으로 HS.404를 4문이나 기수에 장착한 이 녀석은 화력 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듣고 있지만 비행 성능은 BR대비 좋은 편이 아니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에서 연합군 중전투기/공격기로 등장한다. 선회가 너무 구려서 공중전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기관포 공격만으로 지상 보병이나 중화기, 경장갑차들을 제압하고 갈아버릴 수 있다. 그 외 고폭탄이나 대전차 로켓을 사용해 지상공격을 행한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스라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스라엘 공군 (1948~현재)
זְרוֹעַ הָאֲוִיר וְהֶחָלָל
회전익기 경헬기SA 313B 알루에트 IIR | MD 500-TOW LahatutR
다목적 헬기UH-1DR | AS565 팬서
수송헬기CH-53 Yas'ur, UH-60A Yanshuf, {CH-53K}
공격헬기AH-1G Tzefa A, AH-1Q Tzefa B, AH-1F Tzefa (C/D), AH-64A Peten | AH-64D-I Saraph
전투기프롭F-51(D, J26) 머스탱R | 스핏파이어 Mk IXcR | S-199 SakeenR | 브리스톨 보파이터R
1세대미티어(NF.13, F.8)R | M.D.450B 우라강R | 미스테르 IIR | 미스테르 IVAR | F-84FL/R
2세대SMB2 (삼바드R, 사'르)
3세대F-4-2000 | F-4E KurnassR | 미라주 III(BJ, CJ) 샤하크R | 미라주 V, |IAI 내셔 | IAI 크피르 (C2R, C7R, NG)
4세대 / 4.5세대IAI 라비 | IAI 나메르 | F-16(A 네츠/B) Block 1/5/10, F-16C 바락 Block 30, 40, F-16D 바락 II Block 30/40, F-16I Block 52(개량) | F-15(A 바즈, B, C, D) | F-15I 라'암 | {F-15EX}
5세대F-35I 아디르
공격기A-4(E, F, M, N) AyitR
폭격기B-17GR | S.O.4050 보투르 (IIA, IIB, IIN)R
수송기IAI 아라바R | C-130J
지원기조기경보기G550 CAEW
정찰기DH.98 (FB.IV, NF.30, T.3, PR.16) MosquitoR | DH.98 TR.33 Sea Mosquito | RF-4E Orev
공중급유기KC-707 Saknai | KC-130H Qarnaf | {KC-46}
무인기UAVIAI 헤론 | 헤르메스 450 | 헤르메스 900 | 헤르메스 1500
UCAVIAI 하피 | IAI 에이탄
훈련기프롭T-6R | G 120A | T-6A
제트M-346 Lavi | F-15 B/D, F-16D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1:18:26에 나무위키 브리스톨 보파이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버전에 따라선 주익에도 4~6정의 7.7mm 혹은 12.7mm 기관총을 장착하기도 했다.[2] 이 전투에 투입된 보파이터는 기수에 4문의 기관포 외에 날개에도 7.7mm 기관총 6정을 장착한 버전이었다. 총합 10문의 기관포와 기총으로 무장한 때문에 "Ten Gun Terror"라는 별칭도 있다.[3] 기수의 전방기총을 12.7mm M2 중기관총 8~12정으로 증설한 버전. 비스마르크해 해전 당시에는 현지개수로 8정의 중기관총을 탑재하고 출격했다.[4] 심지어 이 비스마르크해 해전에선 보파이터와 자매기인 보포트가 외형상 빨리 구분하기 힘들다는 점조차도 일본군을 크게 엿먹이는 요인이 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