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브 37 비겐

덤프버전 :

사브의 주력전투기 계보
사브 35 드라켄사브 37 비겐JAS 39 그리펜

파일:AJS-37.jpg
SAAB 37 Viggen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운용과 퇴역
5. 대한민국 공군의 도입시도
6. 매체에서의 등장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SAAB 37 Viggen Luchtmachtdagen Volkel 2013
스웨덴사브에서 개발한 3세대 전투기. 무장중립을 표방하면서, 자국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하려는 스웨덴의 국방정책에 의해서 제작된 독특한 형상의 전투기다.


2. 제원[편집]


SAAB 37 Viggen[1]
형식AJ 37JA 37
분류다목적 공격기다목적 전투기
설계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운용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승무원1명
길이16.4 m
날개폭10.6 m
높이5.9 m
날개 면적46 m²
날개폭10.6 m
높이5.9 m
날개 면적46 m²
자체중량11,015 kg12,800 kg
최대이륙중량20,000 kg
최대속도마하 2.1
엔진볼보 RM8A 터보팬 엔진 × 1
추력 16,200/28,100 lbs
볼보 RM8B 터보팬 엔진 × 1
추력 16,200/28,100 lbs [2]
레이더Ericsson PS-37/AEricsson PS-46/A
무장기관포오리콘 KCA 30mm 기관포 × 2
300발 탑재
오리콘 KCA 30mm 기관포 × 1
150발 탑재
로켓13.5 cm 로켓 포드 × 4
폭탄120 kg m/71 폭탄 × 16
미사일RB 24 × 2 / RB 24J × 2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RB 24J × 6 / RB 74 × 6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RB 99 × 2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RB 71 × 2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RB 04E 대함 미사일 × 2
RB 75
중거리 공대지 미사일 × 2


3. 상세[편집]


스웨덴은 항공기 공장이나 격납고 등을 산 속 깊숙한 곳이나 바위산, 혹은 땅굴 속에 만들어놓았다. 따라서 스웨덴은 이착륙거리가 짦고, 고속도로에서 500m 정도의 거리에서도 이착륙할 수 있는 전투기를 개발했는데 이것이 바로 사브 37 비겐(스웨덴어로 '번개')이다. J 35요격기로 운용하고 있었던 스웨덴은 복잡하면서도 넓은 해안선을 가진 자국의 해안을 방어하기 위한 전투공격기가 필요하였기에 비겐은 전투기임에도 공격능력을 더 우선하여 개발되었다. 그 때문에 JA 37이 아닌 AJ 37이 기본 형식이다.[3]

사브 37은 카나드와 복합 삼각익(더블 델타익)이라는 유래가 없는 독특한 모양의 주익으로도 유명한데, 이것도 모두 이착륙 거리를 단축시키면서도 초음속 비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계다. 다만 카나드와 주익 사이의 안 좋은 간섭문제가 있어서 주익이 특이하게도 단순한 삼각형이 아니라 오각형에 가깝다.

게다가 스웨덴 공군의 500m라는 극단적으로 짧은 착륙거리 요구사항 때문에 사브 37은 전투기로서는 매우 드물게 역추진 시스템을 사용했다. 심지어 한 에어쇼에서는 지상에서 역추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진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도 있다.

사브 37 비겐은 1993년부터 1997년 사이에 115대가 업그레이드되었고, 현재는 후계기인 JAS 39 그리펜으로 빠르게 대체되는 중이다.

파생기로는 전천후 요격능력을 강화한 JA 37, 정찰기형 SF 37, 대함 공격기 SH 37, 훈련기 SK 37, 전자전 훈련기 SK 37, 등이 이으며, 이전 선임 전투기였던 사브 35 드라켄의 분류 방식을 그대로 가져와 개량형이나 해외수출형들을 구분할 때에는 숫자의 뒤에 알파벳을 붙여 구분한다. 특히 공용 해외수출형 버전에 알파벳 X를 붙이는 것 또한 이어받았다. 막상 선임의 활발한 홍보에 비해 37X의 수출을 제안한 국가는 오직 노르웨이 뿐이었고 그마저도 결국 거절되어 생산되지는 못했지만... [4]

4. 운용과 퇴역[편집]




5. 대한민국 공군의 도입시도[편집]


AJ37 비겐은 대한민국1979년도에 도입을 시도한 전투기이기도 하다.# 당시 상공부(산업자원부)와 군 실무자가 중심이 되어 도입을 추진하였다고 전해지며, 일설에는 공군에서 비겐의 강력한 STOL 성능에 주목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979년,10.26 사건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하고 12.12 군사반란 이후 전두환 5공정권이 들어서면서 도입기종이 미국산 F-5 E/F기종(제공호)으로 변경되었다. 정확히는 박정희 정부때 F-5A/B를 공여받았고, 전두환 정부때 F-5E/F를 면허생산했다는 것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사실은 모두 정확한 소스가 없다. 심지어 박정희때 미국에서 A-7 생산라인을 뜯어올 뻔 했다는 루머까지 있다.

