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덤프버전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3-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2023-24 시즌 문서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2023-24 시즌번 문단을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2023-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5%><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57B8><colcolor=#ffffff> 산하 구단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아카데미 ||
|| 선수단 ||스쿼드 · 스쿼드(간략) ||
|| 역사 ||창단-2019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 역대 감독 ||1대~40대 · 41대~현재 ||
|| 역대
올해의 선수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 더비 매치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M23 더비 ||
|| 구단 시설 ||아멕스 스타디움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엘리트 풋볼 퍼포먼스 센터 ||
|| 관련 인물 ||토니 블룸 · 로베르토 데 제르비 ||
|| 응원가 ||Sussex By the Sea ||
|| 파트너 ||파일:American-Express-Color.png메인 스폰서 · 파일:나이키 로고.svg유니폼 메이커 · 파일:SnickersUK.png슬리브 스폰서 ||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Brighton & Hove Albion FC
정식 명칭Brighton & Hove Albion Football Club[1]
별칭The Seagulls (갈매기)
Albion (알비온)
약칭BHA
창단1901년 6월 24일 (122주년)[2]
소속 리그프리미어 리그 (Premier League)
연고지잉글랜드 이스트서식스 주 브라이턴앤드호브 (Brighton and Hove)
홈구장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타디움[3] (American Express Stadium)
(31,876명 수용)
라이벌크리스탈 팰리스 FC - M23 더비
구단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니 블룸 (Tony Bloom)
부회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폴 바버 (Paul Barber)
기술 이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위어 (David Weir)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베르토 데 제르비 (Roberto De Zerbi)
주장
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이스 덩크 (Lewis Dunk)
부주장
V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담 랄라나 (Adam Lallana)
UEFA 랭킹82위[4]
클럽 앰버서더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비 자모라 (Bobby Zamor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글렌 머리 (Glenn Murray)
공식 웹사이트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우승 경력
EFL 리그 1 (3부)
(3회)
1957-58, 2001-02, 2010-11
EFL 리그 2 (4부)
(2회)
1964-65, 2000-01
FA 커뮤니티 실드
(1회)
1910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브라질 국기.svg

주앙 페드루 (João Pedro)
(2023년, From 왓포드 FC, 2,983만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모이세스 카이세도 (Moisés Caicedo)
(2023년, To 첼시 FC, 1억 1,500만 £)
최근 영입
파일:스페인 국기.svg

안수 파티 (Ansu Fati)
(2023년, From FC 바르셀로나, 임대)
최근 방출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스티븐 알자테 (Steven Alzate)
(2023년, To 스탕다르 리에주, 임대)
최다 출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어니 "터그" 윌슨 (Ernie 'Tug' Wilson) - 566경기 (1922~1936)
최다 득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버트 스티븐스 (Bert Stephens) - 174골 (1935~1948)
1. 개요
2. 특징
3. 1군 스쿼드
4. 코칭 스태프
5. 유니폼 및 스폰서
6. 산하 구단
7. 역대 엠블럼
8. 역대 감독
9. 역사
9.2. 역대 리그 순위
10. 역대 이적료[5]
11. 구장
11.1. 골드스톤 그라운드 (1902~1997)
11.2. 위딘 스타디움 (1999~2011)
12. 파트너 및 스폰서[6]
13. 더비 매치
14. 응원가
14.1. Sussex by the Sea
15. 기타



1. 개요[편집]


파일:brighton.pn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는 영국 잉글랜드 남동부 이스트서식스 주 브라이튼 앤 호브 보로에 연고지를 둔 프로축구단이다. 홈구장은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타디움이다. 브라이튼시의 북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2. 특징[편집]


1901년에 창단하여 1920년에 EFL에 참가하기 전까지 서던 리그에서 뛰었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전성기를 누렸는데, 이때 EFL 1부에서 활동했으며 1983년에는 FA컵 결승전까지 올라갔다. 결승전에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게 패배하였다. 같은 해에 그들은 1부 리그에서 강등을 당하였고, 그 후 미숙한 운영으로 브라이튼은 EFL에서 내셔널 리그(잉글랜드)까지 내려갔다. 이후 새로운 인수자가 부채를 청산하고 2002년에는 다시 2부 리그까지 올라갔다. 이후 2017-18 시즌에 1부 승격팀이 되었고, 현재는 꾸준히 외부 유망주 영입과 판매 등으로 거상 및 빅클럽 사관학교 포지션을 차지하며, 빅클럽들과 경쟁할 수 있는 다크호스팀으로 올라섰다. 2022-23 시즌에는 호성적을 거둬들이면서 구단 창단 이후 122년만에 유럽대항전 진출을 확정 짓게 되었다.

