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덤프버전 :

중국의 공항
[ 펼치기 · 접기 ]

화베이지구
베이징 서우두 · 베이징 다싱 · 베이징 난위안폐쇄 · 베이징 시자오군용 · 베이징 바다링
톈진 빈하이
스자좡 정딩 · 친황다오 베이다이허 · 탕산 산뉘허 · 한단 · 장자커우 닝위안 · 청더 푸닝
타이위안 우수 · 윈청 장샤오 · 창즈 왕춘 · 린펀 야오두 · 뤼량 다우 · 다퉁 윈강 · 신저우 우타이산
후허하오터 바이타 · 어얼둬쓰 이진훼이로 · 후룬베이얼 하이라얼 · 바오터우 둥허 · 만저우리 시쟈오 · 퉁랴오 · 시린하오터 · 우란하오터 이러리터 · 우하이 · 츠펑 왕룽 · 얼렌하오터 사이우쑤 · 바옌나오얼 톈지타이 · 아얼산 이얼스 · 우란차부 지닝 · 자란툰 징기스칸 · 훠린궈러 훠린허 · 아라산쭤지 바엔하오터 · 아라산요우지 바단지린 · 으어지나치 타오라이
둥베이지구
다롄 저우수이쯔 · 다롄 푸란뎬군용 · 선양 타오셴 · 차오양 · 단둥 랑터우 · 안산 텅아오 · 진저우완 · 잉커우 란치
창춘 룽자 · 연길 조양천 · 창바이산 · 퉁화 싼위엔푸 · 바이청 창안 · 쑹위엔 차간후
하얼빈 타이핑 · 자무쓰 둥지아오 · 헤이허 아이후이 · 무단장 하이랑 · 치치하얼 싼자쯔 · 모허 구롄 · 이춘 린두 · 다칭 싸얼투 · 지시 싱카이후 · 다싱안링 어룬춘 공항 · 푸위엔 둥지 · 졘싼장 스디 · 우다롄 츠더두
화둥지구
상하이 푸둥 · 상하이 훙차오 · 상하이 충밍군용 · 상하이 다창군용
난징 루커우 · 창저우 번니우 · 난퉁 씽둥 · 쑤난 슈어팡 · 양저우 타이저우 · 쉬저우 관인 · 렌윈강 바이타부군용 · 렌윈강 화궈산 · 엔청 난양 · 화이안 롄수이
항저우 샤오산 · 항저우 젠차오군용 · 닝보 리쉬 · 원저우 룽완 · 저우산 푸퉈산 · 타이저우 루차오 · 이우 · 취저우
허페이 신차오 · 황산 툰시 ·푸양 시관 · 안칭 톈쥬산 · 츠저우 주화산 · 우후 솬저우 · 우후 완리군용
샤먼 가오치 · 샤먼 샹안 · 푸저우 창러 · 취안저우 진장 · 우이산 · 룽옌 관즈산 · 싼밍 샤시엔
난창 창베이 · 징더전 뤄자 · 주장 루산 · 지안 징강산 · 간저우 황진 · 이춘 밍웨산 · 샹라오 싼칭산
칭다오 자오둥 · 지난 야오창 · 옌타이 펑라이 · 린이 치양 · 웨이하이 다수이보 · 웨이팡 난위엔 · 둥잉 셩리 · 지닝 취푸 · 르자오 산쯔허 · 허쩌 무단 · 칭다오 류팅폐쇄
중난지구
정저우 신정 · 뤄양 베이자오 · 난양 장잉 · 신양 밍강 · 안양 훙치취
우한 톈허 · 샹양 리우지 · 이창 싼샤 · 언스 쑤자핑 · 선농자 훙핑 · 스옌 우탕산 · 징저우 샤스
창사 황화 · 창더 타오화위엔 · 장자제 허화 · 융저우 링링 · 화이화 즈장 · 헝양 난웨 · 샤오양 우강 · 웨양 싼허 · 천저우 베이후
광저우 바이윈 · 산터우 와이샤군용 · 선전 바오안 · 주하이 진완 · 지에양 차오산 · 잔장 우촨 · 포산 샤디 · 후이저우 핑탄 · 메이셴 · 사오관 단샤 · 잔장 샤산폐쇄
난닝 우수 · 구이린 량쟝 · 구이린 치펑링군용 · 베이하이 푸청 · 류저우 바이롄 · 바이써 바마 · 허츠 진청강 · 우저우 시장 · 위린 푸몐
하이커우 메이란 · 싼야 펑황 · 충하이 보아오 · 싼사 융싱 · 융수다오 · 메이지다오 · 주비다오
시난지구
