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방정책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국가
 [ 자본주의 진영 ] 
#000,#ddd
||<-3><bgcolor=#002664> '''[[제1세계|{{{#fff 제1세계}}}]]''' || ||<-3><bgcolor=#002664> '''{{{-1 {{{#fff 맹주}}}}}}''' || ||<-3><bgcolor=#f7faff,#2c2c2d>
[[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20px]][br]{{{-2 미국}}}]]
|| ||<-3><bgcolor=#002664> '''{{{-1 {{{#fff 유럽}}}}}}''' || ||<-3><bgcolor=#f7faff,#2c2c2d>
[[그리스|[[파일:그리스 국기.svg|height=20px]][br]{{{-2 그리스}}}]]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20px]][br]{{{-2 네덜란드}}}]]
·
[[노르웨이|[[파일:노르웨이 국기.svg|height=20px]][br]{{{-2 노르웨이}}}]]
·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height=20px]][br]{{{-2 덴마크}}}]]
·
[[룩셈부르크|[[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height=20px]][br]{{{-2 룩셈부르크}}}]]
·
[[모나코|[[파일:모나코 국기.svg|height=20px]][br]{{{-2 모나코}}}]]
·
[[몰타|[[파일:몰타 국기.svg|height=20px]][br]{{{-2 몰타}}}]]
·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height=20px]][br]{{{-2 벨기에}}}]]
·
[[서독|[[파일:독일 국기.svg|height=20px]][br]{{{-2 서독}}}]] {{{-2 [[동서독 통일|→]][[독일]]}}}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height=20px]][br]{{{-2 스페인}}}]]
·
[[아이슬란드|[[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height=20px]][br]{{{-2 아이슬란드 }}}]]
·
[[안도라|[[파일:안도라 국기.svg|height=20px]][br]{{{-2 안도라}}}]]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20px]][br]{{{-2 영국}}}]]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20px]][br]{{{-2 이탈리아}}}]]
·
[[키프로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height=20px]][br]{{{-2 키프로스}}}]]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20px]][br]{{{-2 터키 }}}]]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height=20px]][br]{{{-2 포르투갈}}}]]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0px]][br]{{{-2 프랑스}}}]]
|| ||<-3><bgcolor=#002664> '''{{{-1 {{{#fff 아시아&오세아니아}}}}}}''' || ||<-3>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height=20px]][br]{{{-2 뉴질랜드}}}]]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20px]][br]{{{-2 대한민국}}}]]
·
[[라오스 왕국|[[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height=20px]][br]{{{-2 라오스 왕국}}}]]
·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height=20px]][br]{{{-2 말레이시아}}}]]
·
[[베트남 공화국|[[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남베트남(~1975)}}}]]
·
[[바레인|[[파일:바레인 국기.svg|height=20px]][br]{{{-2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height=20px]][br]{{{-2 사우디아라비아}}}]]
·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height=20px]][br]{{{-2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height=20px]][br]{{{-2 아랍에미리트}}}]]
·
[[오만|[[파일:오만 국기.svg|height=20px]][br]{{{-2 오만}}}]]
·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height=20px]][br]{{{-2 요르단}}}]]
·
[[이라크 왕국|[[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height=20px]][br]{{{-2 이라크 왕국(~1958)}}}]]
·
[[이란 제국|[[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height=20px]][br]{{{-2 이란 제국(~1979)}}}]]
·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height=20px]][br]{{{-2 이스라엘}}}]]
·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height=20px]][br]{{{-2 인도네시아(1967~)}}}]]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20px]][br]{{{-2 일본}}}]]
·
[[대만|[[파일:대만 국기.svg|height=20px]][br]{{{-2 중화민국}}}]]
·
[[크메르 공화국|[[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height=20px]][br]{{{-2 크메르 공화국}}}]]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height=20px]][br]{{{-2 태국}}}]]
·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height=20px]][br]{{{-2 파키스탄}}}]]
·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height=20px]][br]{{{-2 필리핀}}}]]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height=20px]][br]{{{-2 호주}}}]]
|| ||<-3><bgcolor=#002664> '''{{{-1 {{{#fff 아프리카}}}}}}''' || ||<-3>
[[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height=20px]][br]{{{-2 남아프리카 공화국}}}]]
·
[[라이베리아|[[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height=20px]][br]{{{-2 라이베리아}}}]]
