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메룬

덤프버전 :

분류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a5e 10%,#ce1126 10%,#ce1126 90%,#fcd116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카메룬|[[파일:카메룬 국장.svg|height=5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카메룬 관련 문서
Republic of Cameroon
République du Cameroun
}}}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카메룬 국장.svg 카메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1630475627351.png중앙아프리카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카메룬차드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파일:적도 기니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적도 기니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파일:앙골라 국기.svg
콩고 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앙골라[1]
[1] 남아프리카로 분류되기도 함.





파일:프랑코포니 심볼.svg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회원국 목록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유의 지역
[ 펼치기 · 접기 ]
#000,#fff
||<-60><bgcolor=#666,#333><tablewidth=100%><tablebgcolor=#141435> {{{#white {{{-2 다음 지역들은 '''여행유의'''로 지정된 국가 및 지역 입니다. [br]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신변 안전 위험 요인'''을 '''숙지'''하고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br] (기준일: 2023년 11월 24일) [br] 자세한 정보는 [[https://www.0404.go.kr/dev/issue_current.mofa|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 ## ##동북아 ## ||<-60><bgcolor=#000080> '''{{{#fff 동북아시아}}}''' || ||<-15> [[마카오|[[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px]]]][br][[마카오|{{{-2 {{{#ffffff 마카오}}}}}}]] ||<-1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50px]]]][br][[일본|{{{-2 {{{#ffffff 일본}}}}}}]] ||<-15>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50px]]]][br][[중국|{{{-2 {{{#ffffff 중국}}}}}}]] ||<-15>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px]]]][br][[홍콩|{{{-2 {{{#ffffff 홍콩}}}}}}]]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_Japan202208.jpg
후쿠시마 원전 [[후쿠시마현#s-7.1|{{{#000,#e5e5e5 반경 30km 이내일본 정부 지정 피난지시구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중국_China20230320.jpg
티베트 및 신장위구르자치구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3월 20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 ||<-60><bgcolor=#222> || ## ##북미 ## ||<-60><bgcolor=#000080> '''{{{#fff 북미}}}''' || ||<-6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50px]]]][br][[미국|{{{-2 {{{#ffffff 미국}}}}}}]]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하외이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60><bgcolor=#222> || ## ##중남미 ## ||<-60><bgcolor=#000080> '''{{{#fff 중남미}}}''' || ||<-60> '''{{{#fff ※해당없음}}}''' || ||<-60><bgcolor=#026ABF> || ||<-60><bgcolor=#222> || ## ##서남아시아 ## ||<-60><bgcolor=#000080> '''{{{#fff 서남아시아}}}''' || ||<-30> [[네팔|[[파일:네팔 국기.svg|width=50px]]]][br][[네팔|{{{-2 {{{#ffffff 네팔}}}}}}]] ||<-30> [[인도|[[파일:인도 국기.svg|width=50px]]]][br][[인도|{{{-2 {{{#ffffff 인도}}}}}}]]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2.08.22.jpg
카슈미르, 카르길 시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 ||<-60><bgcolor=#222> || ## ##동남아 ## ||<-60><bgcolor=#000080> '''{{{#fff 동남아시아}}}''' || ||<-15> [[동티모르|[[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px]]]][br][[동티모르|{{{-2 {{{#ffffff 동티모르}}}}}}]] ||<-15> [[라오스|[[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px]]]][br][[라오스|{{{-2 {{{#ffffff 라오스}}}}}}]] ||<-15>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px]]]][br][[말레이시아|{{{-2 {{{#ffffff 말레이시아}}}}}}]] ||<-15> [[베트남|[[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px]]]][br][[베트남|{{{-2 {{{#ffffff 베트남}}}}}}]] || ||<-15>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px]]]][br][[인도네시아|{{{-2 {{{#ffffff 인도네시아}}}}}}]] ||<-15> [[캄보디아|[[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px]]]][br][[캄보디아|{{{-2 {{{#ffffff 캄보디아}}}}}}]] ||<-15>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50px]]]][br][[태국|{{{-2 {{{#ffffff 태국}}}}}}]] ||<-15>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px]]]][br][[필리핀|{{{-2 {{{#ffffff 필리핀}}}}}}]]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라오스 여행경보_2023.11.24.jpg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사바주 동부도서 지역 및 동부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서파루아, 파푸아, 말루쿠, 아체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여행경보_2022.08.22.jpg
프레아 비히어, 욷더 민체이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태국 여행경보_2022.08.22.jpg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파타니 주, 나라티왓 주, 얄라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여행경보_221210.jpg
수빅시, 보라카이섬, 보홀섬, 세부 막탄섬(라푸라푸시)
2022년 11월 29일

