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섀도우버스/대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섀도우버스



1. Shadowverse World Grand Prix
2. 일본 대회
2.1. RAGE Shadowverse
2.2. RAGE Shadowverse Pro Tour
2.3. JCG Shadowverse Open
2.4. Shadowverse ES지방대회
2.5. Shadowverse University League
2.6. 전국 도도부현 대항 e스포츠 선수권
2.6.1. Shadowverse Invitational
2.7. Ratings배
2.8. 일회성 또는 폐지된 대회
2.8.1. Shadowverse Rise of Bahamut ~패미통CUP 2017~
2.8.2. 샤도바 고시엔
2.8.3. Shadowverse Rampage Battle 점포대회
2.8.4. Shadowverse Premier Cup 2018 Tokyo
2.8.5. シャドバフェス! 2018
2.8.6. Shadowverse Queen's Cup
2.8.7. GxG Cup
2.8.8. Red Bull M.E.O. Season3
2.8.9. Shadowverse Grand Master Finals 2023
3. 한국 대회
3.1. 공식 대회
3.3. 그림자 파티
4. 기타 지역 대회
4.1. Shadowverse Open
4.2. Shadowverse NetEase Championship
4.3. Shadowverse Taiwan Open
4.4. Shadowverse Operation Tokyo
4.5. TGS Open Series


1. Shadowverse World Grand Prix[편집]


세계의 선수 24명을 모아 매년 12월 말에 열리는 대회로서, 아래의 각종 대회로부터 좋은 성적을 내야만 참가할 수 있다. 24명 중 스위스 시스템(로테이션 BO5와 2Pick BO3)를 통해 GRAND FINALS에 진출할 8명을 가려내고,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을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팀이 아닌 개인으로서 참가하는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1등 상금이 무려 약 12억 원에 이른다. 지금까지 일본 선수가 3번, 대만 선수가 1번 우승했다. 한국 선수로서는 Tsubaki와 KSW(김상우) 선수가 GRAND FINALS 진출, MingiGod 선수가 GRAND FINALS 공동 3위 달성에 성공한 적이 있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해 개최가 연기됐고, 결국 2021년 대회와 통합되어 일본 외 지역의 대표 선수는 각국의 세트장 또는 자택에서 대회를 치렀다. 2년 분량의 대회가 한 번에 진행되는 만큼 상금은 더 올라서 1등이 약 16억 원을 차지했다.
2022년 대회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유행 때문에 아예 개최하지 않기로 결정됐다. 대신 RAGE 대회의 상금이 대폭 늘었다.
2023년 대회는 일본인 한정으로 열리는 대회인 Shadowverse Invitational 2023로 대체된 모양이다.


1.1. 역대 대회 결과[편집]


해당 문서 참고.


2. 일본 대회[편집]



2.1. RAGE Shadowverse[편집]


홈페이지 트위터

일본에서 가장 큰 오프라인 대회로 각 분기마다 개최된다.

2019년 봄 대회까지는 일본인만 이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고 외국인은 각국의 대회에서 상위 성적을 거둬 시드권을 따내야만 참가할 수 있었다.
2019년 여름 대회부터 2020년 봄 대회까지는 참가에 국적 제한이 없었다.
2020년 여름 대회부터 2023년 가을 대회까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해 일본 거주자만 참가 가능하게 되었다.
2023년 겨울 대회부터 다시 참가에 국적 제한을 없앴다. 외국인 참가자를 위한 영어 안내문.
한국인 중에서는 MingiGod, bera, 신명수 선수가 예선 Day2에, Beita 선수가 GRAND FINALS에 진출한 적이 있다.

매 대회의 GRAND FINALS 일주일 전에 모바일 버전 한정으로 인게임에서 우승자를 예측하는 투표가 실시된다. 투표에 참가만 해도 최신 카드팩 2팩을 얻을 수 있으며, 투표로 지목한 사람이 우승 또는 준우승을 했을 경우 각각 카드팩 5팩과 2팩을 추가로 얻는다.

2023년 대회를 기준으로 대회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예선 Day1: 참가자 약 5000~10000명[1]스위스 시스템 6라운드(로테이션 BO3)
  • 예선 Day2: 예선 Day1에서 5승 0패 또는 5승 1패를 달성한 약 1천 명의 스위스 시스템[2](로테이션 BO3)
  • 예선 플레이오프: 예선 Day2에서 상위 성적 32명[3]의 4인 1조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
  • GRAND FINALS: 예선 플레이오프의 각 조에서 우승한 8명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

2023년[4] 대회를 기준으로 대회 성적에 따라 주어지는 상금, 시드, 상품은 다음과 같다.
  • GRAND FINALS 1위: 1000만 엔, 향후 4번의 RAGE 대회 예선 Day2 자동 진출 시드
  • GRAND FINALS 2위: 400만 엔, 향후 2번의 RAGE 대회 예선 Day2 자동 진출 시드
  • GRAND FINALS 공동 3위: 100만 엔, 향후 2번의 RAGE 대회 예선 Day2 자동 진출 시드
  • GRAND FINALS 공동 5위: 45만 엔, 향후 2번의 RAGE 대회 예선 Day2 자동 진출 시드
  • 예선 플레이오프 2위: 7만 엔, 다음 RAGE 대회 예선 Day1 1~3라운드 자동 부전승 시드
  • 예선 플레이오프 공동 3위: 3만 5천 엔, 다음 RAGE 대회 예선 Day1 1~2라운드 자동 부전승 시드
  • 예선 플레이오프 진출: 3만 5천 엔, 다음 RAGE 대회 예선 Day1 1라운드 자동 부전승 시드
  • 예선 Day2 1패: 1만 엔
  • 예선 Day2 진출: 상위 성적 달성자를 포함한 전원이 프리미엄 오브 1개를 획득
  • 대회 참가: 상위 성적 달성자를 포함한 전원이 RAGE라는 글자가 달린 인게임 엠블럼을 획득


2.1.1. 역대 대회 결과[편집]


해당 문서 참고.


2.2. RAGE Shadowverse Pro Tour[편집]


홈페이지 구 홈페이지

2021년까지는 프로리그로서 진행됐다.
[ 프로리그 설명 펼치기 · 접기 ]
일본 프로팀끼리 진행하는 대회다. 5월~9월에 퍼스트 시즌, 10월~1월에 세컨드 시즌, 2월에 두 시즌의 우승팀끼리 붙는 리그 챔피언십이 열린다. 각 시즌 우승팀은 400만 엔, 2위 팀은 200만 엔, 3위 팀은 100만 엔의 상금을 획득한다. 그리고 League Championship 우승팀은 1000만 엔의 상금을 획득한다.

2021년 대회 기준으로 각 시즌은 정규리그 방식[1]이고, 정규리그에서 두 팀의 대결은 최소 3명의 선수가 각각 1경기씩 참여하여 먼저 3승을 한 팀이 이기는 방식이다(1~2경기 로테이션, 3경기 2Pick, 4~5경기 로테이션, 전 경기 BO1). 이 때 로테이션은 5개의 직업을 들고와야 하며 한 번 사용한 직업은 다음 경기에 사용할 수 없다. 그렇게 팀이 이기면 승점 1점을 획득하며, 승점으로 리그 순위를 매긴다. 만약 같은 승점이라면 모든 경기에서의 승리한 횟수에서 패배한 횟수를 뺀 숫자가 큰 팀이 우선순위이며, 그것도 같다면 승점이 같은 팀끼리의 상대 전적을 본다. 리그 챔피언십은 먼저 5승을 한 팀이 이기는 방식이다(1~2경기 로테이션, 3경기 2Pick, 4~6경기 로테이션, 7경기 2Pick, 8~9경기 로테이션, 전 경기 BO1).