·
[[로디지아|[[파일:로디지아 국기.svg|height=20px]][br]{{{-2 로디지아}}}]]
·
[[말라위|[[파일:말라위 국기.svg|height=20px]][br]{{{-2 말라위}}}]]
·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height=20px]][br]{{{-2 모로코}}}]]
·
[[에스와티니|[[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height=20px]][br]{{{-2 스와질란드}}}]]
·
[[에티오피아 제국|[[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height=20px]][br]{{{-2 에티오피아 제국(~1975)}}}]]
·
[[자이르|[[파일:자이르 국기.svg|height=20px]][br]{{{-2 자이르}}}]]
·
[[케냐|[[파일:케냐 국기.svg|height=20px]][br]{{{-2 케냐}}}]]
·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height=20px]][br]{{{-2 튀니지}}}]]
|| ||<-3><bgcolor=#002664> '''{{{-1 {{{#fff 북아메리카}}}}}}''' || ||<-3>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height=20px]][br]{{{-2 과테말라}}}]]
·
[[그레나다|[[파일:그레나다 국기.svg|height=20px]][br]{{{-2 그레나다(~1979 / 1983~)}}}]]
·
[[니카라과|[[파일:니카라과 국기.svg|height=20px]][br]{{{-2 니카라과(~1979)}}}]]
·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height=20px]][br]{{{-2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height=20px]][br]{{{-2 멕시코}}}]]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height=20px]][br]{{{-2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height=20px]][br]{{{-2 세인트키츠 네비스}}}]]
·
[[세인트루시아|[[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height=20px]][br]{{{-2 세인트루시아}}}]]
·
[[앤티가 바부다|[[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height=20px]][br]{{{-2 앤티가 바부다}}}]]
·
[[엘살바도르|[[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height=20px]][br]{{{-2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파일:온두라스 국기.svg|height=20px]][br]{{{-2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height=20px]][br]{{{-2 코스타리카}}}]]
·
[[쿠바 공화국(1902~1959)|[[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height=20px]][br]{{{-2 쿠바(~1959)}}}]]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height=20px]][br]{{{-2 캐나다}}}]]
·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height=20px]][br]{{{-2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파일:파나마 국기.svg|height=20px]][br]{{{-2 파나마}}}]]
|| ||<-3><bgcolor=#002664> '''{{{-1 {{{#fff 남아메리카}}}}}}''' || ||<-3>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height=20px]][br]{{{-2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파일:볼리비아 국기.svg|height=20px]][br]{{{-2 볼리비아}}}]]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20px]][br]{{{-2 브라질}}}]]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height=20px]][br]{{{-2 아르헨티나 }}}]]
·
[[에콰도르|[[파일:에콰도르 국기.svg|height=20px]][br]{{{-2 에콰도르}}}]]
·
[[우루과이|[[파일:우루과이 국기.svg|height=20px]][br]{{{-2 우루과이}}}]]
·
[[칠레|[[파일:칠레 국기.svg|height=20px]][br]{{{-2 칠레}}}]]
·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height=20px]][br]{{{-2 콜롬비아}}}]]
·
[[파라과이|[[파일:파라과이 국기.svg|height=20px]][br]{{{-2 파라과이}}}]]
·
[[페루|[[파일:페루 국기.svg|height=20px]][br]{{{-2 페루}}}]]
||
 [ 공산주의 진영 ] 
#000,#ddd
||<-3><bgcolor=#cc0000> '''[[제2세계|{{{#ffeb00,#ffea00 제2세계}}}]]''' || ||<-3><bgcolor=#cc0000> '''{{{-1 {{{#ffeb00 맹주}}}}}}''' || ||<-3><bgcolor=#fff5f5,#2c2b2b>
[[소련|[[파일:소련 국기.svg|height=20px]][br]{{{-2 소련}}}]]
|| ||<-3><bgcolor=#cc0000> '''{{{-1 {{{#ffeb00 유럽}}}}}}''' || ||<-3><bgcolor=#fff5f5,#2c2b2b>
[[동독|[[파일:동독 국기.svg|height=20px]][br]{{{-2 동독}}}]]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height=20px]][br]{{{-2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1968)}}}]]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유고슬라비아(~1948)}}}]]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파일:체코 국기.svg|height=20px]][br]{{{-2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폴란드 인민 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height=20px]][br]{{{-2 폴란드 인민 공화국}}}]]
·
[[헝가리 인민 공화국|[[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height=20px]][br]{{{-2 헝가리 인민 공화국}}}]]
|| ||<-3><bgcolor=#cc0000> '''{{{-1 {{{#ffeb00 아시아&오세아니아}}}}}}''' || ||<-3><bgcolor=#fff5f5,#2c2b2b>
[[남예멘|[[파일:남예멘 국기.svg|height=20px]][br]{{{-2 남예멘}}}]]
·
