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마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진(晉)의 13대 황제이자 동진(東晉)의 9대 황제 사마요에 대한 내용은 효무제(동진) 문서
효무제(동진)번 문단을
효무제(동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진의 계보도
[ 펼치기 · 접기 ]

경조부군[추존][1]사마랑창무정후 유하간평왕 홍의양왕
장무왕
의양성왕 망하간평왕 홍[2]
동평왕
고조 선황제[추존]세종 경황제[추존]제헌왕 유동래왕 [3]
북해왕 [4]
제무민왕
태조 문황제[추존]세조 무황제(1)비릉도왕 궤[5]
효혜황제(2)민회태자 휼
진헌왕 효민황제(4)[6]
성양회왕 경
초은왕
동해충왕 지
시평애왕 유
회남충장왕
청하강왕 [7]
장사려왕 예(혹은 애)
성도왕
오효왕 효민황제[8]
발해상왕 회[9]
예장왕→효회황제(3)[10]
대애왕 연[11]
제헌왕 유[12]
성양애왕 조청하강왕
요동도혜왕 정국동래왕
광한상왕 광덕북해왕
낙안평왕
연왕 [13]
사마영조
낙평왕 연조
여남문성왕 [14]사마수
회왕
낭야무왕 주낭야공왕 근중종 원황제(5)[15]
무릉장왕
동안왕
회릉원왕
연왕 경연왕
부풍무왕 준순양왕
신야장왕
평원왕
양효왕
조왕 [16]
안평헌왕 부안평정왕 옹남궁현왕 승[17]
안평왕 돈[18]
의양성왕 망[19]
사마익남궁현왕 승안평왕 [20]
태원열왕 괴하간왕
상산왕 형안평왕 돈안평왕
동무대후 규팽성목왕 권팽성원왕
고밀문헌왕 동해효헌왕
신채무애왕
고밀효왕
남양왕 원황제[21]
범양왕 수
사마순제남왕 수중산왕
사마진성양정후 손
단수현후 목안평정후 표[22]
안성정후 통임성왕 릉임성왕
안평정후 민안평정후 표[23]
경조부군 이전[추존][24]
정서부군 - 예장부군 - 영천부군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황제 및 추존 황제는 굵게 쓰고 8왕은 작위를 빨갛게 썼다. 그리고 8왕의 난에 관련된 자들은 작위를 갈색으로 썼다. 종친의 이름은 뒤에 쓴다. 그리고 종친은 작위 뒤에 성씨를 생략한다.
각주 [ 펼치기 · 접기 ]
[각주]

[추존] A B C D E [1]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2] 창무정후 유의 양자가 됨.[3] 숙부 요동도혜왕 정국의 양자가 됨.[4] 숙부 광한상왕 광덕의 양자가 됨.[5] 무제 사마염의 적장자지만 2살에 사망하여 혜제 사마충이 사실상 장남이 되었다. 항목이 존재하고 봉국을 물려받았으므로 기재.[6] 여기가 서진의 끝.[7] 숙부 성양애왕 조의 양자가 됨.[8] 백부 진헌왕 간의 양자가 됨.[9] 적장자였던 사마궤와 마찬가지로 1살이라는 매우 어린나이로 사망했으나 봉국을 물려받았기에 기재한다.[10] 직접 난을 일으킨 적은 없는 여남문성왕 량 대신 팔왕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11] 봉국을 받지 못해 시호로 대체.[12] 백부 세종 경황제 사의 양자가 됨.[13] 숙부 연왕 경의 양자가 됨.[14] 난을 일으킨 적은 없기에 팔왕에서 빼고 대신 효회황제 치를 넣는 시각도 있다.[15] 여기가 동진의 시작.[16] 비정통 황제.[17] 숙부 사마익의 양자가 됨.[18] 숙부 사마형의 양자가 됨.[19] 백부 사마랑의 양자가 됨.[20] 숙부 사마돈의 양자가 됨.[21] 비정통 황제.[22] 종조부 사마민의 양자가 됨.[23] 팔왕의 난 당시 서진의 종실중 한명임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며, 난이 끝나가는 직전까지 살았다.[24] 황제로서의 뚜렷한 존호를 헌상받지 못했으나 다른 추존 황제와 동격배향(同格配享).