팀의 닉네임은 "Seagulls"로 갈매기란 뜻이다. 1970년대에는 잠시 전부 흰색으로 된 유니폼을 입었지만 전통적으로 파란색과 흰색의 세로줄 유니폼을 입는다. 40마일이나 떨어져 있는 크리스털 팰리스를 가장 큰 라이벌로 여기고 있다.
원래 브라이튼시와 호브시는 서로 다른 도시였으나, 행정구역이 브라이튼 앤 호브로 통합되면서 팀명도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풋볼 클럽"으로 바뀌게 되었다. 보통 줄여서 브라이튼이라 부른다. 브라이튼과 호브는 원래 어촌이었으나 19세기에 영국 왕실이 휴양용 별궁을 지은 이후로 휴양지로 유명해진 도시이다.

브라이튼의 라이벌로는 남런던에 연고지를 둔 크리스탈 팰리스 FC가 있다. 거리는 서식스주에서 남런던까지 50km가 넘지만, M23번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7]. 이들의 관계를 고속도로의 이름에서 따와 흔히 M23 더비라고 부른다. 1940년대부터 시작된 오랜 라이벌 의식과 지역적인 감정까지 더해져 아직까지도 이런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70년대 중반에는 지금과는 다르게 브라이튼의 문장에 돌고래가 그려져 있었다. 때문에 이때는 "Dolphins"라고 불렸는데, 크리스탈 팰리스와의 승격을 위한 경기가 있던 날, 크리스탈 팰리스 팬들이 자신들의 독수리 문장을 따서 "Eagles"라는 응원가를 부르는 것에 대해 브라이튼의 팬들이 "Seagulls"라는 응원가로 맞대응하기 시작하였고, 1998년이 돼서는 구단 문장을 아예 갈매기로 바꾸어서 현재는 "Seagulls"라고 불리게 되었다.


3. 1군 스쿼드[편집]


[ 펼치기 · 접기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2023-24 시즌 1군 스쿼드
파일:p489639_23-24.png
파일:p232792_23-24.png
파일:p223434_23-24.png
파일:p110735_23-24.png
파일:p83299_23-24.png
1234 (3C)5 (C)
바르트 페르브뤼헌
Bart Verbrugge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GK
2002.08.18 (21)
2023~2028
타리크 램프티 파일:부상 아이콘.svg
Tariq Lamptey

파일:가나 국기.svg | DF
2000.09.30 (23)
2020~2025
이고르 줄리우
Igor Julio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8.02.07 (26)
2023~2027
아담 웹스터 파일:부상 아이콘.svg
Adam Webst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5.01.04 (29)
2019~2026
루이스 덩크
Lewis Dun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1.11.21 (32)
2010~2026
파일:p151572.png
파일:p109345(23-24).png
파일:p168090.png
파일:p475168_23-24.png
파일:p474120(23-24).png
678910
제임스 밀너
James Miln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86.01.04 (38)
2023~2024
솔리 마치 파일:부상 아이콘.svg
Solly March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4.07.20 (29)
2013~2026
마흐무드 다후드
Mahmoud Dahoud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6.01.01 (28)
2023~2027
주앙 페드루
João Pedro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2001.09.26 (22)
2023~2028
훌리오 엔시소 파일:부상 아이콘.svg
Julio Enciso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 FW
2004.01.23 (20)
2022~2026
파일:p243568(23-24).png
파일:p60307(23-24).png
파일:랄라나 23-24.png
파일:p243505_23-24.png
파일:p50175(23-24).png
1113 (4C)14 (VC)1518
빌리 길모어
Billy Gilmou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2001.06.11 (22)
2022~2026
파스칼 그로스
Pascal Groß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1.06.15 (32)
2017~2025
아담 랄라나
Adam Lallan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88.05.10 (36)
2020~2024
야쿠프 모데르
Yakub Moder