|| ||<-60><bgcolor=#222> || ## ##중동 ## ||<-60><bgcolor=#000080> '''{{{#fff 중동·북아프리카}}}''' || ||<-15>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px]]]][br][[요르단|{{{-2 {{{#ffffff 요르단}}}}}}]] ||<-15>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50px]]]][br][[이집트|{{{-2 {{{#ffffff 이집트}}}}}}]] ||<-15> [[쿠웨이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px]]]][br][[쿠웨이트|{{{-2 {{{#ffffff 쿠웨이트}}}}}}]] ||<-15>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50px]]]][br][[튀니지|{{{-2 {{{#ffffff 튀니지}}}}}}]]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요르단 여행경보_2022.11.29.jpg
시리아 및 이라크 접경10KM지역을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3.08.04.jpg
다합•샴엘셰이크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
2023년 8월 4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여행경보_2022.11.29.jpg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3.03.07.jpg
튀니스와 수도권 지역/비제르트 주/나불 주/수스 주/모나스티르 주 마흐디아 주/스팍스 주/제르바 주
2023년 3월 7일

|| ||<-60><bgcolor=#222> || ## ##아프리카 ## ||<-60><bgcolor=#000080> '''{{{#fff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12> [[말라위|[[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50px]]]][br][[말라위|{{{-2 {{{#ffffff 말라위}}}}}}]] ||<-12> [[모잠비크|[[파일:모잠비크 국기.svg|width=50px]]]][br][[모잠비크|{{{-2 {{{#ffffff 모잠비크}}}}}}]] ||<-12>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width=50px]]]][br][[상투메 프린시페|{{{-2 {{{#ffffff 상투메 프린시페}}}}}}]] ||<-12> [[잠비아|[[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50px]]]][br][[잠비아|{{{-2 {{{#ffffff 잠비아}}}}}}]] ||<-12> [[짐바브웨|[[파일:짐바브웨 국기.svg|width=50px]]]][br][[짐바브웨|{{{-2 {{{#ffffff 짐바브웨}}}}}}]]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여행경보_2023.11.24.jpg
카보델가도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전 지역
2022년 4월 13일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60><bgcolor=#222> || ## ## 중앙아 ## ||<-60><bgcolor=#000080> '''{{{#fff 러시아·중앙아시아}}}''' || ||<-30> [[타지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px]]]][br][[타지키스탄|{{{-2 {{{#ffffff 타지키스탄}}}}}}]] ||<-30> [[투르크메니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px]]]][br][[투르크메니스탄|{{{-2 {{{#ffffff 투르크메니스탄}}}}}}]]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전 지역
2023년 8월 4일