[[라오스|[[파일:라오스 국기.svg|height=20px]][br]{{{-2 라오스}}}]]
·
[[몽골 인민 공화국|[[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몽골 인민 공화국}}}]]
·
[[민주 캄푸치아|[[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height=20px]][br]{{{-2 민주 캄푸치아}}}]]
·
[[바누아투|[[파일:바누아투 국기.svg|height=20px]][br]{{{-2 바누아투}}}]]
·
[[베트남 민주 공화국|[[파일:베트남 국기.svg|height=20px]][br]{{{-2 북베트남}}}]] {{{-2 [[베트남 통일|→]][[베트남]]}}}
·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20px]][br]{{{-2 북한}}}]]
·
[[시리아|[[파일:시리아 국기.svg|height=20px]][br]{{{-2 시리아}}}]]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height=20px]][br]{{{-2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px]][br]{{{-2 중화인민공화국}}}]][[중소결렬|{{{-2 (~1959)}}}]]
|| ||<-3><bgcolor=#cc0000> '''{{{-1 {{{#ffeb00 아프리카}}}}}}''' || ||<-3><bgcolor=#fff5f5,#2c2b2b>
[[기니|[[파일:기니 국기.svg|height=20px]][br]{{{-2 기니}}}]]
·
[[기니비사우|[[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height=20px]][br]{{{-2 기니비사우}}}]]
·
[[마다가스카르|[[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height=20px]][br]{{{-2 마다가스카르}}}]]
·
[[말리|[[파일:말리 국기.svg|height=20px]][br]{{{-2 말리}}}]]
·
[[모잠비크|[[파일: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
[[베냉 인민공화국|[[파일:베냉 인민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베냉 인민 공화국}}}]]
·
[[세이셸|[[파일:세이셸 국기(1977-1996).svg|height=20px]][br]{{{-2 세이셸(1977~)}}}]]
·
[[소말리아|[[파일:소말리아 국기.svg|height=20px]][br]{{{-2 소말리아(~1977)}}}]]
·
[[수단 공화국|[[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수단}}}]]
·
[[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height=20px]][br]{{{-2 알제리}}}]]
·
[[앙골라|[[파일:앙골라 국기.svg|height=20px]][br]{{{-2 앙골라}}}]]
·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파일: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png|height=20px]][br]{{{-2 이집트}}}]][[중동전쟁|{{{-2 (1952~1973)}}}]]
·
[[콩고 인민 공화국|[[파일:콩고 인민 공화국 국기.svg|height=20px]][br]{{{-2 콩고 인민공화국}}}]]
· || ||<-3><bgcolor=#cc0000> '''{{{-1 {{{#ffeb00 북아메리카}}}}}}''' || ||<-3><bgcolor=#fff5f5,#2c2b2b>
[[그레나다|[[파일:그레나다 국기.svg|height=20px]][br]{{{-2 그레나다(1979~1983)}}}]]
·
[[니카라과|[[파일:니카라과 국기.svg|height=20px]][br]{{{-2 니카라과(1979~)}}}]]
·
[[쿠바|[[파일:쿠바 국기.svg|height=20px]][br]{{{-2 쿠바(1959~)}}}]]
||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8~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별 · 6.25 전쟁 · 쿠바 혁명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70~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80~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6~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구성인사
여당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정책 및 방향범죄와의 전쟁 · 북방정책 · 제6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1기 신도시 · 정부 제3청사 건립· 대학수학능력시험 · 토지공개념 3법 · 대전 엑스포 유치 · 서해안고속도로 · KTX-2 · KLH · 지역 할당제
평가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타임라인
1988년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1988 서울 올림픽 · 1988 서울 패럴림픽 · 7.7 선언 · 광주민주화운동진상조사특별위원회 출범 · 2차 사법 파동 · 안산선 개통 ·오홍근 테러사건
1989년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발족 · 우지 파동 · 임수경 방북 사건 · 문익환 방북 사건 · 황석영 방북 사건 · 서경원 방북 사건 · 전교조 출범 · 5.3 동의대 사태 · 이철규 의문사 사건 · 설인종 고문치사 사건 · 노무현 명패 사건 · 대한항공 175편 추락 사고 · 대전 직할시 승격
1990년10.13 특별선언 (범죄와의 전쟁) · 경찰청/기상청/통계청 개청 · 3당 합당 · 이문옥 감사관 구속 사건 ·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 · KBS 사태 · 영동고속도로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1991년1991년 지방선거 · 남북기본합의 · 남북한 UN 동시 가입 ·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 · 연쇄 분신 파동 ·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 · 김부남 사건 · 이형호 유괴 살인 사건 · 대구 성서 초등학생 살인 암매장 사건 · 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 · 거성관 방화 사건 · 여의도광장 차량질주 사건 · 새만금 착공 · 수서지구 택지 특혜 분양 사건
1992년제14대 대통령 선거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 · 초원복집 사건 · 수요집회 개최 · 남한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사건 · 김보은 양 사건 · 대덕연구단지 준공 · 경부고속철도 착공 · 수도권 신공항 착공
1993년과천선 개통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노태우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노태우 참고