파일:폴란드 국기.svg | MF
1999.04.07 (25)
2020~2025
대니 웰벡
Danny Welbec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0.11.26 (33)
2020~2024
파일:p535301@2x.png
파일:p451340.png
파일:p49262_23-24.png
파일:p535818(23-24).png
파일:p487117(23-24).png
2022232428
카를로스 발레바
Carlos Baleba

파일:카메룬 국기.svg | MF
2004.01.03 (20)
2023~2028
미토마 카오루 파일:부상 아이콘.svg
Kaoru Mitoma

파일:일본 국기.svg | FW
1997.05.20 (27)
2021~2027
제이슨 스틸
Jason Steel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0.08.18 (33)
2018~2026
시몬 아딩그라 파일:부상 아이콘.svg
Simon Adingra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FW
2002.01.01 (22)
2022~2026
에반 퍼거슨
Evan Ferguson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FW
2004.10.19 (19)
2021~2029
파일:p469142_23-24.png
파일:p204214(23-24).png
파일:p465607@2x.png
파일:p111478_23-24.png
파일:p209288.png
2930313438
얀 폴 반 헤케
Jan Paul van Heck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0.06.18(23)
2020~2027
페르비스 에스투피냔 파일:부상 아이콘.svg
Pervis Estupiñán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DF
1998.01.21 (26)
2022~2027
안수 파티 파일:부상 아이콘.svg
Ansu Fati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2002.10.31 (21)
2023~2024[1]
요엘 펠트만 파일:부상 아이콘.svg
Joël Veltma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2.01.15 (32)
2020~2025
톰 맥길
Tom McGill

파일:캐나다 국기.svg | GK
2000.03.25 (24)
2018~2025
파일:p536916(23-24).png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40####
파쿤도 부오나노테
Facundo Buonanotte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2004.12.23 (19)
2023~2027
구단 정보
구단주: 토니 블룸 / 감독: 로베르토 데 제르비 / 홈 구장: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타디움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27일
※ 주의 기기 환경에 따라 펼칠 시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FC 바르셀로나에서 임대





4. 코칭 스태프[편집]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브라이튼 & 호브 알비온 FC 코칭 스태프
[ 펼치기 · 접기 ]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2023-24 시즌 코칭 스태프
직위국적이름영문 이름비고
감독파일:이탈리아 국기.svg로베르토 데 제르비Roberto De Zerbi
수석 코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안드레아 말데라Andrea Maldera
골키퍼 코치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잭 스턴Jack Stern
파일:스페인 국기.svg리카르도 세가라Ricard Segarra
피트니스 코치파일:잉글랜드 국기.svg톰 테일러Tom Taylor
테크니컬 코치파일:잉글랜드 국기.svg닉 스탠리Nick Stanley
파일:웨일스 국기.svg앤드류 크로프트Andrew Croft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마르첼로 퀸토Marcello Quinto
분석 총괄파일:잉글랜드 국기.svg오언 브래드퍼드Eoin Bradford
운동 코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빈센조 테레사Vincenzo Teres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마르카틸리오 마르카틸리Marcattilio Marcattil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아고스티노 티바우디Agostino Tibaudi
유스 코치파일:잉글랜드 국기.svg스티브 시드웰Steve Sidwell
파일:잠비아 국기.svg에녹 음웨푸Enock Mwepu
퍼포먼스 총괄파일:잉글랜드 국기.svg아담 브렛Adam Bre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조쉬 훅Josh Hook
구단 정보
출처: 트랜스퍼 마켓,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4월 9일
[각주]