21-22 퍼스트 시즌까지는 프로리그 운영측에서 프로팀에 정규 소속된 선수에게 30만 엔의 월급을 지급했으나, 세컨드 시즌부터는 선수에게 일정 월급을 주는 방식 대신 팀에게 출장 최소 급여과 경기 승리 추가 급여를 주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팀은 이 급여의 분배에 있어서 재량권을 가지게 되었다.[2] 단, 팀이 투자 등의 이유로 금액을 따로 가져가서는 안되며 전액 선수에게 분배해야 한다. 참고 링크
[1] 2020년까지 포스트시즌이 있었으나 폐지됐다.[2] 기존처럼 모두에게 월급으로 줘도 되고, 성과를 낸 선수에게만 줘도 된다.

프로투어와 기존 프로리그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단체전에서 개인전으로 변경됐다는 것이다. 프로투어는 5개의 시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즌은 예선과 본선으로 나뉘어져 있다. 예선과 본선 경기에서 승리한 선수는 정해진 포인트를 획득한다. 모든 시즌이 끝나고 팀의 모든 선수가 획득한 포인트 합계 순위에 따라 플레이오프와 Pro Tour Championship을 진행하며, Pro Tour Championship 우승팀은 1500만 엔의 상금을 획득한다.
예선은 로테이션 2블록과 2Pick 1블록으로 나누어서 진행된다. 각 팀은 예선의 각 블록에 1명의 선수씩을 배치한다. 1명의 선수는 예선에 총 7번의 경기(로테이션은 BO3, 2Pick은 BO1)를 치루며, 로테이션 각 블록에서 성적이 높은 3명씩 총 6명과 2Pick 블록에서 성적이 높은 4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본선은 로테이션과 2Pick 각각 토너먼트(로테이션은 BO5, 2Pick은 BO3)로 진행된다. 예선 로테이션 각 블록 상위 성적 1명씩 총 2명과 2Pick 블록 상위 성적 2명은 본선 대진표에서 어드밴티지를 갖고 시작한다. 참고 링크
선수는 예선 경기에서 승리할 때마다 2포인트를 획득한다. 로테이션 본선에서는 1위가 12포인트, 2위가 10포인트, 3위가 8포인트, 4위가 6포인트, 공동 5위가 3포인트를 획득하며, 2Pick 본선에서는 1위가 10포인트, 2위가 8포인트, 3위가 6포인트, 4위가 3포인트를 획득한다.
플레이오프는 정규 시즌 순위 3위 팀과 4위 팀이 대결하여 이긴 팀이 2위 팀과 대결한다. 여기서 이긴 팀이 1위 팀과 Pro Tour Championship에서 맞붙게 된다. 플레이오프와 Pro Tour Championship은 1,2,4,5 경기는 로테이션 BO3, 3경기는 2Pick BO3로 진행된다.

2023년 대회 기준으로 구성된 팀은 다음과 같다.


2.2.1. 역대 대회 결과[편집]


해당 문서 참고.


2.3. JCG Shadowverse Open[편집]


홈페이지 트위터

국적 상관없이[5] 참가 가능한 온라인 대회로, 매주 수/금/토/일요일에 한번씩 열리기 때문에 대회 메타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과거에는 로테이션/언리미티드/2Pick 형식 모두 번갈아가며 개최했으나, 지금은 언리미티드와 2Pick 대회의 비중을 줄여서 로테이션 대회가 주를 이룬다.

각 대회의 참가 정원은 256명이며 그 이상으로 접수됐을 경우 추첨으로 인원을 선발한다. 예선은 16개조 16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본선은 예선에서의 각 조 우승자 16명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로테이션은 전 경기 BO3로 이뤄지며 예선에서 이긴 후에 본선에 들고갈 직업과 덱을 바꿀 수 있다. 2Pick은 전 경기 BO1으로 이뤄지며 2Pick 특성상 직업 3개가 무작위로 나오기 때문에 경기마다 직업을 바꿔도 된다.

각 대회의 우승자는 인게임 화폐인 레드 에테르 3만 개와 전용 칭호, 준우승자는 레드 에테르 1만 개, 공동 3위는 레드 에테르 5천 개를 획득한다.[6] 참가상으로 전용 엠블럼이 있다. 2023년 4월부터 일본인에 한해 개인으로 대회에 후원할 수 있다. 1만 엔, 3만 엔, 5만 엔을 후원 가능하며 기존의 레드 에테르와 칭호와 더불어 각각 프리미엄 오브 1개, 2만 엔, 4만 엔이 우승 상금으로 추가된다. 후원자는 대회명을 바꿀 수 있으며 소정의 상품을 받는다. 특히 5만 엔 후원자는 키무라 유이토의 사인이 있는 감사패도 받는다. 후원 공지

2~3달마다 스위스 시스템이나 팀으로 진행되는 특별 대회도 개최되고 있다. 또한 우승 상금 100만 엔(또는 50만 루피)의 밀리언컵(ALT 카드팩 이전까지는 시즌 파이널)이 있었으나 OOS 카드팩부터는 밀리언 컵은 개최되지 않고 있다. 그러다 오랜만에 7주년 기념으로 마이 로테이션 밀리언 컵이 개최됐다.

2017년(아카이브)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World Grand Prix JCG 예선 대회 홈페이지
무려 Shadowverse World Grand Prix 대회 참가권 2장[7]이 걸린 전용 대회가 열리기도 한다. 이쪽은 예선 플레이오프부터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고 경기 방식도 싱글 엘리미네이션스위스 시스템을 섞어쓰는 등 위의 RAGE 대회와 유사하다. 상금은 RAGE 대회의 1/10 수준이다.


2.3.1. 통계[편집]


해당 문서 참고.


2.4. Shadowverse ES지방대회[편집]


홈페이지

일본 전국의 매장에서 열리는 소규모 오프라인 대회다. 상금은 없지만 희귀한 카드뒷면과 엠블럼을 얻을 수 있고 RAGE 대회의 시드도 따낼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방지를 위해 2020년 3월 ~ 5월에 개최가 중단됐었고, 2021년 2월부터 현재까지 오프라인 대신 온라인 대회로 개최되고 있다.

역대 한정 보상은 그림자 파티 문단 참고.


2.5. Shadowverse University League[편집]


홈페이지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만 참가 가능한 학교 대항전으로 5인이 학교 팀대표로서 출전한다. 1년에 2번의 시즌이 개최되며 각각 상금은 1위 100만 엔, 2위 40만 엔, 3위 10만 엔이다. 각 시즌의 1위 2팀과 2~3위 2팀을 모아 GRAND FINALS를 추가로 개최한다.[8] 경기 룰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9)이다.

[ 역대 대회 결과 펼치기 · 접기 ]
  • 19-20 Season1(결승 영상): 立命館大学(1위), 静岡大学(2위)
  • 19-20 2nd Season(결승 영상): 横浜国立大学(1위), 岩手大学(2위)
  • 19-20 3rd Season(결승 영상): 芝浦工業大学(1위), 横浜国立大学(2위)
  • 19-20 4th Season(결승 영상): 横浜国立大学(1위), 北海道教育大学(2위)
  • 19-20 GRAND FINALS(영상): 横浜国立大学A[1](1위), 芝浦工業大学(2위), 立命館大学, 横浜国立大学B(공동 3위)

  • 20-21 1st Season(결승 영상): 北海道大学(1위), 北海道教育大学(2위), 宇都宮大学(3위)
  • 20-21 2nd Season(결승 영상): 国士舘大学(1위), 関西大学(2위), 芝浦工業大学(3위)
  • 20-21 GRAND FINALS(영상): 国士舘大学(1위), 芝浦工業大学(2위), 宇都宮大学, 北海道大学(공동 3위)

  • 21-22 1st Season(결승 영상): 北海道大学(1위), 筑波大学(2위), 京都大学(3위)
  • 21-22 2nd Season: 慶應義塾大学(1위), 北海道大学(2위), 京都大学(3위)
  • 21-22 GRAND FINALS(영상): 京都大学(1위), 筑波大学(2위), 北海道大学, 慶應義塾大学(공동 3위)

  • 22-23 1st Season(결승 영상): 千葉工業大学(1위), 埼玉大学(2위), 京都大学(3위)
  • 22-23 2nd Season(결승 영상): 東京都市大学(1위), 北海道大学(2위)
  • 22-23 GRAND FINALS(영상): 京都大学(1위), 北海道大学(2위), 東京都市大学, 千葉工業大学(공동 3위)
[1] A팀은 2nd Season 우승팀, B팀은 4th Season 우승팀인데 둘 다 참가했던 사람이 1명 있어서 A팀은 신규 멤버를 영입했다.