파일:정부상징.svg 역대 대한민국 정부의 주요 정책
[ 펼치기 · 접기 ]

이승만 정부농지개혁법 · 국가보안법 · 한미상호방위조약 · 평화선 · 징병제 도입 · 반공포로 석방 사건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하공과대학 · 의무교육 · 남녀투표권 부여 · 지방자치제 · 국민방위군 창설
장면 내각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박정희 정부새마을운동 · 율곡사업 · 백지계획 · 주민등록증 · 부가가치세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 국민건강보험 · 월남 파병 · 예비군 창설 · 강남 개발 · 중앙정보부 창설 · 문화재보호법 · 1기 지하철 계획 · 국세청 설립 · 그린벨트 도입 · 국립공원 지정 · 국가기술자격법 시행 · 대덕연구개발특구 · 번개사업 · 국방과학연구소 · 경부고속도로 · 포항제철소 설립 · 울산정유공장 설립 · 자동차 산업 육성 · 한국수출산업국가산업단지 · 한국수자원공사 · 한국기생충박멸협회 · 원자력 발전소 설립 · 조선산업 육성 · 방위세 · 스크린 쿼터제 · 한국형 호위함 건조 사업 · 시민아파트 · 8.3 사채 동결 조치 · 금지곡 · 교련 · 한일수교 · 684부대 · 북악스카이웨이 · 남산타워 · 한국과학원 · 7.4 남북 공동 성명 · 방위병
전두환 정부3S 정책 · 아시안 게임 유치 · 서울 올림픽 유치 · 2기 지하철 계획 · 남북한 아프리카 외교전 · 주택임대차보호법 · 학사장교 도입 · 평화의 댐 · 한국형 구축함 사업 · 행복추구권 · 장애인복지법 · 학력고사 · 연좌제 폐지 · 최저임금제 · 한국형 잠수함 사업 · 강원랜드 · 국제그룹 해체 · 자동차공업 통합조치 · 언론통폐합 · 보도지침 · 삼청교육대 · 폭력성 만화영화 금지 정책 · 야간자율학습
노태우 정부범죄와의 전쟁 · 북방정책 · 1기 신도시 ·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 · UN 가입 · 남북기본합의서 · 토지공개념 3법 · 국민과의 대화 · 해외여행자유화 · 교련 폐지 · 한반도 비핵화 선언 · 인천 신 공항 추진 · 경부고속철도 · 자유로 · 송도신도시 · 대전 엑스포 유치 · KTX-2 · KLH · 지역 할당제 · 6.29 선언 · 국정감사 부활 · 서해안고속도로 · 새만금
문민정부금융실명제 · 역사바로세우기 · 5.31 교육개혁 · 하나회 해체 · OECD 가입 · 도농복합시 · 중소기업청 · 정보통신부 설립 · 한일월드컵 유치 · 1~2차 FX 사업 · 도로명주소 · 청소년 보호법 · 불곰사업 · 한일어업협정 · 비정규직 도입 · 금산분리 · 공익근무요원 ·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 법적 심판 · 부산신항
국민의 정부전자정부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햇볕정책 · DJ노믹스 · 동티모르 평화 협상 주도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노사정위원회 · 한국형 전투기 개발 추진 · 한국형 우주 발사체 개발 추진 · 국민PC · 국립대학구조조정계획 · 인사청문회 · 한국형 무인 전투기 개발 추진 · KAMD · 공인인증서 · 6.15 남북공동선언 · 소프트웨어 산업 진흥법 · 여성부 · 차기 호위함 사업 · 국가인권위원회 · 경제자유구역