5. 유니폼 및 스폰서[편집]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23-24시즌 유니폼 및 스폰서
파일:브라이튼홈유니폼2324.jpg파일:브라이튼원정유니폼2324.jpg파일:브라이튼 2223 어웨이킷.jpg파일:빈 세로 이미지.svg파일:빈 세로 이미지.svg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HOME AWAYTHIRDGK 1stGK 2ndGK 3rd
메인 스폰서유니폼 메이커슬리브 스폰서
파일:American-Express-Color.png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SnickersUK.png



6. 산하 구단[편집]



6.1.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아카데미[편집]




6.2.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WFC[편집]




7. 역대 엠블럼[편집]


파일:Brighton-Hove-Albion-Logo-history.jpg

8. 역대 감독[편집]




9. 역사[편집]


사진을 클릭하면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의 역사를 소개하는 구단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파일:아멕스스타디움짤1.jpg
브라이튼 호브 알비온 FC의 역사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9.1. 역대 시즌[편집]




9.2. 역대 리그 순위[편집]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역대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01-02-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23
1902-0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22
1903-04-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7
1904-05-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1
1905-06-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6
1906-07-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3
1907-08-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7
1908-09-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8
1909-10-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
1910-11-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3
1911-12-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5
1912-13-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9
1913-14-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7
1914-15-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0
1915-16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16-17
1917-18
1918-19
1919-20-서던 풋볼 리그 디비전 116
1920-2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8
1921-2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9
1922-2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4
1923-2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24-2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8
1925-2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26-2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4
1927-2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4
1928-2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5
1929-30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30-3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4
1931-3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8
1932-3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2
1933-3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0
1934-3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9
1935-3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7
1936-3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3
1937-3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38-3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3
1939-40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40-41
1941-42
1942-43
1943-44
1944-45
1945-46
1946-4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7
1947-4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2
1948-4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49-50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8
1950-5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3
1951-5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5
1952-5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7
1953-5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
1954-5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55-5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2
1956-5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6
1957-5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 사우스1
1958-5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2
1959-60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4
1960-61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6
1961-62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2
1962-63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22
1963-644풋볼 리그 포스 디비전8
1964-654풋볼 리그 포스 디비전1
1965-6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5
1966-6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9
1967-6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0
1968-69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2
1969-70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5
1970-71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4
1971-72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2
1972-73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2
1973-74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9
1974-75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9
1975-76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4
1976-77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2
1977-78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4
1978-7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
1979-80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6
1980-81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9
1981-82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13
1982-831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2
1983-84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9
1984-85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6
1985-86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0
1986-87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2
1987-883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2
1988-89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9
1989-90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8
1990-91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6
1991-922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3
1992-933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9
1993-943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4
1994-953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6
1995-963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23
1996-974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23
1997-984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23
1998-994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7
1999-004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1
2000-014풋볼 리그 서드 디비전1
2001-023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1
2002-032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23
2003-043풋볼 리그 세컨드 디비전4
2004-052풋볼 리그 챔피언십20
2005-062풋볼 리그 챔피언십24
2006-073풋볼 리그 118
2007-083풋볼 리그 17
2008-093풋볼 리그 116
2009-103풋볼 리그 113
2010-113풋볼 리그 11
2011-122풋볼 리그 챔피언십10
2012-132풋볼 리그 챔피언십4
2013-142풋볼 리그 챔피언십6
2014-152풋볼 리그 챔피언십20
2015-162풋볼 리그 챔피언십3
2016-172EFL 챔피언십2
2017-181프리미어 리그15
2018-191프리미어 리그17
2019-201프리미어 리그15
2020-211프리미어 리그16
2021-221프리미어 리그9
2022-231프리미어 리그6
2023-241프리미어 리그-