충칭 장베이 · 완저우 우차오 · 첸장 우링산 · 충칭 우산 · 충칭 셴뉘산
청두 솽류 · 청두 톈푸 · 시창 칭산 · 몐양 난자오 · 주자이 황룽 · 다저우 허스 · 광위안 판룽 · 판즈화 바오안잉 · 난충 가오핑 · 간쯔 캉딩 · 다오청 야딩 · 아바 훙위엔 · 루저우 윈룽 · 간쯔 거싸얼 · 이빈 우량예 · 빠중 언양
구이양 룽둥바오 · 퉁런 펑황 · 씽이 완펑린 · 리핑 · 안순 황궈수 · 리보 · 쭌이 신단 · 비제 페이슝 · 카이리 황핑 · 리우판수이 웨자오 · 쭌이 마오타이
쿤밍 창수이 · 시솽반나 가사 · 리장 싼이 · 디칭 샹그리라 · 바오산 윈루이 · 자오퉁 · 푸얼 쓰마오 · 더훙 망시 · 다리 · 린창 보샹 · 원산 푸쩌헤이 · 텅충 퉈펑 · 닝랑 루구후 · 창위엔 와산 · 란창 징마이 · 쿤밍 우자바폐쇄
라싸 궁가 · 창두 방다 · 아리 쿤사 · 린쯔 미린 · 르카쩌 허핑
시베이지구
시안 셴양 · 위린 위양 · 한중 청구 · 옌안 난니완 · 안캉 푸창
란저우 중촨 · 둔황 · 자위관 · 칭양 시펑 · 진창 진촨 · 장예 간저우 · 간난 샤허 · 룽난 청셴 · 텐수이 마이즈산
시닝 차오자바오 · 거얼무 ·위수 바탕 · 더링하 · 망야 화투거우 · 궈뤄마친 · 하이베이 치롄
인촨 허둥 · 인촨 시화위안군용 · 중웨이 사포터우 · 구위엔 류판산
우루무치 디워푸 · 카스 · 투루판 짜오허 · 허톈 쿤강 · 커라마이 · 쿠얼러 · 하미 · 이닝 · 아러타이 · 아커쑤 원쑤
타청 · 신위엔 나라티 · 부얼진 카나쓰 · 보러 아라산커우 · 쿠처 쵸츠 · 스허쯔 화위엔 · 푸윈 커커퉈하이 · 치에모 위두 · 샤처 예얼창 · 뤄창 로우란 · 투무슈커 탕왕청 · 위텐 완팡 · 자오쑤 톈마 · 아라얼 타리무
특별행정구
홍콩(첵랍콕) · 섹콩 · 홍콩(카이탁)폐쇄
마카오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上海虹桥国际机场
Shanghai Hongqiao International Airport
파일:shhqlogo.png
IATA: SHA / ICAO: ZSSS
개요
국가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주소제1터미널:
상하이시 창닝구 훙차오로 2550번
上海市长宁区虹桥路2550号
제2터미널:
상하이시 민항구 선다1로 1번
上海市闵行区申达一路1号
종류민용공항
공항 등급4E
운영회사상하이공항집단
관할기관중국민용항공국 화둥지구관리국
개항일1929년 7월 8일
허브 항공사중국동방항공상하이항공
준야오 항공춘추항공
OTT 항공
제1활주로18L/36R 3,400m 아스팔트
제2활주로18R/36L 3,300m 콘크리트
고도3m (10 ft)
좌표북위 31도 11분 53초
동경 121도 20분 11초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한국어)
지도


1. 개요
2. 역사
3. 교통
3.1. 지하철
3.2. 철도
4. 취항 노선
4.1. 제1터미널
4.1.1. 국내선
4.1.2. 국제선
4.2. 제2터미널
4.2.1. 국내선



1. 개요[편집]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과 함께 중국 상하이를 대표하는 2개 공항 중 하나로 상하이공항집단이라는 국유기업이 운영하고 있다.