참여정부햇볕정책 · 비전 2030 · 행정수도 이전 · 2기 신도시 · 국방개혁 2020 · 주 5일 근무 제도 · 이라크 파병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 한미자유무역협정 · 호주제 폐지 · 전문하사 · 질병관리본부 · 종합부동산세 · 한국우주인배출사업 · 대학구조개혁 · 4대 개혁 입법 · 혁신도시 · 로스쿨 · 킬 체인 · 6자회담 · E-X · KHP · SAM-X · 교육행정정보시스템 · 수능 등급제 · 개인회생제도 · 국민참여재판 · 제주 해군기지 · 성매매 특별법 · 의학전문대학원 · 인터넷 실명제 · 현금영수증 · 인천대교 · 제3경인고속화도로 · EBSi
이명박 정부4대강 정비 사업 · 5.24 조치 · 녹색 성장 · 국방개혁 307 · 평창 올림픽 유치 · 아덴만 여명 작전 · 2010 G20 서울 정상회의 · 한국장학재단 · 보금자리주택 · 의료분쟁조정법 · 협동조합기본법 · 번개사업 · 3차 FX 사업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 독도 방문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AH-X · L-SAM · 한국형 차기 구축함 · 셧다운제 · 아크부대 · 외규장각 반환 · 조선왕실의궤 반환 · 사증 면제 프로그램 가입 · 한EU FTA · 글로벌녹색성장기구 · 마이스터고등학교 · 미디어법 · UAE 원전 수출 · 종합편성채널
박근혜 정부창조경제 · 초이노믹스 ·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 대체 휴일 제도 · 장기결석 아동 전수조사 · 청탁금지법 · 대량응징보복 · THAAD 배치 ·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 한일 위안부 합의 · 중국 전승절 참석 ·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 한미 우주협력협정 · 국민안전처 · KC-X · 공무원 연금 개혁 · 2016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 · 국정 교과서 · 테러방지법 · 전두환 추징금 환수 · 통진당 해산 · 파리협정 가입 · 중고 CH-47 도입
문재인 정부적폐청산 · 탈원전 정책 · 남북러 가스관 사업 · 태양광 발전 지원 · 소득주도 성장론 · 혁신성장 · 한국판 뉴딜 ·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 신남방정책 · K-방역 · 3기 신도시 · 국방개혁 2.0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폐지 · 긴급재난지원금 · 문재인 케어 · 청년희망적금 · 대학기본역량진단 · 국민비서 · 항공모함 도입 추진 · G7 콘월 정상회의 참석 · 동맹대화 · 아르테미스 계획 참여 · 2019년 남북미정상회동 · 소·부·장 국산화 · 워리어 플랫폼 · 위수지역 폐지 · 고등군사법원 폐지 · n번방 방지법 · 인터넷 검열감시법 시행 사태 · 2019년 인터넷 검열 사건 · 안전운임제 · 출산육아지원정책 · 미라클 작전 · 홍범도 유해 봉환 · 생활SOC 복합화 사업 · 가덕도신공항
윤석열 정부적폐청산 · 규제혁신 · 디지털플랫폼정부 · 과학방역 · 담대한 구상 · 북한방송 개방 · 대북 독자제재 · 국방혁신 4.0 · IPEF 가입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행정수도 이전