10. 역대 이적료[8][편집]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역대 영입 이적료 TOP 10
시즌이름전 소속 팀포지션국적이적료
23/24주앙 페드루왓포드 FCFW파일:브라질 국기.svg€34.20m
23/24카를로스 발레바LOSC 릴MF파일:카메룬 국기.svg€27.00m
21/22에녹 음웨푸FC 레드불 잘츠부르크MF파일:잠비아 국기.svg€23.00m
19/20아담 웹스터브리스톨 시티 FC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22.22m
23/24바르트 페르브뤼헌RSC 안데를레흐트GK파일:네덜란드 국기.svg€20.00m
18/19알리레자 자한바크슈AZ 알크마르FW파일:이란 국기.svg€19.00m
21/22마르크 쿠쿠렐라헤타페 CFDF파일:스페인 국기.svg€18.00m
22/23페르비스 에스투피냔비야레알 CFDF파일:에콰도르 국기.svg€17.80m
23/24이고르 줄리우ACF 피오렌티나DF파일:브라질 국기.svg€17.00m
17/18위르겐 로카디아PSV 에인트호번FW파일:네덜란드 국기.svg€17.00m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역대 방출 이적료 TOP 10
시즌이름방출팀포지션국적이적료
23/24모이세스 카이세도첼시 FCMF파일:에콰도르 국기.svg€133.00m[9]
22/23마르크 쿠쿠렐라첼시 FCDF파일:스페인 국기.svg€65.30m
21/22벤 화이트아스날 FC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58.50m
23/24알렉시스 맥 알리스터리버풀 FCMF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42.00m
22/23이브 비수마토트넘 홋스퍼 FCMF파일:말리 국기.svg€29.20m
22/23레안드로 트로사르아스날 FCFW파일:벨기에 국기.svg€24.00m
23/24로베르트 산체스첼시 FCGK파일:스페인 국기.svg€23.00m
21/22댄 번뉴캐슬 유나이티드 FC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15.00m
22/23닐 모페에버튼 FCFW파일:프랑스 국기.svg€11.80m
20/21앙토니 크노카르트풀럼 FCFW파일:프랑스 국기.svg€11.70m

11. 구장[편집]



11.1. 골드스톤 그라운드 (1902~1997)[편집]


파일:골드스톤그라운드1980s.jpeg.jpg

한 세기 가까이 사용해온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예전 홈구장이다.

창단 직후엔 크리켓 경기장을 사용하다가, 그 이후 이 구장을 사용하였었다. 처음에는 임대로 시작해서 1930년에 사들이고 잘 쓰다가, 1990년대부터 이어진 극심한 재정난으로 구단의 수명이 끝날 위험에 처해지자 1995년 보드진들이 매각 결정을 하게 되고, 결국 96/97시즌을 마지막으로 매각되고 철거되어 경기장을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 이후로는 잠시 2시즌 동안 브라이튼에서 75마일(120km) 떨어진 질링엄에서 경기를 치루기도 하였다.

최다 관중 기록:1958년 12월 27일, vs 풀럼/36,747명[10][11]

11.2. 위딘 스타디움 (1999~2011)[편집]


파일:브라이튼위딘스타디움짤.jpg

새 홈구장이 건설되기 전까지 무려 12년동안 사용하던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의 임시 홈구장이었다. 2004년 더 가디언에서 한 설문에서 최악의 축구경기장 4위에 등극할 정도로 열악했다.[12]#

이러한 악평은 이 경기장이 본디 축구장이 아닌 육상경기장이었단 것에서 대부분 비롯됐다. 원래 육상경기장이었다보니 원형트랙을 따라서 스탠드들이 세워질 수 밖에 없었고 그 결과 관중석은 경기장과 한참 떨어지게 되었다. 특히 원정석인 웨스트엔드의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골대와 거의 50m 떨어져있었다. 반대편 골대와는 거의 150m여서 가디언지의 평을 빌리지면 거의 2마일 떨어진 기분을 들게 했다. 브라이튼 측도 이를 잘 알기에 처음에는 서쪽엔 스탠드를 짓지 않았으나 챔피언십을 진출하면서 경기장 규정을 맞추기위해 어쩔수 없이 900석 정도의 좌석을 설치한 것이었다.

그러면 좀 더 높게 지어서 시야를 확보하게 하면 되지 않느냐 싶겠지만, 경기장에 바로 붙어서 주거용 부동산들이 있었기 때문에 높이 올릴 수 가 없었다. 거기에 골대보다 더 가까운 해머던지기 모래판과 아무렇게나 널부러진 안전용 펜스, 다른쪽엔 멀리뛰기용 모래판까지 축구 분위기를 산통깨는 풍경도 악평에 한 몫 했다. 원정석의 악몽은 거리에서 끝이 아니었다. 급하게 지어졌던 탓에 주변 편의시설 역시 형편없었는데, 단 6명만 수용가능한 화장실, 비나 눈을 피할 공간 부재, 음식을 구할 곳은 푸드 트럭 한대 뿐이었다.