|| ||<-60><bgcolor=#222> || ## ## 유럽 ## ||<-60><bgcolor=#000080> '''{{{#fff 유럽}}}''' || ||<-12> [[그리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50px]]]][br][[그리스|{{{-2 {{{#ffffff 그리스}}}}}}]] ||<-12>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50px]]]][br][[덴마크|{{{-2 {{{#ffffff 덴마크}}}}}}]] ||<-12> [[리투아니아|[[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50px]]]][br][[리투아니아|{{{-2 {{{#ffffff 리투아니아}}}}}}]] ||<-12> [[리히텐슈타인|[[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width=50px]]]][br][[리히텐슈타인|{{{-2 {{{#ffffff 리히텐슈타인}}}}}}]] ||<-12> [[몰타|[[파일:몰타 국기.svg|width=50px]]]][br][[몰타|{{{-2 {{{#ffffff 몰타}}}}}}]] || ||<-12>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50px]]]][br][[벨기에|{{{-2 {{{#ffffff 벨기에}}}}}}]] ||<-1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50px]]]][br][[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 {{{#ffffff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2> [[산마리노|[[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50px]]]][br][[산마리노|{{{-2 {{{#ffffff 산마리노}}}}}}]] ||<-12> [[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50px]]]][br][[스위스|{{{-2 {{{#ffffff 스위스}}}}}}]] ||<-12>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50px]]]][br][[스페인|{{{-2 {{{#ffffff 스페인}}}}}}]] || ||<-12> [[슬로베니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50px]]]][br][[슬로베니아|{{{-2 {{{#ffffff 슬로베니아}}}}}}]] ||<-12> [[아이슬란드|[[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50px]]]][br][[아이슬란드|{{{-2 {{{#ffffff 아이슬란드}}}}}}]] ||<-12> [[아제르바이잔|[[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50px]]]][br][[아제르바이잔|{{{-2 {{{#ffffff 아제르바이잔}}}}}}]] ||<-12>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50px]]]][br][[알바니아|{{{-2 {{{#ffffff 알바니아}}}}}}]] ||<-1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50px]]]][br][[영국|{{{-2 {{{#ffffff 영국}}}}}}]] || ||<-12>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50px]]]][br][[오스트리아|{{{-2 {{{#ffffff 오스트리아}}}}}}]] ||<-12>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50px]]]][br][[이탈리아|{{{-2 {{{#ffffff 이탈리아}}}}}}]] ||<-12>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50px]]]][br][[튀르키예|{{{-2 {{{#ffffff 튀르키예}}}}}}]] ||<-12>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50px]]]][br][[폴란드|{{{-2 {{{#ffffff 폴란드}}}}}}]] ||<-12>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50px]]]][br][[프랑스|{{{-2 {{{#ffffff 프랑스}}}}}}]]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전 지역
2022년 4월 13일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여행경보_2023.04.15.jpg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 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나흐치반 아르메니아 접경지역 및 아르메니아 접경 5km 구간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4월 15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여행경보_2023.02.07.jpg
킬리스, 가지안텝, 샨르우르파, 마르딘, 시르낙, 하카리, 반, 비트리스, 시르트, 바트만, 디야르바크르, 빙골, 툰셀리, 엘라지,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하타이) 및 카흐라만마라쉬, 말라티야, 아드야만, 오스마니예, 아다나, 하타이를 전 지역
2023년 2월 7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30km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 ||<-60><bgcolor=#222> || ## ## 오세아니아 ## ||<-60><bgcolor=#000080> '''{{{#fff 오세아니아}}}''' || ||<-15> [[나우루|[[파일:나우루 국기.svg|width=50px]]]][br][[나우루|{{{-2 {{{#ffffff 나우루}}}}}}]] ||<-15> [[마셜 제도|[[파일:마셜 제도 국기.svg|width=50px]]]][br][[마셜 제도|{{{-2 {{{#ffffff 마셜 제도}}}}}}]] ||<-15> [[미크로네시아 연방|[[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width=50px]]]][br][[미크로네시아 연방|{{{-2 {{{#ffffff 미크로네시아 연방}}}}}}]] ||<-15> [[피지|[[파일:피지 국기.svg|width=50px]]]][br][[피지|{{{-2 {{{#ffffff 피지}}}}}}]] || ||<-60><^|1><bgcolor=#026ABF><height=32>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60><bgcolor=#222> || ||<-60><bgcolor=#fefefe,#454545> {{{-3 {{{#000,#fff [[틀:여행금지 목록|{{{#000 여행금지국가}}}]] · [[틀:출국권고 목록|{{{#C82613 출국권고국가}}}]] · [[틀:여행자제 목록|{{{#eeae00 여행자제국가}}}]] · [[틀:여행유의 목록|{{{#4444ff 여행유의국가}}}]]}}}}}} ||



카메룬 공화국
République du Cameroun
Republic of Cameroon
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카메룬 국장.svg
국기국장
Paix, Travail, Patrie | Peace, Work, Fatherland
평화, 노동, 조국
면적475,442km2
인구28,647,293명(2023년) | 세계 53위
수도야운데
최대도시두알라
국가오 카메룬, 우리 선조의 요람이여
프랑스어: O Cameroun berceau de nos ancêtres
영어: O Cameroon, Cradle of Our Forefathers
공용어프랑스어, 영어, 기타 토착어
정부 형태이원집정부제(사실상 대통령제), 공화국
민주주의 지수2.56점, 권위주의 (2022년)
(167개국 중 140위)
대통령폴 비야
(Paul Biya)
총리조셉 응구테
(Joseph Ngute)
민족구성카메룬고원족 31%
적도반투족 19%
키르디족 외 다수의 민족
종교기독교 59.7%, 이슬람교 20.2%,
토속종교와 기타 20.1% (2020)[1]
화폐단위CFA 프랑/중앙아프리카
GDP명목: $390억(2020년)
PPP: $970억(2020년)
1인당 GDP명목: $1,493(2020년)
PPP: $3,710(2020년)
국부$330억 / 세계 110위(2019년)
UN가입년도1960년 9월 20일
남북수교현황대한민국: 1961년 8월 10일
북한: 1972년 3월 3일
대사관주한[2]
주카메룬House No.85, Rosa Park Avenue, Ntougou-Golf, P.O Box 13286, Yaounde, Cameroon
교민 수69명
여행경보 #여행자제: 출국권고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출국권고: 아다모와, 노르드, 북서부 주(암바조니아 인근), 남서부 주, 최북부

