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여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충청남도 부여군 에 대한 내용은 부여군 문서
부여군번 문단을
부여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여'라는 이름을 가진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부여(동음이의어) 문서
부여(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부여(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여 관련 둘러보기 틀
관련 각국사 ▼
















관련 사서 ▼

후한서(後漢書)
[ 본기(本紀) ]

1권 「광무제기(光武帝紀)」2권 「명제기(明帝紀)」 3권 「장제기(章帝紀)」
유수유장유달
4권 「화제상제기(和帝殤帝紀)」 5권 「안제기(安帝紀)」 6권 「순제충제질제기(順帝沖帝質帝紀)」
유조 · 유륭유호유보 · 유병 · 유찬
7권 「환제기(桓帝紀)」 8권 「영제기(霊帝紀)」 9권 「헌제기(獻帝紀)」
유지유굉유협
10권 「황후기(皇后紀)」
곽성통 · 음여화 · 명덕황후 · 장덕황후 · 효화황후 · 등수 · 염희 · 양납 · 양여영 · 등맹녀 · 두묘 · 효인황후 · 효령황후 · 영사황후 · 복수 · 조절 · 무양장공주 · 열양공주 · 관도공주 · 육양공주 · 역읍공주 · 획가장공주 · 평양공주 · 융려공주 · 평지공주 · 심수공주 · 평고공주 · 준의공주 · 무안공주 · 노양공주 · 낙평공주 · 성안공주 · 무덕장공주 · 평읍공주 · 음안공주 · 수무장공주 · 공읍공주 · 임영공주 · 문희공주 · 무양장공주 · 관군장공주 · 여양장공주 · 양안장공주 · 영음장공주 · 양적장공주 · 만년공주
※ 사마표의 속한서는 志에 해당. 후한서 문서 참고

[ 열전(列傳) ]
11권 「유현유분자열전(劉玄劉盆子列傳)」 12권 「왕유장이팽노열전(王劉張李彭盧列傳)」
유현 · 유분자왕창 · 유영 · 방맹 · 장보 · 왕굉 · 이헌 · 팽총 · 노방
13권 「외효공손술열전(隗囂公孫述列傳)」 14권 「종실사왕삼후열전(宗室四王三侯列傳)」
외효 · 공손술유인 · 유량 · 유지 · 유흡 · 유사 · 유순 · 유가
15권 「이왕등내열전(李王鄧來列傳)」 16권 「등구열전(鄧寇列傳)」 17권 「풍잠가열전(馮岑賈列傳)」
이통 · 왕상 · 등신 · 내흡등우 · 구순풍이 · 잠팽 · 가복
18권 「오갑진장전(吳蓋陳臧列傳)」 19권 「경엄열전(耿弇列傳)」 20권 「요기왕패채준열전(銚期王霸祭遵列傳)」
오한 · 갑연 · 진준 · 장궁 경엄요기 · 왕패 · 채준
21권 「임이만비유경열전(任李萬邳劉耿列傳)」 22권 「주경왕두마유부견마열전(朱景王杜馬劉傅堅馬列傳)」
임광 · 이충 · 만수 · 비동 · 유식 · 경순주우 · 경단 · 왕량 · 두무 · 마성 · 유륭 · 부준 · 견담 · 마무
23권 「두융열전(竇融列傳)」 24권 「마원열전(馬援列傳)」 25권 「탁노위유열전(卓魯魏劉列傳傳)」
두융 ,두헌,마원탁무 · 노공 · 위패 · 유관
26권 「복후송채풍조모위열전(伏侯宋蔡馮趙牟韋列傳)」 27권 「선장이왕두곽오승정조열전(宣張二王杜郭吳承鄭趙列傳)」
복담 · 후패 · 송홍,송유, · 채무 · 풍근 · 조희 · 모융 · 위표선병 · 장담 · 왕담 · 왕량 · 두림 · 곽단 · 오량 · 승궁 · 정균 · 조전,조계,
28권 「환담풍연열전(桓譚馮衍列傳)」 29권 「신도강포영질운열전(申屠剛鮑永郅惲列傳)」 30권 「소경양후낭의양해열전(蘇竟楊厚郞顗襄楷列傳)」
환담 · 풍연신도강 · 포영,포욱, · 질운소경 · 양후 · 낭의 · 양해
31권 「곽두공장염왕소양가육열전(郭杜孔張廉王蘇羊賈陸列傳)」 32권 「번굉음식열전(樊宏陰識列傳)」
곽급 · 두시 · 공분 · 장감 · 염범 · 왕당 · 소장 · 양속 · 가종 · 육강범굉 · 음식
33권 「주풍우정주열전(朱馮虞鄭周列傳)」 34권 「양통열전(梁統列傳)」 35권 「장조정열전(張曹鄭列傳)」
주부 · 풍방,풍석, ,유희, · 우연 · 정홍 · 주장양통장순 · 조포 · 정현
36권 「정범진가장열전(鄭范陳賈張列傳)」 37권 「환영정홍열전(桓榮丁鴻列傳)」 38권 「장법등풍탁양열전(張法滕馮度楊列傳)」
정흥 · 범승 · 진원 · 가규 · 장패환영,환언, ,주총, · 정홍장종 · 법웅 · 등무 · 풍곤 · 도상 · 양선
39권 「유조순우강유주조열전(劉趙淳于江劉周趙列傳)」 40권 「반표열전(班彪列傳)」
유평 · 조효 · 순우공 · 강혁 · 유반,유개, · 주반 · 조자반표
41권 「제오종리송한열전(第五鍾離宋寒列傳)」 42권 「광무십왕열전(光武十王列傳)」
제오륜 · 종리의 · 송균 · 한랑유강 · 유보 · 유강 · 유연 · 유언 · 유영 · 유창 · 유형 · 유형 · 유경
43권 「주악하열전(朱樂何列傳)」 44권 「등장서장호열전(鄧張徐張胡列傳)」 45권 「원장한주열전(袁張韓周列傳)」
주휘 · 악회 · 하창등표 · 장우 · 서방 · 장민 · 호광원안 · 장포 · 한릉 · 주영
46권 「곽진열전(郭陳列傳)」 47권 「반양열전(班梁列傳)」
곽궁 · 진총반초 · 양근
48권 「양이적응곽원서열전(楊李翟應霍爰徐列傳)」 49권 「왕충왕부중장통열전(王充王符仲長統列傳)」
양종 · 이법 · 적포 · 응봉 · 곽서 · 원연 · 서구왕충 · 왕부 · 중장통
50권 「명제팔왕열전(明帝八王列傳)」 51권 「이진방진교열전(李陳龐陳橋列傳)」
유건 · 유선 · 유공 · 유당 · 유연 · 유창 · 유병 · 유장이순 · 진선 · 방참,시연, · 진귀 · 교현
52권 「최인전(崔駰傳)」 53권 「주황서강신도열전(周黃徐姜申屠列傳)」 54권 「양진열전(楊震列傳)」
최인주섭 · 황헌 · 서섭 · 강굉 · 신도반양진,사마포, ,마영,
55권 「장제팔왕열전(章帝八王列傳)」
유항 · 유전 · 유경 · 유수 · 유개(劉開) · 유숙 · 유만세 · 유승
56권 「장왕충진열전(張王种陳列傳)」 57권 「두난유이유사열전(杜欒劉李劉謝列傳)」 58권 「우부갑장열전(虞傅蓋臧列傳)」
장호 · 왕공 · 충고 · 진구두근 · 난파 · 유도 · 이운 · 유유 · 사필 우후 · 부섭 · 갑훈 · 장홍
59권 「장형열전(張衡列傳)」 60권 「마융채옹열전(馬融蔡邕列傳)」 61권 「좌주황열전(左周黃傳)」
장형마융 · 채옹 좌웅 · 주거 · 황경
62권 「순한종진열전(荀韓鍾陳列傳)」 63권 「이두열전(李杜列傳)」 64권 「오연사노조열전(吳延史盧趙列傳)」
순숙 · 한소 · 종호 · 진식이고,이섭, ,조준, · 두교오우 · 연독 · 사필 · 노식 · 조기
65권 「황보장단열전(皇甫張段列)」 66권 「진왕열전(陳王列傳)」
황보규 · 장환 · 단경진번 · 왕윤
67권 「당고열전(黨錮列傳)」
유숙 · 이응,이수, · 두밀 · 유우 · 위영 · 하복 · 종자 · 파숙 · 범방 · 윤훈,윤목, · 채연 · 양척 · 장검 · 진상 · 공욱 · 원강 · 유유 · 가표 · 하옹
68권 「곽부허열전(郭符許列傳)」 69권 「두하열전(竇何列傳)」 70권 「정공순열전(鄭孔荀列傳)」
곽태 · 부융 · 허소두무 · 하진정태 · 공융 · 순욱
71권 「황보숭주준열전(皇甫嵩朱儁列傳)」 72권 「동탁열전(董卓列傳)」 73권 「유우공손찬도겸열전(劉虞公孫瓚陶謙列傳)」
황보숭 · 주준동탁유우 · 공손찬 · 도겸
74권 「원소유표열전(袁紹劉表列傳)」 75권 「유언원술여포열전(劉焉袁術呂布列傳)」
원소 ,원담 · 원상, · 유표유언 · 원술 · 여포
76권 「순리열전(循吏列傳)」
위립 · 임연 · 왕경 · 진원 · 왕환 · 허형 · 맹상 · 제오방 · 유구,유광, · 유총 · 구람 · 동회
77권 「혹리열전(酷吏列傳)」
동선 · 번엽 · 이장 · 주우 · 황창 · 양구 · 왕길
78권 「환자열전(宦者列傳)」
정중 · 채륜 · 손정 · 조등 · 선초 · 서황 · 구원 · 좌관 · 당형 · 후람 · 조절 · 여강 · 장양 · 조충
79권 「유림열전(儒林列傳)」
유곤 · 규단 · 임안 · 양정 · 장흥 · 대빙 · 손기 · 구양흡 · 모장 · 송등 · 장순 · 윤민 · 주방 · 공희 · 양륜 · 고후 · 포함 · 위응 · 복공 · 임말 · 경란 · 설한 · 두무 · 소순 · 양인 · 조엽 · 위굉 · 동균 · 정공 · 주택 · 손감 · 종흥 · 견우 · 누망 · 정증 · 장현 · 이육 · 하휴 · 복건 · 영용 · 사해 · 허신 · 채현
80권 「문원열전(文苑列傳)」
두독 · 왕륭 · 하공 · 부의 · 황향 · 유의 · 이우 · 소순 · 유진 · 갈공 · 왕일 · 최기 · 변소 · 장승 · 조일 · 유량 · 변양 · 역염 · 후근 · 고표 · 장초 · 예형
81권 「독행열전(獨行列傳)」
초현 · 이업 · 유무 · 온서 · 팽수 · 삭로방 · 주가 · 범식 · 이선 · 왕돈 · 장무 · 육속 · 대봉 · 이충 · 무융 · 진중 · 뇌의 · 범염 · 대취 · 조포 · 상허 · 양보 · 유익 · 왕열
82권 「방술열전(方術列傳)」
임문공 · 곽헌 · 허양 · 고획 · 왕교 · 사이오 · 양유 · 이남 · 이합 · 단예 · 요부 · 절상 · 번영 · 당단 · 공사목 · 허만 · 조언 · 번지장 · 선양 · 한열 · 동부 · 곽옥 · 화타 · 서등 · 비장방 · 소자훈 · 유근 · 좌자 · 허자훈 · 해노고 · 장초 · 왕진 · 학맹절 · 유화평
83권 「일민열전(逸民列傳)」
상장 · 봉맹 · 주당 · 왕패 · 엄광 · 정단 · 양홍 · 고봉 · 대동 · 한강 · 교신 · 대량 · 법진 · 한음노보 · 진류노보 · 방공
84권 「열녀전(列女傳)」
환소군 · 조아(趙阿) · 반소 · 이목강 · 조아(曹娥) · 여영 · 마륜 · 조아(趙娥) · 순채 · 조원강 · 숙선웅 · 채염
85권 「동이열전(東夷列傳)」 86권 「남만서남이열전(南蠻西南夷列傳)」 87권 「서강전(西羌傳)」
부여국 · 읍루 · 고구려 · 북옥저 · · 남만 · 서남이서강
88권 「서역전(西域傳)」
구미국 · 우전국 · 서야국 · 자합국 · 덕약국 · 안식국 · 대진국 · 대월지국 · 고부국 · 천축국 · 동리국 · 율과국 · 엄국 · 엄채국 · 사거국 · 소륵국 · 언기국 · 포류국 · 이지국 · 동저미국
89권 「남흉노열전(南匈奴列傳)」 90권 「오환선비열전(烏桓鮮卑列傳)」
남흉노오환 · 선비