스탠드 좌석 자체도 북쪽 스탠드를 제외한 대부분 비계로 되어있는데다 일부는 근처 골프대회에도 쓰던 임시좌석을 사용했는데 이는 애초에 팔머스타디움 건설 전에 임시로 쓰려던 거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심지어 가격도 저렴한 편이 못됐는데, 이는 경기장을 임대한 것이다 보니 임대료를 충당해야 했던데다가 위딘 스타디움 주변 주민들의 반대로 위딘 스타디움 반경 1마일 이내 주차 제한이 걸려 이를 대체하기 위한 대중교통 이용권을 제공하면서 그 비용이 표값에 포함 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쯤 되면 멀긴 해도 차라리 상기했던 질링엄에서 하면 안됐나 싶겠지만, 저 최악의 축구경기장 설문에서 1위를 차지했던 곳이 바로 질링엄이다(...)

최다 관중 기록:2008년 9월 24일 리그컵, vs 맨시티/8,729명[13]

11.3.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타디움 (2011~)[편집]


파일:external/i2.wp.com/American-Express-Community-Stadium-Brighton-and-Hove-Albion-Football-Club.jpg

전에 쓰던 홈구장은 재정난으로 97년도에 팔렸고 현재 브라이튼이 사용하고 있는 구장은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타디움(American Express Stadium)이다. 2011년에 처음 개장한 신축구장으로 이름이 너무 길어서 보통 아메리칸 익스프레스[14]의 별칭이기도 한 아멕스(Amex)라 부른다. 원래 이름은 구장이 위치한 지명을 따서 팔머 스타디움인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사에 명명권이 팔렸다. 신축당시에는 22,374석이었지만 후에 증설되어 2015년 현재는 30,750석을 유지하고 있다. 프리머어리그 승격한 17/18시즌 이후로는 31,876명으로 증설된 상태다[15].

보통 명명권이 팔렸다면 아스날 FC에미레이트 스타디움이나 FC 바이에른 뮌헨알리안츠 아레나처럼 빅클럽의 구장 명명권을 사서 홍보효과를 노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는 총자산이 2000억 달러를 넘고 포춘지 및 포브스지 선정 전세계 100대 기업에 들어갈 정도로 초거대 기업이라 굳이 챔피언십 구단의 구장에 명명권을 사서 얻을 수 있는 홍보 효과는 크지 않다. 그런데도 명명권을 산 이유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의 유럽지부 본사가 브라이튼에 있기 때문이다. 인구가 25만 밖에 안되는 도시에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에서 고용한 인원이 3500명이나 되니 도시를 먹여살리는 수준이다. 그렇다보니 홍보효과를 노렸다기보다는 일종의 지역 사회 환원 차원에서 축구팀을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그래서 구장의 이름이 팔릴때도 지역 팬들의 반발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구장이 럭비공처럼 생겼는데 실제로 럭비도 할 수 있게 디자인 되었고, 2015년 9월에 열린 잉글랜드 럭비 월드컵에서 경기 구장으로 쓰이면서 예선 2경기가 열렸다.

현지 시각으로 2023년 8월 1일부터 '커뮤니티'라는 단어를 빼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타디움(American Express Stadium)으로 이름을 변경한다.

