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여훈해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좌현왕불사후면중후
부여기부여곤지부여례목간나
도한왕아착왕매로왕불사후
저근부여고부여력부여고
매라왕벽중왕불중후
사법명찬수류해예곤
섭정비정통
전지왕 섭정찬탈비정통비정통
부여훈해부여설례진이왕부여태
부흥운동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대방군왕대방군왕
풍왕부여융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덕좌왕호왕진왕





백제 섭정
扶餘訓解 | 부여훈해
시호없음
성씨부여(扶餘)
훈해(訓解)
부왕침류왕(枕流王)
모후왕후 진씨(王后 眞氏)
생몰년도음력? ~ 405년
재위기간음력405년
1. 개요
2. 삼국사기 기록



1. 개요[편집]


한국의 고대국가 백제의 왕족으로 15대 침류왕의 아들, 진씨(眞氏) 소생이다. 17대 아신왕의 둘째 아우로 형 아신왕이 405년 갑작스럽게 죽었는데 당시 태자인 부여전지(전지왕)가 왜국에 가 있어 왕위가 계승되지 못했기에 훈해가 섭정 자격으로 나라를 임시로 다스리면서 태자의 환국을 기다렸다.

그러나 아신왕과 훈해의 막내동생인 부여설례(扶餘碟禮)가 섭정 훈해를 암살하고 스스로 왕을 칭했다. 그러나 해충 등의 충신들이 비밀리에 태자와 접선해 정국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를 알렸다. 마침내 전지는 무사히 즉위하고 설례는 국인에게 피살당했다.

2. 삼국사기 기록[편집]


전지왕(腆支王),[혹은 직지(直支)라고도 한다.],의 이름을 『양서(梁書)』에서는 영(映)이라고 하였다. 그는 아신왕(阿莘王)의 맏아들이다. 아신왕 재위 3년(서기 394)에 태자가 되었고, 6년에 왜국에 볼모로 갔다. 14년에 아신왕이 죽자 왕의 둘째 동생 훈해(訓解)가 정사를 대리하며 태자의 귀국을 기다렸는데, 막내 동생 설례(碟禮)가 훈해를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전지가 왜국에서 부음을 듣고 울면서 귀국을 요청하니, 왜왕이 1백 명의 병사로 하여금 그를 보호하여 귀국하게 했다.

《삼국사기》 삼국사기 제25권 백제 본기 제3 전지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06:31에 나무위키 부여훈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