비겐의 STOL 성능뿐 아니라 당시 기준으로 한반도처럼 작전반경이 짧은 전장에서는 비겐의 최대무장량이 F-4 팬텀에 준할 만큼 상당하기 때문에, 당시 F-16을 제외한 모든 기종 중에서는 단연 돋보였다. 그래서 2000년대초 모 방송에서는 스웨덴이 한국이 분쟁국가라며 거절했다거나, 미국과의 관계나 정치상황 급변으로 묻혔다는 썰을 출처없이 인용하기도 했다.

스웨덴에서 현역이던 시절까진 장거리 대공전이 가능한 전투기이기 때문에 F-5보다 훨씬 나은 선택이 되었을 수도 있지만,[5] 이후 그리펜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자 스웨덴은 미련없이 퇴역시켜 버렸기 때문에 이후 운용엔 큰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 다만 퇴역 이후엔 스웨덴측에서 아예 유지/관리 인프라까지 통째로 넘겼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6.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 SHIROBAKO 극중극 제3비행소녀대(第三飛行少女隊) 크리스티네(クリスティーネ)가 탑승하는 전투기로 나온다.

  • 고전 게임 소닉 윙즈(에어로 파이터)의 주인공 전투기 중 하나다. 북유럽제라서인지, 콧수염을 기른 근육 조종사가 바이킹 헬멧을 쓰고 나온다...

  • 비행 시뮬레이션 DCS World에서 직접 타볼 수 있는 모듈로 나온다. 구현도는 제작사가 Heatblur 시뮬레이션이라 상당하다. 거의 비겐 시뮬레이터라고 해도 될 정도의 고품질.


  • 비행 슈팅게임 Project Wingman에서도 초반 기체로 등장한다. 데모에서 플레이 가능한 항공기 3종류 중 하나이기도 했었다.

  • 워 썬더에서 "Direct hit" 업데이트로 스웨덴 7티어 전투기로 JA37C 버전이 "Ground Breaking" 업데이트로 AJ37이 등장했다.

7. 여담[편집]


파일:Johan-Rod.jpg
유명한 기체로 "Johan Röd"라는 별명을 가진 기체가 있다. 이 항공기는 원래 스웨덴 엥엘홀름에 본기지를 두었던 스웨덴 공군의 F10 비행단 "스카니아" 소속이었는데, 2002년 비행단이 해산 절차를 밟으면서 부대의 마지막을 장식하고자 당시 부대의 최신예 공격[6]였던 AJS 37에 특별 도장을 적용한 것이다. 동체를 전부 빨갛게 칠하고 옆에 영어권에서 유명한 격언인 'The Show Must Go On'을 새겨넣었으며, 당시 비행대대의 상징이었던 유령 마크를 붙인 것이 인상적이다. 해당 공격기가 소속 비행단에서 가장 마지막 비행을 하게된 기체임을 생각해보면 마치 '비록 부대는 해체되더라도 공군으로서의 의무/긍지는 계속되어야한다' 같은 느낌을 준다.

이후 이 항공기는 미상의 항공박물관에 전시되었으나# 관리가 부실했는지 도색이 바래도록 방치된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었다. 그러다가 어떻게든 보존되어 복원을 거쳐 박물관을 전전하다 현재는 개인이 운영하는 곳으로 추정되는 소규모 항공박물관#에 전시된 것으로 보이며, 엥엘홀름 공군기지는 이후 스웨덴의 하이퍼카 회사인 코닉세그와 엥엘홀름 공군박물관 등에서 새 부지로 사들여 입주하게 되면서 부대시설과 격납고 등의 건물이 일부 보존되었다고 한다.[7]