위서(魏書)
[ 본기(本紀)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8b><width=50%> 1권 「무제기(武帝紀)」 ||||<width=50%> 2권 「문제기(文帝紀)」 ||
||||<rowbgcolor=#fff,#191919> 조조 ,조등 왕준, |||| 조비 ||
|||| 3권 「명제기(明帝紀)」 |||| 4권 「삼소제기(三少帝紀)」 ||
||||<rowbgcolor=#fff,#191919> 조예 ,학소 진랑 맹타, |||| 조방 ,장특, · 조모 · 조환 ||
||<-4><width=1000> ||
[ 열전(列傳) ]
#181818,#e5e5e5 ||<-3><tablewidth=100%><tablebgcolor=#00008b> {{{-1 {{{#ffffff 5권}}}}}} {{{-2 {{{#ffffff 「후비전(后妃傳)」}}}}}} || ||<-3><rowbgcolor=#fff,#191919><width=1000> [[무선황후|{{{#black,#e5e5e5 무선황후}}}]] · [[문소황후|{{{#black,#e5e5e5 문소황후}}}]] · [[문덕황후 곽씨|{{{#black,#e5e5e5 문덕황후}}}]] · [[명도황후|{{{#black,#e5e5e5 명도황후}}}]] · [[명원황후|{{{#black,#e5e5e5 명원황후}}}]] || ||<width=33%> {{{-1 {{{#ffffff 6권}}}}}} {{{-2 {{{#ffffff 「동이원유전(董二袁劉傳)」}}}}}} ||<width=33%> {{{-1 {{{#ffffff 7권}}}}}} {{{-2 {{{#ffffff 「여포장홍전(呂布臧洪傳)」}}}}}} ||<width=33%> {{{-1 {{{#ffffff 8권}}}}}} {{{-2 {{{#ffffff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 ||<rowbgcolor=#fff,#191919> [[동탁|{{{#black,#e5e5e5 동탁}}}]] ,,,[[이각|{{{#black,#e5e5e5 이각}}}]] [[곽사|{{{#black,#e5e5e5 곽사}}}]] [[마등|{{{#black,#e5e5e5 마등}}}]] [[한수(삼국지)|{{{#black,#e5e5e5 한수}}}]],,,[br] [[원소(삼국지)|{{{#black,#e5e5e5 원소}}}]] ,,,[[저수#s-2|{{{#black,#e5e5e5 저수}}}]] [[전풍|{{{#black,#e5e5e5 전풍}}}]] [[원담|{{{#black,#e5e5e5 원담}}}]] [[원희|{{{#black,#e5e5e5 원희}}}]] [[원상|{{{#black,#e5e5e5 원상}}}]],,, · [[원술|{{{#black,#e5e5e5 원술}}}]][br] [[유표|{{{#black,#e5e5e5 유표}}}]] ,,,[[유종(삼국지)|{{{#black,#e5e5e5 유종}}}]] [[부손|{{{#black,#e5e5e5 부손}}}]] [[괴월|{{{#black,#e5e5e5 괴월}}}]] [[한숭|{{{#black,#e5e5e5 한숭}}}]] [[채모|{{{#black,#e5e5e5 채모}}}]],,, || [[여포|{{{#black,#e5e5e5 여포}}}]] ,,,[[장막(삼국지)|{{{#black,#e5e5e5 장막}}}]] [[진궁|{{{#black,#e5e5e5 진궁}}}]] [[진등|{{{#black,#e5e5e5 진등}}}]],,, · [[장홍(삼국지)#s-1|{{{#black,#e5e5e5 장홍}}}]] || [[공손찬|{{{#black,#e5e5e5 공손찬}}}]] ,,,[[유우(삼국지)|{{{#black,#e5e5e5 유우}}}]],,, · [[도겸(삼국지)|{{{#black,#e5e5e5 도겸}}}]] · [[장양|{{{#black,#e5e5e5 장양}}}]][br] [[공손도|{{{#black,#e5e5e5 공손도}}}]] ,,,[[공손연|{{{#black,#e5e5e5 공손연}}}]],,,[br] [[장연|{{{#black,#e5e5e5 장연}}}]] · [[장수(삼국지)|{{{#black,#e5e5e5 장수}}}]] · [[장로(삼국지)|{{{#black,#e5e5e5 장로}}}]] || ||<-2> {{{-1 {{{#ffffff 9권}}}}}} {{{-2 {{{#ffffff 「제하후조전(諸夏侯曹傳)」}}}}}} || {{{-1 {{{#ffffff 10권}}}}}} {{{-2 {{{#ffffff 「순욱순유가후전(荀彧荀攸賈詡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하후돈|{{{#black,#e5e5e5 하후돈}}}]] ,,,[[하후무|{{{#black,#e5e5e5 하후무}}}]] [[한호#s-2|{{{#black,#e5e5e5 한호}}}]] [[사환(삼국지)|{{{#black,#e5e5e5 사환}}}]],,, · [[하후연|{{{#black,#e5e5e5 하후연}}}]] ,,,[[하후패|{{{#black,#e5e5e5 하후패}}}]],,, · [[조인|{{{#black,#e5e5e5 조인}}}]] ,,,[[조순(후한)|{{{#black,#e5e5e5 조순}}}]],,, · [[조홍|{{{#black,#e5e5e5 조홍}}}]] · [[조휴|{{{#black,#e5e5e5 조휴}}}]] ,,,[[조조(둔기교위)|{{{#black,#e5e5e5 조조(肇)}}}]],,, [br] [[조진#s-1|{{{#black,#e5e5e5 조진}}}]] ,,,[[조상(삼국지)|{{{#black,#e5e5e5 조상}}}]] [[이승(조위)|{{{#black,#e5e5e5 이승}}}]] [[환범|{{{#black,#e5e5e5 환범}}}]] [[하안|{{{#black,#e5e5e5 하안}}}]],,, · [[하후상|{{{#black,#e5e5e5 하후상}}}]] ,,,[[하후현|{{{#black,#e5e5e5 하후현}}}]] [[이풍(조위)|{{{#black,#e5e5e5 이풍}}}]] [[허윤|{{{#black,#e5e5e5 허윤}}}]],,, || [[순욱|{{{#black,#e5e5e5 순욱}}}]] ,,,[[순의|{{{#black,#e5e5e5 순의}}}]] [[예형|{{{#black,#e5e5e5 예형}}}]],,, · [[순유|{{{#black,#e5e5e5 순유}}}]] · [[가후|{{{#black,#e5e5e5 가후}}}]] || || {{{-1 {{{#ffffff 11권}}}}}} {{{-2 {{{#ffffff 「원장양국전왕병관전(袁張凉國田王邴管傳)」}}}}}} || {{{-1 {{{#ffffff 12권}}}}}} {{{-2 {{{#ffffff 「최모서하형포사마전(崔毛徐何邢鮑司馬傳)」}}}}}} || {{{-1 {{{#ffffff 13권}}}}}} {{{-2 {{{#ffffff 「종요화흠왕랑전(鍾繇華歆王朗傳)」}}}}}} || ||<rowbgcolor=#fff,#191919>[[원환|{{{#black,#e5e5e5 원환}}}]] · [[장범|{{{#black,#e5e5e5 장범}}}]] ,,,[[장승(조위)|{{{#black,#e5e5e5 장승}}}]],,, · [[양무#s-1|{{{#black,#e5e5e5 양무}}}]] · [[국연|{{{#black,#e5e5e5 국연}}}]] [br] [[전주(삼국지)|{{{#black,#e5e5e5 전주}}}]] · [[왕수(삼국지)|{{{#black,#e5e5e5 왕수}}}]] · [[병원(삼국지)|{{{#black,#e5e5e5 병원}}}]] · [[관녕|{{{#black,#e5e5e5 관녕}}}]] ,,,[[왕렬#s-2|{{{#black,#e5e5e5 왕렬}}}]] [[장천(삼국시대)|{{{#black,#e5e5e5 장천}}}]] [[호소#s-2|{{{#black,#e5e5e5 호소}}}]],,,|| [[최염|{{{#black,#e5e5e5 최염}}}]] ,,,[[공융|{{{#black,#e5e5e5 공융}}}]] [[허유|{{{#black,#e5e5e5 허유}}}]] [[누규|{{{#black,#e5e5e5 누규}}}]],,, · [[모개|{{{#black,#e5e5e5 모개}}}]] · [[서혁|{{{#black,#e5e5e5 서혁}}}]] [br] [[하기(삼국지)|{{{#black,#e5e5e5 하기}}}]] · [[형옹|{{{#black,#e5e5e5 형옹}}}]] · [[포훈|{{{#black,#e5e5e5 포훈}}}]] · [[사마지|{{{#black,#e5e5e5 사마지}}}]] || [[종요|{{{#black,#e5e5e5 종요}}}]] ,,,[[종육|{{{#black,#e5e5e5 종육}}}]],,, · [[화흠|{{{#black,#e5e5e5 화흠}}}]] · [[왕랑|{{{#black,#e5e5e5 왕랑}}}]] ,,,[[왕숙|{{{#black,#e5e5e5 왕숙}}}]],,, || || {{{-1 {{{#ffffff 14권}}}}}} {{{-2 {{{#ffffff 「정곽동류장류전(程郭董劉蔣劉傳)」}}}}}} || {{{-1 {{{#ffffff 15권}}}}}} {{{-2 {{{#ffffff 「유사마량장온가전(劉司馬梁張溫賈傳)」}}}}}} || {{{-1 {{{#ffffff 16권}}}}}} {{{-2 {{{#ffffff 「임소두정창전(任蘇杜鄭倉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정욱|{{{#black,#e5e5e5 정욱}}}]] ,,,[[정효|{{{#black,#e5e5e5 정효}}}]],,, · [[곽가|{{{#black,#e5e5e5 곽가}}}]] · [[동소|{{{#black,#e5e5e5 동소}}}]] [br] [[유엽|{{{#black,#e5e5e5 유엽}}}]] ,,,[[유도(삼국지)#s-1|{{{#black,#e5e5e5 유도}}}]],,, · [[장제(조위 태위)|{{{#black,#e5e5e5 장제}}}]] · [[유방(삼국지)|{{{#black,#e5e5e5 유방}}}]] ,,,[[손자(삼국지)|{{{#black,#e5e5e5 손자}}}]],,, || [[유복#s-2|{{{#black,#e5e5e5 유복}}}]] ,,,[[유정(삼국지)|{{{#black,#e5e5e5 유정}}}]],,, · [[사마랑|{{{#black,#e5e5e5 사마랑}}}]] · [[양습|{{{#black,#e5e5e5 양습}}}]] ,,,[[왕사(삼국지)#s-1|{{{#black,#e5e5e5 왕사}}}]],,, [br] [[장기(삼국지)|{{{#black,#e5e5e5 장기}}}]] ,,,[[유초|{{{#black,#e5e5e5 유초}}}]] [[장집|{{{#black,#e5e5e5 장집}}}]],,, · [[온회|{{{#black,#e5e5e5 온회}}}]] ,,,[[맹건|{{{#black,#e5e5e5 맹건}}}]],,, · [[가규|{{{#black,#e5e5e5 가규}}}]] ,,,[[가충|{{{#black,#e5e5e5 가충}}}]],,, || [[임준|{{{#black,#e5e5e5 임준}}}]] · [[소칙|{{{#black,#e5e5e5 소칙}}}]] · [[두기(삼국지)|{{{#black,#e5e5e5 두기(畿)}}}]] ,,,[[두서#s-2|{{{#black,#e5e5e5 두서}}}]] [[악상(조위)|{{{#black,#e5e5e5 악상}}}]],,, [br] [[정혼(삼국지)|{{{#black,#e5e5e5 정혼}}}]] ,,,[[정태|{{{#black,#e5e5e5 정태}}}]],,, · [[창자(삼국지)|{{{#black,#e5e5e5 창자}}}]] ,,,[[안비|{{{#black,#e5e5e5 안비}}}]] [[영호소|{{{#black,#e5e5e5 영호소}}}]],,, || || {{{-1 {{{#ffffff 17권}}}}}} {{{-2 {{{#ffffff 「장악우장서전(張樂于張徐傳)」}}}}}} ||<-2> {{{-1 {{{#ffffff 18권}}}}}} {{{-2 {{{#ffffff 「이이장문여허전이방염전(二李藏文呂許典二龐閻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장료|{{{#black,#e5e5e5 장료}}}]] · [[악진|{{{#black,#e5e5e5 악진}}}]] · [[우금|{{{#black,#e5e5e5 우금}}}]] · [[장합|{{{#black,#e5e5e5 장합}}}]] · [[서황|{{{#black,#e5e5e5 서황}}}]] ,,,[[주령|{{{#black,#e5e5e5 주령}}}]],,, ||<-2> [[이전(삼국지)|{{{#black,#e5e5e5 이전}}}]] · [[이통|{{{#black,#e5e5e5 이통}}}]] · [[장패|{{{#black,#e5e5e5 장패}}}]] ,,,[[손관|{{{#black,#e5e5e5 손관}}}]],,, · [[문빙|{{{#black,#e5e5e5 문빙}}}]] · [[여건#s-2|{{{#black,#e5e5e5 여건}}}]] ,,,[[왕상(서진)|{{{#black,#e5e5e5 왕상}}}]],,, [br] [[허저|{{{#black,#e5e5e5 허저}}}]] · [[전위(삼국지)|{{{#black,#e5e5e5 전위}}}]] · [[방덕|{{{#black,#e5e5e5 방덕}}}]] ·[[방육|{{{#black,#e5e5e5 방육}}}]] ,,,[[방아친|{{{#black,#e5e5e5 조아}}}]],,, · [[염온|{{{#black,#e5e5e5 염온}}}]] || || {{{-1 {{{#ffffff 19권}}}}}} {{{-2 {{{#ffffff 「임성진소왕전(任城陳蕭王傳)」}}}}}} ||<-2> {{{-1 {{{#ffffff 20권}}}}}} {{{-2 {{{#ffffff 「무문세왕공전(武文世王公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조창|{{{#black,#e5e5e5 조창}}}]] · [[조식(삼국지)|{{{#black,#e5e5e5 조식}}}]] ,,,[[양수(삼국지)|{{{#black,#e5e5e5 양수}}}]] [[정의(삼국지)|{{{#black,#e5e5e5 정의}}}]] [[정이|{{{#black,#e5e5e5 정이}}}]],,, · [[조웅|{{{#black,#e5e5e5 조웅}}}]] ||<-2> [[조앙|{{{#black,#e5e5e5 조앙}}}]] · [[조삭|{{{#black,#e5e5e5 조삭}}}]] · [[조충|{{{#black,#e5e5e5 조충}}}]] ·[[조거|{{{#black,#e5e5e5 조거}}}]] · [[조우(삼국지)|{{{#black,#e5e5e5 조우}}}]] ·[[조림(삼국지)#s-1|{{{#black,#e5e5e5 조림(林)}}}]] · [[조곤|{{{#black,#e5e5e5 조곤}}}]] · [[조현#s-1|{{{#black,#e5e5e5 조현}}}]] ·[[조간|{{{#black,#e5e5e5 조간}}}]] ·[[조표(조위)|{{{#black,#e5e5e5 조표}}}]] ·[[조정(삼국지)|{{{#black,#e5e5e5 조정}}}]] ·[[조림#s-2|{{{#black,#e5e5e5 조림(霖)}}}]] || || {{{-1 {{{#ffffff 21권}}}}}} {{{-2 {{{#ffffff 「왕위이유부전(王衛二劉傳)」}}}}}} || {{{-1 {{{#ffffff 22권}}}}}} {{{-2 {{{#ffffff 「환이진서위노전(桓二陳徐衛盧傳)」}}}}}} || {{{-1 {{{#ffffff 23권}}}}}} {{{-2 {{{#ffffff 「화상양두조배전(和常楊杜趙裴傳)」}}}}}} || ||<rowbgcolor=#fff,#191919> [[왕찬|{{{#black,#e5e5e5 왕찬}}}]] ,,,[[진림|{{{#black,#e5e5e5 진림}}}]] [[완우|{{{#black,#e5e5e5 완우}}}]] [[유정(건안칠자)|{{{#black,#e5e5e5 유정}}}]],,, · [[위기(조위)|{{{#black,#e5e5e5 위기}}}]] · [[유이(삼국지)|{{{#black,#e5e5e5 유이}}}]] · [[유소(조위)|{{{#black,#e5e5e5 유소}}}]] · [[부하(삼국지)|{{{#black,#e5e5e5 부하}}}]] || [[환계|{{{#black,#e5e5e5 환계}}}]] · [[진군|{{{#black,#e5e5e5 진군}}}]] ,,,[[진태|{{{#black,#e5e5e5 진태}}}]],,, · [[진교#s-2|{{{#black,#e5e5e5 진교}}}]] · [[서선|{{{#black,#e5e5e5 서선}}}]] · [[위진|{{{#black,#e5e5e5 위진}}}]] · [[노육|{{{#black,#e5e5e5 노육}}}]] || [[화흡|{{{#black,#e5e5e5 화흡}}}]] · [[상림#s-2|{{{#black,#e5e5e5 상림}}}]] ,,,[[시묘|{{{#black,#e5e5e5 시묘}}}]],,, · [[양준|{{{#black,#e5e5e5 양준}}}]] ·[[두습|{{{#black,#e5e5e5 두습}}}]] · [[조엄|{{{#black,#e5e5e5 조엄}}}]] · [[배잠|{{{#black,#e5e5e5 배잠}}}]] ,,,[[배수(삼국지)|{{{#black,#e5e5e5 배수}}}]],,, || || {{{-1 {{{#ffffff 24권}}}}}} {{{-2 {{{#ffffff 「한최고손왕전(韓崔高孫王傳)」}}}}}} || {{{-1 {{{#ffffff 25권}}}}}} {{{-2 {{{#ffffff 「신비양부고당륭전(辛毗楊阜高堂隆傳)」}}}}}} || {{{-1 {{{#ffffff 26권}}}}}} {{{-2 {{{#ffffff 「만전견곽전(滿田牽郭傳)」}}}}}} || ||<rowbgcolor=#fff,#191919> [[한기(조위)|{{{#black,#e5e5e5 한기}}}]] · [[최림(삼국지)|{{{#black,#e5e5e5 최림}}}]] ·[[고유(삼국지)|{{{#black,#e5e5e5 고유}}}]] · [[손례|{{{#black,#e5e5e5 손례}}}]] · [[왕관(삼국지)|{{{#black,#e5e5e5 왕관}}}]] || [[신비(삼국지)|{{{#black,#e5e5e5 신비}}}]] ,,,[[신헌영|{{{#black,#e5e5e5 신헌영}}}]],,, · [[양부(삼국지)|{{{#black,#e5e5e5 양부}}}]] ,,,[[왕이(삼국지)|{{{#black,#e5e5e5 왕이}}}]],,, · [[고당륭|{{{#black,#e5e5e5 고당륭}}}]] ,,,[[잔잠|{{{#black,#e5e5e5 잔잠}}}]],,, || [[만총|{{{#black,#e5e5e5 만총}}}]] · [[전예|{{{#black,#e5e5e5 전예}}}]] · [[견초|{{{#black,#e5e5e5 견초}}}]] · [[곽회|{{{#black,#e5e5e5 곽회}}}]] || || {{{-1 {{{#ffffff 27권}}}}}} {{{-2 {{{#ffffff 「서호이왕전(徐胡二王傳)」}}}}}} |||| {{{-1 {{{#ffffff 28권}}}}}} {{{-2 {{{#ffffff 「왕관구제갈등종전(王毌丘諸葛鄧鍾傳)」}}}}}} || ||<rowbgcolor=#fff,#191919> [[서막#s-2|{{{#black,#e5e5e5 서막}}}]] · [[호질#s-1|{{{#black,#e5e5e5 호질}}}]] ,,,[[호위(서진)|{{{#black,#e5e5e5 호위}}}]],,, · [[왕창(삼국지)|{{{#black,#e5e5e5 왕창}}}]] · [[왕기(삼국지)|{{{#black,#e5e5e5 왕기}}}]] |||| [[왕릉(삼국지)|{{{#black,#e5e5e5 왕릉}}}]] ,,,[[선고#s-2|{{{#black,#e5e5e5 선고}}}]] [[영호우|{{{#black,#e5e5e5 영호우}}}]],,, · [[관구검|{{{#black,#e5e5e5 관구검}}}]] ,,,[[문흠|{{{#black,#e5e5e5 문흠}}}]],,, · [[제갈탄|{{{#black,#e5e5e5 제갈탄}}}]] ,,,[[당자#s-2|{{{#black,#e5e5e5 당자}}}]],,, · [[등애|{{{#black,#e5e5e5 등애}}}]] ,,,[[주태(조위)|{{{#black,#e5e5e5 주태}}}]],,, · [[종회|{{{#black,#e5e5e5 종회}}}]] ,,,[[장창포|{{{#black,#e5e5e5 장창포}}}]] [[왕필(조위)|{{{#black,#e5e5e5 왕필}}}]],,, || ||<-3> {{{-1 {{{#ffffff 29권}}}}}} {{{-2 {{{#ffffff 「방기전(方技傳)」}}}}}} || ||<-3><bgcolor=#fff,#191919> [[화타|{{{#black,#e5e5e5 화타}}}]] · [[두기(조위)|{{{#black,#e5e5e5 두기(夔)}}}]] ,,,[[마균|{{{#black,#e5e5e5 마균}}}]],,, · [[주건평|{{{#black,#e5e5e5 주건평}}}]] · [[주선(삼국지)#s-1|{{{#black,#e5e5e5 주선}}}]] · [[관로|{{{#black,#e5e5e5 관로}}}]] || ||<-3> {{{-1 {{{#ffffff 30권}}}}}} {{{-2 {{{#ffffff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 ||<-3><bgcolor=#fff,#191919> [[오환족|{{{#black,#e5e5e5 오환}}}]] · [[선비(민족)|{{{#black,#e5e5e5 선비}}}]] ,,,[[가비능|{{{#black,#e5e5e5 가비능}}}]],,, · [[부여|{{{#black,#e5e5e5 부여}}}]] ·[[고구려|{{{#black,#e5e5e5 고구려}}}]] · [[왜국|{{{#black,#e5e5e5 왜}}}]] ·[[읍루|{{{#black,#e5e5e5 읍루}}}]] · [[예맥|{{{#black,#e5e5e5 예맥}}}]] · [[옥저|{{{#black,#e5e5e5 동옥저}}}]] ·[[마한|{{{#black,#e5e5e5 마한}}}]] · [[진한|{{{#black,#e5e5e5 진한}}}]] · [[변한|{{{#black,#e5e5e5 변한}}}]]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bgcolor=#fff> {{{-2 {{{#000 관련 틀: }}}}}}
[[틀:촉서|{{{#008000 촉서}}}]]
[[틀:오서|{{{#8b0000 오서}}}]]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8b><tablebgcolor=#00008b>
[[:분류:둘러보기 틀/중국의 역사/사서|{{{#000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진서(晉書)
[ 제기(帝紀) ]


||<-2><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width=33%> 1권 「선제기(宣帝紀)」 ||<-2><width=33%> 2권 「경제문제기(景帝文帝紀)」 ||<-2><width=33%> 3권 「무제기(武帝紀)」 ||
||<-2><rowbgcolor=#fff,#191919> 사마의 ||<-2> 사마사 · 사마소(昭) ||<-2> 사마염 ||
||<-2> 4권 「혜제기(惠帝紀)」 ||<-2> 5권 「회제민제기(懷帝愍帝紀)」 ||<-2> 6권 「원제명제기(元帝明帝紀)」 ||
||<-2><rowbgcolor=#fff,#191919> 사마충(衷) ||<-2> 사마치 · 사마업 ||<-2> 사마예 · 사마소(紹) ||
||<-3><width=50%> 7권 「성제강제기(成帝康帝紀)」 ||<-3><width=50%> 8권 「목제애재폐제기(穆帝哀帝廢帝紀)」 ||
||<-3><rowbgcolor=#fff,#191919> 사마연(衍) · 사마악 ||<-3> 사마담 · 사마비 · 사마혁 ||
||<-3> 9권 「간문제효무제기(簡文帝孝武帝紀)」 ||<-3> 10권 「안제공제기(安帝恭帝紀)」 ||
||<-3><rowbgcolor=#fff,#191919> 사마욱 · 사마요 ||<-3> 사마덕종 · 사마덕문 ||
||<-6><width=1000> ||
※ 11권 ~ 30권은 志에 해당. 진서 문서 참고