북방정책
北方政策
Northern Policy
Nordpolitik
추진 국가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추진 정부노태우 정부
기간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주요 내용공산권과의 국교 수립 및 교류 확대
한반도 내 안보 위협 완화
1. 개요
2. 내용
3. 평가
4. 기타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파일:73081184.1.jpg
1990년 12월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대통령과 만난 노태우 전 대통령
파일:201708210156101888869.jpg
1992년 9월 양상쿤중국 국가주석과 만난 노태우 전 대통령
대한민국의 외교 정책. 노태우 정부에서 추진됐다.

소련을 위시한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 수립 및 교류를 통해서 북한과의 전쟁 위협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에서 추진됐다.

공산권과의 관계 개선 시도는 사실 박정희 정부 시절이던 1977년에도 있었다. #

2. 내용[편집]


1988년 7월 7일 노태우 전 대통령이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대통령 특별선언(일명 7·7선언)'을 발표하며, 자유진영 국가 중심의 외교에서 벗어나 개혁·개방 노선을 타고 있는 공산권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의사를 천명했다. 이후 1988년 8월헝가리와의 상주대표부 설치협정 체결을 시작으로, 다음해인 1989년에 헝가리와 수교를 맺은 이후에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등과 수교를 맺었고, 그 이듬해인 1990년에는 소련불가리아, 몽골, 루마니아와 국교를 맺었으며, 1991년에는 알바니아, 그리고 노태우 정부 말기이던 1992년중국, 베트남과 수교를 했고 더 나아가 1991년 9월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까지 이뤄내며 결실을 맺었다.

3. 평가[편집]


북방정책은 대한민국이 서방세계의 자본주의 강국인 미국에 대한 극단적인 의존을 타파하고 본격적으로 국제 외교 무대에 데뷔한 계기로 높이 평가받는다. 국제연합 가입 역시 이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한국은 높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불과 수 년 내에 비상임이사국을 역임하고 사무총장을 배출하는 등 국제 무대의 주요국 중 하나로 빠르게 발돋움한다.[1]

노태우 정부 때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에 관한 평가는 다양하지만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한반도 비핵화 선언, 상호간의 불가침 합의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고 이해했다는 점에서 호의적인 평가가 있다.

공산권과의 관계 개선 역시 이후 한국의 외교에 긍정적인 족적을 남겼다. 대표적으로 한소수교 이후 한국은 경제적으로 휘청이던 소련에 다량의 차관을 빌려주었고, 직후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로 전환되면서 이를 계기로 불곰사업 등 양국 간 군사교류가 활성화되기도 했다. 불과 반 세기만에 최빈국이던 국가가 공산권의 수장국에게 경제지원을 해 주는 모습은 체제경쟁의 끝을 알리는 상징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양국 관계를 넘어 공산권 국가들에 한국의 이름을 각인시키는 효과도 발휘했다.

정부 수립 이후 전쟁까지 치렀던 중국, 베트남과의 오랜 적대를 끝마친 1992년 한중수교와 한월수교 역시 중요한 사건이었으나, 한중수교의 경우 세부적인 평가를 두고는 갑론을박이 있는 편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이 시기 러시아권에 진출한 기업들은 이후 러시아의 모라토리엄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의리를 지키면서 러시아인들의 대한 인식 상승에 크게 일조하였으며, 동유럽권에 진출한 기업들은 냉전 종식 이후 대한민국의 대유럽 수출기지이자 생산기지로 톡톡하게 기여했다.