2.6. 전국 도도부현 대항 e스포츠 선수권[편집]


다양한 e스포츠 종목을 전국 대항전 형식으로 개최하는 대회다. 2022년에 섀도우버스 종목이 추가됐으며 참가 대상은 중학생부터 대학생까지다. 학생 대회라는 점에서 기존의 샤도바 고시엔은 2022년부터 개최되지 않는다. 8개의 구역(규슈/오키나와, 시코쿠, 주고쿠, 긴키, 주부, 간토, 도호쿠/홋카이도, 당해 개최 현)으로 나눠진 지방 대회에서 우승하면 RAGE Shadowverse 2022 Winter 예선 Day1 시드(1라운드 부전승), Shadowverse EVOLVE의 용의 신탁 프리미엄 가공 버전을 획득한다. 8명의 우승자끼리의 결승 대회에서 우승하면 레드 에테르 100만 개, RAGE Shadowverse 2022 Winter 예선 Day2 시드, Shadowverse Invitational 초청권을 획득한다.



2.6.1. Shadowverse Invitational[편집]


홈페이지 2023 Day1 영상 2023 GRAND FINALS 영상 2023 로테이션 사용 덱

Shadowverse World Grand Prix 개최가 중지되자, 그 대신에 1년을 마무리하는 느낌으로 개최되는 대회. 이론상으론 외국인도 참가 가능하지만, 사실상 일본인 위주의 대회다.

Shadowverse Invitational 2023은 2022년과 2023년 초에 열린 여러 일본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참가권을 획득한 24명끼리 겨룬 대회다. 섀도우버스 이볼브 대회인 Shadowverse EVOLVE Japan Championship이랑 같이 개최됐고, 두 대회 모두 상금은 없다. Day1은 스위스 시스템 6라운드(로테이션[9] BO5 2경기, 2Pick[10] BO3 2경기, 로테이션 BO5 2경기)로 진행됐고, GRAND FINALS는 Day1 상위 성적 8명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로 진행됐다.
[ 2023 Day1 결과 펼치기 · 접기 ]
순위선수명성적참가 자격
16승 0패RAGE Shadowverse 2022 Winter 우승
2フォレスト / GxG5승 1패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로테이션 팀 포인트(예선 및 본선) 2위[1]
3ヘイム / SHG4승 2패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Championship 우승
4山芋RAGE Shadowverse 2022 Autumn 준우승
5MURA / SHG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Championship 우승
6ぱらちゃんRAGE Shadowverse 2022 Spring 준우승
7テリヤキRAGE Shadowverse 2022 Autumn 준우승
8拓海 / GxG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로테이션 팀 포인트(예선 및 본선) 2위
9Rumoi / AXIZ3승 3패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로테이션 개인 포인트(예선) 1위
10ユーリ / DFM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로테이션 개인 포인트(예선) 2위
1195Shadowverse University League 22-23 GRAND FINALS 우승
12Vier|オダShadowverse Grand Master Finals 2023 3위
Atom / SHG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Championship 우승
14SGA|ふえたRAGE Shadowverse 2022 Winter 공동 3위[2]
15げんぶShadowverse University League 22-23 GRAND FINALS 우승
16cross7224 / DFM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2Pick 포인트 2위[3]
17W's |sakuya2승 4패RAGE Shadowverse 2022 Spring 우승
18Rob / AXIZRAGE Shadowverse Pro Tour 22-23 2Pick 포인트 1위
19くろねこShadowverse Grand Master Finals 2023 공동 1위
20ぴゅあRAGE Shadowverse 2022 Summer 준우승
21Re|SilversShadowverse Grand Master Finals 2023 공동 1위
22あおどり1승 5패전국 도도부현 대항 e스포츠 선수권 2022 TOCHIGI Shadowverse 부문 우승
23ランゴロウ전국 도도부현 대항 e스포츠 선수권 2022 TOCHIGI Shadowverse 부문 준우승
24ういはらRAGE Shadowverse 2022 Summer 우승
[1] 원래는 로테이션 팀 포인트 1위를 달성한 팀에서 2명이 참가권을 얻는데, 1위 팀인 SHG가 이미 Championship 우승으로 참가권을 획득했기 때문에 포인트 2위 팀인 GxG에서 2명이 참가하게 됐다. 참고로 フォレスト 선수는 팀에서 로테이션이 아니라 2Pick을 담당하고 있다.[2] 준우승을 한 きょうま 선수가 JCG Shadowverse Open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른 게 적발돼서 참가권을 박탈당했다.[3] 원래는 개인 포인트(예선) 1위와 팀 포인트(예선 및 본선) 1위가 참가권을 얻는데, 1위는 둘 다 Rob 선수고 2위는 둘 다 cross7224 선수다.

  • 2023 GRAND FINALS 결과: 山芋(1위), ぱらちゃん(2위), あ, テリヤキ(공동 3위), MURA / SHG, ヘイム / SHG, 拓海 / GxG, フォレスト / GxG(공동 5위)


2.7. Ratings배[편집]


홈페이지 트위터

국적 상관없이 누구나 참가 가능[11]한 온라인 대회이다. 참가 방법은 웹사이트나 전용 어플을 실행해서 상대를 찾아 친선전으로 로테이션 BO3 매치를 하는 것. 자세한 방법은 여기를 참고. 경기 결과를 스크린샷을 찍어 사이트에 올리면 자신의 레이팅 점수가 변동이 된다.[12] 점수를 많이 올리고 싶으면 점수가 높은 상대를 이겨야 하지만, 당연히 그런 상대는 그만큼 실력도 좋기 때문에 상위권에 들어가기 쉽지 않다.
신규 카드팩 출시 직전에 로테이션 레이팅 점수 상위 32명의 스위스 시스템 5라운드(로테이션 BO3)로 6명을 가려내고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로 최종 순위를 정한다. 위의 대회들과는 다르게 비공식 대회임에도 1위 10만 엔, 2위 3만 엔, 공동 3위 1만 엔[13]의 많은 상금을 준다.
2Pick도 레이팅 시스템이 있기는 하지만 따로 대회를 열지는 않는다.