[ 열전(列傳) ]
#181818,#e5e5e5 ||<-6><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 {{{-1 {{{#ffffff 31·32권}}}}}} {{{-2 {{{#fff 「후비전(后妃傳)」}}} }}} || ||<-6><bgcolor=#fff,#191919> [[장춘화|{{{#000,#e5e5e5 장춘화}}}]] · [[하후휘|{{{#000,#e5e5e5 하후휘}}}]] · [[양휘유|{{{#000,#e5e5e5 양휘유}}}]] · [[왕원희|{{{#000,#e5e5e5 왕원희}}}]] · [[양염|{{{#000,#e5e5e5 양염}}}]] · [[양지(삼국지)|{{{#000,#e5e5e5 양지}}}]] · [[좌분|{{{#000,#e5e5e5 좌분}}}]] · [[호방#s-2|{{{#000,#e5e5e5 호방}}}]] · [[제갈완|{{{#000,#e5e5e5 제갈완}}}]] · [[가남풍|{{{#000,#e5e5e5 가남풍}}}]] · [[양헌용|{{{#000,#e5e5e5 양헌용}}}]] · [[사구(삼국지)|{{{#000,#e5e5e5 사구}}}]] · [[왕원희|{{{#000,#e5e5e5 왕원희}}}]]^^(1)^^ · [[하후광희|{{{#000,#e5e5e5 하후광희}}}]] · [[순씨|{{{#999,#666666 순씨}}}]][br][[우맹모|{{{#000,#e5e5e5 우맹모}}}]] · [[유문군|{{{#000,#e5e5e5 유문군}}}]] · [[두릉양|{{{#000,#e5e5e5 두릉양}}}]] · [[주씨|{{{#999,#666666 주씨}}}]] · [[저산자|{{{#000,#e5e5e5 저산자}}}]] · [[하법예|{{{#000,#e5e5e5 하법예}}}]] · [[왕목지|{{{#000,#e5e5e5 왕목지}}}]] · [[유도련|{{{#000,#e5e5e5 유도련}}}]] · [[정아춘|{{{#000,#e5e5e5 정아춘}}}]] · [[왕간희|{{{#000,#e5e5e5 왕간희}}}]] · [[이능용|{{{#000,#e5e5e5 이능용}}}]] · [[왕법혜|{{{#000,#e5e5e5 왕법혜}}}]] · [[진귀녀|{{{#000,#e5e5e5 진귀녀}}}]] · [[안희황후|{{{#000,#e5e5e5 왕신애}}}]] · [[공사황후|{{{#000,#e5e5e5 저영원}}}]] || ||<-3><width=50%> {{{-1 {{{#ffffff 33권}}}}}} {{{-2 {{{#fff 「왕상등전(王祥等傳)」}}} }}} ||<-3><width=50%> {{{-1 {{{#ffffff 34권}}}}}} {{{-2 {{{#fff 「양호등전(羊祜等傳)」}}} }}} || ||<-3><rowbgcolor=#fff,#191919> [[왕상(서진)|{{{#000,#e5e5e5 왕상}}}]] ,,,[[왕람|{{{#000,#e5e5e5 왕람}}}]],,, · [[정충|{{{#000,#e5e5e5 정충}}}]] · [[하증|{{{#000,#e5e5e5 하증}}}]] ,,,[[하소|{{{#000,#e5e5e5 하소}}}]],,, · [[석포|{{{#000,#e5e5e5 석포}}}]] ,,,[[석숭|{{{#000,#e5e5e5 석숭}}}]],,, ||<-3> [[양호(삼국지)|{{{#000,#e5e5e5 양호}}}]] · [[두예|{{{#000,#e5e5e5 두예}}}]] || ||<-3> {{{-1 {{{#ffffff 35권}}}}}} {{{-2 {{{#fff 「진건등전(陳騫等傳)」}}} }}} ||<-3> {{{-1 {{{#ffffff 36권}}}}}} {{{-2 {{{#fff 「위관등전(衛瓘等傳)」}}} }}} || ||<-3><rowbgcolor=#fff,#191919> [[진건#s-2|{{{#000,#e5e5e5 진건}}}]] · [[배수#s-2|{{{#000,#e5e5e5 배수}}}]] ,,,[[배외|{{{#000,#e5e5e5 배외}}}]] [[배해|{{{#000,#e5e5e5 배해}}}]] [[배헌|{{{#000,#e5e5e5 배헌}}}]],,, ||<-3> [[위관|{{{#000,#e5e5e5 위관}}}]] ,,,[[위항|{{{#999,#666666 위항}}}]] [[위개|{{{#000,#e5e5e5 위개}}}]],,, · [[장화(삼국지)|{{{#000,#e5e5e5 장화}}}]] · [[유변|{{{#000,#e5e5e5 유변}}}]] || ||<-6> {{{-1 {{{#ffffff 37권}}}}}} {{{-2 {{{#fff 「종실전(宗室傳)」}}} }}} || ||<-6><rowbgcolor=#fff,#191919> [[사마부|{{{#000,#e5e5e5 사마부(孚)}}}]] ,,,[[사마옹#s-3|{{{#000,#e5e5e5 사마옹(邕)}}}]] [[사마숭|{{{#999,#666666 사마숭}}}]] [[사마망|{{{#000,#e5e5e5 사마망}}}]] [[사마무|{{{#000,#e5e5e5 사마무}}}]] [[사마보|{{{#999,#666666 사마보}}}]] [[사마익|{{{#000,#e5e5e5 사마익}}}]] [[사마황|{{{#999,#666666 사마황}}}]] [[사마부(서진)|{{{#999,#666666 사마부(裒)}}}]] [[사마작|{{{#999,#666666 사마작}}}]] [[사마위#s-3|{{{#000,#e5e5e5 사마위(韡)}}}]] [[사마소(서진)|{{{#999,#666666 사마소(韶)}}}]] [[사마괴|{{{#000,#e5e5e5 사마괴}}}]],,, ,,,[[사마규|{{{#999,#666666 사마규}}}]] [[사마송|{{{#999,#666666 사마송}}}]] [[사마형|{{{#000,#e5e5e5 사마형}}}]] [[사마돈|{{{#000,#e5e5e5 사마돈}}}]] [[사마경(패왕)|{{{#999,#666666 사마경}}}]] [[사마도|{{{#999,#666666 사마도}}}]],,, · [[사마권|{{{#000,#e5e5e5 사마권}}}]] ,,,[[사마식|{{{#000,#e5e5e5 사마식}}}]] [[사마석|{{{#999,#666666 사마석}}}]] [[사마웅|{{{#999,#666666 사마웅}}}]],,, ,,,[[사마굉|{{{#999,#666666 사마굉}}}]] [[사마홍|{{{#999,#666666 사마홍}}}]] [[사마소(서진)|{{{#999,#666666 사마소(邵)}}}]] [[사마숭|{{{#999,#666666 사마숭}}}]] [[사마집|{{{#999,#666666 사마집}}}]] [[사마준(동명이인)|{{{#999,#666666 사마준(俊)}}}]] [[사마순(서진)|{{{#999,#666666 사마순}}}]] [[사마회|{{{#000,#e5e5e5 사마회}}}]],,, · [[사마태|{{{#000,#e5e5e5 사마태}}}]] ,,,[[사마략|{{{#000,#e5e5e5 사마략}}}]] [[사마등|{{{#000,#e5e5e5 사마등}}}]] [[사마모|{{{#000,#e5e5e5 사마모}}}]],,, · [[사마수(범양왕)|{{{#000,#e5e5e5 사마수(綏)}}}]] ,,,[[사마효|{{{#999,#666666 사마효}}}]],,, · [[사마수|{{{#000,#e5e5e5 사마수(遂)}}}]] ,,,[[사마훈|{{{#000,#e5e5e5 사마훈}}}]],,, · [[사마손|{{{#000,#e5e5e5 사마손}}}]] ,,,[[사마승|{{{#000,#e5e5e5 사마승}}}]] [[사마무기|{{{#999,#666666 사마무기}}}]] [[사마념|{{{#999,#666666 사마념}}}]] [[사마상지|{{{#999,#666666 사마상지}}}]] [[사마회지|{{{#999,#666666 사마회지}}}]] [[사마휴지|{{{#999,#666666 사마휴지}}}]] [[사마윤지|{{{#999,#666666 사마윤지}}}]] [[한연지|{{{#999,#666666 한연지}}}]],,, · [[사마목|{{{#000,#e5e5e5 사마목}}}]] · [[사마릉|{{{#000,#e5e5e5 사마릉}}}]] ,,,[[사마순|{{{#000,#e5e5e5 사마순}}}]] [[사마빈|{{{#000,#e5e5e5 사마빈}}}]],,, || ||<-6> {{{-1 {{{#ffffff 38권}}}}}} {{{-2 {{{#fff 「선오왕문육왕전(宣五王文六王傳)」}}} }}} || ||<-6><rowbgcolor=#fff,#191919> [[사마간|{{{#000,#e5e5e5 사마간(榦)}}}]] · [[사마주|{{{#000,#e5e5e5 사마주}}}]] ,,,[[사마근|{{{#000,#e5e5e5 사마근}}}]] [[사마담|{{{#000,#e5e5e5 사마담}}}]] [[사마요|{{{#000,#e5e5e5 사마요}}}]] [[사마최|{{{#000,#e5e5e5 사마최}}}]],,, · [[사마경|{{{#000,#e5e5e5 사마경(京)}}}]] · [[사마준|{{{#000,#e5e5e5 사마준(駿)}}}]] ,,,[[사마흠|{{{#000,#e5e5e5 사마흠}}}]],,, · [[사마융|{{{#000,#e5e5e5 사마융}}}]] · [[사마유|{{{#000,#e5e5e5 사마유(攸)}}}]] ,,,[[사마유(동래왕)|{{{#000,#e5e5e5 사마유(蕤)}}}]],,, · [[사마조#s-1|{{{#000,#e5e5e5 사마조}}}]] · [[사마정국|{{{#000,#e5e5e5 사마정국}}}]] · [[사마광덕|{{{#000,#e5e5e5 사마광덕}}}]] · [[사마감|{{{#000,#e5e5e5 사마감}}}]] · [[사마연조|{{{#000,#e5e5e5 사마연조}}}]] || ||<-2><width=33%> {{{-1 {{{#ffffff 39권}}}}}} {{{-2 {{{#fff 「왕침등전(王沈等傳)」}}} }}} ||<-2><width=33%> {{{-1 {{{#ffffff 40권}}}}}} {{{-2 {{{#fff 「가충등전(賈充等傳)」}}} }}} ||<-2><width=33%> {{{-1 {{{#ffffff 41권}}}}}} {{{-2 {{{#fff 「위서등전(魏舒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왕침#s-1|{{{#000,#e5e5e5 왕침(王沈)}}}]] ,,,[[왕준(표기대장군)|{{{#000,#e5e5e5 왕준(浚)}}}]],,, · [[순의|{{{#000,#e5e5e5 순의}}}]] · [[순욱(서진)|{{{#000,#e5e5e5 순욱}}}]] ,,,[[순번|{{{#999,#666666 순번}}}]] [[순조(서진)|{{{#999,#666666 순조}}}]] [[순혁|{{{#999,#666666 순혁}}}]],,, · [[풍담|{{{#000,#e5e5e5 풍담}}}]] ||<-2> [[가충|{{{#000,#e5e5e5 가충}}}]] · [[양준(서진)|{{{#000,#e5e5e5 양준}}}]] ,,,[[양요|{{{#000,#e5e5e5 양요}}}]] [[양제|{{{#000,#e5e5e5 양제}}}]],,, ||<-2> [[위서(삼국지)|{{{#000,#e5e5e5 위서}}}]] · [[이희(서진)|{{{#000,#e5e5e5 이희}}}]] · [[유식#s-2|{{{#000,#e5e5e5 유식}}}]] · [[고광|{{{#000,#e5e5e5 고광}}}]] || ||<-3> {{{-1 {{{#ffffff 42권}}}}}} {{{-2 {{{#fff 「왕혼등전(王渾等傳)」}}} }}} ||<-3> {{{-1 {{{#ffffff 43권}}}}}} {{{-2 {{{#fff 「산도등전(山濤等傳)」}}} }}} || ||<-3><rowbgcolor=#fff,#191919> [[왕혼#s-1|{{{#000,#e5e5e5 왕혼}}}]] ,,,[[왕제|{{{#000,#e5e5e5 왕제}}}]],,, · [[왕준(무군대장군)|{{{#000,#e5e5e5 왕준(濬)}}}]] · [[당빈|{{{#000,#e5e5e5 당빈}}}]] ||<-3> [[산도(서진)|{{{#000,#e5e5e5 산도}}}]] ,,,[[산간|{{{#000,#e5e5e5 산간}}}]] [[산하|{{{#000,#e5e5e5 산하}}}]],,, · [[왕융|{{{#000,#e5e5e5 왕융}}}]] ,,,[[왕연|{{{#000,#e5e5e5 왕연}}}]] [[왕징|{{{#000,#e5e5e5 왕징}}}]] [[곽서|{{{#000,#e5e5e5 곽서}}}]],,, · [[악광|{{{#000,#e5e5e5 악광}}}]] || ||<-3> {{{-1 {{{#ffffff 44권}}}}}} {{{-2 {{{#fff 「정무등전(鄭袤等傳)」}}} }}} ||<-3> {{{-1 {{{#ffffff 45권}}}}}} {{{-2 {{{#fff 「유의등전(劉毅等傳)」}}} }}} || ||<-3><rowbgcolor=#fff,#191919> [[정무#s-3|{{{#000,#e5e5e5 정무}}}]] ,,,[[정묵|{{{#000,#e5e5e5 정묵}}}]],,, · [[이윤(서진)|{{{#000,#e5e5e5 이윤}}}]] · [[노흠|{{{#000,#e5e5e5 노흠}}}]] ,,,[[노지(서진)|{{{#000,#e5e5e5 노지(盧志)}}}]] [[노심|{{{#000,#e5e5e5 노심}}}]],,, · [[화표|{{{#000,#e5e5e5 화표}}}]] ,,,[[화이|{{{#000,#e5e5e5 화이}}}]] [[화항|{{{#000,#e5e5e5 화항}}}]] [[화교(서진)|{{{#000,#e5e5e5 화교}}}]],,, · [[석감#s-1|{{{#000,#e5e5e5 석감}}}]] · [[온선|{{{#000,#e5e5e5 온선}}}]] ||<-3> [[유의(서진)|{{{#000,#e5e5e5 유의}}}]] ,,,[[유돈|{{{#000,#e5e5e5 유돈}}}]],,, · [[화교(삼국지)#s-1|{{{#000,#e5e5e5 화교}}}]] · [[무해|{{{#000,#e5e5e5 무해}}}]] · [[임개|{{{#000,#e5e5e5 임개}}}]] · [[최홍(서진)|{{{#000,#e5e5e5 최홍}}}]] · [[곽혁(서진)|{{{#000,#e5e5e5 곽혁}}}]] · [[후사광|{{{#000,#e5e5e5 후사광}}}]] · [[하반|{{{#000,#e5e5e5 하반}}}]] || ||<-2> {{{-1 {{{#ffffff 46권}}}}}} {{{-2 {{{#fff 「유송등전(劉頌等傳)」}}} }}} ||<-2> {{{-1 {{{#ffffff 47권}}}}}} {{{-2 {{{#fff 「부현전(傅玄傳)」}}} }}} ||<-2> {{{-1 {{{#ffffff 48권}}}}}} {{{-2 {{{#fff 「상웅등전(向雄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유송|{{{#000,#e5e5e5 유송}}}]] · [[이중|{{{#000,#e5e5e5 이중}}}]] ||<-2> [[부현|{{{#000,#e5e5e5 부현}}}]] · [[부함|{{{#000,#e5e5e5 부함}}}]] · [[부지|{{{#000,#e5e5e5 부지}}}]] ||<-2> [[상웅|{{{#000,#e5e5e5 상웅}}}]] · [[단작|{{{#000,#e5e5e5 단작}}}]] · [[염찬|{{{#000,#e5e5e5 염찬}}}]] || ||<-6> {{{-1 {{{#ffffff 49권}}}}}} {{{-2 {{{#fff 「완적등전(阮籍等傳)」}}} }}} || ||<-6><rowbgcolor=#fff,#191919> [[완적|{{{#000,#e5e5e5 완적}}}]] · [[혜강|{{{#000,#e5e5e5 혜강}}}]] · [[상수(삼국지)|{{{#000,#e5e5e5 상수}}}]] · [[유영(서진)|{{{#000,#e5e5e5 유영}}}]] · [[사곤|{{{#000,#e5e5e5 사곤}}}]] · [[호무보지|{{{#000,#e5e5e5 호무보지}}}]] · [[필탁|{{{#000,#e5e5e5 필탁}}}]] · [[왕니|{{{#000,#e5e5e5 왕니}}}]] · [[양만|{{{#000,#e5e5e5 양만}}}]] · [[광일|{{{#000,#e5e5e5 광일}}}]] || ||<-6> {{{-1 {{{#ffffff 50권}}}}}} {{{-2 {{{#fff 「조지등전(曹志等傳)」}}} }}} || ||<-6><rowbgcolor=#fff,#191919> [[조지(서진)|{{{#000,#e5e5e5 조지(曹志)}}}]] · [[유준(삼국지)#s-3|{{{#000,#e5e5e5 유준}}}]] · [[곽상#s-1|{{{#000,#e5e5e5 곽상}}}]] · [[유순(서진)|{{{#000,#e5e5e5 유순}}}]] · [[진수(서진)|{{{#000,#e5e5e5 진수(秦秀)}}}]] || ||<-2> {{{-1 {{{#ffffff 51권}}}}}} {{{-2 {{{#fff 「황보밀등전(皇甫謐等傳)」}}} }}} ||<-2> {{{-1 {{{#ffffff 52권}}}}}} {{{-2 {{{#fff 「극선등전(郤詵等傳)」}}} }}} ||<-2> {{{-1 {{{#ffffff 53권}}}}}} {{{-2 {{{#fff 「민회태자전(愍懷太子傳)」}}} }}} || ||<-2><rowbgcolor=#fff,#191919> [[황보밀|{{{#000,#e5e5e5 황보밀}}}]] · [[지우(삼국지)|{{{#000,#e5e5e5 지우}}}]] · [[속석|{{{#000,#e5e5e5 속석}}}]] · [[왕접|{{{#000,#e5e5e5 왕접}}}]] ||<-2> [[극선|{{{#000,#e5e5e5 극선}}}]] · [[완충|{{{#999,#666666 완충}}}]] · [[화담|{{{#999,#666666 화담}}}]] ||<-2> [[사마휼|{{{#000,#e5e5e5 민회태자}}}]] || ||<-2> {{{-1 {{{#ffffff 54권}}}}}} {{{-2 {{{#fff 「육기등전(陸機等傳)」}}} }}} ||<-2> {{{-1 {{{#ffffff 55권}}}}}} {{{-2 {{{#fff 「하후담등전(夏侯湛等傳)」}}} }}} ||<-2> {{{-1 {{{#ffffff 56권}}}}}} {{{-2 {{{#fff 「강통등전(江統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육기|{{{#000,#e5e5e5 육기}}}]] · [[육운|{{{#000,#e5e5e5 육운}}}]] ||<-2> [[하후담|{{{#000,#e5e5e5 하후담}}}]] · [[반악|{{{#000,#e5e5e5 반악}}}]] · [[장재|{{{#000,#e5e5e5 장재}}}]] ||<-2> [[강통|{{{#999,#666666 강통}}}]] · [[손초|{{{#000,#e5e5e5 손초}}}]] || ||<-4> {{{-1 {{{#ffffff 57권}}}}}} {{{-2 {{{#fff 「나헌등전(羅憲等傳)」}}} }}} ||<-2> {{{-1 {{{#ffffff 58권}}}}}} {{{-2 {{{#fff 「주처등전(周處等傳)」}}} }}} || ||<-4><rowbgcolor=#fff,#191919> [[나헌|{{{#000,#e5e5e5 나헌}}}]] ,,,[[나상|{{{#000,#e5e5e5 나상}}}]],,, · [[등수#s-2|{{{#000,#e5e5e5 등수}}}]] · [[마륭|{{{#000,#e5e5e5 마륭}}}]] · [[호분#s-1|{{{#000,#e5e5e5 호분}}}]] · [[오언(삼국지)|{{{#000,#e5e5e5 오언}}}]] · [[장광(서진)|{{{#000,#e5e5e5 장광}}}]] · [[조유|{{{#000,#e5e5e5 조유}}}]] ||<-2> [[주처|{{{#000,#e5e5e5 주처}}}]] · [[주방(서진)|{{{#000,#e5e5e5 주방}}}]] ,,,[[주무|{{{#999,#666666 주무}}}]] [[주초|{{{#999,#666666 주초}}}]] [[주효|{{{#999,#666666 주효}}}]],,, || ||<-6> {{{-1 {{{#ffffff 59권}}}}}} {{{-2 {{{#fff 「여남왕량등전(汝南王亮等傳)」}}} }}} || ||<-6><rowbgcolor=#fff,#191919> [[사마량|{{{#000,#e5e5e5 사마량}}}]] · [[사마위|{{{#000,#e5e5e5 사마위(瑋)}}}]] · [[사마륜|{{{#000,#e5e5e5 사마륜}}}]] · [[사마경|{{{#000,#e5e5e5 사마경(冏)}}}]] · [[사마예|{{{#000,#e5e5e5 사마예}}}]] · [[사마영|{{{#000,#e5e5e5 사마영}}}]] · [[사마옹|{{{#000,#e5e5e5 사마옹}}}]] · [[사마월|{{{#000,#e5e5e5 사마월}}}]] || ||<-6> {{{-1 {{{#ffffff 60권}}}}}} {{{-2 {{{#fff 「해계등전(解系等傳)」}}} }}} || ||<-6><rowbgcolor=#fff,#191919> [[해계|{{{#000,#e5e5e5 해계}}}]] · [[손기(서진)|{{{#000,#e5e5e5 손기}}}]] · [[맹관|{{{#000,#e5e5e5 맹관}}}]] · [[견수|{{{#000,#e5e5e5 견수}}}]] · [[무파|{{{#000,#e5e5e5 무파}}}]] · [[황보중|{{{#000,#e5e5e5 황보중}}}]] · [[장보(서진)|{{{#000,#e5e5e5 장보}}}]] · [[이함(서진)|{{{#000,#e5e5e5 이함}}}]] · [[장방(서진)|{{{#000,#e5e5e5 장방}}}]] · [[염정|{{{#000,#e5e5e5 염정}}}]] · [[색정|{{{#000,#e5e5e5 색정}}}]] ,,,[[색침|{{{#000,#e5e5e5 색침}}}]],,, · [[가필(서진)|{{{#000,#e5e5e5 가필}}}]] || ||<-2> {{{-1 {{{#ffffff 61권}}}}}} {{{-2 {{{#fff 「주준등전(周浚等傳)」}}} }}} ||<-2> {{{-1 {{{#ffffff 62권}}}}}} {{{-2 {{{#fff 「유곤등전(劉琨等傳)」}}} }}} ||<-2> {{{-1 {{{#ffffff 63권}}}}}} {{{-2 {{{#fff 「소속등전(邵續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주준(서진)|{{{#000,#e5e5e5 주준}}}]] ,,,[[주복|{{{#000,#e5e5e5 주복}}}]],,, · [[성공간|{{{#000,#e5e5e5 성공간}}}]] · [[구희(서진)|{{{#000,#e5e5e5 구희}}}]] · [[화질(서진)|{{{#999,#666666 화질}}}]] · [[유교(삼국지)|{{{#000,#e5e5e5 유교}}}]] ||<-2> [[유곤(서진)|{{{#000,#e5e5e5 유곤(劉琨)}}}]] · [[조적|{{{#000,#e5e5e5 조적}}}]] ||<-2> [[소속(동진)|{{{#000,#e5e5e5 소속}}}]] · [[이구(서진)|{{{#999,#666666 이구}}}]] · [[단필제|{{{#000,#e5e5e5 단필제}}}]] · [[위준|{{{#999,#666666 위준}}}]] ,,,[[위해|{{{#000,#e5e5e5 위해}}}]],,, · [[곽묵|{{{#999,#666666 곽묵}}}]] || ||<-6> {{{-1 {{{#ffffff 64권}}}}}} {{{-2 {{{#fff 「무십삼왕원사왕간문삼자전(武十三王元四王簡文三子傳)」}}} }}} || ||<-6><rowbgcolor=#fff,#191919> [[사마궤|{{{#000,#e5e5e5 사마궤}}}]] · [[사마간|{{{#000,#e5e5e5 사마간(柬)}}}]] · [[사마경|{{{#000,#e5e5e5 사마경(景)}}}]] · [[사마지(서진)|{{{#000,#e5e5e5 사마지}}}]] · [[사마유(시평왕)|{{{#000,#e5e5e5 사마유(裕)}}}]] · [[사마윤|{{{#000,#e5e5e5 사마윤}}}]] · [[사마연|{{{#000,#e5e5e5 사마연(演)}}}]] · [[사마해|{{{#000,#e5e5e5 사마해}}}]] · [[사마하|{{{#000,#e5e5e5 사마하}}}]] · [[사마모|{{{#000,#e5e5e5 사마모(謨)}}}]] · [[사마안|{{{#000,#e5e5e5 사마안}}}]] · [[사마회|{{{#000,#e5e5e5 사마회}}}]] · [[사마부(동진)|{{{#000,#e5e5e5 사마부(裒)}}}]] · [[사마충(동진)|{{{#000,#e5e5e5 사마충(沖)}}}]] · [[사마희|{{{#999,#666666 사마희}}}]] · [[사마환|{{{#999,#666666 사마환}}}]] · [[사마도생|{{{#000,#e5e5e5 사마도생}}}]] · [[사마욱|{{{#000,#e5e5e5 사마욱(郁)}}}]] · [[사마도자|{{{#000,#e5e5e5 사마도자}}}]] || ||<-6> {{{-1 {{{#ffffff 65권}}}}}} {{{-2 {{{#fff 「왕도전(王導傳)」}}} }}} || ||<-6><rowbgcolor=#fff,#191919> [[왕도(동진)|{{{#000,#e5e5e5 왕도}}}]] || ||<-2> {{{-1 {{{#ffffff 66권}}}}}} {{{-2 {{{#fff 「유홍등전(劉弘等傳)」}}} }}} ||<-2> {{{-1 {{{#ffffff 67권}}}}}} {{{-2 {{{#fff 「온교등전(溫嶠等傳)」}}} }}} ||<-2> {{{-1 {{{#ffffff 68권}}}}}} {{{-2 {{{#fff 「고영등전(顧榮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유홍(서진)|{{{#000,#e5e5e5 유홍}}}]] · [[도간|{{{#000,#e5e5e5 도간}}}]] ||<-2> [[온교|{{{#999,#666666 온교}}}]] · [[치감|{{{#999,#666666 치감}}}]] ||<-2> [[고영|{{{#000,#e5e5e5 고영}}}]] · [[기첨|{{{#999,#666666 기첨}}}]] · [[하순|{{{#000,#e5e5e5 하순}}}]] · [[설겸|{{{#999,#666666 설겸}}}]] || ||<-2> {{{-1 {{{#ffffff 69권}}}}}} {{{-2 {{{#fff 「유외등전(劉隗等傳)」}}} }}} ||<-2> {{{-1 {{{#ffffff 70권}}}}}} {{{-2 {{{#fff 「응첨등전(應詹等傳)」}}} }}} ||<-2> {{{-1 {{{#ffffff 71권}}}}}} {{{-2 {{{#fff 「손혜등전(孫惠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유외(동진)|{{{#000,#e5e5e5 유외}}}]] ,,,[[유파(동진)|{{{#000,#e5e5e5 유파}}}]],,, · [[조협|{{{#000,#e5e5e5 조협}}}]] · [[대연|{{{#999,#666666 대약사}}}]] · [[주의(동진)|{{{#999,#666666 주의}}}]] ||<-2> [[응첨|{{{#999,#666666 응첨}}}]] · [[감탁|{{{#999,#666666 감탁}}}]] · [[변곤|{{{#999,#666666 변곤}}}]] · [[유초(동진)|{{{#999,#666666 유초}}}]] · [[종아|{{{#999,#666666 종아}}}]] ||<-2> [[손혜|{{{#999,#666666 