원래는 상하이의 관문 국제공항이었으나, 워낙 협소하고 시설이 낙후해 한계가 있었다. 이에 서울권의 영종도 신공항, 즉 인천국제공항처럼 푸둥지구 동쪽 끄트머리 바닷가에 신공항을 만들기로 하고 1999년 개항하는데 이것이 현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이다. 이후 훙차오 공항은 국내선 전용이 됐다가 도심에서 가까운 점을 활용하여 일부 국제선[1] 노선 역시 홍차오에도 다니고 있다.

즉 푸둥/훙차오의 관계는 한국의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와 비슷하다. 그러나 푸둥-홍차오 거리는 인천-김포보다도 멀리 떨어져있다.


2. 역사[편집]


북양정부 항공사무처가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항로를 개설하면서 개항한 공항으로 1921년 6월에 개항하였다.

1937년 8월, 제2차 상하이 사변의 시발점이 되었던 훙차오 공항 사건이 일어난 바가 있다.

이 사건은 일본 해군 육전대 소속 오오야마 이사오(大山勇夫) 중위가 막무가내로 진입을 요구하면서 중국군 초병들이 저지하자 권총을 난사하면서 행패를 부린 일이다. 이 소동으로 중국군 초병 한 사람이 사망했고 초병들이 대응 사격으로 오오야마 중위와 운전병을 사살했다.

일본은 이것이 송호정전협정[2] 위반이라고 주장했으나 중화민국은 묵살했고 제2차 상하이 사변으로 번지게 된다. 그리고 제2차 상하이 사변으로 일본은 상하이를 점령하고, 타 조계외국인들을 쫓아내기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송호 경비사령관 장즈중(張治中)이 공산당의 지령을 받아 상하이에서 확전을 기도하기 위해 조작한 사건이라고 주장한다.[3] 물론 이는 소수설이고 대게는 일본군이 중국 침략 야욕에 벌인 짓이라는 게 통설이다.

신중국 건립이후 인민해방군 공군이 사용하는 군사공항이었으나 1963년 11월 국무원이 민용공항으로 이용하는걸 승인하면서 민 군용공항으로 사용했으나 1972년 2월 인민해방군 공군이 철수하면서 순수 민용공항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나아지면서 1987년 대한항공이 처음으로 중국 본토에 운항하게 된 공항이기도 하다.

3. 교통[편집]


1터미널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입구를 등지고 좌측으로 이동하면 택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우측으로 이동시 버스와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훙차오공항1터미널역을 이용할 수 있다.

훙차오 공항과 푸둥 국제공항을 잇는 대중교통으로는 공항버스와 지하철 2호선이 있으나, 후자는 시내를 관통하며 각역정차하기 때문에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현재 두 공항을 잇는 공항철도[4]가 추진중이다.

3.1. 지하철[편집]


상하이 지하철 2호선, 10호선 훙차오공항2터미널역10호선 훙차오공항1터미널역이 각각 2터미널과 1터미널에 있다.

상하이 지하철 10호선을 이용할 시에는 처음 나오는 지하철 입구가 1번 출구인데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가 없으므로 짐이 많다면 약 15미터 가량 조금 더 안쪽으로 이동하여 3번 출구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게 좋다.

3.2. 철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상하이훙차오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0년 7월 1일에 개업하여 전국으로 향하는 고속열차를 탈 수 있는 상하이훙차오역2터미널 바로 옆에 붙어있다. 표지판만 따라가면 되며 걸어서 약 10~15분 걸린다. 제1터미널의 경우 건물이 떨어져 있고 거리가 꽤 멀기 때문에 지하철이나 셔틀버스 이용을 권장한다.