[ 역대 대회 결과 펼치기 · 접기 ]
대회명1위2위공동 3위공동 5위
제1회(TOG)いもけんぴ
/SGY/EU
lucky/AxisSORAアルク--
제2회(WLD)rikka謎のロイヤル
使い*UNT
白石麻衣りんご/SVG--
제3회(SFL)まりうすOKFF|万力の政rikkaはるか眼鏡サザンドラAGA|surpass
제4회(CGS)かわいエースゲキカラーズるもいOZVetu
제5회(DBN)Q&Bあずさコロンかわいツバメクリムゾンゆき
Ratings FinalSRG | chino霧子Q&B水煮rikkaAGA | surpass
제6회(BOS)jupiganoゲモかわいちゃまc0yote
제7회(OOT)SRG|LilacかわいSpicieskoharuにんじんるもい
제8회(ALT)MURAかゆ/KBSyama眼鏡サザンドラけんぴカンナカムイ
제9회(STR)眼鏡サザンドラSRG|くーげエアーマン/PaRRgreySpiciesQwert|jupi
나고야 OJA
베이비스타 컵
(ROG)[1]
かわいQwert|かみやん謎のロイヤル
使い*Qwt
しもん/REVらいとMattsu/REV
제10회(VEC)ゼロUna Nancyばっふぁろん藤崎hakaseSRG|アトム
제11회(UCL)MURA国士無双かさごたいちChinoおずまじょ
제12회(WUP)ぽりしー/GOSiDeal|rikkaヒイロふぃるChinoAtom
제13회(FOH)ふぃる国士無双ココアSpiciesiDeal|rikkaNi’a|Riria
제14회(SOR)AtomGarbageKrone/東工大sv部perie松田好花Chino
제15회(ETA)むしけい/森の家レオ | EvKnemojun/ESVRe |CQCQyutaRumoi
제16회(DOV)チャッピーEXA|YUUUUテラリーナasyaRe|メンニーよしだめ
제17회(RSC)SpiciesW's|sierraNi'a|RiriaHanWoohyeonテラリーナYFM|あぐのむ
제18회(DOC)Re|花田Rumoiふぃるテラリーナエアーマン/PaRMingiGod
제19회(OOS)Ni'a|RiriaSoA|ノコノコiDeal|シゴレかわいfieふぃる
제20회(EOP)モケももかんRe|CQCQW's|さかちゃんQwert|ヌウ拓海/GxG
제2회 Ratings FinalユーリTsubakiテラリーナRe|ポテイトのなcule
제21회(RGW)BeitaポテイトEsuna/BFFuminekoきるかTerarina
제22회(CDB)リグゼ/G×G下上MURAヘイム/SHGえるしRumoi
제23회(EAA)KidHirobosuSGA|ノコノコエアーマンせなTerarina
제24회(AOA)fyalよしだめレンatsuもぐりゅーユーリ
제25회(HOR)ゲニウスTerarinaNi'a|Ririaふゃるミル
[1] 상금은 없고 프로리그 팀의 상품을 지급했다.



2.8. 일회성 또는 폐지된 대회[편집]



2.8.1. Shadowverse Rise of Bahamut ~패미통CUP 2017~[편집]


홈페이지

RAGE vol.3 Shadowverse와 RAGE Shadowverse Tempest of the Gods 사이에 열렸던 대회로, RAGE 주관은 아니지만 RAGE 대회 만큼의 위상을 가지는 대회였다. 상금도 RAGE 대회와 비슷하다.
1위와 2위는 일본 대표로서 RAGE Shadowverse World Grand Prix 참가.
  • 결과: ふぇぐ(1위), SKIRGE(2위), show(3위), ポテポテ(4위), がっきー, ふらわぁ, misobon, Gumol(공동 5위)

2.8.2. 샤도바 고시엔[편집]


중학생[14] 또는 고등학생만 참가 가능한 학교 대항전으로 3인이 학교 팀대표로서 출전한다. 처음 두 대회는 상금은 없고 에테르 등을 줬지만 2019년 대회부터 우승 학교에게 300만 엔, 준우승 학교에게 120만 엔의 상금 등을 준다. 1위부터 4위까지 다음 RAGE 대회 예선 시드권을 준다.

  • 2017: 兵庫県宝塚東高等学校(1위), 京都府北稜高等学校(2위), 東京都駒場東邦高等学校, 愛知名古屋工業高等学校(공동 3위)
  • 2018: 大阪府立寝屋川高等学校(1위), 開成高等学校(2위), 東京都立晴海総合高等学校, 兵庫県立浜坂高等学校(공동 3위)
  • 2019(준결승 및 결승 영상): 筑波大学附属駒場高等学校(1위), 慶應義塾高等学校(2위), 奈良女子大学附属中等教育学校, 追手門学院高等学校(공동 3위)
  • 2020(준결승 및 결승 영상): 東海高等学校(1위), 愛知県立大府高等学校(2위), 栄光学園高等学校(3위), 熊本県立八代工業高等学校(4위)
  • 2021(준결승 및 결승 영상)[15]: おフランス軍団(1위), 高校デビュー失敗組(2위), spiders(3위), 初心者です(4위)

2.8.3. Shadowverse Rampage Battle 점포대회[편집]


일본 휴대폰 번호를 보유한 사람만 참가 가능한 오프라인 대회로, 음식점이나 술집 등 일본 전국의 지정된 매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린다. 상금은 에테르이고 우승자는 RAGE 대회 Day1 시드(1라운드 부전승)를 획득한다. 2019년 3분기 대회를 마지막으로 더이상 열리지 않는다.

2.8.4. Shadowverse Premier Cup 2018 Tokyo[편집]


홈페이지

언리미티드와 로테이션이 생겨난지 한 달도 안 돼서 열렸던 언리미티드 대회로서 상금은 1위 100만 엔, 2위 30만 엔, 3위 20만 엔, 4위 15만 엔, 공동 5위 10만 엔, 예선 스위스 시스템 1일차 및 2일차 도합 12승 3패 2만 엔, 11승 3패 1만 엔이다.
1위부터 4위까지 RAGE Shadowverse Dawnbreak, Nightedge 예선 Day2 시드 획득.
  • 결과: 鳳風院凶真(1위), もじゃ(2위), エアーマン / PaR(3위), ぼーいん(4위), かぜまち/KBS, 沼, sugar, だーくねす・めあ(공동 5위)

2.8.5. シャドバフェス! 2018[편집]


홈페이지

섀도우버스 전용 이벤트이다. 대회 뿐만이 아니라 각종 행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언리미티드 대회 상금은 1위 50만 엔, 2위 20만 엔, 공동 3위 8만 엔, 공동 5위 5만 엔, 공동 9위 3만 엔, 예선 스위스 시스템 5승 1패 1만 엔이다. 2017년에도 이벤트가 있었지만 그 때는 대회 상금이 없었고 2019년부터는 이벤트 자체가 열리지 않는다.
  • 결과: ごろりの左脳(1위), ポンコツ@(2위), ゴリラの磯辺揚げ, ryu(공동 3위), カマキリ, たぬコン, エアーマン/PaR, あぶりサバ(공동 5위)

2.8.6. Shadowverse Queen's Cup[편집]


여성만 참가 가능한 대회로서 상금은 1위 15만 엔, 2위 5만 엔, 공동 3위 3만 엔, 공동 5위 1만 엔이다. 1위부터 공동 3위에게는 다음 RAGE 대회 예선 시드권을 준다.

  • 2018: なしこ。(1위), みゃこ(2위), りぃ, こばと(공동 3위), 花音, るぅ, GOS|おぎゅまる, hinadori|YSC(공동 5위)
  • 2019 Summer(준결승 및 결승 영상): ruka(1위), mil(2위), ぼんたまる, ふわふわ(공동 3위), GOS|おぎゅまる, くぅ, ゆん(공동 5위)
  • 2019 Winter: VoF|将輝星(1위), にゃー(2위), 蛍火, のり(공동 3위), えの/A-nd豆(5위)

2.8.7. GxG Cup[편집]


대회 소개(아카이브)

요미우리 신문 그룹이 창단한 e스포츠팀인 GxG가 주최한 대회. 1위와 2위는 RAGE Shadowverse 2019 Winter 예선 Day2 시드를, 공동 3위는 예선 Day1 시드(1, 2라운드 부전승)를, 공동 5위는 예선 Day1 시드(1라운드 부전승)를 획득한다.