손혜}}}]] · [[웅원|{{{#999,#666666 웅원}}}]] · [[왕감|{{{#999,#666666 왕감}}}]] · [[진군(동진)|{{{#999,#666666 진군}}}]] · [[고송|{{{#999,#666666 고송}}}]] || ||<-2> {{{-1 {{{#ffffff 72권}}}}}} {{{-2 {{{#fff 「곽박등전(郭璞等傳)」}}} }}} ||<-2> {{{-1 {{{#ffffff 73권}}}}}} {{{-2 {{{#fff 「유량전(庾亮傳)」}}} }}} ||<-2> {{{-1 {{{#ffffff 74권}}}}}} {{{-2 {{{#fff 「환이전(桓彝傳)」}}} }}} || ||<-2><rowbgcolor=#fff,#191919> [[곽박|{{{#999,#666666 곽박}}}]] · [[갈홍|{{{#000,#e5e5e5 갈홍}}}]] ||<-2> [[유량|{{{#999,#666666 유량}}}]] · [[유역|{{{#999,#666666 유역}}}]] · [[유빙|{{{#999,#666666 유빙}}}]] · [[유익|{{{#999,#666666 유익}}}]] ||<-2> [[환이(동진)|{{{#000,#e5e5e5 환이}}}]] ,,,[[환운|{{{#999,#666666 환운}}}]] [[환활|{{{#999,#666666 환활}}}]] [[환비|{{{#999,#666666 환비}}}]] [[환충|{{{#999,#666666 환충}}}]],,, || ||<-2> {{{-1 {{{#ffffff 75권}}}}}} {{{-2 {{{#fff 「왕담등전(王湛等傳)」}}} }}} ||<-2> {{{-1 {{{#ffffff 76권}}}}}} {{{-2 {{{#fff 「왕서등전(王舒等傳)」}}} }}} ||<-2> {{{-1 {{{#ffffff 77권}}}}}} {{{-2 {{{#fff 「육엽등전(陸曄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왕담|{{{#000,#e5e5e5 왕담}}}]] · [[순숭|{{{#999,#666666 순숭}}}]] · [[범왕(동진)|{{{#999,#666666 범왕}}}]] · [[유담(동진)|{{{#999,#666666 유담}}}]] · [[장빙|{{{#999,#666666 장빙}}}]] · [[한백(동진)|{{{#999,#666666 한백}}}]] ||<-2> [[왕서|{{{#999,#666666 왕서}}}]] · [[왕이(동진)|{{{#999,#666666 왕이}}}]] · [[우담|{{{#999,#666666 우담}}}]] · [[고중|{{{#999,#666666 고중}}}]] · [[장개(동진)|{{{#999,#666666 장개}}}]] ||<-2> [[육엽|{{{#999,#666666 육엽}}}]] · [[하충|{{{#999,#666666 하충}}}]] · [[저삽|{{{#999,#666666 저삽}}}]] · [[채모(동진)|{{{#999,#666666 채모}}}]] · [[제갈회|{{{#000,#e5e5e5 제갈회}}}]] · [[은호(동진)|{{{#999,#666666 은호}}}]] || ||<-2> {{{-1 {{{#ffffff 78권}}}}}} {{{-2 {{{#fff 「공유등전(孔愉等傳)」}}} }}} ||<-2> {{{-1 {{{#ffffff 79권}}}}}} {{{-2 {{{#fff 「사상등전(謝尙等傳)」}}} }}} ||<-2> {{{-1 {{{#ffffff 80권}}}}}} {{{-2 {{{#fff 「왕희지전(王羲之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공유(동진)|{{{#999,#666666 공유}}}]] · [[정담(동진)|{{{#999,#666666 정담}}}]] · [[도회(동진)|{{{#999,#666666 도회}}}]] ||<-2> [[사상(동진)|{{{#999,#666666 사상}}}]] · [[사안(동진)|{{{#000,#e5e5e5 사안}}}]] ,,,[[사염|{{{#000,#e5e5e5 사염}}}]] · [[사혼|{{{#000,#e5e5e5 사혼}}}]] · [[사현|{{{#000,#e5e5e5 사현}}}]] · [[사만|{{{#000,#e5e5e5 사만}}}]] · [[사랑(동진)|{{{#000,#e5e5e5 사랑}}}]] · [[사석|{{{#000,#e5e5e5 사석}}}]] · [[사막(동진)|{{{#000,#e5e5e5 사막}}}]],,, ||<-2> [[왕희지|{{{#000,#e5e5e5 왕희지}}}]] || ||<-6> {{{-1 {{{#ffffff 81권}}}}}} {{{-2 {{{#fff 「왕손등전(王遜等傳)」}}} }}} || ||<-6><rowbgcolor=#fff,#191919> [[왕손(동진)|{{{#000,#e5e5e5 왕손}}}]] · [[채표|{{{#999,#666666 채표}}}]] · [[양감|{{{#999,#666666 양감}}}]] · [[유윤|{{{#999,#666666 유윤}}}]] · [[환선|{{{#999,#666666 환선}}}]] ,,,[[환이|{{{#999,#666666 환이(伊)}}}]],,, · [[주사(동진)|{{{#999,#666666 주사}}}]] · [[모보|{{{#999,#666666 모보}}}]] · [[유하(동진)|{{{#999,#666666 유하}}}]] · [[등옥|{{{#999,#666666 등옥}}}]] · [[주서(동진)|{{{#999,#666666 주서}}}]] || ||<-6> {{{-1 {{{#ffffff 82권}}}}}} {{{-2 {{{#fff 「진수등전(陳壽等傳)」}}} }}} || ||<-6><rowbgcolor=#fff,#191919> [[진수(역사가)|{{{#000,#e5e5e5 진수(陳壽)}}}]] · [[왕장문|{{{#000,#e5e5e5 왕장문}}}]] · [[우부(삼국지)|{{{#000,#e5e5e5 우부}}}]] · [[사마표|{{{#000,#e5e5e5 사마표}}}]] · [[왕은|{{{#000,#e5e5e5 왕은}}}]] · [[우예|{{{#999,#666666 우예}}}]] · [[손성|{{{#000,#e5e5e5 손성}}}]] · [[간보|{{{#000,#e5e5e5 간보}}}]] · [[등찬|{{{#999,#666666 등찬}}}]] · [[사침|{{{#999,#666666 사침}}}]] · [[습착치|{{{#000,#e5e5e5 습착치}}}]] · [[서광(유송)|{{{#000,#e5e5e5 서광}}}]] || ||<-2> {{{-1 {{{#ffffff 83권}}}}}} {{{-2 {{{#fff 「고화등전(顧和等傳)」}}} }}} ||<-2> {{{-1 {{{#ffffff 84권}}}}}} {{{-2 {{{#fff 「왕공등전(王恭等傳)」}}} }}} ||<-2> {{{-1 {{{#ffffff 85권}}}}}} {{{-2 {{{#fff 「유의등전(劉毅等傳)」}}} }}} || ||<-2><rowbgcolor=#fff,#191919> [[고화|{{{#999,#666666 고화}}}]] · [[원괴|{{{#999,#666666 원괴}}}]] · [[강유(동진)|{{{#999,#666666 강유}}}]] · [[차윤(동진)|{{{#000,#e5e5e5 차윤}}}]] · [[은의|{{{#999,#666666 은의}}}]] · [[왕아|{{{#000,#e5e5e5 왕아}}}]] ||<-2> [[왕공(동진)|{{{#000,#e5e5e5 왕공}}}]] · [[유해(동진)|{{{#000,#e5e5e5 유해}}}]] · [[유뢰지|{{{#000,#e5e5e5 유뢰지}}}]] · [[은중감|{{{#999,#666666 은중감}}}]] · [[양전기|{{{#999,#666666 양전기}}}]] ||<-2> [[유의(동진)|{{{#999,#666666 유의}}}]] · [[제갈장민|{{{#999,#666666 제갈장민}}}]] · [[하무기|{{{#999,#666666 하무기}}}]] · [[단빙지|{{{#999,#666666 단빙지}}}]] · [[위영지|{{{#999,#666666 위영지}}}]] || ||<-3> {{{-1 {{{#ffffff 86권}}}}}} {{{-2 {{{#fff 「장궤전(張軌傳)」}}} }}} ||<-3> {{{-1 {{{#ffffff 87권}}}}}} {{{-2 {{{#fff 「양무소왕전(涼武昭王傳)」}}} }}} || ||<-3><rowbgcolor=#fff,#191919> [[장궤|{{{#000,#e5e5e5 장궤}}}]] ||<-3> [[이고(서량)|{{{#000,#e5e5e5 양무소왕}}}]] · [[이흠(서량)|{{{#000,#e5e5e5 양후주}}}]] || ||<-6> {{{-1 {{{#ffffff 88권}}}}}} {{{-2 {{{#fff 「효우전(孝友傳)」}}} }}} || ||<-6><rowbgcolor=#fff,#191919> [[이밀(촉한)|{{{#000,#e5e5e5 이밀}}}]] · [[성언|{{{#000,#e5e5e5 성언}}}]] · [[하방|{{{#000,#e5e5e5 하방}}}]] · [[왕부#s-2|{{{#000,#e5e5e5 왕부}}}]] · [[허자(서진)|{{{#999,#666666 허자}}}]] · [[유곤(서진)|{{{#000,#e5e5e5 유곤(庾袞)}}}]] · [[손구|{{{#999,#666666 손구}}}]] · [[안함(서진)|{{{#999,#666666 안함}}}]] · [[유은(서진)|{{{#999,#666666 유은}}}]] · [[왕연(전조)|{{{#999,#666666 왕연}}}]] · [[왕담(동진)|{{{#999,#666666 왕담}}}]] · [[상우(동진)|{{{#999,#666666 상우}}}]] · [[하기(동진)|{{{#999,#666666 하기}}}]] · [[오규|{{{#999,#666666 오규}}}]] || ||<-6> {{{-1 {{{#ffffff 89권}}}}}} {{{-2 {{{#fff 「충의전(忠義傳)」}}} }}} || ||<-6><rowbgcolor=#fff,#191919> [[혜소|{{{#000,#e5e5e5 혜소}}}]] · [[왕표|{{{#000,#e5e5e5 왕표}}}]] · [[유심(서진)|{{{#999,#666666 유심}}}]] · [[국윤|{{{#999,#666666 국윤}}}]] · [[초숭|{{{#999,#666666 초숭}}}]] · [[가혼|{{{#000,#e5e5e5 가혼}}}]] · [[왕육|{{{#999,#666666 왕육}}}]] · [[위충#s-2|{{{#000,#e5e5e5 위충}}}]] · [[신면|{{{#999,#666666 신면}}}]] · [[유민원|{{{#999,#666666 유민원}}}]] · [[주해(동진)|{{{#999,#666666 주해}}}]] · [[환웅#s-3|{{{#000,#e5e5e5 환웅}}}]] · [[한계|{{{#999,#666666 한계}}}]] · [[주기(동진)|{{{#999,#666666 주기}}}]] · [[역웅|{{{#999,#666666 역웅}}}]] · [[악도윤|{{{#999,#666666 악도윤}}}]] · [[우회|{{{#999,#666666 우회}}}]] · [[심경(동진)|{{{#999,#666666 심경}}}]] · [[길읍|{{{#999,#666666 길읍}}}]] · [[왕량|{{{#999,#666666 왕량}}}]] · [[송구|{{{#999,#666666 송구}}}]] · [[차제|{{{#999,#666666 차제}}}]] · [[정목(동진)|{{{#999,#666666 정목}}}]] · [[신공정|{{{#999,#666666 신공정}}}]] · [[나기생|{{{#999,#666666 나기생}}}]] · [[장의(동진)|{{{#000,#e5e5e5 장의}}}]] || ||<-6> {{{-1 {{{#ffffff 90권}}}}}} {{{-2 {{{#fff 「양리전(良吏傳)」}}} }}} || ||<-6><rowbgcolor=#fff,#191919> [[노지(서진)|{{{#000,#e5e5e5 노지(魯芝)}}}]] · [[호위#s-3|{{{#000,#e5e5e5 호위}}}]] · [[두진|{{{#000,#e5e5e5 두진}}}]] · [[두윤|{{{#000,#e5e5e5 두윤}}}]] · [[왕굉(서진)|{{{#000,#e5e5e5 왕굉}}}]] · [[조터|{{{#000,#e5e5e5 조터}}}]] · [[반경|{{{#999,#666666 반경}}}]] · [[범귀|{{{#000,#e5e5e5 범귀}}}]] · [[정소(서진)|{{{#999,#666666 정소}}}]] · [[교지명|{{{#999,#666666 교지명}}}]] · [[등유(동진)|{{{#999,#666666 등유}}}]] · [[오은지|{{{#999,#666666 오은지}}}]] || ||<-6> {{{-1 {{{#ffffff 91권}}}}}} {{{-2 {{{#fff 「유림전(儒林傳)」}}} }}} || ||<-6><rowbgcolor=#fff,#191919> [[범평|{{{#000,#e5e5e5 범평}}}]] · [[문립|{{{#000,#e5e5e5 문립}}}]] · [[진소#s-3|{{{#000,#e5e5e5 진소}}}]] · [[우희(동진)|{{{#999,#666666 우희}}}]] · [[유조(동진)|{{{#999,#666666 유조}}}]] · [[범육|{{{#999,#666666 범육}}}]] · [[서묘|{{{#999,#666666 서묘}}}]] · [[최유|{{{#000,#e5e5e5 최유}}}]] · [[범륭|{{{#000,#e5e5e5 범륭}}}]] · [[두이|{{{#999,#666666 두이}}}]] · [[동영도|{{{#999,#666666 동영도}}}]] · [[속감|{{{#999,#666666 속감}}}]] · [[서막(동진)|{{{#999,#666666 서막}}}]] · [[공연#s-2|{{{#000,#e5e5e5 공연}}}]] · [[범선(동진)|{{{#999,#666666 범선}}}]] · [[위소(동진)|{{{#999,#666666 위소}}}]] · [[범홍지|{{{#999,#666666 범홍지}}}]] · [[왕환(동진)|{{{#999,#666666 왕환}}}]] || ||<-6> {{{-1 {{{#ffffff 92권}}}}}} {{{-2 {{{#fff 「문원전(文苑傳)」}}} }}} || ||<-6><rowbgcolor=#fff,#191919> [[응정|{{{#000,#e5e5e5 응정}}}]] · [[성공수|{{{#000,#e5e5e5 성공수}}}]] · [[좌사|{{{#000,#e5e5e5 좌사}}}]] · [[조지(서진)|{{{#000,#e5e5e5 조지(趙至)}}}]] · [[추담|{{{#000,#e5e5e5 추담}}}]] · [[조거(서진)|{{{#000,#e5e5e5 조거}}}]] · [[저도#s-2|{{{#000,#e5e5e5 저도}}}]] · [[왕침#s-3|{{{#999,#666666 왕침(王沉)}}}]] · [[장한(서진)|{{{#999,#666666 장한}}}]] · [[유천(동진)|{{{#999,#666666 유천}}}]] · [[조비(동진)|{{{#999,#666666 조비}}}]] · [[이충(동진)|{{{#999,#666666 이충}}}]] · [[원굉(동진)|{{{#000,#e5e5e5 원굉}}}]] · [[복도(동진)|{{{#999,#666666 복도}}}]] · [[나함(서진)|{{{#999,#666666 나함}}}]] · [[고개지|{{{#999,#666666 고개지}}}]] · [[곽징지|{{{#999,#666666 곽징지}}}]] || ||<-6> {{{-1 {{{#ffffff 93권}}}}}} {{{-2 {{{#fff 「외척전(外戚傳)」}}} }}} || ||<-6><rowbgcolor=#fff,#191919> [[양수(서진)|{{{#000,#e5e5e5 양수}}}]] · [[왕순(서진)|{{{#000,#e5e5e5 왕순}}}]] · [[양병|{{{#000,#e5e5e5 양문종}}}]] · [[양현지|{{{#999,#666666 양현지}}}]] · [[우예|{{{#999,#666666 우예}}}]] · [[유침|{{{#000,#e5e5e5 유침}}}]] · [[두예#s-2|{{{#999,#666666 두예}}}]] · [[저부|{{{#999,#666666 저부}}}]] · [[하준|{{{#000,#e5e5e5 하준}}}]] · [[왕몽#s-3|{{{#999,#666666 왕몽}}}]] · [[왕하|{{{#999,#666666 왕하}}}]] · [[왕온|{{{#999,#666666 왕온}}}]] · [[저상|{{{#000,#e5e5e5 저상}}}]] || ||<-6><width=1000> {{{-1 {{{#ffffff 94권}}}}}} {{{-2 {{{#fff 「은일전(隠逸傳)」}}} }}} || ||<-6><bgcolor=#fff,#191919> [[손등#s-3|{{{#000,#e5e5e5 손등}}}]] · [[동경(삼국지)|{{{#000,#e5e5e5 동경}}}]] · [[하통|{{{#999,#666666 하통}}}]] · [[주충|{{{#000,#e5e5e5 주충}}}]] · [[범찬|{{{#000,#e5e5e5 범찬}}}]] · [[노성|{{{#999,#666666 노성}}}]] · [[동양(삼국지)|{{{#000,#e5e5e5 동양}}}]] · [[곽원(서진)|{{{#999,#666666 곽원}}}]] · [[곽기|{{{#999,#666666 곽기}}}]] · [[오주(서진)|{{{#999,#666666 오주}}}]] · [[노포(서진)|{{{#999,#666666 노포}}}]] · [[범등|{{{#999,#666666 범등}}}]] · [[임욱|{{{#999,#666666 임욱}}}]] · [[곽문|{{{#999,#666666 곽문}}}]] · [[공장(동진)|{{{#999,#666666 공장}}}]] · [[맹루|{{{#999,#666666 맹루}}}]] · [[한적|{{{#999,#666666 한적}}}]] · [[초수#s-4|{{{#000,#e5e5e5 초수}}}]] · [[적탕|{{{#999,#666666 적탕}}}]] · [[곽번|{{{#999,#666666 곽번}}}]] · [[신밀|{{{#999,#666666 신밀}}}]] · [[유린지|{{{#999,#666666 유린지}}}]] [br] [[색습|{{{#999,#666666 색습}}}]] · [[양가|{{{#999,#666666 양가}}}]] · [[공손봉|{{{#999,#666666 공손봉}}}]] · [[공손영|{{{#999,#666666 공손영}}}]] · [[장충|{{{#999,#666666 장충}}}]] · [[석원|{{{#999,#666666 석원}}}]] · [[송견|{{{#999,#666666 송견}}}]] · [[곽하|{{{#999,#666666 곽하}}}]] · [[곽우|{{{#999,#666666 곽우}}}]] · [[기가(동진)|{{{#999,#666666 기가}}}]] · [[구형선생|{{{#999,#666666 구형}}}]] · [[사부(동진)|{{{#999,#666666 사부}}}]] · [[대규|{{{#999,#666666 대규}}}]] · [[공현지|{{{#999,#666666 공현지}}}]] · [[도담(동진)|{{{#999,#666666 도담}}}]] · [[도연명|{{{#000,#e5e5e5 도연명}}}]] || ||<-6> {{{-1 {{{#ffffff 95권}}}}}} {{{-2 {{{#fff 「예술전(藝術傳)」}}} }}} || ||<-6><rowbgcolor=#fff,#191919> [[진훈|{{{#000,#e5e5e5 진훈}}}]] · [[대양(서진)|{{{#999,#666666 대양}}}]] · [[한우(서진)|{{{#999,#666666 한우}}}]] · [[순우지|{{{#999,#666666 순우지}}}]] · [[보웅|{{{#999,#666666 보웅}}}]] · [[두불건|{{{#999,#666666 두불건}}}]] · [[엄경(서진)|{{{#999,#666666 엄경}}}]] · [[외소|{{{#999,#666666 외소}}}]] · [[복후|{{{#999,#666666 복후}}}]] · [[포정(서진)|{{{#999,#666666 포정}}}]] · [[오맹|{{{#999,#666666 오맹}}}]] · [[행령|{{{#999,#666666 행령}}}]] · [[불도징|{{{#999,#666666 불도징}}}]] · [[마유(동진)|{{{#999,#666666 마유}}}]] · [[선도개|{{{#999,#666666 선도개}}}]] · [[황홍|{{{#999,#666666 황홍}}}]] · [[색담|{{{#999,#666666 색담}}}]] · [[맹흠|{{{#999,#666666 맹흠}}}]] · [[왕가|{{{#000,#e5e5e5 왕가}}}]] · [[승섭|{{{#999,#666666 승섭}}}]] · [[곽논|{{{#999,#666666 곽논}}}]] · [[쿠마라지바|{{{#000,#e5e5e5 나습}}}]] · [[욕곽|{{{#999,#666666 욕곽}}}]] · [[태산(동진)|{{{#999,#666666 태산}}}]] || ||<-6> {{{-1 {{{#ffffff 96권}}}}}} {{{-2 {{{#fff 「열녀전(列女傳)」}}} }}} || ||<-6><rowbgcolor=#fff,#191919> [[신헌영|{{{#000,#e5e5e5 신헌영}}}]] · [[엄헌|{{{#000,#e5e5e5 엄헌}}}]] · [[종염|{{{#000,#e5e5e5 종염}}}]] · [[왕혜풍|{{{#999,#666666 왕혜풍}}}]] · [[이락수|{{{#999,#666666 이락수}}}]] · [[순관|{{{#000,#e5e5e5 순관}}}]] · [[사도온|{{{#999,#666666 사도온}}}]] · [[용린|{{{#999,#666666 용린}}}]] · [[유아(전조)|{{{#999,#666666 유아}}}]] · [[염부인(전량)|{{{#999,#666666 염부인}}}]] · [[소혜(전진)|{{{#999,#666666 소혜}}}]] · [[모황후(전진)|{{{#999,#666666 모황후}}}]] · [[단원비|{{{#999,#666666 단원비}}}]] · [[양황후(후량)|{{{#999,#666666 양황후}}}]] · [[윤태후(서량)|{{{#999,#666666 윤태후}}}]] || ||<-6> {{{-1 {{{#ffffff 97권}}}}}} {{{-2 {{{#fff 「사이전(四夷傳)」}}} }}} || ||<-6><bgcolor=#fff,#191919> [[부여|{{{#000,#e5e5e5 부여}}}]] · [[숙신|{{{#000,#e5e5e5 숙신}}}]] · [[마한|{{{#000,#e5e5e5 마한}}}]] · [[진한|{{{#000,#e5e5e5 진한}}}]] · [[왜국|{{{#000,#e5e5e5 왜}}}]] · [[토욕혼|{{{#000,#e5e5e5 토욕혼}}}]] · [[카라샤르|{{{#999,#666666 언기국}}}]] · [[쿠처시|{{{#000,#e5e5e5 구자국}}}]] · [[페르가나|{{{#000,#e5e5e5 대완국}}}]] · [[동투르키스탄|{{{#000,#e5e5e5 강거국}}}]] · [[로마 제국|{{{#000,#e5e5e5 대진국}}}]] · [[참파|{{{#000,#e5e5e5 임읍국}}}]] · [[부남|{{{#000,#e5e5e5 부남국}}}]] · [[흉노|{{{#000,#e5e5e5 흉노}}}]] || ||<-3> {{{-1 {{{#ffffff 98권}}}}}} {{{-2 {{{#fff 「왕돈등전(王敦等傳)」}}} }}} ||<-3> {{{-1 {{{#ffffff 99권}}}}}} {{{-2 {{{#fff 「환현등전(桓玄等傳)」}}} }}} || ||<-3><rowbgcolor=#fff,#191919> [[왕돈(동진)|{{{#000,#e5e5e5 왕돈}}}]] · [[환온|{{{#000,#e5e5e5 환온}}}]] ||<-3> [[환현|{{{#000,#e5e5e5 환현}}}]] · [[변범지|{{{#999,#666666 변범지}}}]] · [[은중문|{{{#999,#666666 은중문}}}]] || ||<-6> {{{-1 {{{#ffffff 100권}}}}}} {{{-2 {{{#fff 「왕미등전(王彌等傳)」}}} }}} || ||<-6><rowbgcolor=#fff,#191919> [[왕미(전조)|{{{#000,#e5e5e5 왕미}}}]] · [[장창(서진)|{{{#999,#666666 장창}}}]] · [[진민#s-2|{{{#000,#e5e5e5 진민}}}]] · [[왕여(서진)|{{{#999,#666666 왕여}}}]] · [[두증|{{{#999,#666666 두증}}}]] · [[두도(서진)|{{{#999,#666666 두도}}}]] · [[왕기(서진)|{{{#999,#666666 왕기}}}]] · [[조약(동진)|{{{#999,#666666 조약}}}]] · [[소준(동진)|{{{#000,#e5e5e5 소준}}}]] · [[손은(동진)|{{{#000,#e5e5e5 손은}}}]] · [[노순|{{{#000,#e5e5e5 노순}}}]] · [[초종|{{{#000,#e5e5e5 초종}}}]] ||
{{{#e7cee7 {{{-2 (1) 사마소 부인 왕원희와는 다른 인물로 효회태후로 추존된 사마치의 어머니.}}}}}}
[ 재기(戴記) ]
101권 「유원해재기(劉元海戴記)」 102권 「유총재기(劉聰戴記)」 103권 「유요재기(劉曜戴記)」
유원해 ,유화 · 유선,유총 ,유찬 · 진원달,유요
104 · 105권 「석륵재기(石勒戴記)」 106 · 107권 「석계룡재기(石季龍戴記)」
석륵 ,석홍 · 장빈,석계룡 ,석세 · 석준 · 석감 · 염민,
108권 「모용외재기(慕容廆戴記)」 109권 「모용황재기(慕容皝戴記)」
모용외 ,배억 · 고첨,모용황 ,모용한 · 양유,
110권 「모용준재기(慕容儁戴記)」 111권 「모용위재기(慕容暐戴記)」
모용준 ,한항 · 이산 · 이적,모용위 ,모용각 · 양무 · 황보진,
112권 「부홍등재기(苻洪等戴記)」 113 · 114권 「부견재기(苻堅戴記)」 115권 「부비등재기(苻丕等戴記)」
부홍 · 부건 · 부생 ,왕타,부견 ,왕맹 · 부융 · 부랑,부비 · 부등 ,삭반 · 서숭,
116권 「요익중등재기(姚弋仲等戴記)」 117 · 118권 「요흥재기(姚興戴記)」 119권 「요홍재기(姚泓戴記)」
요익중 · 요양 · 요장요흥 ,윤위,요홍
120권 「이특등재기(李特等戴記)」 121권 「이웅등재기(李雄等戴記)」
이특 · 이류 · 이상이웅 ·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122권 「여광등재기(呂光等戴記)」
여광 · 여찬 · 여륭
123권 「모용수재기(慕容垂戴記)」 124권 「모용보등재기(慕容宝等戴記)」
모용수모용보 · 모용성 · 모용희 · 모용운
125권 「걸복국인등재기(乞伏國仁等戴記)」
걸복국인 · 걸복건귀 · 걸복치반 · 풍발 ,풍소불,
126권 「독발오고등재기(禿髪烏孤等戴記)」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 독발녹단
127권 「모용덕재기(慕容徳戴記)」 128권 「모용초재기(慕容超戴記)」
모용덕모용초 ,모용종 · 봉부,
129권 「저거몽손재기(沮渠蒙遜戴記)」 130권 「혁련발발재기(赫連勃勃戴記)」
저거몽손혁련발발





