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마순(조위)

덤프버전 :




서진의 계보도
[ 펼치기 · 접기 ]

경조부군[추존][1]사마랑창무정후 유하간평왕 홍의양왕
장무왕
의양성왕 망하간평왕 홍[2]
동평왕
고조 선황제[추존]세종 경황제[추존]제헌왕 유동래왕 [3]
북해왕 [4]
제무민왕
태조 문황제[추존]세조 무황제(1)비릉도왕 궤[5]
효혜황제(2)민회태자 휼
진헌왕 효민황제(4)[6]
성양회왕 경
초은왕
동해충왕 지
시평애왕 유
회남충장왕
청하강왕 [7]
장사려왕 예(혹은 애)
성도왕
오효왕 효민황제[8]
발해상왕 회[9]
예장왕→효회황제(3)[10]
대애왕 연[11]
제헌왕 유[12]
성양애왕 조청하강왕
요동도혜왕 정국동래왕
광한상왕 광덕북해왕
낙안평왕
연왕 [13]
사마영조
낙평왕 연조
여남문성왕 [14]사마수
회왕
낭야무왕 주낭야공왕 근중종 원황제(5)[15]
무릉장왕
동안왕
회릉원왕
연왕 경연왕
부풍무왕 준순양왕
신야장왕
평원왕
양효왕
조왕 [16]
안평헌왕 부안평정왕 옹남궁현왕 승[17]
안평왕 돈[18]
의양성왕 망[19]
사마익남궁현왕 승안평왕 [20]
태원열왕 괴하간왕
상산왕 형안평왕 돈안평왕
동무대후 규팽성목왕 권팽성원왕
고밀문헌왕 동해효헌왕
신채무애왕
고밀효왕
남양왕 원황제[21]
범양왕 수
사마순제남왕 수중산왕
사마진성양정후 손
단수현후 목안평정후 표[22]
안성정후 통임성왕 릉임성왕
안평정후 민안평정후 표[23]
경조부군 이전[추존][24]
정서부군 - 예장부군 - 영천부군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황제 및 추존 황제는 굵게 쓰고 8왕은 작위를 빨갛게 썼다. 그리고 8왕의 난에 관련된 자들은 작위를 갈색으로 썼다. 종친의 이름은 뒤에 쓴다. 그리고 종친은 작위 뒤에 성씨를 생략한다.
각주 [ 펼치기 · 접기 ]
[각주]

[추존] A B C D E [1]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2] 창무정후 유의 양자가 됨.[3] 숙부 요동도혜왕 정국의 양자가 됨.[4] 숙부 광한상왕 광덕의 양자가 됨.[5] 무제 사마염의 적장자지만 2살에 사망하여 혜제 사마충이 사실상 장남이 되었다. 항목이 존재하고 봉국을 물려받았으므로 기재.[6] 여기가 서진의 끝.[7] 숙부 성양애왕 조의 양자가 됨.[8] 백부 진헌왕 간의 양자가 됨.[9] 적장자였던 사마궤와 마찬가지로 1살이라는 매우 어린나이로 사망했으나 봉국을 물려받았기에 기재한다.[10] 직접 난을 일으킨 적은 없는 여남문성왕 량 대신 팔왕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11] 봉국을 받지 못해 시호로 대체.[12] 백부 세종 경황제 사의 양자가 됨.[13] 숙부 연왕 경의 양자가 됨.[14] 난을 일으킨 적은 없기에 팔왕에서 빼고 대신 효회황제 치를 넣는 시각도 있다.[15] 여기가 동진의 시작.[16] 비정통 황제.[17] 숙부 사마익의 양자가 됨.[18] 숙부 사마형의 양자가 됨.[19] 백부 사마랑의 양자가 됨.[20] 숙부 사마돈의 양자가 됨.[21] 비정통 황제.[22] 종조부 사마민의 양자가 됨.[23] 팔왕의 난 당시 서진의 종실중 한명임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며, 난이 끝나가는 직전까지 살았다.[24]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

司馬恂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2. 생애
3. 가족 관계
4. 미디어 믹스


1. 개요[편집]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이며 자는 현달(顯達). 사마방의 오남, 사마의의 동생으로 사례 하내군 온현 사람. 동명이인 사마순의 큰아버지다.


2. 생애[편집]


사마팔달 중의 한 사람으로 그 중에서 다섯째에 해당하며, 위나라에서 홍려승을 지냈다.


3. 가족 관계[편집]


아들로 제남왕 사마수가 있다.


4. 미디어 믹스[편집]


화봉요원에 등장. 소개에 따르면 온종일 즐겁기에 시끌벅적한 면이 있고 골동품을 모으고 있는 넷째 숙부에게 장난친다고 하며, 사마의가 허임의 암살에 대해 숙부들과 이야기하다가 생각하고 있을 때 다른 형제들과 함께 장난치면서 사마규가 나무 막대기로 사마의를 깨우자 사마순은 일부러 의문형으로 일어나자마자 검술이 하는 거냐는 식으로 이야기했다.

동탁을 공격하기 위한 관동군이 하내를 지날 때 사마규, 사마진과 그 행렬을 보면서 형인 사마랑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소맹이 와서 공부하러 가지 않냐고 하자 도망쳤다.

소설 삼국지 유지경성에서는 손려가 하내군 온현으로 가서 사마 가문을 공격해 사마준을 포로로 잡은 것을 알고 사마의가 손려를 죽이기 위한 계략을 짜는데, 사마의가 무언가 지시를 하려고 하자 무엇이든 맡겨달라고 대답하는데, 사마의의 지시로 본가의 재건 작업을 중지하고 본가를 장안으로 옮길 준비를 하러 하내로 간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3:31:35에 나무위키 사마순(조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