4. 취항 노선[편집]



4.1. 제1터미널[편집]


국제선(홍콩·마카오·타이완)과 일부 국내선 터미널이다.

4.1.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목적지
춘추항공파일:중국 국기.svg9C창더, 창사, 청두, 충칭, 동잉, 언스, 광저우, 구이양, 화이허, 진홍, 쿤밍, 란저우, 쳰장, 칭다오, 칭양, 광저우, 싼야, 산터우, 선전, 스자좡, 타이위안, 톈진, 우루무치, 시안, 샤먼, 인촨, 장지앙, 주하이, 준이
허베이항공파일:중국 국기.svgNS스자좡
샤먼항공파일:중국 국기.svgMF베이징, 푸저우, 광저우, 선전, 샤먼, 충칭

4.1.2. 국제선[편집]



4.2. 제2터미널[편집]


국내선 전용 터미널이다.

4.2.1. 국내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목적지
중국동방항공
·
상하이항공
파일:중국 국기.svgMU
·
FM
베이징(수도), 안칭, 창사, 청두(솽류), 청두(톈푸), 충칭, 다리, 더건, 언스, 푸저우, 강저우, 광저우, 구이양, 하얼빈, 허페이, 후허하오터, 화이안, 지난, 카스, 쿤밍, 란저우, 린창, 린이, 류저우, 루오양, 망스, 난창, 난닝, 오르도스, 칭다오, 싼야, 샨터우, 선전, 시마오, 타이위안, 턴청, 톈진, 통런, 울란호트, 우루무치, 웨이하이, 원저우, 우하이, 우한, 우이샨, 시안, 샤먼, 선양, 싱위, 시닝, 양청, 옌타이, 이창, 인촨(은천)[5], 용저우, 정저우, 주하이, 단둥, 푸양, 하이라어, 하이커우, 후허하오터, 호탄, 황산, 지안, 자무스, 자위관, 진홍, 지닝, 지스, 롄윈강, 리지앙, 치치하얼
중국국제항공파일:중국 국기.svgCA베이징(수도), 청두(솽류), 충칭, 광저우, 톈진
중국남방항공파일:중국 국기.svgCZ베이징(다싱), 창사, 광저우, 구이린, 구이양, 카스, 코어라, 난닝, 산터우, 우루무치, 우한, 정저우
하이난항공파일:중국 국기.svgHU베이징(수도), 타이위안, 우루무치, 아커
중국연합항공파일:중국 국기.svgKN베이징(다싱), 스자좡
럭키 에어파일:중국 국기.svg8L쿤밍, 이춘
산둥항공파일:중국 국기.svgSC지난, 칭다오, 옌타이
선전항공파일:중국 국기.svgZH징더전, 선전
길상항공파일:중국 국기.svgHO바오터우, 베이하이, 비제, 베이징(서우두), 베이징(다싱), 창사, 청두, 충칭, 광저우, 구이양, 쿤밍, 란저우, 리장, 몐양, 난닝, 싼야, 선전, 타이위안, 우루무치, 원저우, 시안, 샤먼, 장자제, 주하이
텐진항공파일:중국 국기.svgGS톈진
티베트항공파일:중국 국기.svgTV청두, 라싸
청두항공파일:중국 국기.svgEU청두, 창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0:43:15에 나무위키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홍콩/마카오대만 포함.[2] 1932년 5월 5일 일본 제국과 중화민국 국민정부 사이에 체결된 정전협정으로 상하이의 당시 이름이 상해가 아닌 송호(淞沪)였기에 송호정전협정이라고 부른다. 이 협정으로 제1차 상하이 사변이 종결되었다.[3] 장융, 앤터니 비버 등.[4]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과는 별개의 노선이다.[5] 인천공항과 발음과 IATA 코드가 비슷하다. 이쪽은 INC, 인천공항은 I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