부여국 | 扶餘國
Buyeo (Puyŏ)
파일:부여 지도.png
3세기경 부여의 영역 (추정)
동부여의 영역 (추정)
파일:3세기경 부여국의 세력권(강역) 추정도.jpg
존속 기간기원전 4세기 ~ 494년
위치송화강 일대 송눈평원
지린성 하다링산맥(합달령) 이북
수도북부여: 예성(濊城)[1]부여성(扶餘城)[2]
동부여: 여성(餘城)[3]
정치 체제선거군주제
국가 원수왕(王)
주요 군주동명왕
해모수
해부루
금와왕
대소왕
언어부여어[4] 참조
종교토착신앙
국성해(解)
종족 구성예맥, 읍루
멸망 이후고구려[5], 두막루
현재 계승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현재 영토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1. 개요
2. 국호
4. 정치
5. 사회
5.1. 언어
6. 경제
10. 군사
11. 역사귀속과 계승인식
12. 부여에서 유래한 이름
12.1. 한국
12.2. 중국
12.3. 기타
13. 학계
14. 참고 자료
14.1. 연구 자료
14.2. 한국사 관련 시험에서의 논란
1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부여()는 현재 만주의 북쪽 지역인 송화강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으로 구성된 한민족의 고대국가이다.

부여의 존속기간은 고조선 후기와 삼국시대 중반에 걸친다. 대한민국 역사 교육에서는 단군고조선에서 모든 한국사가 시작되는 일원적 개념처럼 설명하고는 있으나, 부여는 고조선과 동시대에 공존했던 고대 군장국가이며 서로 중심지역도 상당히 멀다. 또한 고구려, 백제한민족의 조상이 되는 주요 국가의 왕가들이 적어도 그들이 스스로 내세운 내러티브로는 각기 조선이 아닌 부여계 국가에서 나왔음을 표방한 것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그리고 어쨌든 부여는 고조선과 마찬가지로 엄연히 예족 국가가 맞다. 현대의 한민족은 만주에서 한반도로 이르는 지역에서 분포했던 여러 종족이 예맥족 중심으로 천수백 년에 걸쳐 융화한 것이며, 부여는 고조선과 별개로 한민족의 조상격인 국가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나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서는 북부여, 동부여, 졸본부여, 갈사부여, 남부여 등 다양한 부여 국가가 존재하며, 고조선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치는 않으나 《삼국유사》의 내용을 보면 고구려 건국자인 추모(주몽)의 아버지[6]를 단군으로 표현하는 등 고조선과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대 동명왕(東明王): 갑신년(기원전 37)에 즉위하여 18년 동안 다스렸다. 성은 고씨(高氏)이고 이름은 주몽(朱蒙)인데 추몽(鄒蒙)이라고도 한다. 단군(壇君)의 아들이다.”