2.8.8. Red Bull M.E.O. Season3[편집]


홈페이지 본선 영상

레드불이 주관하는 모바일 e스포츠 대회로, 2020년에는 일본 한정으로 섀도우버스 종목도 개최됐다. 1위는 RAGE Shadowverse 2021 Spring 예선 Day2 시드를, 2위는 예선 Day1 시드(1, 2, 3라운드 부전승)를, 공동 3위는 예선 Day1 시드(1, 2라운드 부전승)를, 공동 5위는 예선 Day1 시드(1라운드 부전승)를 획득한다.
  • 결과: yoskiky(1위), DRS Shimon(2위), ICM 右, crowd(공동 3위), ワイズマン, ATA, AMF Utatomo, EURO(공동 5위)

2.8.9. Shadowverse Grand Master Finals 2023[편집]


준결승 및 3위 결정전 영상

2022년 동안 로테이션/언리미티드/크로스오버 랭킹전을 통해 시즌별 MP 랭킹 1~3위를 달성한 자만이 참가 가능한 대회다. 다만 대회는 로테이션으로만 진행됐다. 총 35명이 대회에 참가했으며 예선은 스위스 시스템(로테이션 BO3), 본선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로 진행된다. 따로 상금은 없으며 1~3위는 Shadowverse Invitational 2023의 참가 자격을 획득한다.

  • 결과: くろねこ, Re|Silvers(공동 1위), Vier|オダ(3위), ムー(4위), ミズ, ホライズン, ione(공동 5위)



3. 한국 대회[편집]



3.1. 공식 대회[편집]


섀도우버스 대회 한국인 역대 성적
[ 펼치기 · 접기 ]

선수명[1]총 획득 상금[2]주요 입상 경력[3]
MingiGod4300만 원
+1000달러
+2000만 엔
마섀코 시즌3 우승
WGP 2018 Day1 14위
마섀코 시즌4 4위
SKO 2021 S1 우승
Ratings배 제18회 본선 진출
WGP 2021 GRAND FINALS 4강 진출
김상우1720만 원
+950캐나다달러
+300만 엔
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4위
섀도우 프렌즈 온라인 2회 3위
SKO 2020 S1 8강 진출
SKO 2021 S2 우승
TGS Open Clearly Frame Advantage 우승
WGP 2021 GRAND FINALS 진출
Silver
(makima)[4]
4115만 원
+40만 엔
SKO 2020 S2 우승
WGP 2021 Day1 22위
SKO 2022 S1 우승
SKO 2022 Grand Finals 우승
SKO 2023 S1 4강 진출
SKO 2023 S3 8강 진출
설탕3485만 원
+100달러
+20만 엔
마섀코 시즌4 우승
WGP 2019 Day1 16위
Operation Tokyo III 8강 진출
SKO 2022 S1 준우승
SKO 2022 S2 우승
SKO 2022 Grand Finals 참가
SKO 2023 S2 4강 진출
SilentSlayer3100만 원
+1000달러
챔피언십 코리아 8강 진출
마섀코 우승
마섀코 시즌2 16강 진출
WGP Day1 참가(4승 4패)
마섀코 시즌3 3위
RG2625만 원마섀코 시즌2 우승
아마추어 오픈 시즌2 16강 진출
Can_Coffee1585만 원
+40만 엔
SKO 2020 S1 우승
WGP 2021 Day1 23위
SKO 2023 S3 4강 진출
Tsubaki1150만 원
+53만 엔
+50캐나다달러
마섀코 시즌3 16강 진출
SKO 2019 우승
WGP 2019 GRAND FINALS 진출
SKO 2020 S1 8강 진출
TGS Open Garnet Chronicles 8강 진출
제2회 Ratings Final 준우승
Yau1250만 원
+1000달러
아마추어 오픈 우승
마스터즈 오픈 왕중왕전 준우승
WGP Day1 참가(4승 4패)
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우승
chopin1183만 원
+1000달러
챔피언십 코리아 우승
마섀코 준우승
WGP Day1 참가
Moskva1225만 원SKO 2020 S1 준우승
SKO 2020 S2 준우승
SKO 2022 S1 8강 진출
Caster1000만 원
+1000달러
아마추어 오픈 시즌2 우승
WGP 2018 Day1 18위
R'mari1050만 원마섀코 시즌4 16강 진출
SKO 2022 S3 우승
SKO 2022 Grand Finals 준우승
SuriShield950만 원아마추어 오픈 8강 진출
SKO 2020 S1 3위
SKO 2021 S1 준우승
Parkjaemin950만 원마섀코 시즌2 준우승
아마추어 오픈 시즌2 8강 진출
zacros9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우승
마섀코 시즌3 8강 진출
SKO 2022 S1 4강 진출
Beita200만 원
+60만 5천 엔
마섀코 8강 진출
아마추어 오픈 시즌2 8강 진출
마섀코 시즌3 16강 진출
RAGE SV 2020 Autumn 예선 Day2 6승 2패
RAGE SV 2020 Winter 예선 Day2 6승 2패
RAGE SV 2021 Autumn 플레이오프 진출
제2회 SEKA-COLO SV 준우승
RAGE SV 2022 Summer GRAND FINALS 진출
Ratings배 제21회 우승
[5]860만 원SKO 2020 S1 8강 진출
SKO 2020 S2 4위
SKO 2021 S2 8강 진출
SKO 2022 S1 8강 진출
SKO 2022 S3 준우승
SKO 2022 Grand Finals 참가
SKO 2023 S2 8강 진출
Blossom81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8강 진출
마스터즈 오픈 시즌2 4강 진출
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우승
Dtanatoes800만 원마섀코 시즌3 준우승
새하얀하얀색800만 원마섀코 시즌4 준우승
Portia770만 원마스터즈 오픈 시즌1 우승
마스터즈 오픈 시즌2 우승
마스터즈 오픈 왕중왕전 우승
마섀코 시즌2 3위
BEX650만 원마섀코 시즌2 4위
아마추어 오픈 시즌2 8강 진출
SKO 2021 S1 4위
HANWOOHYEON615만 원
+1만 엔
SKO 2019 준우승
Ratings배 제17회 4강 진출
SKO 2023 S1 8강 진출
SKO 2023 S3 4강 진출
Celia600만 원SKO 2021 S2 준우승
parktak550만 원마섀코 시즌3 4위
SKO 2019 8강 진출
SKO 2023 S1 준우승
ssh550만 원SKO 2022 S1 4강 진출
SKO 2023 S2 준우승
SKO 2023 S3 우승
엑센트릭5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8강 진출
마섀코 시즌4 3위
Halation500만 원아마추어 오픈 시즌2 준우승
birdway408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우승
마섀코 16강 진출
아마추어 오픈 시즌2 16강 진출
Charlemagne400만 원마섀코 4강 진출
마섀코 시즌2 16강 진출
chiking400만 원SKO 2019 8강 진출
SKO 2021 S1 3위
Snowflakes350만 원마섀코 시즌4 16강 진출
SKO 2021 S2 3위
Cresis350만 원마섀코 4강 진출
KimyeongDDi347만 원아마추어 오픈 4강 진출
마스터즈 오픈 시즌1 준우승
챔피언십 코리아 4강 진출
마섀코 16강 진출
JoJo333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우승
Boram330만 원아마추어 오픈 준우승
마스터즈 오픈 시즌3 8강 진출
아마추어 오픈 시즌2 16강 진출
maltesey325만 원SKO 2022 S3 8강 진출
SKO 2023 S1 우승
ROB300만 원아마추어 오픈 시즌2 3위
YonseiUniv3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준우승
3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준우승
Harpe3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준우승
Rasse300만 원SKO 2019 3위
blackstar300만 원SKO 2020 S2 3위
원가이300만 원SKO 2022 S2 준우승
kkulding300만 원SKO 2023 S2 우승
bera28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4위
마섀코 시즌4 16강 진출
섀도우 프렌즈 온라인 3회 준우승
SKO 2022 S3 4강 진출
strikeright250만 원마섀코 시즌2 16강 진출
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3위
jeost220만 원
+100달러
섀도우 프렌즈 온라인 3회 3위
Operation Tokyo III 8강 진출
SKO 2021 S2 8강 진출
SKO 2022 S2 4강 진출
MagicNow210만 원마스터즈 오픈 시즌1 4강 진출
챔피언십 코리아 준우승
Flor210만 원마스터즈 오픈 시즌3 4강 진출
챔피언십 코리아 준우승
Winglet210만 원마섀코 시즌2 8강 진출
마섀코 시즌3 16강 진출
섀도우 프렌즈 온라인 2회 우승
Elfvillain205만 원마스터즈 오픈 시즌3 8강 진출
챔피언십 코리아 준우승
impress200만 원SKO 2021 S1 8강 진출
SKO 2022 S2 4강 진출
Twinstar200만 원아마추어 오픈 4강 진출
Ezic200만 원아마추어 오픈 시즌2 4위
Equester2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3위
신명수2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3위
SINA200만 원SKO 2019 4위
Red_tomato200만 원SKO 2020 S1 4위
맹뭉뭉맹뭉맹뭉200만 원SKO 2021 S2 4위
NuGul185만 원마스터즈 오픈 시즌1 8강 진출
마스터즈 오픈 시즌3 우승
마스터즈 오픈 왕중왕전 3위
마섀코 8강 진출
Lucete167만 원
+150캐나다달러
챔피언십 코리아 4강 진출
마섀코 시즌4 8강 진출
TGS Open Garnet Chronicles 4강 진출
Luminous60만 원
+900달러
마스터즈 오픈 시즌3 4강 진출
마섀코 시즌2 16강 진출
SEAO SVO 2020 March Cup 8강 진출
SEAO SVO 2020 May Cup 8강 진출
SEAO SVO 2020 August Cup 8강 진출
GraceLunna167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4강 진출
SKO 2021 S1 8강 진출
Ghost150만 원마섀코 16강 진출
마섀코 시즌4 8강 진출
환일150만 원마섀코 시즌2 16강 진출
SKO 2020 S2 8강 진출
Sakura150만 원마섀코 시즌4 16강 진출
SKO 2020 S2 8강 진출
대회때만옴150만 원SKO 2023 S3 준우승
ReunKyo135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8강 진출
SKO 2021 S1 8강 진출
SKO 2023 S3 8강 진출
아지산마135만 원SKO 2022 S3 4강 진출
SKO 2023 S3 8강 진출
Kavane125만 원마섀코 8강 진출
아마추어 오픈 시즌2 16강 진출
GomboTrail120만 원SKO 2019 8강 진출
섀도우 프렌즈 온라인 1회 3위
Emoticon105만 원마스터즈 오픈 시즌3 8강 진출
마섀코 8강 진출
lucky1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8강 진출
마섀코 시즌2 8강 진출
STL100만 원마섀코 시즌2 8강 진출
프로즌드론100만 원마섀코 시즌2 8강 진출
너겟100만 원챔피언십 코리아 시즌2 4위
Korwa100만 원SKO 2019 8강 진출
SeolDaBi100만 원마섀코 시즌4 8강 진출
실험용생쥐100만 원마섀코 시즌4 8강 진출
모랄빵맨100만 원SKO 2020 S1 8강 진출
곰돌이휘바100만 원SKO 2020 S2 8강 진출
Glaemfek100만 원SKO 2020 S2 8강 진출
NSFW100만 원SKO 2021 S2 8강 진출
BamMooGang100만 원SKO 2021 S2 8강 진출

