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르키나파소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burkina-faso.png
부르키나파소 축구 국가대표팀
Équipe du Burkina Faso de football[1]
FIFA 코드BFA
협회부르키나파소 축구 연맹 (FBF)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서아프리카 축구 연맹 (WAFU-UFOA)
홈 구장8월 4일 경기장 (Stade du 4-Août, 60,000석)
별칭Les Étalons (종마)
감독파일:프랑스 국기.svg 위베르 벨뤼 (Hubert Velud)
주장베르트랑 트라오레 (Bertrand Traoré)
FIFA 랭킹56위 (2023년 10월 기준 / #)
ELO 랭킹60위 (2023년 4월 12일 기준 / #)
[ 대표팀 기록 보기 ]

최다 출전자샤를 카보레 (Charles Kaboré) - 100경기
최다득점자무무니 다가노 (Moumouni Dagano) - 34골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가봉 국기(1959-1960).svg 가봉 (5:4 승)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타나나리브
(1960년 4월 14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5:1 승)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1961년 12월 27일)
VS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4:0 승)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2003년 6월 7일)
VS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4:0 승)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2011년 3월 26일)
VS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4:0 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스푸르트
(2013년 1월 25일)
VS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4:0 승)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2013년 3월 23일)
VS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스와질란드 (5:1 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스푸르트
(2015년 1월 10일)
VS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4:0 승)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
(2017년 11월 14일)
VS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4:0 승)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마라케시
(2021년 10월 8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0:7 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오랑 (1981년 8월 30일)

[ 대회별 성적 보기 ]

네이션스컵진출 12회,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회[1]

[1] 2013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
초록
하양
하의초록하양
양말
1. 개요
3. 현재 선수 명단
4. 역대 전적



1. 개요[편집]


종마들(Les Étalon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월드컵 본선에는 한 번도 오르지 못하였다. 네이션스컵은 2013년 대회에서 준우승하였다.

월드컵 본선을 경험하지 못한 팀들중 아시아에선 월드컵 본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로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이 꼽히지만, 아프리카 팀들 중 가장 월드컵 가능성이 보이는 잠재력있는 대표팀은 바로 이 부르키나파소를 많이들 꼽는다.[2] 2010년대 들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연속 본선진출에 2013년 대회 준우승, 2017년 대회 3위 등 가시적인 성과를 계속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4 브라질 월드컵 때 최종예선까지 도달했으나 알제리에게 홈에서 3-2 승리 후 원정에서 0-1로 패해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매우 아깝게 좌절했다. 즉 한 골만 더 넣었거나 한 골만 덜 먹었다면 자국 역사상 최초의 FIFA 월드컵에 진출하여 벨기에, 대한민국, 러시아와 대결을 했을 것이다. 지금은 강호로 평가받던 가나, 코트디부아르도 FIFA 월드컵 첫 진출한 2006년 전까지 대륙대회와 청소년대회에서 꾸준한 성과를 쌓아간 것을 바탕으로 대표팀이 성장하는 과정을 겪었기에 비슷한 길을 가는 부르키나파소는 그래서 미래가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대표팀 유명 선수로는 첼시 FC 유스 출신으로 현재 올랭피크 리옹, 아스톤 빌라 FC를 거쳐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에서 뛰는 베르트랑 트라오레가 대표적이며, 대표팀 세대교체의 주축이자 핵심 센터백인 바이어 04 레버쿠젠에드몽 탑소바도 있다. 이외에도 세대교체를 이끄는 2000년대 초반 선수 가운데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라이트백 이사 카보레FC 로리앙의 윙포워드 당고 와타라가 대표팀에서 주축으로 올라서는 중이다. 이들보다 한 세대 위로 올라가면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오래 뛰다 지금은 러시아 리그에서 활약하는 샤를 카보레가 있고, 더 위로 올라가면 막 은퇴한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했던 조나단 피트로이파와 아리스타데 방세가 있다. 과거 네이션스컵 준우승을 이끈 세대는 대표팀에서 물러나고, 현재는 베르트랑 트라오레가 주장으로서 다음 세대인 탑소바, 와타라, 카보레 등을 이끌며 세대교체를 진행중이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tovio이다.