(第一東明王 甲申立 理十八 姓高 名朱蒙 一作鄒蒙 壇君之子)

《삼국유사》 <왕력(王歷)>편



2. 국호[편집]


'夫餘', '扶餘', '夫余', '扶余', 'Puyŏ', 'Buyeo'. 정장상팡(郑张尚芳) 또는 백스터(Baxter)와 사가르(Sagart)의 중국어 상고음 재구에 의하면 夫餘, 扶餘는 고대 중국인들이 /*pa.la/ '빠라' 또는 /*ba.la/ '바라'로 읽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부여란 나라 이름에 대해선 몇 가지 주장이 있는데, 첫째로 ''이 어원일 것이라는 설과 더불어, 왕족의 성씨해씨(解氏)인 것과 관련 지어 나 불을 숭배하는 뜻이 아니냐는 추측이다. 다만 '解'의 상고음이 'kre' ~ 'ke'임을 생각하면 많이 떨어지는 가설이다. 현대 한국어 '하양'이 고대 한국어에서 'k' 발음을 가졌기 때문에, '해'도 마찬가지로 'k'로 발음하다가 'kh'를 거쳐 'h'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크며, 그 이유는 '하양'이 '해'에서 파생된 단어이기 때문이다.

둘째론 만주어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다. 사슴을 뜻하는 '푸후(puhu)'[7] 을 뜻하는 '버러'에서 왔다는 설들이 있다. 자치통감에 따르면 부여는 처음에 녹산(鹿山)에서 살았고, 발해에서도 사슴을 귀하게 여겼다고 하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부여의 언어는 퉁구스계 언어들과 완전히 달랐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이다. 그리고 삼국시대 때 부여의 강역인 지린성, 랴오닝성 즈음 대부분의 지역들은 벼 농사가 불가능했다. 요동 반도 남부와 압록강 중하류 일대만 가능했으므로, 그때의 기후적 상황을 생각하면 부여란 나라 이름이 '버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낮다. 부여는 벼농사보다 주로 보리와 같은 잡곡 위주의 밭농사와 수렵 활동, 목축을 통해 식량을 확보했던 것으로 보인다.[8]

셋째로 伐, 弗, 火, 夫里 등으로 표기된 현대 한국어 '벌'의 옛말이라는 주장이 있다. 부여는 송화강을 낀 벌판에 자리잡았고, 고대에 '벌'은 '골', '내', '재'와 더불어 지명에 자주 쓰였는데 이는 서라벌, 소부리[9]처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10] 나주시의 옛 지명은 '발라(發羅)'였는데 이는 부여의 재구음인 '바라'와 굉장히 흡사하다. 평양도 마찬가지로 '벌'과 '내'를 더한 말이 지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부여란 나라 이름의 어원은 '벌'과 가장 연관이 커 보인다.

한자로 쓸 때 부여의 '부'를 夫로 쓰는 경우와 扶로 쓰는 경우, '여'를 余로 쓰는 경우와 餘로 쓰는 경우가 모두 있다. 《삼국지》 <동이전>을 비롯한 중국의 사서에는 대개 부여(夫餘)로 기록하고 있고, 《삼국유사》를 비롯한 우리나라 사서에는 대부분 부여(扶餘)로 기술하고 있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夫餘와 扶餘를 검색해 보면 알 수 있다.

애초에 餘는 余에서 파생된 글자이기에 전통적으로 餘의 약자로 余를 쓰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그래서 일본의 현행 표준 한자인 신자체중국간화자(간체자)는 餘를 폐지하고 余로 통합했다. 단, 余 자가 나타내는 의미가 많기 때문에 중국 간화자의 경우 의미가 혼동될 우려가 있을 경우, '남다'라는 의미를 명시하고자 할 때, 또는 본래 번체자(정체자) 표기에서 余가 아닌 餘였다는 걸 확실히 하고자 할 때, 부수 飠(食)을 饣으로 치환한 馀로 쓰는 걸 허용한다. 그래서 비록 중국어 간체에서 부여를 夫余나 扶余로 적는 게 일반적이지만 夫馀나 扶馀로 적기도 한다.

3.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여/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정치[편집]


부여는 궁궐, 성, 창고, 감옥 등 진보된 조직과 제도를 가졌던 나라였다.

정치는 귀족 정치로서 지배 계급에는 군주왕 그 밑에 가축의 이름을 붙인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猪加), 구가(狗加) 등의 가 및 대사(大使), 사자(使者) 등 귀족들의 관직이 있었다. 관직의 명칭에 대해서는 《만주원류고》에 중국인들의 무지로 관직명에 가축의 이름을 넣었다는 비판이 있다. 또 지방을 크게 네 구역, 즉 사출도(四出道)(사가도(四街道)라고도 함)라 칭하는 지역으로 나누어 마가, 우가 등의 제가가 각각 그 일부 지역을 맡아 다스렸다.

사출도 중의 큰 지역은 주민 수가 수천 호(戶), 작은 것은 수백 호가 되었다. 피지배 계급인 민(民)을 하호(下戶)라고 칭했는데, 그들은 지배 계급에 대하여 각종 노역과 물자 공급을 부담했기에 노비 취급을 받았다(다만 하호와 별개로 노비층도 있고, '하호'라는 계층은 고구려에도 있었다. 부여 하호는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게 특징이다.) 이들은 전쟁시 직접적으로 참전하지 않았고, 식량 보급과 물자 운송을 담당했으며, 그때는 귀족들이 중심이 되어 집집마다 갖추어 놓았던 무기를 갖고 호민(豪民)들을 모아 참전했다. 호민이란 하호 중 부유하면서 어느 정도 자체적인 세력이 있었던 자들로, 영국요먼과 비슷한 계층이었다. 이로 미루어 보아 부여는 봉건제 사회였던 것으로 보인다.

부여의 국왕은 귀족 연맹체의 제사장적인 성격이 강해, 농사가 흉년이 들면 귀족 회의에서 폐출되거나 보통은 죽임을 당했다. 귀족 연정체제에서 "왕"이라는 호칭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군주제 체제가 계속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름이 "왕"이라서 오해를 살 뿐, 당대로서는 제사장 정도의 느낌이었다. 제가들도 나라를 세우는 데에 일조했고, 왕 또한 제가들이 뽑았으므로 왕을 내쫓거나 죽일 권리가 있다는 논리였다.

시간이 흐르고 점차 왕권이 강화되면서 이러한 관습은 사라졌으나, 다른 주변국가들처럼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지는 못했다. 전쟁시 왕은 귀족들과 휘하의 부대를 이끌고 참전했지만 어디까지나 귀족의 대표로서 군림하였을 뿐, 귀족은 각자의 집단을 자치적으로 이끌었기에 중앙정부의 통제력은 강하지 못했다 높다.

이런 정치 제도 때문에 고구려와의 관계에서 우위였음에도 대소왕고구려대무신왕과의 전투에서 잡혀 참수당하자 귀족 세력들 간에 내분이 일어났다. 이는 결과적으로 부여의 힘을 분산시켜 후대에 부여가 고구려의 국력을 넘어서지 못하여 연맹국가에서 고대국가로 발전하지 못하고 결국 멸망하게 되는 사태를 불러왔다.

5. 사회[편집]


혼인을 할 때는 혼납금으로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소와 말을 보내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간음을 엄격히 금지해서 남녀가 간음을 하거나, 부인이 질투를 하는 경우에는 모두 죽였으며, 특히 부인이 질투하는 것을 나쁘게 여겨 죽인 뒤 시체를 산 위에 버려 썩게 했다. 만약 죽음을 당한 여인의 친정에서 의 시체를 거두어 가려면 남자 집에 소와 말을 보내야 했는데, 이것은 혼인 때의 혼납금을 반환하는 것과 같았다. 또한 고구려와 같이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맞는 풍습인 형사취수가 있었다. 고구려의 사회법 중 대부분이 부여와 유사한 걸로 보아 고구려의 사회법도 부여에서 따온 걸로 추정된다.

추수가 끝난 후 영고라고 불리는 제천 행사를 벌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음주가무를 즐겼다고 한다. 그래서 고구려동맹, 동예무천과 함께 거론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영고는 유목 민족의 수렵제적인 성격이 남아 있어 동맹이나 무천과 달리 10월이 아닌 12월에 거행되었다.

노비 제도가 존재했다. 순장은 대부분 노비로 채워졌다. 순장된 노비는 전쟁 포로 출신뿐 아니라 형벌 노비와 부채 노비도 있었다. 때문에 변상이 여의치 않을 경우 노비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여의 법에는 살인자는 죽이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다. 그리고 남의 물건을 훔쳤을 경우 12배로 배상하게 했다. 이 12배 변상은 고구려도 마찬가지였다.


5.1. 언어[편집]



같은 예맥 계통인 고구려어와 비슷했을 거라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지만, 관련 자료가 워낙에 부족한 관계로 얼마나 유사성이 높았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후한서> 동이전

東夷相傳以爲夫餘別種, 故言語法則多同, 而跪拜曳一脚, 行步皆走

동이가 서로 전하기로는 (고구려는) 부여별종(夫餘別種)이라고 한다. 그래서 언어와 법칙이 대부분 같고 궤배(跪拜-무릎꿇고 엎드려 절함)할 때 다리 하나를 끌고, 행보(行步)할 때 모두 뛰어다닌다.


言語 食飮 居處 衣服有似句驪.

(동옥저는) 언어 음식 거처 의복이 고구려와 비슷하다.


耆舊自謂與句驪同種, 言語法俗大抵相類

(동예의) 노인이 스스로 말하길 (고)구려와 동종이며, 언어와 법속이 비슷하다.


그러나 당대의 중국 측의 사료에서 꾸준하게 부여와 고구려, 옥저, 동예 등의 예맥계 국가들의 언어가 유사하다고 언급하므로, 이들이 서로 같은 어족에 속했을 가능성은 매우 크며, 이에 따라 주류 언어학계는 잠정적으로 이 어족을 부여어족으로 명명했다. 이 부여어족이 어느 어족과 동계인지가 언어학계의 화두인데, 미국의 언어학자인 크리스토퍼 벡위드가 삼국사기의 몇몇 기록을 토대로 부여어족이 일본어족과 동계라는 설을 제안했으나, 고유어를 한자에 억지로 끼워맞추거나, 한국 한자음의 재구가 엉터리라는 점때문에 바로 부정되었다.

반면 똑같은 미국인 언어학자인 알렉산더 보빈은 부여어족에 속하는 고구려어한국어에서 볼 수 있는 요소가 대거 존재하는 점을 들어서 양자를 동계로 추정하고 있다. 한때 보빈이 선비족의 언어인 선비어를 부여어족으로 주장했다는 서술이 있었으나 전혀 사실이 아니다. 논문을 오독한 것으로 실제 내용은 (모용)선비-거란 계통의 언어에 고구려어가 외래어로 차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고구려어 또한 한국어족에 속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부여 사람이 쓰던 성 해씨(解氏)에서 '해'가 '태양'을 뜻하는 현대 한국어 '해'의 어원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으나, 근거가 부족한 탓에 주류 학계에서는 해당 주장을 받아들이지는 않고 있다. 이 성씨를 지닌 사람은 2015년 통계청 기준으로 아홉 명이 확인된다고 한다. 여담으로 순우리말 해(日)흰(白)은 어원이 같다고 하는데, 이와 관련해서인지 백의민족 기록이 부여에서도 나타난다. "부여 사람들은 국내에 있을 때의 의복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포목으로 만든 소매가 넓은 도포와 바지를 입는다." (<삼국지> 부여)


6. 경제[편집]


만주의 넓은 평야 지대에서 농사를 주요 산업으로 한 농경 국가였으나, 동시에 목축과 기마술에도 능한 반농반목의 경제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이 덕분에 당시 북방의 패자로 자리매김했으며, 중국을 수출하기도 했다.

주요 수출품으로는 , 붉은 옥(적옥, 赤玉)[11], 구슬 장식품(미주, 美珠), 담비나 돼지, 여우, 원숭이 등의 짐승 가죽이 있었다.


7. 왕조[편집]


[ 펼치기 · 접기 ]

부여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모수왕부루왕금와왕대소왕
해두국갈사국
말대초대제2대제3대
해두왕갈사왕 1세갈사왕 2세도두왕
중국사서
초대시조계보 미상칭왕 초대
영품리왕동명왕부여왕
계보 미상초대제2대제3대
시왕부태왕위구태왕
제4대제5대제6대제7대
간위거왕마여왕의려왕의라왕
제8대제9대계보 미상말대
현왕울왕잔왕
졸본부여
말대말대
연타발추모성왕
남부여문헌상 언급두막루
초대왕족수령
성왕위거낙개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여/왕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여/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문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여/문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편집]





파일:attachment/부여/buyo.jpg
중국 지린 성 박물관에 전시 중이던 부여의 철 찰갑과 철검. # 지금은 동북공정의 영향인지 사라졌다.
파일:attachment/부여/bus.png
부여 철검의 다른 사진.

북방 지역의 평원에서 기른 말로 인해 기마술이 발달했고, 중기 이후 철기를 사용했다.