위치
파일:카메룬 위치.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meroon-CIA_WFB_Map.png



1. 개요
2. 역사
3. 정치와 사회
3.1. 암바조니아 분쟁
4. 언어
5. 군사
6. 경제
7. 교통
8. 외교
9. 문화
9.1. 스포츠
10. 국가
11. 기타



1. 개요[편집]


아프리카의 나라다. 수도는 야운데(Yaoundé), 최대 도시는 두알라(Douala)이며, 국토 면적은 475,000㎢로 대한민국의 4.8배에 달한다. 인구는 약 2722만 명(2021). 200여 개의 부족이 함께 살고 있으며 그것 때문에 서로 말이 안 통한다. 때문에 영국과 프랑스 식민지였던 경험도 있고 해서 프랑스어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참고로 '카메룬'이라는 국명은 이 지역에 도래한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포르투갈어로 '새우의 강(Rio dos Camarões)'이라는 지역으로 이름을 붙인 데에서 유래되었다.

인접국으로는 (시계방향으로) 서쪽~서북쪽의 나이지리아, 동북쪽에 차드, 동쪽에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남쪽에 콩고 공화국, 가봉, 적도 기니가 있다.


2. 역사[편집]


중앙아프리카의 역사
[ 펼치기 · 접기 ]

앙골라적도 기니 · 콩고 · 가봉카메룬 · 중앙아프리카 · 차드[1]
고대부족공동체
중세
~
근대
사오 문명
반투족 소국카넴-보르누 제국유목민족
콩고 왕국소코토
칼리프국
보르누 제국리시족다르푸르 술탄국
마탐바 왕국
은동고 왕국
바기르미 술탄국와다이 술탄국
근대
~
현대
포르투갈령 서아프리카
포르투갈령 앙골라
포르투갈령 기니콩고국제협회
콩고 독립국
독일령 서아프리카
벨기에령 콩고프랑스령 가봉 · 프랑스령 카메룬 · 프랑스령 차드 · 우방기샤리 · 프랑스령 콩고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스페인령 기니
포르투갈령 상투메 프린시페
레오폴드빌 콩고
콩고 전쟁
앙골라 인민 공화국
앙골라 내전

앙골라 공화국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
자이르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공화국
가봉카메룬중앙아프리카공화국차드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1] 콩고 및 수단 일부 포함


적도 부근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흔히 그렇듯이 유럽 열강의 식민지가 되기 이전에는 수많은 부족들이 할거하여 바글바글한 상태에 있었다. 19세기 후반(1880년대)에 독일 제국이 점령, 독일령 서아프리카라 명명하고 식민지로 개척되었으며 이 때 개발된 도시가 이 나라 최대의 항구 도시인 두알라(Douala). 독일 제국은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오늘날 나미비아)와 독일령 동아프리카(오늘날 탄자니아)에서 그랬듯이 식민통치에 반발하던 흑인들을 강경하게 탄압과 학살하며 혹독하게 식민지배를 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전한 뒤 이 지역의 북서부와 남부는 영국프랑스에 각각 양도되었다. 이 때 영국이 식민지를 독립시킬 때 서쪽의 일부 영토인 북카메룬은 나이지리아에 합쳐졌고 남카메룬은 카메룬에 가입했다. # 이후 프랑스령 아프리카 공동체 등을 거쳐 1960년 독립했다. 다만 영국령의 남부 지방이 1961년 가입한 뒤 1972년 연방제가 폐지되어 곧 영어권과 불어권의 분쟁으로 이어졌다.