[1] 국내 공식 대회에 참가했던 경력이 있는 선수 중 국내외 대회에서 획득한 상금 합계가 100만 원 이상인 경우만 기재(외화의 경우 입상 당시 환율로 계산)[2] 팀 대회의 경우 공동 분배했다고 가정, 공식 대회의 이벤트전 상금도 포함[3] 총 상금이 100만 원 이상인 대회에서 본선에 진출하거나 상금을 획득한 경우만 기재[4] 2023시즌부터 makima로 출전하고 있다[5] 대회에 참가할 때마다 닉네임을 바꾸고 있다.

||
||


3.2. 섀도우 프렌즈[편집]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한 인원 중 일부를 추첨 선발하여 랜파티를 벌이며 이벤트로 마련된 미니 게임[16]과 토너먼트 대회가 있다. 대회 4강부터는 트위치를 통해 생방송으로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섀도우 프렌즈 문서 참고.


3.3. 그림자 파티[편집]


유저가 주최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대회로서, 섀도우버스 네이버 공식 카페를 통해 대회 주최 신청을 하면 운영진의 심사 후에 대회를 열 수 있다. 참가 및 우승 보상은 ES지방대회와 동일한 전용 엠블렘이랑 카드뒷면 그리고 레드 에테르이며, 레드 에테르의 양은 대회 참가 인원에 따라 정해진다. ES지방대회에 참가하려면 일본에 직접 가야하는 만큼 매달마다 바뀌는 한정 보상을 한국인이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17]. 다만 대회가 자주 열리는 것은 아니므로 참가 의향이 있다면 네이버 공식 카페의 그림자 파티 게시판에서 참가 접수 중인 대회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역대 한정 보상 펼치기 · 접기 ]
실제 대회 개최 여부와는 상관없이 전부 기재. 역대 참가자 엠블럼 한정 보상은 표에 담기에는 너무 많으므로 섀도우버스 공식 대회 정보 트위터의 과거 트윗 참고 바람.
개최 시기우승자 카드뒷면 보상참가자 카드뒷면 보상우승자 엠블럼 보상
2018년 1월빛나는 종소리의 천사행복 돼지3월 토끼의 티파티(로테)
아자젤(언리)
2018년 2월마나리아 공주 앤용의 신탁
2018년 3월악마 장교 에메라다진흙 골렘
2018년 4월거대 영혼 사냥꾼로켓 너클흑의 여왕 매그너스(로테)
불꽃의 파괴자(언리)
혈통의 왕(투픽)
2018년 5월엘프의 협공블러드 문
2018년 6월프람 그라스골리앗
2018년 7월작은 성기사 샤를로테로보미 출동명령창천의 수호기사 카타리나(로테)
죽음의 축복(언리)
염각의 여희 알리자(투픽)
2018년 8월창조된 수인 사피라해골 반지
2018년 9월수룡신의 무녀칠흑빛 법전
2018년 10월유니콘 나이트알로아다이광명을 부르는 발명가(로테)
티타니아의 요정향(언리)
정념의 신자(투픽)
2018년 11월언령술사 진저가시나무 숲
2018년 12월사악한 요정 카라보스용의 투기
2019년 1월한쪽 날개의 악마 피유라죽음을 아는 자천외의 꽃 엘레노아(로테)
용인 샤를로트(언리)
카구야(투픽)
2019년 2월미녀와 야수천계로 향하는 계단
2019년 3월불멸의 영웅 롤랑평안의 톱니바퀴
2019년 4월숙청의 빛기계화 전사파멸의 서큐버스(로테)
은바퀴의 소녀(언리)
아스타로트의 선고(투픽)
2019년 5월폭룡 다테 마사무네괴물 소녀 프랑
2019년 6월고대의 엘프부엉이 사역마
2019년 7월레비온 시스터즈 등장!바람을 아는 자 젤명계의 계승자 카무라(로테)
불사조를 탄 아이나(언리)
로코코의 테디베어(투픽)
2019년 8월유일의 일도성사자의 결정
2019년 9월마법의 시조 마나리아요정의 하품
2019년 10월나이트 레이드 뱀파이어드래곤 셰프풍작의 투사 아이리네(로테)
치유의 연주자 앙리에트(언리)
양파 군단(투픽)
2019년 11월깊게 잠기는 자 타르타로스자동 장치
2019년 12월백설공주왕가의 깃발
2020년 1월칼날 암기술사최정상의 결투장여린 용족 소녀 이노리(로테)
복수의 하얀 서슬 아니에스(언리)
황혼의 검 나노(투픽)
2020년 2월자애로운 요정 티스타심연의 꿈
2020년 3월시바안식의 영역
2020년 4월순례길보물을 찾는 낭만 소녀폭풍의 원소마법사(로테)
무감각한 무사(언리)
신철 압연법(투픽)
2020년 5월지옥의 군주 제벳꺼림칙한 침식
2020년 6월봉황 정원인형사의 실
2020년 7월엘프 선원마도의 군림자전도하는 여사제 로레나(로테)
꿈의 인도자 아메스(언리)
일출의 여신 미트라(투픽)
2020년 8월마수의 여제 네레이아분신술
2020년 9월맹화의 티라노사우루스백귀야행
2020년 10월개혁자 라인하르트경계 보초 엘프쇼다운 데몬(로테)
용을 퇴치하는 자 이안(언리)
카니발 사령술사(투픽)
2020년 11월황당한 접합평온의 페더 폴크
2020년 12월어린 인형사 로코코천사의 샘
2021년 1월짙은 어둠의 서슬 바자라가수정 마녀추억의 대천사(로테)
근원으로의 회귀(언리)
오색찬란한 봉황 소녀(투픽)
2021년 2월광휘의 현현 라패러다임 전환
2021년 3월바알지키는 자들
2021년 4월자연의 원소 참격산호초 상어맹위의 무인 제노(로테)
낙향한 전 국왕 포리아(언리)
갈망하는 부엉냥이(투픽)
2021년 5월광휘의 현현 라[1]패러다임 전환
2021년 6월루시퍼지옥의 해방자
2021년 7월용맹한 수인 지나이즈니아의 재건요정 현자(로테)
죽음의 철학자(언리)
레그니스 로드 글레어(투픽)
2021년 8월가속 검사 그레이슨악마들의 습격
2021년 9월마도 열차정화의 철퇴
2021년 10월그레이트 매지션플라워 폭스기적의 웃음소리 카르미아(로테)