부여는 중국과 특히 긴밀한 군사적 관계를 유지했는데, 이는 중국 입장에서는 고구려선비족의 연계가 위협이 될 수 있었고, 부여 입장에서도 고구려와 주변 기마 민족들이 부여에 적대적이었기에 양국의 이해 관계가 잘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물론 몇 차례 중국과 부여의 충돌이 전무했던 것은 아니나, 매우 적었던 데다 충돌 시에도 부여의 군사력은 중국에 결코 꿀리지 않는 수준이었다. 《삼국지》 <동이전> 부여조에서 평가하기를 "그 나라(부여)는 매우 부유하고, 선조 이래 남에게 패해 본 일이 없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소위 한사군과는 2차례의 충돌이 있었다. 111년에는 7,000명이 넘는 군사를 이끌고 낙랑군을 공격하였고, 167년에는 부여 왕이 직접 20,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현도군을 공격했다. 위의 사례는 정말 돌발적으로 등장하는 것이어서 왜 대립했는지의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 사건 직후에서 멀지 않은 120년과 174년에 부여에서 오히려 중국에 복속하고 있다고 했기 때문에, 단순한 약탈은 아니고 무언가 정치적인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무력 수단을 동원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중국과 대립하는 관계 일변도는 아니었다. 《후한서》에서는 111년의 침공을 (부여의 침공으로서) '처음'이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 큰 대립은 없었을 것이다. 또한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부여에 대해서는 굉장히 우호적으로 서술하여 '식량이 모자라 주변을 털고 다닌다'고 기술한 고구려와는 차이가 있으며, 관구검이 고구려 동천왕을 공격할 때 부여에서 식량을 얻어가는 등 중국을 지원한 사례도 존재한다.

선비족과의 충돌도 여러 차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세기 중반, 단석괴가 선비족을 통합하고 부여, 오손, 정령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확인되며, 부여를 끝장낸 285년, 346년의 모용선비 침공이 대표적이다. 서진의 무제 사마염이 부여인 노예 매매를 금지시키고, 부여로 되돌려보낸 일화도 고려하면 기록이 안된 모용선비족의 약탈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동한 초기에 읍루를 복속시켰으나 3세기 초 읍루가 부여의 지배권에서 이탈하면서 읍루와도 전쟁을 벌였다고 한다. 다만 읍루인들의 끈질긴 저항으로 다시 복속시키는 것은 실패했다.

부여 왕이 사망할 때 부여가 동한측으로부터 '옥갑(玉甲)'을 받아갔다고 되어 있는데, 이를 일부 환빠들이 '황제만 사용할 수 있는 금루옥의(황금실과 옥으로 짠 수의)를 한나라로부터 조공받은 것이며, 부여는 따라서 황제국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명백한 거짓이다. 일단 《삼국지>》<위서> 동이전에는 부여가 중국에 속(屬)했다고 기록되어 있고, 부여가 현도군에서 옥갑을 받아갔다고 되어 있지, 조공 등등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는 전혀 없다. 당연히 황제국이 타국에 속할 리는 없는 노릇이므로 일단 관계 설정 자체가 거짓이다. 링크 참고.

한편 금루옥의 관련해서 규정이 있는 것은 《후한서》 <예의지> 하권이다. 여기서 인용한 <한구의>를 보면,

① 漢舊儀曰:「帝崩,唅以珠,纏以緹繒十二重。以玉為襦,如鎧狀,連縫之,以黃金為縷。 ② 諸侯王、列侯、始封貴人、公主薨,皆令贈印璽、玉柙銀縷;大貴人、長公主銅縷。(《후한서》권 96 <예의> 하).

동한의 황제가 입는 수의로 규정된 것은 금루옥의가 맞지만(각주의 ①), 그 뒤에 등장하는 규정에 따르면 제후 왕 등은 은루옥의(은실과 옥으로 짠 수의)를, 대귀인과 장공주 등은 동루(옥의)(구리 실과 옥으로 짠 수의)를 입는 것으로 되어 있다(각주의 ②).

그러니까 실을 금으로 짜는 것이 황제의 규정일 뿐 실만 다르면 옥의는 제후 왕을 포함한 황제 이하의 여러 인물들이 입어도 예법에 어긋나지 않는 물건이었던 것이다(그리고 그렇다면 부여 왕은 형식상 제후 왕의 격식에 따라 수의로 은루옥의를 입었을 것이다).

따라서 환빠들이 부여가 황제국이라고 주장했던 옥갑 관련 사료는 오히려 부여가 동한에 친화적인 태도를 보여서 동한의 예법을 높은 수준에서 이해하고, 동한에 제도상 복속해 있었음을 드러내는 사료이다.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이, 부여가 한나라에 속했다는 말이 중국의 속국이나 지방 정권이라는 뜻이라는 게 아니다. 이는 부여가 중국과 동맹을 맺고, 교역을 하기 위해 명목상 칭신을 하는, 당대의 외교적 관례를 잘 알았다는 의미다. 자세한 건 조공 문서 참조.

물론 이런 것과 관계 없는 순수한 연구자라면 부여가 한나라의 국제 질서에 속하여 동한에 대해 제도적으로도 충분히 지위를 보장받았다고만 알고 넘어가면 된다.


11. 역사귀속과 계승인식[편집]



11.1. 한국사[편집]


보통 한국사에 등장하는 모든 국가들은 대부분 한반도에 영토가 있어 불가분의 관계이지만, 부여는 (동부여를 제외하면) 한반도에 영토를 가진 적이 없었던 데다가 고조선진국[12]만큼은 아니지만 어쨌든 여러 전란으로 사서가 유실된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남아있는 기록들도 부실하여 한국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학교 교육에만 충실했다면 원삼국시대에 이런 국가가 있었다는 정도의 비중으로만 기억하고 있을 공산이 크다.

그래도 나름 왕을 칭한 연맹왕국을 이루는 데 성공했고 두 후계국인 고구려백제가 메이저급으로 성장했으니 군장국가 수준에 그친 다른 원삼국시대 소국들보다는 훨씬 네임드다. 백제를 누를 잠재력이 있었던 마한의 맹주 목지국은 결국 본격 영토국가로는 성장하는 데 실패해 지명도가 크게 떨어진다. 고조선 준왕 집단의 직계이자 목지국보다 먼저 마한을 영도했던 것으로 생각되는 건마국도 너무 이른 시기에 몰락해 지명도가 아예 없다.

그와 비교하면 부여는 가장 북쪽 끝 국가였다는 개성이 있는데다 발해도 부여를 이었다고 자부했으며 고려에도 부여공/후란 작위가 존재했고 백제 덕에 한반도에 충청남도 부여군이라는 명칭을 무려 현대까지 남기는 데 성공했다. 한국사를 대충이라도 제대로 공부했다면 부여의 왕들인 해부루금와왕, 대소왕은 알겠지만 그에 비해 한때 삼국시대의 한 축을 담당한 강국이었던 가야 반파국(대가야)의 왕들의 이름은 거의 모를 것이다. 여러 일화가 잘 전해진 덕에 오히려 비중에 비해 대우가 꽤 후한 편이 된다.

부여는 5세기 말에 사라지지만 그 유산은 이후로도 오랫동안 남는다. 한국의 전통놀이 문화인 윷놀이의 기원론 중 하나가 부여기원론이며 윷놀이 용어는 부여어라는 게 중론이다. 중국 북송 때의 백과사전 《태평어람》에서도 부여 관련 얘기로 나온다.

중국의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고구려인들과 부여인들이 백의(白衣)를 즐겨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후계 한국사 국가들도 백의를 즐겨입는 성향이 있어서 백의민족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한반도 사람들은 부여에서 내려온 북방계로 부여인의 유골이 형질인류학 연구상 현대 한국인과 가장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다고 나오기도 했다.

두막루도 부여의 후계국이라는 설이 있는데 사실이라면 부여는 정설보다, 심지어 삼국 고대왕국 고구려, 백제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발해대까지 그 여명을 유지한 것이다. 하지만 오해하면 안 되는 게, 왕가들이 내세운 프라퍼갠다로만 따지면 고구려와 백제는 부여고 신라는 조선이라고 볼 수는 있겠으나 고고학적 조사 및 다름아닌 문헌 자료 연구는 약간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 이 부분은 밑의 고구려, 백제 단원 참조.


11.1.1. 고조선과의 관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고조선-부여 관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2. 고구려, 백제[편집]


고구려백제가 부여에서 나왔음을 자처했다. 1차 사료인, 백제의 개로왕북위에 보내는 국서(472)가 있다. 이는 《삼국사기》 <백제본기> 개로왕, 《북위서》 <열전>,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고구려, 백제가 모두 부여에서 나왔다고 쓰여 있다. 고구려는 시조 추모성왕의 시호를 부여의 시조인 동명왕에게서 따왔고 건국 신화도 동명왕 신화를 차용했을 정도였다. 특히 백제 같은 경우는 왕실의 성이 부여씨였고, 국호를 아예 남부여로 바꾼 적도 있을 만큼 부여에게서 내려오는 정통성을 중시했다. 이로 인해 사비성이 있었던 지역의 현대 명칭도 부여군이다.

일단 삼국사기상 내러티브로는 주몽이 부여에서 왕자들의 질투를 받아 죽을 위험에 처하니 부여를 떠나 졸본부여로 가서 고구려를 세운 후, 부여에서 주몽의 아들 유리(고구려 2대왕)가 오니 찬밥 신세가 된 주몽 아들인 비류와 온조는 한반도로 내려가서 각각 인천(미추홀)에 비류국, 한성(위례)에 백제국을 세운 걸로 되어는 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고구려 왕가 및 백제 왕가가 본인들 이익과 그 당시 거느리면서 흡수하고 경쟁하던 주변국에 대한 입장에서 어느 정도 윤색한 것임을 잊어선 안 된다. 고구려는 본인들이 부여에서 나오긴 했지만 뿌리는 금와왕의 부여가 갈라져 나온 북부여(즉, 부여 동명왕이 떠나온 부여 동명왕의 본국인 탁리국 혹은 고리국을 말한다.)에 있다고 주장했고, 백제는 아예 건국사화를 봐도 부여도 졸본부여도 아닌 고구려에서 나온 게 분명함에도 본인들이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나왔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단 고고학적으로는 고구려 지배층은 부여 동명왕이 떠나온 고리국(=탁리국)으로 비정되는 백금보-망해둔 문화권과 1도 관계가 없고, 실제로는 부여로 비정되는 기원전 2~1세기 포자연 문화권과 강력한 연속성이 입증된다. 묘제는 송양 집단과 주몽 집단이 내려오기 전 요동 동부 및 압록강 바로 건너에 살던 고조선 유민들의 조선식 묘제와 부여식 묘제가 절묘하게 합쳐진 형태지만, 지배층의 묘소에서 발견되는 무구류와 장신구는 모두 부여 포자연 문화권의 것이기에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부여 지배층의 그것과 강력한 연속성이 발견된다. 때문에 이는 고구려의 지배층이 부여에서 온 전사 집단이었음을 입증하는 증거로 간주되는데 이는 사서의 내용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므로 별다른 이견이나 반박은 없는 상황. 그리고 고구려의 원류가 되기도 했던 이 소수맥 지역은 고주몽 집단이 오기 백 년 전인 기원전 2세기에도 부여로부터 내려온 집단의 남하가 또 한 번 확인되는데 이들을 문헌 사료와 맞춰서 이해하면 바로 졸본부여의 건국 집단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니 실제로는 고구려는 그냥 부여에서 떨어져나온 이들일 뿐이고 고리국과도 무관하기에 건국 신화에서 말하는 해모수-고주몽, 해모수-해부루-금와 이런 내러티브는 절대로 사실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물론 때문에 부여는 고구려를 내내 무시했다. 제3자가 보더라도 이해되는 현상이다.

한편 부여-고구려의 이 묘한 관계는 고구려-백제에게서 똑같이 드러난다. 물론 백제와 고구려의 연결성은 묘제의 연결성이 너무나도 분명하니 백제가 고구려에서 나왔다는 건 고고학적으로 결코 부정할 수 없으나, 이것이 백제 왕실의 공식 주장, 즉 백제는 고구려에서 나오지 않았고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나왔기에 고구려와 대등하다는 주장에 부합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초기 한성백제는 부장품이든 묘제든 부여와 연관되는 게 하나도 없으며, 토광묘제가 한때 부여와 일치한다는 증거로 들어졌으나 이는 논파된 지 오래된 주장. 그냥 대중에게 알려진 대로 고구려는 부여에서 나왔고 백제는 고구려에서 나왔다는 얘기가 고고학적으로도 맞다가 되겠지만, 이것이 어쨌든 백제 왕실에서 공식적으로 한 얘기하곤 틀린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지가 역사학자들의 현재 고민거리다.

흔히 알려져 있는 온조시조설의 백제 건국신화에서는 동명성왕이 북부여에서 홀본부여에 남하해 소서노와 혼인, 고구려를 세운 뒤 비류온조를 낳고 후에 북부여에서 내려온 장자 유리명왕에게 왕위를 물려주자 소서노와 비류, 온조가 남하해 백제로 떨어져나갔다는 게 골자지만, 이게 사실이라면, 고구려의 왕대가 2대가 될까 말까한 초기에 일어난 일이니만큼 북부여가 아닌 '홀본부여'에서 고구려와 백제가 거의 동시에 나왔으면 백제 또한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와의 물질 문화 연계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그러긴커녕, 고고학 연구가 진전될수록 백제와 고구려의 연결성은 입증되어도 백제와 부여 사이엔 그런 게 되질 않으니, 결국은 온조 설화의 내러티브 자체도 그게 정말 문자 그대로 그랬었을지는 상당 부분 의문시될 수밖에는 없는 것이다.

한편 한성백제가 막 목지국을 쓰러뜨리고 낙랑군대방군의 영향력을 완전히 뿌리치며 마한의 맹주국으로 발돋움하던 3~4세기 즈음에 흡수한 경기, 강원, 충북 일대 동예 소국들의 물질 문명에서는 부여의 영향이 어느 정도 보이긴 한다. 이는 부여가 고구려나 전연 등을 포함해서 여기저기 정신 못 차리게 두들겨 맞을 때 탈출해온 부여 유민들의 영향으로 유력하게 해석된다.

그런데 이들은 또 어디까지나 그 시점에선 백제에게 직접 지배 지역화당하거나 간접 지배 영역으로 편제되던 지역 호족이니, 백제의 건국 설화 내용과는 또 다시 묘하게 잘 들어맞지 않는다. 역시 이 부분에 대한 설명도 현재 역사학자들의 주된 고민거리다. 혹자는 부여-고구려-백제니 백제는 어쨌든 부여와 관계 있을거라 추정하겠지만, 백제의 주장은 부여-고구려 // 부여-백제니 백제는 고구려와 대등함!이었다. 한편 백제의 이런 주장에 대해 고구려가 일언반구 대응 없이 그저 백잔 운운하면서 무관심무대응 내지는 비하 반응 일변도로 일관했던 것도 더 생각해볼 부분이다.

다시 정리하면, 고구려가 뭐라고 주장하든 부여는 FACT에 기반을 둔 자신감으로 코웃음치며 내내 고구려를 무시했다. 그리고 고구려 또한 백제가 뭐라고 주장하든 역시 FACT에 기반을 둔 자신감으로 백제도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갈라졌다느니 등 따위 얘기들은 아예 상대조차 해주질 않았다. 이러니 부여-고구려, 고구려-백제의 관계가 좋아질 수 있다면 그것이 더 이상한 일이 되겠다. 일반적으로 삼국통일전쟁 막판의 여제동맹 구도 때문에 고구려와 백제가 한 편이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멸망 이전 몇 십 년 정도에 한정된 관계였다. 이것도 긴밀하기보단 이해관계 때문에 일시적으로 뭉친듯한 모양새다. 오히려 동맹의 긴밀함은 한국사에서 거의 유일하게 외국 왕족끼리 서로 통혼을 한 백제, 신라의 경우가 유별났다. 물론 이들도 동맹이 깨진 뒤론 원수가 되지만. 고구려와 백제는 왕조 존속기간 수백년을 통틀어 보면 이들이 신라와 사이가 안 좋았던 기간보다 여•제가 서로 원수지간이던 기간이 훨씬 길었다. 현대 남북한관계도 그렇듯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는 것이 실제 외교에서도 친밀함을 담보하진 않았다.

그래도 부여는 최후의 일격을 모용씨 세력에게 맞긴 했으나 실제로는 그 인민과 영역 대부분을 융성하게 된 고구려에게 흡수당했고, 끝내 고구려는 부여의 옛 고토를 당연히 옛 탁리국 영역까지 모두 합쳐 영역화했다. 그래서 부여와 고구려의 갈등은 일단락되었고 옛 부여인들 대부분은 정체성이 고구려화된다.[13] 그러나 백제는 한성 일대를 고구려에게 빼앗기고 그 이후에도 아예 청주-세종-대전까지 모두 빼앗기며 멸망 직전에 몰리긴 하였으나, 나제동맹을 통해 어떻게든 고구려를 충남에서만큼은 완전히 밀어내서 생존에 성공하였다. 때문에 같은 부여계라는(고구려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백제와 고구려의 근본적인 갈등은 삼국통일 전까지도 해소되지 못하였다.