2.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000,#ddd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248234><rowcolor=#ffffff><width=10%> '''순서''' ||<width=40%> '''선수 이름''' ||<width=10%> '''출전 횟수''' ||<width=20%> '''첫 경기''' ||<width=20%> '''마지막 경기''' || || 1 || [[샤를 카보레]] || '''102회''' || 2006.10.7 || 2021.6.5 ||




3. 현재 선수 명단[편집]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에르베 코피Hervé Koffi1996년 10월 16일450로얄 샤를루아 SC
파리드 웨드라오고Farid Ouédraogo1996년 12월 26일60US 데 포르스 아르메
누르딘 발로라Nourdine Balora1993년 3월 9일00나뭉고 FC
DF스테브 야고Steeve Yago1992년 12월 16일691아리스 리마솔 FC
이수푸 다요Issoufou Dayo1991년 8월 6일606RS 베르카네
에드몽 탑소바Edmond Tapsoba1999년 2월 2일280바이어 04 레버쿠젠
이사 카보레Issa Kaboré2001년 5월 12일252루턴 타운 FC[3]
수마일라 와타라Soumaïla Ouattara1995년 7월 4일100FUS 라바트
울라 트라오레Oula Traoré1995년 9월 29일70호로야 AC
나세르 지가Nasser Djiga2002년 11월 15일20FC 바젤
압둘 기브르Abdoul Guiebre1997년 7월 17일20SS 모노폴리 1966
MF아다마 기라Adama Guira1988년 4월 24일420라싱 리오하 CF
블라티 투레Blati Touré1994년 8월 4일311AFC 에스킬스투나
브리앙 다보Bryan Dabo1992년 2월 18일192아리스 테살로니키 FC
구스타보 상가레Gustavo Sangaré1996년 11월 8일172US 케비루앙
이스마힐라 웨드라오고Ismahila Ouédraogo1999년 11월 5일140PAOK FC
스테판 아지즈 키Stephane Aziz Ki1996년 3월 6일30ASEC 미모사
세드리크 바돌로Cedric Badolo1988년 11월 4일20FC 셰리프 티라스폴
트로바 보니Trova Boni1999년 12월 21일10벨레넨스스 SAD
FW베르트랑 트라오레Bertrand Traoré1995년 9월 6일6613아스톤 빌라 FC주장
시릴 바얄라Cyrille Bayala1996년 5월 24일394AC 아작시오
하산 반데Hassane Bandé1998년 10월 30일211HJK 헬싱키
압둘 탑소바Abdoul Tapsoba2001년 8월 23일124스탕다르 리에주
아부 와타라Abou Ouattara1999년 12월 26일100발랑시엔 FC
지브릴 와타라Djibril Ouattara1999년 9월 19일92올림피크 사피
당고 와타라Dango Ouattara2002년 2월 11일71AFC 본머스
마마디 방그레Mamady Bangré2001년 6월 15일10툴루즈 FC
조프리 바지에Joffrey Bazié2003년 10월 27일10LOSC 릴
누푸 자그레Noufou Zagre2004년 3월 9일10ASF 보보
[4]


4. 역대 전적[편집]



4.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프랑스의 지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없음[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불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예선 탈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불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기권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합계본선진출 없음0/21[6]


4.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15위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없음[7]
파일:가나 국기.svg
1963
불참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불참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예선 탈락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기권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기권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예선 탈락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1978
조별리그8위300329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불참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불참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불참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불참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예선 탈락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예선 도중 기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조별리그15위3003390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4강4위6222898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조별리그15위3012481
파일:말리 국기.svg
2002
조별리그13위3012241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조별리그14위3012161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조별리그15위2011011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조별리그14위300326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준우승2위6231739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조별리그16위3012141
파일:가봉 국기.svg
2017
4강3위63308312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예선 탈락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4강4위72329109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
합계준우승(1회)12/31[8]4891722477243


4.3.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편집]


별로 접점이 없는 국가지만 2005년 한 차례 A매치를 가진 적이 있다. 두바이에서 2005년 3월에 친선경기를 가져 대한민국이 1-0의 승리를 챙겼다. 연령별 대표팀을 통틀어도 이 경기가 유일한 맞대결이다. 김상식이 유일한 득점을 터뜨렸다.

일자장소스코어부르키나파소 득점자대한민국 득점자비고
2005년 3월 20일두바이 알 나세르 경기장 (UAE)0:1
(0:0)
X김상식친선경기
총 전적1전 1패

[1] 프랑스어[2] 실제로 2023년 4월 기준 월드컵 본선을 밟아보지 못한 팀 중 피파 랭킹이 50위로 가장 높다.[3]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임대.[4] 2022년 3월 29일 기준.[5] 부르키나파소 축구 협회 창립 이전[6]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7] 부르키나파소 축구 협회 창립 이전[8]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