윤회의 여신(언리)
연결 기관사(투픽)
2021년 11월진홍의 전쟁 라우라날다람쥐 전령
2021년 12월정화의 불사조규율의 계승
2022년 1월클레이모어를 든 검성신성한 판결봉꽃의 루나르(로테)
스켈레톤 왕자(언리)
광익의 천상룡(투픽)
2022년 2월《운명의 수레바퀴》 슬로스길드 회의
2022년 3월일확천금의 유령맞닿는 마음
2022년 4월소망의 실현홀 서빙 꼭두각시아르센 뤼팽(로테/언리)
연옥의 암흑기사(투픽)
2022년 5월얼어붙은 땅의 여왕 피아시한밤중의 대화
2022년 6월성정의 대신관전설의 고서
2022년 7월외계의 심판자 노른숲의 조제약공방의 연금술사 노노(로테/언리)
아라엘(투픽)
2022년 8월밤하늘의 흡혈귀요란한 연회
2022년 9월천위의 용무녀펭귄 수호자
2022년 10월고귀한 사령술사 트루셰라용인의 괴력장치 관리자 지르크(로테/언리)
명계의 송곳니 오르트로스(투픽)
2022년 11월유피테르영창: 흰 독수리의 세례
2022년 12월총사의 맹세얼음 폭풍
2023년 1월결맹의 죄인 에르라데부엉냥이 걸잎맥 고문(로테/언리)
검극의 루미나스 기사(투픽)
2023년 2월흑익의 지배자 포르테사악한 지휘
2023년 3월만능의 기적 메르티나화원에 핀 인형
2023년 4월엠퍼러 피스트 가롬요정의 학습그랜드슬램 용술사(로테/언리)
이정표의 천사(투픽)
2023년 5월앱솔루트 체이스트닌자 도구 방출
2023년 6월카오틱 엔젤액상 구체
2023년 7월시공의 제독 모니카여왕의 온정과거로의 여로(로테/언리)
선별의 교사 바이스(투픽)
2023년 8월멸시의 집행자 미로엘교활한 거미줄의 악마
2023년 9월금아의 집행자 드라즈엘어린 현자
[1] 2월과 보상 동일





4. 기타 지역 대회[편집]



4.1. Shadowverse Open[편집]


홈페이지 대회 결과

서양(WEST)[18]과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SEAO) 지역의 온라인 대회다.

[ 2021년 대회 규칙 펼치기 · 접기 ]
Monthly Cup과 Contenders Cup으로 나누어서 진행된다.

Monthly Cup은 총 상금 규모 4천 달러의 온라인 대회다. 2~9월에 매달마다 열린다.
  • Day1: 스위스 시스템 7라운드(로테이션 3덱 1밴 BO3)
  • Day2: 진출자 8명의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3덱 1밴 BO3)
  • Day1(플레이오프 제외)과 Day2에서 이길 때마다 리그 포인트 1점 획득, Day2 1위는 추가로 리그 포인트 1점 획득.
  • 3월, 6월, 9월 대회 1위는 Contenders Cup 진출.
  • 9월 대회 후 WEST와 SEAO의 리그 포인트 1위와 2위 총 4명은 각각 WEST와 SEAO의 대표로서 Shadowverse World Grand Prix에 참가.

Contenders Cup은 따로 상금은 없는 온라인 대회이다. 10월에 열린다.
  • 9월 대회까지의 리그 포인트 상위 8명[1]과 월간 대회 1위 3명이 참가 자격을 얻는다.
  •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
  • WEST와 SEAO의 1위 총 2명은 각각 WEST와 SEAO의 대표로서 Shadowverse World Grand Prix에 참가.
[1] 리그 포인트 1위로 Shadowverse World Grand Prix에 이미 진출한 자와 월간 대회 1위로 Contenders Cup에 진출한 3명을 제외한 인원 중에 점수가 높은 순

[ 2022년 대회 규칙 펼치기 · 접기 ]
2022년 대회 개요

Open 대회는 총 상금 규모 1만 달러의 대회다. 2, 5, 8, 11월에 열린다.

Shadowverse Weekend 대회는 2022년 이전에도 있었고 한국의 그림자 파티같은 대회였으나, 2022년부터는 일부 대회에 Showdown이라는 이름으로 상금이 추가됐다. Showdown 대회는 총 상금 규모 5천 달러의 대회며 3, 6, 9, 12월에 열린다. Showdown 대회는 로테이션 BO3와 2Pick BO3로 각각 열리며 밴 시스템은 없고, 그 외에는 Open 대회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상금이 없는 일반 대회는 로테이션, 언리미티드, 2Pick, 2Pick 덱 교환전 모두 열리며 전부 BO1이다.


2023년 대회 개요

2023년 대회는 2021년의 방식으로 돌아왔다. 2~9월에 매달마다 총 상금 규모 4천 달러의 Monthly Cup이 열리고, 10월에 Contenders Cup이 열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9월 Monthly Cup 우승자와 2~9월 대회의 리그 포인트 누적 순위 1~7위 총 8명이 Contenders Cup의 참가 자격을 얻는다. 또한 1/3/5/7/9월에 Mini 대회가 열리는데 상금 대신 경품을 준다.


4.2. Shadowverse NetEase Championship[편집]


홈페이지

중국 대회로서 시즌 대회(海选赛阶段), 점수 합산 대회(阶位积分赛阶段), 결승 대회(决赛阶段)가 있다.

시즌 대회는 총 상금 1만 위안, 우승 상금 4천 위안 규모의 온라인 대회이다. 각 분기마다[19] 열린다.

점수 합산 대회는 총 상금 6천 위안, 우승 상금 3천 위안 규모의 온라인 대회이다. 5~11월에 8번 개최된다.

결승 대회는 총 상금 17만 위안, 우승 상금 8만 위안 규모의 대회이다.