독립 이후엔 초대 대통령인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1982년까지 독재를 했고(1976년 일당 독재 구축), 그가 건강문제로 사퇴한 뒤에는 후임 폴 비야가 지금까지 40년 가까이 독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슬람교도 출신인 아히조 다음으로 기독교 출신인 폴 비야가 뒤를 잇는다는 것에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표했는데, 역시 아히조의 사퇴는 정치 싸움에서 패한 결과였다. 집권 1년 만에 아히조가 망명을 떠나 버리고 얼마 뒤 그는 반역자로 선포되어 망명지에서 1989년 사망했다. 1990년대, 민주화된 이웃나라 나이지리아와 비슷하게 헌법상으로는 다시 다당제가 부활해 민주주의가 이루어졌지만, 이후에도 모두가 선거 사기라 하는 가운데 폴 비야가 계속 당선되는, 사실상의 형식적인 국민 직접선거와 민주주의의 탈을 쓴, 사실상의 권위주의 독재가 이뤄지고 있다.

2018년 10월 22일에서 폴 비야 대통령은 7선에 성공했다.#


3. 정치와 사회[편집]





카메룬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26점2022년, 세계 142위
언론자유지수45.58점2023년, 세계 138위
민주주의 지수2.56점2022년, 세계 140위

종교는 기독교가 70%(가톨릭 32%, 개신교 30%, 기타 종파 등)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슬람은 20%, 나머지는 토착 종교나 기타 신앙을 지니고 있다. 종교 갈등으로 사회갈등이 극심한 이웃 나이지리아수단 공화국과는 달리, 여러 종교들이 골고루 있으면서도 종교의 자유가 잘 보장되는 편이고, 별다른 종교 간 갈등이 없다는 점만으로도 카메룬은 정말 축복받은 나라인 셈이다.

카메룬 의회양원제이지만 현재 하원만 있고 상원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아프리카에서 드물게 독립 이후 쿠데타내전이 한 번도 없었다.[3] 부정부패와 빈부격차가 극심하여 범죄율은 엄청나지만, 그래도 주변 나라들보단 안정적인 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영국의 지배를 받던 남서부 지역에서 암바조니아[4]독립요구하면서 이 나라도 점점 정치적으로 불안정해지고 있다. 여기도 부족 간의 갈등은 피할 수 없는 모양. 관련 기사. 결국, 2017년 9월 9일, 카메룬군이 본격적으로 전쟁을 선포하면서 갈등이 크게 고조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종교적으로 평화로운 나라라는 점이 무색하게, 옆동네에서 활개치는 보코 하람이 북부 지방으로 넘어와서 비무슬림 및 카메룬 국민들에 대한 테러와 학살 등을 벌이고 있다. 이에 카메룬군도 나이지리아 일대에서 벌어지는 보코 하람과의 전쟁에 나서 열심히 맞서 싸우고 있는 중이다.

2018년에 영어권을 홀대하고 프랑스어권을 우대하는 정부에 반발해서 영어권지역에서 시작된 반정부시위가 내전수준으로 격화되었다. ###

2018년 7월 20일에 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는 12개의 마을이 불탔고 이 과정에서 영어권 지역 주민들이 카메룬군에 의해 살해당하고 화형당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

# 카메룬의 폴 비야 대통령이 9월 29일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보코하람을 카메룬에서 격퇴했다고 말했다고 AP·AFP 통신 등 외신이 9월 마지막 주인 30일에 전했다. 비야 대통령은 카메룬 북부지방을 방문한 뒤 집회 연설에서 "지금 테러리즘은 패했다"며 북부지방 재건에 집중하겠다고 다짐했다. 현재 보코하람을 격퇴한 지금 카메룬군은 영어권 지역의 분리주의 반군들에 대한 대대적인 격퇴작전을 벌이고 있다.