司馬繇
사마요
작위동안왕(東安王)
최종직위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성씨사마(司馬)
(繇)
사현(思玄)
부모친아버지:사마주(司馬伷)
친어머니:제갈태비
생몰기간? ~ 304년
동안왕 재위기간291년 ~ 304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司馬繇
(? ~ 304)

중국 서진의 황족으로 자는 사현(思玄). 낭야무왕 사마주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제갈태비. 사례 하내군 온현 사람.


2. 생애[편집]


283년에 사마주가 죽자 동안공에 봉해졌으며, 산기황문시랑, 산기상시 등을 역임했고 그의 수염은 아름다웠다고 한다. 성품이 굳세고 위엄과 명망이 있으면서 박학해 재주가 많고 효성과 우애가 있어 상을 치를 때도 극진했다.

291년에 가남풍의 명을 받아 정변을 일으켜 운룡문에 주둔해 여러 군사를 통솔하면서 양준 일당을 몰살시켰고 이 때 문앙을 양준의 일파로 모함했는데, 그 이유는 사마요의 어머니 제갈태비제갈탄의 딸이라 사마요가 제갈탄의 외손자가 되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일로 문앙을 모함해 결국 그는 죄없이 멸족당했다. 그런데 그 이유들을 보면 맨 아래만 빼고 다 제갈탄의 난과 모두 관계있다.[1][2]

  • 당시 문앙의 항복이 수춘성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려 성이 함락되고 제갈탄이 죽은 일
  • 당시 오나라에 인질로 갔던 제갈탄의 아들이자 사마요의 외삼촌 제갈정이 오나라가 멸망한 후 초야에 묻혀 지내다가 죽은 일[3]
  • 당시 사마요의 백부 사마사를 간접적으로 죽인 일[4]

이 때의 공으로 우장군이 되어 사성교위를 거느리고 동안왕이 되어 식읍 2만 호와 시중이 더해졌으며, 또한 전군대장군을 겸해 우위를 거느렸고 상서우복사로 옮겼다가 산기시랑이 더해졌다.

사마요가 양준 일파들을 주살한 것에 대한 상이 삼백여 명에 주어졌는데, 사마요가 주살한 것의 상을 마음대로 행했고 이로 인해 사마담과 틈이 벌어져 사마요는 참소당했고 이를 믿은 사마량이 사마요의 관직을 면직시키고 공으로 만들어 고향에 돌려보냈다.

그대로 머물러 그 말에 거슬러 폐해져 대방으로 옮겨졌다가 영강 초(300년)에 다시 징소되어 동안왕, 종정경이 되었고 상서, 좌복야 등으로 차례로 옮겼다. 혜제의 명을 빙자한 사마치, 사마월사마영과 싸울 때 사마요는 모친의 상으로 인해 에 있다가 사마영에게 병사를 해산하고 항복하기를 권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사마영의 군대가 패한 후에 사마영이 원망하면서 그에게 살해당했다. 그는 후사가 없어서 형 사마근의 차남 사마혼이 뒤를 이어 동안왕 자리를 계승하지만 요절하는 바람에 단절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4:30:15에 나무위키 사마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맨 아래, 사마사의 죽음은 관구검의 난 때 일어난 사건이다.[2] 참 묘한게, 제갈탄의 난에서 사마요의 외손자 제갈탄이 싸우던 주체는 자기의 친가인 사마씨이고 그 수장은 자기 백부인 사마소였다는 것이다. 자기 외가와 친가가 싸우는 데 외가를 배신하고 친가에 항복했다고 원한을 산 셈. 그리고 당시 문앙과 문호의 상황을 생각하면 진성 배신이라고 보기도 어렵다.[3] 사실 이건 사마염이 오를 멸하고 천하통일을 한 후에 등용하려고 했지만 제갈정이 스스로 거절했다. 문앙: 아니 자기가 거절한 것을 왜 나한테 뒤집어씌워[4] 사마사가 문흠을 죽이라고 보낸 병력을 문앙이 단기로 전멸시켜(...) 사마사의 눈알이 빠져 죽게 한 일(...)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