게다가 대중에게 널리 퍼진 오해로, 고구려와 백제는 부여인데 신라는 조선이니 고구려/백제와 신라는 계통이 좀 다르다는 인식이 있는데 이는 실제 역사적인 사실과 다름을 명심해야 한다. 물론 왕가 기준으로만 생각하면 그렇게도 볼 수는 있겠지만 왕가 중심으로만 역사를 보는 관점이 수백 년 전 타파된 걸 고려해본다면, 이는 제대로 된 인식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우선 고구려는 졸본부여 시대부터 대다수 고조선 유민과 소수 부여 지배층이 연합해서 내려오는 나라였다. 즉 적어도, 태조왕 이전 고구려는 주민 구성 대부분이 조선인 계통이란 얘기다. 태조왕 때부터는 이미 약해진 부여 본토 영역까지 본격적으로 잠식해 들어가니 그 이후 고구려는 부여인의 비중이 비약적으로 높아졌겠지만 그 전에는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초기 한성백제는 아예 지배층마저 고구려 유민 일변도는 아니었다. 건국 단계부터 토돈분구묘 해양 민족 계열과 연립 정권을 이룬 상태였고(물론 주로 초고-온조계로 비정되는 고구려 주몽 왕족 계열이 우위였으나), 피지배층 대부분은 낙랑에서 내려온 서북한 고조선인과 동북한 옥저 계통이 주를 이루었다. 이후 3세기 중후반 목지국 기습 직전 고이왕 시절에는 경기도 전체와 (목지국이 소재한 천안을 제외한)충남 북부 일대를 영역화한 단계였는데 이 시기에 한성백제 산하에 들어온 주민 대부분은 고조선 계통 사람들이었다. 이른바 대성팔족도 몇몇 씨족 외엔 다수는 마한 조선계임이 분명한 집안들이었다. 그러니 아주 당연한 얘기로 성왕 때 백제 왕가가 국호를 남부여로 바꾼 것에 대해, 마한 거수국 거수들의 후예인 나머지 백제 귀족들이 결코 동의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니 고구려와 백제가 신라와 달리 조선과 무관한 부여계 국가라는 일각의 인식은 사실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현대 대한민국이 부여보다 조선을 다소 부각할 수밖에 없는 건 부여사가 고조선사에 비해 덜 알려진 것만 이유는 아니다. 고구려, 신라, 백제 모두 조선과는 연계가 대단히 깊은데 적어도 신라는 부여와의 직접적 연관성에서 빠지니, 신라가 먼저 주창하고 고려가 그 개념을 바꿔서 계승한 삼한일통적 관점[14]에서는 고조선이 보다 주목될 수밖에는 없다. 물론 고려가 내세운 삼한일통 인식은 부여의 후계인 고(구)려가 중심이 되긴 하였어도, 엄연히 신라가 삼한일통의 한 주축인 이상 통합을 내세울 때는 부여보다 조선이 중시될 수밖에 없었다.


11.1.3. 발해[편집]


속일본기》에 따르면 발해대무예가 부여의 풍속을 이어받았다고 일본에 선언했다. 발해는 옛 부여의 땅에 부여부막힐부를 두었고, 부여부 부주 부여현은 후기 부여의 중심지 농안일대로 보기도 한다. 일부 재야사학자들은 요사의 기록을 근거로 발해 부여부가 랴오닝성에 있었다는 주장을 하는데, 요사에 기록된 발해 여러부의 요동 위치설은 거란이 발해를 정복하고 발해인들을 집단이주시켜 주군현을 이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11.1.4. 고려[편집]


고려 문종의 왕자 왕수의 봉국명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중국 왕조가 전왕조들의 국호를 제후에게 봉한 사례를 따른 것이다. 왕수의 작위는 후작에서 진작된 부여공(扶餘公)이었다. 또한 중국 송나라의 《고려도경》엔 고려가 제후에게 준 부여궁(扶餘宮)이 있었다고 한다. 이 부여궁은 부여국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11.2. 중국사(만주사)[편집]


한국사뿐만 아니라 부여가 자리잡은 지역이었던 현 중국 만주 지역의 역사에서도 중요한 나라로, 7세기에 속말말갈의 수령 돌지계가 수나라로부터 부여후로 봉해졌고, 여진금나라도 건국할 때 부여를 언급했다.

하지만 말갈여진숙신계 민족들은 부여를 비롯한 예맥계 민족들과 이질성이 존재했다. 애초부터 부여인들은 읍루와 말이 통하지 않고 읍루를 착취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

숙신계 읍루가 3세기까지 부여에 신속했고, 이후 5~6세기 말갈이 강성해져 속말말갈은 부여의 초기 중심지 속말수(송화강) 유역으로 남하하면서 부여를 서북쪽 농안지역으로 밀어내고 자리잡았기에 수나라로부터 부여후로 봉해졌을 수 있다. 이후 말갈의 여러부가 고구려의 일원이 되고, 발해 때는 고구려 유민과 함께 건국세력이 되어 한 국가를 이룰 만큼, 비록 민족은 다르지만 발해 멸망 전까지는 부여와의 접점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11.2.1. 중국동북공정[편집]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최근 아무리 계속하여 밀어붙여도 고구려가 중국 왕조로 인정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깨달았는지, 고구려보다 비교적으로 한국 학계에서 역사적 연구 및 자료가 빈약한 부여를 중국 한나라한사군에 소속되었던 중국의 왕조였다고 주장하는 쪽으로 비중을 옮겨 동북공정을 펼치고 있다.

즉, 고구려나 백제가 중국의 왕조로 인정받지 못 한다면, 아예 고구려와 백제의 선조격인 부여를 중국 왕조라고 주장하면 된다(...)는 생각. 이를 통해 공식적으로 부여를 한국 발음인 부여가 아니라 중국식 발음인 푸위(Fuyu)라고 불러야 한다 주장하는 것은 덤이다.

특히 영어 위키백과 항목에 수정 전쟁을 통하여 부여 항목을 점거한 뒤 위의 주장들을 기재하여 부여를 중국의 왕국으로 소개하고 있다. #. 2022년 1월 기준으로는 한국의 역사로 다시 수정되었지만 다시 중국 역사로 바뀌는 등 한국 유저와 중국 유저 간의 수정 전쟁이 한창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부여와 관련된 위키백과 페이지를 중국인 편집자들이 쪽수로 점거해서 밀어붙이고 있다.막장이다 현재는 문서 일부가 아예 보호 처리되었다.



12. 부여에서 유래한 이름[편집]



12.1. 한국[편집]


  • 부여와 백제의 왕성(王姓) 부여씨 - 백제에서는 부여 계승 의식에 의거하여 부여를 왕성으로 삼았다. 한국의 국성 중 유일한 복성이다. 중국에서는 편의대로 여(餘)씨로 줄여서 기록했다. 실제로 夫 자는 한문에서 그냥 별 의미 없는 발어사(發語辭)로 쓰는 경우가 많다. 고대 중국인들이 백제 왕족을 언급하는 문장에 적혀 있는 夫餘나 夫余를 복성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발어사로 夫를 쓴 다음에 한 글자 성씨로 餘나 余를 기재했다고 오독했거나 혹은 백제 왕실이 중국 왕조와 무역할 때 중국식으로 한글자 성씨인 餘씨로 줄여서 소개한 것이 기록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5] 부여의 '여'(餘 또는 余)와 성씨 서(徐)는 余를 구성 요소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의외로 선비족에 의해 요서로 이주된 이후의 부여 왕족들도 성씨가 여씨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부여씨를 쓰는 사람은 없지만 그 후예는 현재 서씨여씨로 전해지고 있다. 일본에서도 백제 왕족 부여씨의 후예를 자처하는 몇몇 성씨가 존재하는데, 이들은 대개 야마토 조정으로부터 성씨를 새로이 하사 받고 귀족, 왕족으로 편입되어 꽤 오랫동안 일본 역사서에 존재를 알리기도 했다. 현대까지 내려오는 부여씨 후손을 자처하는 성씨들 중에는 대표적으로 임성태자를 조상으로 하는 오우치(大内), 부여선광의 쿠다라노코니키시(百済王)씨의 분파 미츠마츠(三松)씨 등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扶餘郡), 부여읍(扶餘邑) - 성왕이 세운 백제의 도읍 사비성이 있었다. 한때 강성했던 부여의 이름이 한국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지명이다. 백제 성왕 대에는 잠시 백제 국호가 남부여로 변경되기도 했다. 다만 전통적으로 역사서에서 국호에 들어간 성씨, 방위 표시나 전·후 같은 수식어는 후대에 동명의 왕조들을 구분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었지, 실제로는 이런 수식어를 뺀 게 실제 국호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래서 어쩌면 실제로는 성왕이 국호를 그냥 '부여'라고 고쳤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남부여가 됐든 부여가 됐든 이 국호가 언제까지 이어졌는지는 불명확하다. 성왕의 국호 변경 이후 시기를 기록한 역사 기록(중국측 기록 포함)에는 그냥 백제로 표기된다. 또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이나 <미륵사지 사리봉안기> 등 성왕 이후의 백제 유물에서도 백제라는 국호만이 표기될 뿐더러 훗날 후삼국시대 견훤이 이 나라를 계승해 세운 나라의 국호가 백제(후백제)였지, 부여나 남부여는 아니었다. 성왕이 선포한 (남)부여라는 새 국호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했다는 증거이다. 학계에서는 왕권 강화를 위한 정통성 주장이 목적인 일시적인 퍼포먼스였던 데다가, 성왕이 급작스레 죽었기에 지속성 논의 없이 흐지부지 된 것이라 보고있다.

12.2. 중국[편집]


  • 중국 지린성 송원시(松原市) 부여시(扶余市)(간체자. 정체자로는 扶餘市)- 중국에도 부여가 현존한다. 한어병음으로는 푸위. 본래 부여의 옛 땅이라 중화민국 정부가 1915년에 부여현(扶餘縣)을 설치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도 그대로 이어지다가 2013년 1월 23일 중국 국무원에 의해 부여시(扶余市)로 바뀌었다. 송원시 안에 부여시가 있는 것은 오타가 아니라 중국의 행정구역 체계상으로 두 도시의 등급이 다르다. 산하에 시, 현 등을 거느린 시를 '지급시'라고 한다.


12.3. 기타[편집]


  • 드라마 주몽에서는 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주몽의 일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로 나온다. 부여 스스로 옛조선의 후예라 표방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았으나, 정황상 옛조선의 후예이나 초심을 잃고 전한과 결탁했다는 식으로 묘사된다. 연맹 왕국에 불과했던 부여의 군주를 '황제'로 지칭하는 것도 특징.

  • 김진의 만화 《바람의 나라》를 바탕으로 한 드라마 바람의 나라에서는 고구려와 적대하는 나라로 등장하며 국력 역시 고구려보다 우위로 묘사된다. 그러나 후반부에 고구려의 침공을 받아 부여성까지 함락당하는 모습이 나온다. 갑옷과 고대 전쟁에서 퇴출되었던 전투 마차를 굴리는 모습이나 부여를 멸망시킨 대무신왕이 최강국이었던 후한을 공격하겠다는 발언 등 역사 반영도 부족하지만, 원작은 러브스토리에 중점을 두었다면 드라마는 한 영웅의 일대기처럼 그려져 원작 재현도 부족하다.

  • 삼국전투기에서는 부여라는 나라 자체가 다스베이더로 패러디되었다. 전성기때는 고구려와 백제의 아버지라는 이유로 위엄이 대단하다. 아버지를 좋아한 걸로는 루크는 고구려로 패러디해야 하겠지만, 정작 고구려와 부여 사이는 좋지 않았다. 하지만 시기 자체가 몰락기라 위엄이라곤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고구려를 설명할 때 곁다리로 살짝 언급되는 정도다.

  • 부여 유적지를 찾아가서 현지 주민들과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눈 중국 네티즌이 있는데, 현지 주민들은 부여를 잘 모르고 해당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역사 인물이 누구냐는 글쓴이의 질문에 부여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먼 후대 인물인 금태조라고 대답했다. #


13. 학계[편집]


부여사 분야 연구의 선구자로 미국의 마크 바잉턴이 있다. 이 사람이 쓴 부여사라는 책이 유명하고 한국에 번역 예정이었는데 아직도 소식이 없다..

이외에 한국 학계의 경우, 사정상 부여만 따로 연구하기보다는 고구려나 고조선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부여도 같이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학자로 노태돈이나 송호정 교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중 송호정 교수가 쓴 '처음 읽는 부여사'라는 책이 부여사 입문에 좋다. 다만 필력이 안좋아서(...) 재미는 없다는 평.

이외에는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발간한 '고조선 단군 부여'라는 책이 참조할만 하다.

14. 참고 자료[편집]



14.1. 연구 자료[편집]


  • 강만길 외, 《한국사 2 - 원시사회에서 고대사회로》, 한길사, 1995년
  • 백산자료원 편집부, 《고조선 부여사 연구》, 백산자료원, 1995년
  • 송호정, 《한국사.4 - 초기국가 고조선 부여 삼한》, 국사편찬위원회, 1998년
  • 서병국, 《동이족과 부여의 역사》, 혜안, 2001년
  • 박경철 외, 《고조선 단군 부여》, 동북아역사재단, 2004년
  • 김기섭 외, 《부여사와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2008년
  • 송호정, 《처음 읽는 부여사》, 사계절, 2015년


14.2. 한국사 관련 시험에서의 논란[편집]


어떤 이유에서인지 부여가 다양한 한국사 시험의 고난도 문제에서 교과서적 내용과 학술적 내용의 일부 충돌로 인해 논란이 있다.

  • 사례 1. 1책 12법은 (부여/고구려)의 풍습?

형벌은 엄격하여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았다. 도둑질하면 12배를 배상하게 하였다. 남녀 간에 음란한 짓을 하거나 부인이 투기하면 모두 죽였다.

특히 도둑질과 관련된 내용은 소위 '1책 12법'이라고 하여, 부여를 설명해 놓고 보기로 자주 제시된다. 그런데 정상적인 출제 기관이라면 반대로 '1책 12법'을 설명해 놓고 부여와 고구려 중에 고르라는 유형의 문제는 나올 수가 없다. 둘 다 1책 12법이 있었다는 사료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또 고구려를 제시해 놓고 '1책 12법'을 고르라는 문제도 나올 수가 없다(...) 왜냐하면 고구려의 법률에 대한 기록이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 《주서》 <고구려전>에서는 도둑질에 대해 10여 배, 《수서》·《북사》·《신당서》에는 10배, 《구당서》에는 12배를 내도록 했다고 되어 있기 때문에, 사료가 잘못된 것인지 시간적 변천이 있었던 것인지 역사학적으로 따져볼 수는 있겠지만, 그건 학술적인 문제고 점수를 가려야 하는 문제에서 고구려에 1책 12법이 있었는가에 대해 단순히 O, X 퀴즈를 내면 맞다고 볼 수도 없고 틀리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사료는 모두 6세기 이후 고구려의 상황을 다룬 사료이므로, 3세기의 상황(《삼국지》 <위서> 동이전을 출처로 하는 기술)을 놓고 위에서 말한 '나올 수 없는' 유형의 문제를 내면 일단 부여-1책 12법을 찍어놓고 출제 기관에 항의하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

  • 사례 2. 우제점법은 (부여/고구려)의 풍습?
2017년 12월 16일에 치러진 9급 공무원 지방직 추가채용 시험에서 '우제점법이 부여와 고구려의 공통 풍습이다 아니다'를 가지고 복수정답 논란이 생겼다. 일부 교재에서는 공통 풍습이라고 씌여있었고, 심지어 몇몇 한국사 강사들이 사료까지 제시해가면서 고구려에도 있는 풍습이라고 이의를 제기했으나 출제자 측에서 묵살(...)하였다. 다만 이는 조금 애매한 면도 있다. 우제점법이 제시된 것이 정사25서가 아닌 한원이다. 이런저런 사료 다 들고 오면 우제점법은 전 세계에서 엄청나게 많은 지역에서 있었던 풍습이다. 교과서적 내용과 실제적 내용이 충돌하는 부분은 고대사에서 수백 곳은 된다는 점 등이 있다. 애초에 고조선으로 보자면 미송리식 토기니 고인돌이니 하는 내용은 모두 30년 전에 폐기된 학설이다.

  • 사례 3. 부여 vs 동부여
2017년에 시행된 역사교사 임용고시에서는 광개토왕비문의 특정한 내용을 발췌해서 제시한 후에, 괄호 안에 들어가야 할 나라를 적으라는 문제가 나왔다. '부여'라고 적은 사람이 많았지만 정답으로 처리된 것은 동부여였다. 이유는 비문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비문에 동부여라 적혀있기 때문이었다. 부여는 오답 처리되어서 오답률이 극악무도하게 높았다고 한다.


1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51:31에 나무위키 부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북부여 초기 수도. 현 중국지린성 지린시로 추정. 알렉산더 보빈은 예성이 옛성, 즉 "오래된 성"의 음차라고 주장했다.# 중국 사서인 <위서> 30권에서 예성을 소개하면서 "그 나라(부여)에는 예성이라는 오래된 성이 있다"(國有故城名濊城)고 서술했기 때문인데, 그 바로 뒤에 "원래 예맥의 땅이다"(蓋本濊貊之地)라는 구절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예인의 이름을 딴 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2]중국지린성 창춘시 눙안현으로 추정.[3] 출처는 <광개토대왕릉비문>. 현 중국지린 성 둔화시로 추정. 사실 북연의 수도 화룡성을 용성이라고 표기했던 것처럼 그냥 부여성의 줄임말일 가능성이 커보인다. 이 경우 부여에서는 수도성의 이름을 따로 정하지 않고 그냥 국호랑 똑같이 부른 것으로 보인다.[4] 고구려어와 같은 어족으로 추정.[5] 고구려(졸본부여)는 부여와 공존했지만, 부여는 멸망 후 고구려에 흡수된다.[6] 보통 북부여의 건국자 해모수로 알려져 있으나 단군과 동일시하기도 한다.[7] 몽골어로는 'pobgo'[8] 부여 남쪽의 고구려도 초기에는 벼 농사를 거의 짓지 않았고, 보리가 주요 재배 작물이었다. 고구려 건국 신화에서 고구려 사람들이 재배하던 주요 작물이 벼가 아닌 보리라 나오는 것만 봐도 고구려는 당시 벼 농사를 주로 하지 않았다.[9] 마한 지역에서는 비리(卑離) 신라에서는 ‘벌’ 백제에서는 ‘부리’로 불렸으면 전부 같은 실체를 가르키는 말로 추정된다.[10] 독일어도 마찬가지로 지명에 -burg(재 城), -berg(뫼 山), -dorf(고을), -bach(내) 등이 붙는다.[11] 실제로 부여 유물 중 붉은 옥이 들어간 장신구가 많다[12] 이 경우는 특정 국체가 있었다기보단 사실상 삼한의 전신급 정도 되는 애매한 존재라 비중을 삼한이 대신하고 있다.[13] 실은 동명왕이 세운 그 부여도 건국 시조가 떠나온 바 있는 본국격인 탁리국을 멸망시켜 흡수했었다. 그런데 동명왕-해부루-금와의 부여 또한 고구려에게 똑같은 일을 당하고 만 것.[14] 통일신라가 주장한 삼한일통은 신라가 중심이 되어 고구려, 백제를 통합한다는 개념이었는데 이는 후삼국시대 개막으로 정면 부정되었고, 931년 신라 경순왕이 고려 왕건에게 칭신하면서 사실상 완전히 폐기된다.[15] 다름이 아니라 백제에서 중국에 보낸 국서에서도 이런 축약표기가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