카메룬은 영어권, 프랑스어권지역의 갈등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2018년 11월 5일에 학생 등 80여명이 납치된 일이 발생되었다.#

2019년초에 카메룬 정부가 2018년 10월부터 반정부시위를 주도했던 야당 지도자를 체포하자 앰네스티는 우려의 목소리를 표명했다.# 그리고 카메룬 법원은 반정부시위자 26명에게 징역 1년형을 선고했다.#

카메룬의 영어사용권 암바조니아 분리독립파를 진압하기 위한 군사작전에서 2019년 4월 14일에 주민 6명이 숨지고 여러명의 부상자가 발생되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그리고 2019년 6월 3일부터 영어 사용권에서 무장분리주의자들과 무슬림 지역 움의 주민들의 충돌로 민간인 3명이 사망했다.#

2020년 2월 7일에 열린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폭력사태로 발생되었다.# 2월 16일에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갈등에서 비롯된 공격으로 어린이와 임산부 등 22명이 학살당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폴 비야 대통령이 코로나19사태속에서 37일째 모습을 보이지 않자 시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있다.#

2020년 6월 5일에 카메룬군은 실종 기자인 새뮤얼 와지지가 2019년 8월17일 구금 중 사망한 사실을 확인했지만, 고문은 부인했다.#

2020년 9월 21일에 카메룬 군사법원은 여성 2명과 아이들을 즉결처형 형식으로 살해한 네 명의 군인들에게 징역 10년형을 선고했다.#

2020년 10월 24일에 카메룬의 영어권 지역의 한 학교가 괴한들의 공격을 받아 어린이 최소 8명이 숨지고 12명 정도가 다쳤다.#

2021년 10월 14일 서부 도시 부에아에서 검문 도중 헌병이 발사한 총알에 5살 여자 어린이가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흥분한 사람들이 수천여명이나 몰려들어 그 헌병을 때려죽였다. 카메룬 정부는 검문을 피해 달아난 차량 탓이라고 공식 발표해 반정부시위까지 일어나고 있다. 가뜩이나 암바조니아 독립 논란이 거센 상황에 이런 일이 벌어졌는데, 시위대는 뇌물을 요구한 헌병이 쏜 총을 피해자 어머니(운전자) 탓을 한다고 분노하고 있다.

2022년 2월 25일 카메룬 북부에서 국경없는의사회 직원 5명이 무장괴한에 의해 납치당했다.#

2023년 7월에는 카메룬에서 4층 건물이 붕괴되어 33명이 사망했다.#

3.1. 암바조니아 분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암바조니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언어[편집]


영어,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있다. 하지만 카메룬에선 영어 사용자가 20%이고 대부분이 프랑스어를 사용하고 있다. 카메룬 정부가 영어권을 홀대하고 프랑스어권에 대해 우대하는 정책을 취하면서 영어권에서는 카메룬 정부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져 반정부시위가 일어났다.##

카메룬 북부에선 하우사어, 카누리어 등의 소수언어들도 쓰이고 있다.


5. 군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메룬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경제[편집]




농업광업 등 1차 산업이 국가 경제를 지탱한다. 코코아 · 커피 · 땅콩 · 고무 등이 주로 재배되며 , 코코아는 세계 5위로 주요 수출품목이다. 지하자원으로는 보크사이트, 등이 풍부하며, 산유국이기도 하지만 석유는 차츰 고갈될 가능성이 큰 곳이다. 참고로 다이아몬드는 거의 없다.


7. 교통[편집]


택시는 카메룬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같은 역할로 쓰이고 있으며, 버스는 도로 사정이 열악하기 때문에 운행하고 있지 않다가, 최근 포르투갈 버스회사에서 2개노선을 시범운영 하고 있으며 반응이 좋아 점차 노선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도로에 보행자와 자동차가 서로 섞어서 다니는 진풍경도 있다.


8. 외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메룬/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문화[편집]


프랑스 사회가 그대로 잔존하고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본문을 토대로 하면, 카메룬이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패전에 따른 독일 식민지 지위를 잃어버린 뒤 80여년 동안 프랑스영국의 식민지로 나누어져서 통치하게 되는 지역으로 양분하였고, 독립 이후 프랑스 문화가 그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나왔다.[5]


9.1. 스포츠[편집]


축구인기가 많아 지금까지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최대 출전(6회) 및 2000 시드니 올림픽 축구 금메달 기록까지 가지고 있다. 자세한 것은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항목 참고. 이 나라 출신의 유명 선수로는 로저 밀러사무엘 에투가 있으며 맨유의 골키퍼인 안드레 오나나도 유명하다.