8. 둘러보기[편집]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현대 스웨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회전익기 경헬기HKP 9(A/B)육/공/R, HKP 6(A/B/C)육/해/공/R, HKP 5(B)육/R, HKP 2육/해/공/R
다목적 헬기HKP 16, HKP 15A, HKP 14, HKP 10(A/B/D), HKP 11R, HKP 3(A/B/C)육/공/R
수송헬기HKP 4AR, HKP 1R
대잠헬기HKP 15B, HKP 4(B/C/D)해/R, HKP 1해/R
전투기프롭J 21(A-1 · 2 · 3)R, J 22(A/B)R, J 23, J 26R, J 27, J 30R
1세대J 21R · A 21RBR, J 28(A/B/C)R, J 29(A/B/D/E/F) 툰난R, J 32(B/D/E/F) 란센R, J 33R, J 34R,
2세대J 35(A/B/D) 드라켄R
3세대J 35(F/J) 드라켄R
4세대 / 4.5세대AJ · AJS 37 비겐R, JAS 39(A/B/C/D) 그리펜 , {JAS 39(E/F) 그리펜NG}
5세대{FS2020}
공격기A 38, A 32A 란센R, B 17(A/B/C)R, B 24
폭격기A 36, Tp 52X/R, Tp 80X/R, B 18(A/B) · T 18BR
수송기Tp 100, Tp 88CX/R, Tp 86X, Tp 84(A/B/C/D) 허큘리스, Tp 55X/L/R, Tp 83R, Tp 82X/R, Tp 79R, Tp 46R, Tp 45(A)R
지원기조기경보기S 100B 아르고스, {사브 글로벌아이}
해상초계기SH 89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Fpl 53육/R, Flp 51(A/B)육/R, Tp 78R
정찰기S 102B, SF · SH 37R, Tp 85R, J S35ER, J 32CR, S 29CR, S 26R, S 22R, S 17(BL/BS)R, S 18AR
공중급유기Tp 84B Lufttankning
무인기SUAVUAV 05B 콜펜, UAV 04R · 05A 스발란, UAV 02 팔켄
UAVUAV 03 오르넨, UAV 01 우글라R
훈련기프롭Tp 54해/공, Sk 61R, Sk 50(A/B/C)R, Sk 16(A/B/C)R, Sk 25R MFI-15 사파리, MFI-17 서포터
제트Sk 38, Sk 60(A/B/C) · Sk 60(D/E)R, Sk 35CR, Sk 37(E)R
가상적기RB 06(A/B) 스트리커, RB 04R, RB 03R, RB 02R, RB 01R
비행정Tp 81R, Tp 47R, Tp 24R
특수목적기Tp 103, Tp 102D, Tp 102(A/C) Tp 100R, Tp 88(B)R, Tp 8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1:15:19에 나무위키 사브 37 비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Viggen은 스웨덴어번개을 의미한다.[2] 이 엔진은 보잉 727보잉 737 초기형의 엔진인 프랫 & 휘트니 JT8D 터보팬후연기를 장착하여 라이센스 생산한 모델이다[3] 스웨덴은 해당 전투기의 주요 임무나 개발 형식에 따라 J(전투기), A(공격기), S(정찰기 및 훈련기) 등의 제식 코드를 붙인다. J는 스웨덴어로 전투기(직역하면 추격기)를 뜻하는 "Jaktflygplan"의 앞 글자를 따온 것이며, S는 스웨덴어로 정찰을 뜻하는 “Spaning”의 앞 글자를 따온 것이다. JAS-39의 경우에는 한 기종으로 3가지 임무를 전부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기임을 알리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스웨덴 공군은 해당 기종을 전투, 공격, 정찰의 임무 비중에 맞춰 임무를 수행한다.[4] 그리고 노르웨이 공군은 대신 전투기 시장의 베스트셀러라고 불리우는 F-16을 도입했다.[5] 다만 위의 F-5E/F(제공호)의 경우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것이 아니라 라이선스 생산권을 얻어냈다는 점에서, 어쩌면 당시 한국에서 최신 전투기의 도입보다 라이선스 생산 경험을 통한 국산 전투기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을 더 우선시 했을지도 모른다. 특히 제공호의 경우 단순 면허생산을 넘어 모든 부품을 자국화한 기종이었기 때문에 한국의 전투기 관련 연구개발에 도움을 주었다. 이후 직접적인 연관성은 알 수 없지만 몇년 뒤에 실제로 한국형 전투기/훈련기 사업들을 진행하게 된다.[6] 여단 내 최신예 전투기는 JAS 39 그리펜이었다. 이 비행단은 3개의 비행대대로 편제되어 있었는데, 이 중 2개 비행대대는 최종적으로 JAS 39 그리펜을 도입했고 나머지 한 곳은 마지막까지 AJS 37 비겐을 운용했다.[7] 이 때 코닉세그 공식 페이스북 설명에 따르면# 첫 방문할 당시에 격납고에 여전히 유령 부대 마크와 “The Show Must Go On" 구호가 벽에 붙어있었으며, 이에 감명을 받아 이후 제작되는 모든 자사 차량들의 엔진룸 위에는 이 유령 마크가 붙게 되었으며, 격언은 비공식 태그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비행단이 말했던 "쇼"를 어찌보면 코닉세그가 이어받아 계속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