최다 관중 기록:2023년 8월 12일 프리미어리그, vs 루턴 타운/31,872명[16]

12. 파트너 및 스폰서[17][편집]




13. 더비 매치[편집]



13.1. M23 더비[편집]




14. 응원가[편집]



14.1. Sussex by the Sea[편집]


▲ Sussex by the Sea
[ 가사 펼치기 · 접기 ]

'''{{{#ffffff
Now is the time for marching
Now let your hearts be gay
Hark to the merry bugles
Sounding along our way
So let your voices ring, my boys
And take your time from me
And I'll sing you a song as we march along
Of Sussex by the Sea
Good old Sussex by the Sea
Good old Sussex by the Sea
You may tell them all that we'll stand or fall
For Sussex by the Sea}}}'''



15. 기타[편집]


파일:external/ichef.bbci.co.uk/_95680862_rexfeatures_8612841bh-2.jpg
구단주 토니 블룸

  • 구단주인 토니 블룸의 이력이 특이한데 프로 도박사 출신이다. 포커 대회에서 여러번 우승했으며 도박으로 벌어들인 돈만 한화로 40억이 넘는다고 한다. 물론 그렇다고 포커로 구단을 산게 아니라 전 구단주로부터 인수인계를 받았다. 원래 집안이 대대로 브라이튼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었는데 70년대 할아버지가 구단의 부사장이었고 삼촌이 구단의 단장이었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브라이튼의 열광적인 팬이었다고 한다. 물론 석유재벌 정도는 아니지만 원래 집안도 잘사는 편이었고, 은행 융자를 끌어들여서 9,300만 파운드를 투자해 신축 구장을 지을 수 있었다.

  • 한 때 스페인을 풍미했던 윙어 비센테 로드리게스가 몸담았던 마지막 팀이기도 하다. 챔피언십 당시인 2011년부터 2년간 활약하고 은퇴하였다.

  • EPL로 올라온 이후 네 시즌 연속 리그 9승을 거두고 있다. 21-22 시즌에는 10월 초에 이미 4승을 달성하면서 장사 마감까지 5승만 채우면 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 대한민국에서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의 유명 외국인 팬으로 알려졌던 찰리 로빈슨이 이 팀의 오랜 팬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영국의 유명한 DJ인 팻보이 슬림 역시 브라이튼의 열렬한 서포터인데, 구단과 콜라보 머천을 출시하기도 하였다.#






  • 첼시 FC와 유독 선수 거래를 많이 한다. 선수 이적료도 엄청나게 높은 수준[18]이며 심지어 브라이튼의 지휘봉을 잡았던 그레이엄 포터도 첼시가 데려갔고 계약금도 역대 감독 계약금 2위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19] 모이세스 카이세도 이적 사가 때 잠시 양 구단의 사이가 갈 데까지 가는 분위기도 있었으나, 이적시장 종료 후 토니 블룸 본인이 직접 구단 간의 개인적인 문제는 없으며, 이후에 (각 구단의 사정 등으로) 2~3년간 거래를 하지 못할 수도 있으나 여전히 양 구단이 함께 비즈니스를 할 의사가 있다고 밝히면서, 에반 퍼거슨에게 보이는 관심에 대해서도 직접 인정했다.#


[1] /ˈbɹaɪtən ən həʊv ˈælbɪən/[2] #[3] 원래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커뮤니티 스타디움"으로 불렸으나, 2023년 8월 1일부터 "커뮤니티"를 빼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타디움"으로 구장명을 변경하였다. 출처 [4] 출처[5] 트랜스퍼마크트 기준. 화폐 단위는 유로(€)[6] 공식 홈페이지 참고[7] 물론 도로가 잘 닦여서 오래 안 걸리는 거지, 이 정도 거리면 라이벌 치고는 이례적으로 먼 축에 속한다.[8] 트랜스퍼마크트 기준. 화폐 단위는 유로(€)[9] 브리티시(PL) 레코드[10] #[11] 구단 역사상 최다 관중 기록이기도 하다.[12] 그마저도 당시 편집자가 알비온의 팬이어서 차마 1위를 못시켜서 4위라고 할 정도였다.[13] #[14] 해외여행 갈 때 많이들 가지고 다니는 그 아멕스 카드 회사 맞다.[15] #[16] #[17] 공식 홈페이지 참고[18] 2023-24 시즌 기준 브라이튼의 방출 레코드 1위2위 모두 첼시로의 이적을 통해 나왔다.[19] 23.29M€. 1위는 25M€으로 FC 바이에른 뮌헨의 지휘봉을 잡은 율리안 나겔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