농구도 현지에서 꽤 인지도 있는 듯 하다. NBA에서 뛰고 있는 조엘 엠비드, 파스칼 시아캄 모두 이 나라 출신이며, 토론토의 유지리 단장이 아프리카에 꽤 숨겨진 인재들이 많다라는 말을 한 걸로 봐서는 꽤 농구를 즐기는 현지인들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배구에도 일가견이 있는지 2016년 리우 올림픽 여자 배구에 참여해 11위를 기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여자 역도 -75kg에서 마디아스 은제소가 동메달을 딴 게 현재까지 마지막 올림픽 메달 기록이다.
그 외에 UFC헤비급 챔피언 종합격투기 선수 프란시스 은가누도 카메룬 출신이다.

2021/2022 V리그에 카메룬 출신 선수 레티치아 모마 바소코가 왔다.


10. 국가[편집]




카메룬 국가의 이름은 '단결의 노래'(Chant de Ralliement)이다.


11. 기타[편집]


  • 이 나라는 어린이날12월 25일이다. 즉, 크리스마스와 어린이날이 같은 날짜인 셈이다. 이건 가봉, 콩고 공화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도 마찬가지.
  • 가슴다리미라고 하는, 여성의 가슴을 다림질을 해서 성매매를 안 당하게 하려는 충격적인 인권침해 사례들이 발생해 문제가 되고 있다.
  • UFC 헤비급 초신성 프란시스 은가누의 고향이다.
  • 1986년 8월 21일에 이 나라에 있는 니오스 호의 주변 마을에서 주민들의 대부분이 몰살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사망자만 해도 1,746명. 이에 대해 카메룬 어딘가에서 봉기한 반군의 소행이라는 설과 독재자인 폴 비야의 명령을 받은 정부군의 소행이라는 설이 제기되었지만,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범인은 호수에서 분출된 이산화 탄소로, 순전한 천재지변이었다. 호수에서 갑작스레 대량으로 뿜어져 나와 일대를 뒤덮은 이산화 탄소 때문에 주민들이 산소 부족에 시달리다가 참혹한 결말을 맞은 것이다.[6] 이 사건으로 인해 니오스 호는 죽음의 호수로 불리면서 현지인들조차 출입을 꺼리는 곳이 되었고, 카메룬 정부에서는 화산 가스가 호숫물 밑에 다시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 가스를 빼내는 장치를 설치하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였다. 사실 니오스 호 자체가 활화산의 분화구인지라, 언제든 인명피해를 일으킬 위험은 충분했다. 영상 한편 이 사건에 얽힌 몇 가지 사실들은 일본의 노벨 작품인 쓰르라미 울 적에에 차용되기도 했다. 2016년에서야 안전 진단이 나와 비로소 고향 마을로 사람들이 돌아와 살아가고 있다.
  • 한국의 카메룬 난민 압둘레이 아싼(한국이름 이흑산)에 의하면 카메룬군에서 인권침해와 부정부패가 흔하다고 한다. 특히 카메룬에서는 군인은 53세에 만기전역할 때까지 스스로 전역할 수가 없다고 한다.#
  •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곤충 중 하나에 속하는 골리앗꽃무지[7] 의 골리아투스 종(Goliathus goliathus) 이 카메룬에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유일한 대형 장수풍뎅이인 켄타우루스장수풍뎅이(Augosoma centaur) 도 같이 서식하고 있다. 그 덕에 카메룬에서 골리앗왕꽃무지와 다른 대형 갑충들을 판매한다는 이들이 SNS를 통해 판매하는데, 이로 인해 사기를 당하는 이들도 많다. 주 수법은 일방 송금은 되지만 환불 요청을 할수 없는 해외송금 웨스턴 유니온이나 머니그램을 이용해 돈을 송금받은 후 잠적해버리는 수법.
  • 오랫동안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에게 사전비자를 요구하던 나라였으나, 2023년 4월부로 전자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주한 카메룬 대사관 측은 더 이상 비자 신청 서류를 접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1] Religion in Cameroon [2] 주한 카메룬 명예영사관은 서울 마포구 만리재로 14에 위치한다.[3] 물론 쿠데타 시도는 한 번 있었다.[4] 영어권들이 독립을 추진하는 나라다.[5] 해당 사항은 걸어서 세계속으로에 소개된 것으로 보인다.[6] 사건 발생 시기가 밤이어서 피해가 더욱 막심했다.[7] 골리앗왕꽃무지는 종이 아니라 Goliathus 속(Genus)에 속하는 여러 종들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중앙아프리카에 널리 골리아투스, 오리엔탈리스, 알보시그나투스, 레기우스, 카시쿠스 등이 분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