이러한 성과로 인해 노태우 정부는 학계로부터 유독 외교 분야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편이다. '동유럽 등 공산권과의 국교 정상화'를 비롯한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은 서울올림픽으로 대표되는 대북 체제경쟁 승리, 국력 우위의 입증을 통한 한국의 자신감에 바탕을 둔 것이었으며, 약 10년 후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서 제기되었던 '퍼주기', '유화정책'이라는 식의 비난도 덜 받았다.

국방 분야에서도 북방정책은 큰 도움이 되었다. 불곰사업을 통해 러시아의 국방기술을 도입할 수 있었고, 러시아의 북한에 대한 군사지원을 끊어버리는 효과까지 있었기 때문이다.

3.1. 중국과의 수교[편집]


한중수교의 경우 하나의 중국 원칙 때문에 일제강점기와 냉전기의 맹방이던 대만과의 단교라는 비용을 치러야 했다. 때문에 2010년대~2020년대 들어 한중관계 및 양국 간 국민감정이 눈에 띄게 악화되자, 주로 이상주의+반(Anti)권위주의 성향을 띄는 자유주의 우파 진영에서는 굳이 그렇게까지 중국과의 수교를 추진할 필요가 있었느냐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도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주의 국가 간의 연대와 가치 공유를 중시하는 자유주의적인 관점에서는 저런 평가[2]가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 다만 어차피 중국이 현실정치의 국가로 존재하는 이상, 오히려 중국과의 민간 교류를 늘려나감으로써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편입시키는 쪽이 우발적인 충돌을 막을 수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3]

한편, 국익과 실리를 기준으로 외교 정책을 판단하는 현실주의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비판에 부정적이다.[4] 먼저, 당대 동북아시아 정세에서 중국이 차지하던 위치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였고, 이는 남북통일을 국시로 내걸었던 당대 한국에게 무시할 수 없는 요소였다. 게다가 중국은 이미 1970년대에 대만에게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를 빼앗아 오면서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도 상당히 커진 상태였다. 반면 대만은 이와 동시에 유엔에서 자진 탈퇴하면서 영향력이 날로 축소되어가던 처지였으며, 섬에 고립된 지정학적 연유로 한국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도 어려웠다.

게다가 미국일본은 이미 1970년대에 중국과 재수교하고 중국 시장에 일찌감치 발을 들이밀어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보고 있던 상황이었고, 미중관계중일관계 역시 공산국가의 근본적인 한계를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우호적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끝까지 거부하는 것은 중국에게서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이익을 일본 등 다른 경쟁국들에 내주겠다는 의미인 동시에 동북아시아 외교에서 주요한 패 중 하나를 스스로 버리는 것이기도 했다.[5] 중국이 예나 지금이나 잠재적 적성국인 건 사실이지만, 외교란 적성국과도 전략적인 제휴나 대화를 해야 할 때가 있고, 이를 위해 최소한의 외교관계는 필요했다는 것이다.[6]

1980년대의 중국은 죽의 장막으로 대표되는 오랜 폐쇄주의를 끝내고 갓 국제사회에 복귀한 국가였으며, '도광양회'라는 지침에서도 드러나듯 주변국과의 마찰을 가능한 회피하며 경제 발전에만 집중하던 국가였다. 1980년대 후반 미국에게 가장 위협이 되던 아시아 국가는 중국이 아닌 일본이었다. 1980년대 일본은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에서 보듯이 미국을 추월한다는 전망까지 나오던 때로, 플라자 합의미일 반도체 협정 등으로 미국의 견제를 받을 정도였지만, 당시 중국 GDP는 일본의 1/8 수준에 불과했다. 현대 독일과 과거 나치 독일이 같은 "독일"이지만 주변국들이 독일을 대하는 태도도 극명하게 다르듯, 덩샤오핑 시대의 중국과 시진핑 시대의 중국은 이름은 같은 중국이라도 정책이 다르니 당연히 다른 전략으로 맞상대해야 하는 것이다. 가령, 과거 국공내전에서 공산당이 아니라 국민당이 승리해서 지금의 중국 대륙을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이 아니라 중화민국(대만)이 차지했다고 가정하자. 그럼에도 그 '중화민국'이 시대별로 다른 정책을 시행하면 당연히 다른 전략으로 대응해야하는 것이 옳은 것이다.]을 망각한 것이다. 또한 노태우 정부시기는 탈냉전의 시대이기에 오늘날 신냉전 시대하고 구분할 필요가 있다. 탈냉전 시대의 대통령이기에 당시 시대적 온건한 분위기에 따른거라고 보면 된다. 이건 마찬가지로 탈냉전 시대에 대통령을 역임했던 김영삼, 김대중도 마찬가지였다. 따지고보면 탈냉전 시대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지도자들도 비교적 온건파인 인물들이 많았다. 장쩌민이나 후진타오도 지금의 시진핑에 비하면 온건적인 외교를 하는 편이었으며, 일본도 무라야마, 고노, 오부치가 총리나 관방장관으로 있을때 한국에 대해서 비교적 우호적인 태도를 취해주었다. 노태우 대통령을 포함하여 탈냉전 시기의 대통령들은 이에 같이 온건적으로 응했다고 보면된다.