4.3. Shadowverse Taiwan Open[편집]


홈페이지

대만 대표를 뽑는 대회다.

[ 과거 대회 개요 펼치기 · 접기 ]
2017년 대회는 상금을 건 대회와 Shadowverse World Grand Prix의 참가권을 건 대회가 따로 개최됐다. 7~8월에 각각 3만 대만달러(1위), 2만 대만달러(2위), 1만 대만달러(공동 3위)의 상금을 건 대회가 3번 개최되었고, Grand Finals가 9월에 15만 대만달러(1위), 8만 대만달러(2위), 4만 대만달러(3위), 2만 대만달러(4위)의 상금으로 개최되었다. 그리고 10월~11월에 북부, 중부, 남부 지역에서 개최된 각 대회에서 우승한 3명이 Shadowverse World Grand Prix의 참가권을 획득했다. 예선부터 결승전까지 전 경기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4덱 1밴 BO5)다.

2018년 대회는 봄, 여름, 가을에 3번 개최됐으며, 각 대회의 상금은 각각 16만 대만달러(1위), 8만 대만달러(2위), 4만 대만달러(3위), 2만 대만달러(4위)다. 각 대회에서 상위 성적을 한 8명[1]은 Championship 대회에 출전했다. Championship 대회의 상금은 각각 30만 대만달러(1위), 10만 대만달러(2위), 5만 대만달러(3위), 2만 5천 대만달러(4위), 1만 대만달러(공동 5위)이며, 1위와 2위는 Shadowverse World Grand Prix의 참가권을 획득했다. 분기별 대회의 예선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 본선 8강은 2조로 나뉘어 리그전(로테이션 BO5), 4강과 결승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4강은 로테이션 BO5, 결승전은 로테이션 BO7)로 이뤄졌다. Championship 대회는 8강은 리그전(로테이션 BO3), 4강 및 결승전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다.

2019년 대회는 2018년처럼 3번 개최됐으며, Championship 대회가 Play-Off 대회로 이름이 바뀌었다. 상금은 2018년과 동일하다. 분기별 대회의 본선 8강은 2조로 나뉘어 리그전(로테이션 4덱 1밴 BO5), 4강과 결승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4덱 1밴 BO5)로 이뤄졌다. Play-Off 대회는 전 경기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4덱 1밴 BO5)다.

2020년과 2021년 대회는 각각 2번씩 개최됐으며, 상금은 각각 20만 대만달러(1위), 10만 대만달러(2위), 5만 대만달러(3위), 3만 대만달러(4위), 1만 5천 대만달러(공동 5위)이며, 1위를 한 2명은 Shadowverse World Grand Prix의 참가권을 획득한다. 예선은 온라인 스위스 시스템 6라운드(로테이션 BO3), 본선 8강은 오프라인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 본선 4강 및 결승전은 오프라인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로 이뤄졌다.
[1] 분기별 대회에서 1위나 2위를 한 사람은 Championship 대회에 진출 확정이고, 3위를 한 사람은 승리수에 따라 성적을 매김

2022년과 2023년 대회는 한국처럼 시즌 3개와 Grand Finals로 진행됐다. 각 시즌의 우승자 3명과 순위 점수[20]가 가장 높은 5명이 Grand Finals에 참가한다. 시즌 대회 상금은 각각 8만 대만달러(1위), 4만 대만달러(2위), [21], 1만 대만달러(공동 5위)다. Grand Finals 상금은 각각 12만 대만달러(1위), 6만 대만달러(2위), 2만 대만달러(3위 및 4위), 1만 5천 대만달러(공동 5위)다. 시즌 대회 예선은 온라인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 본선 8강은 2개조 오프라인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 본선 4강 및 결승전은 오프라인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5)로 이뤄졌다. Grand Finals는 전 경기 오프라인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로 이뤄졌다.


4.4. Shadowverse Operation Tokyo[편집]


Tempo Storm 주최로 여는 비공식 온라인 대회로서 참가에 국적 제한이 없다. 또한 2명이 팀을 이뤄 참가할 수도 있다. 1위는 Shadowverse World Grand Prix 관람을 위한 왕복 항공권과 숙박료를 지급받으며[22], 2위는 500달러, 3위는 400달러, 4위는 350달러, 8강 진출자는 200달러를 획득한다. 그 외에 카드팩이나 각종 경품도 순위에 따라 획득한다. 예선은 스위스 시스템(로테이션 BO3), 본선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로 이뤄진다.



4.5. TGS Open Series[편집]


캐나다에서 최초로 지어진 E스포츠 경기장 The Gaming Stadium을 운영하는 회사가 주최하는 비공식 온라인 대회로서 참가에 국적 제한이 없다. 총 상금은 2000캐나다달러다. 예선은 스위스 시스템(로테이션 BO3), 본선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테이션 BO3)로 이뤄진다. 지금까지 개최 순서대로 베트남인, 오스트리아인, 대만인, 한국인이 우승을 차지했다.


[1] 2020년 봄 대회 예선에 6086명이 참가하여 '동시에 한 장소에서 온라인 TCG를 플레이한 인원' 기네스 세계기록을 달성했다. 사실 섀도우버스는 유저 간 카드 거래가 불가능하므로 CCG에 속하지만 기네스 사이트에는 TCG로 기재되어 있다. 이후 대회가 온라인 대회로 전환되어 참가자 수 자체는 더 늘었지만 기록 갱신은 할 수 없게 되었다.[2] 라운드 수는 진출자 수에 따라 변동[3] 1순위: 본인의 경기 승수, 2순위: 상대의 경기 승률 평균, 3순위: 본인의 세트 승률[4] 2021년까지는 1위 400만 엔, 2위 100만 엔, 공동 3위 40만 엔, 공동 5위 15만 엔의 상금이었다.[5] 2022년 6월까지는 일본 휴대폰 번호를 보유한 사람만 참가가 허용됐다.[6] 과거 2Pick 대회의 우승자는 5만 엔과 전용 칭호, 준우승자는 3만 엔, 공동 3위는 1만 엔을 획득했었으나 2022년 1월부터는 2Pick 대회에서도 레드 에테르를 받는다.[7] 2019년 대회는 1장[8] 19-20 시즌은 4번 개최됐으며 각각 상금은 1위 50만 엔, 2위 30만 엔, 공동 3위 10만 엔이었다. 그리고 4번의 시즌 동안 각 시즌에서 우승한 4팀을 모아 GRAND FINALS를 진행했으며 여기서의 우승 상금은 70만 엔이었다.[9] OOS, EOP, RGW, CDB, EAA[10] EOP, RGW, CDB, EAA[11] 제9회 대회까지는 AA 랭크 이상이어야 했지만 제10회부터는 제한이 없어졌다.[12] glicko-2 rating 방식 채용[13] 제9회 대회까지는 1위 20만 엔, 2위 5만 엔, 공동 3위 2만 5천 엔[14] 2020년 대회부터 참가 가능[15] 학교명 비공개[16] 정답을 맞춘 사람에게 인게임 카드팩을 지급한다.[17]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ES지방대회가 개최되지 않았음에도 그림자 파티의 한정 보상은 계속 바뀌었다.[18] 2019년까지 유럽(EURO)과 아메리카대륙(PAM)으로 분리되어 있었는데 인원이 적었는지 통합되었다.[19] 2022년까지는 봄/여름/가을 대회만 있었고, 2023년부터 겨울 대회 추가[20] 각 시즌의 2위 6점, 3위 4점, 4위 3점, 공동 5위 1점[21] 2022년은 2만 대만달러(3위 및 4위), 2023년은 2만 5천 대만달러(3위), 1만 5천 대만달러(4위)[22] 다만 1~3회는 일본인이 우승했다. 4회는 베트남인.[23] Sugar/LuH와 팀을 이뤄 참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