4. 기타[편집]


  • 미국은 처음에는 반대하는 듯했지만, 1989년부터는 찬성하게 되었다. #

5. 같이보기[편집]




[1] 다만 남북한의 국제연합 동시 가입은 하나의 한국 원칙의 실패를 의미했고, 때문에 북한을 완벽히 고립시키지 못하고 후일 북한이 자국의 위협적 행보를 국제사회에 정당화할 길을 열어주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중국이 70년대까지 차라리 국제연합에 가입하지 않았으며 이후엔 대만을 국제기구에서 철저히 거부하는 것은, 결국 상대편에게 외교적인 공간을 주지 않아야 통일이 가능하다는 계산에서 나온 것이다. 반면 남북한은 화합을 통한 통일을 추구하는 것이고. 둘 중 어느 쪽이 옳았는지는 한국과 중국의 통일 문제가 어떻게 결론지어지느냐를 두고 미래 세대가 평가할 문제이다.[2] 자유민주주의 우방국인 대만과의 신의를 버리고 독재국가인 중국을 선택했다는 평가[3] 쉽게 이야기해서 1950년대 중국은 한국전쟁에서 미국의 의도를 불신했기 때문에 자국의 희생을 감수하고 개입을 택했다. 반면 오늘날 한국은 중국에 한국의 의도를 전달하고 설득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중국이 자국의 이해관계로 한국의 이해를 묵살할 가능성은 있지만 최소한 양자 간 불신으로 인한 충돌의 가능성은 많이 낮아진 상태이다. 자유주의의 관점에서 이는 결국 한중 수교와 이어진 교류를 바탕으로 양국이 서로의 입장을 최소한도나마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4] 그러나 국익과 실리를 바탕으로 한 관점에서 그것이 옳은가 또한 생각거리가 될 수 있다. 가령 마오쩌둥, 덩샤오핑 정권의 하나의 중국 정책을 서방 국가들이 받아주지 않았다면 시진핑 정권이 국제 사회에서 전횡을 부릴 수 있겠느냐 또한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5] 예컨대 당시 일본은 한국이 마음에 안 들면 중국이나 소련으로 압박하고, 중국이 마음에 안 들면 한국에 접근하며, 미국이 통상으로 압박하면 중국과 경제협력을 체결하고, 중국이 경제보복을 가하면 미국 주도의 공급망에 참여하는 식의 유연한 대처가 가능했다. 반면 한국은 중국과의 외교관계 자체가 없었다 보니, 미국이나 일본과 이런저런 마찰이 벌어질 경우 독자적으로 해결하거나 어쩔 수 없이 물러서야 했던 것이다.[6] 단적인 예로 2차대전이나 냉전의 주요 강대국들은 서로 극한으로 대립하면서도 단교하지는 않았다. 공산권과 수교금지를 원칙으로 내세우던 초창기 서독조차도 소련만큼은 예외로 두었다. 이는 아무리 적이라도 서로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지정학적 대립 속에서 감정적인 충돌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없이 각자의 이해를 반영하는 의견 합의를 이루기 위해서는 외교적인 채널을 열어 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