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파일:64f455542fd1bccc2d277b5e56ad8453.png
정식 명칭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영문 명칭WAFF Championship
창설2000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자격WAFF에 등록된 축구 대표팀
최근 우승국바레인 (2019)
최다 우승국이란 (4회)
웹 사이트홈페이지

1. 개요
2. 참가국
3. 역대 대회
4. 연혁
4.1. 우승 횟수
4.2. 역대 개최국
4.3. 역대 MVP
4.4. 역대 득점왕
5. 통산 랭킹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옛날에는 아랍 지역 외에도 유라시아 지역 나라들도 참가했었다. 아라비안 걸프컵에 참가하는 카타르, 이라크, 오만,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하여 아랍권과 사이가 나쁜 이란도 참가한 적이 있던 대회로, 사실상 아랍 및 이슬람 지역을 통틀어 벌이는 지역 내 자존심 대회라고 할 수가 있다.

하지만 걸프컵에 총력을 기울이는 걸프만 자원부국들이 이 대회는 걍 2진급을 보내는 2류 대회 수준으로나 여겨서인지 사우디아라비아는 단 한 번도 4강조차 오른 적이 없다. 당장 2014년 대회만 해도 사우디아라비아는 팔레스타인과 비기고 카타르에게 1:4로 대패할 정도로 대회에 신경을 많이 안 쓰고 관심도 없다. 더불어 이전에는 사정상 아예 여러 번이나 불참했다. 그나마 2010년 쿠웨이트, 2014년 카타르가 우승한 바 있으나 역시 걸프컵과 달리 푸짐한 돈다발 보상은 없었다고 한다.[1] 걸프컵에 출전하는 국가대표팀은 걸프컵보다 이 대회가 먼저 열리는 경우 이 대회를 걸프컵 예행 연습 정도로 취급하기도 한다.

그리고 유라시아 지역에서도 여지껏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이 1번씩만 참가하고 일절 참가하고 있지 않아 외면당하고 있고 위상도 별로다. 이래서인지 이란이 4번 우승하며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더불어 개최국은 개최 도시 단 1곳에서만 전 경기를 치룬다.

2014년 대회에서는 희귀한 기록이 나왔는데, B조에서 오만과 바레인과 이라크가 전부 0:0 무승부를 기록해 2전 전무 0득점 0실점으로 완전 동률이 되었다. 그래서 4강에 갈 팀은 추첨으로 정해야 했는데, 추첨 결과 바레인이 당첨, 옆 C조의 쿠웨이트가 1승 1패로 조 2위를 한지라 조 2위 팀을 정하는 의미가 없어져서 오만과 이라크는 공동 2위로 사이좋게 탈락 처리되었다. 그리고 그 바레인은 4강에서 요르단에게 0:1 패배를 당했고 3위 결정전에선 0:0 무승부 후 쿠웨이트에게 승부차기 끝에 2:3으로 패배했다. 이로써 바레인은 한 대회에서 최대 경기 수를 채우고도 한 득점도 올리지 못한 기록을 갖게 되었다. 게다가 기묘하게도 바레인은 요르단에게 당한 유일한 실점을 자책골로 기록했다.


2. 참가국[편집]


바레인, 이라크, 오만, 카타르, 팔레스타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예멘, 아랍에미리트, 이란[2]


3. 역대 대회[편집]


연도 / 회차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
2000 / 1회요르단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2 / 2회시리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004 / 3회이란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007 / 4회요르단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008 / 5회이란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010 / 6회요르단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2012 / 7회쿠웨이트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2014 / 8회카타르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19 / 9회이라크[3]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3위 결정전 미실시
2023 / 10회-미정미정미정미정


3.1. 2019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9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연혁[편집]




4.1. 우승 횟수[편집]


국가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412000, 2004, 2007, 20082010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1320022007, 2012, 2019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1220122000, 2004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102010-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102014-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102019-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03-2002, 2008, 2014


4.2. 역대 개최국[편집]


회차연도개최국성적전적
1회2000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4위5전 1승 2무 2패
2회2002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4위4전 1승 1무 2패
3회2004파일:이란 국기.svg 이란우승4전 4승 0무 0패
4회2007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4강3전 1승 0무 2패
5회2008파일:이란 국기.svg 이란우승4전 4승 0무 0패
6회2010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조별리그2전 0승 2무 0패
7회2012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조별리그3전 2승 0무 1패
8회2014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우승4전 4승 0무 0패
9회2019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준우승5전 3승 1무 1패


4.3. 역대 MVP[편집]


연도수상자국가
2000없음
2002
2004
2007
2008
2010
2012
2014
2019후세인 알리 알 사에디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4.4. 역대 득점왕[편집]


연도수상자국가득점
2000라자크 파르한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5
2002알리레자 바헤디 닉바흐트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
라자크 파르한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
모아야드 살림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
아나스 사리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
2004알리 다에이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
2007메디 라자데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
살리 사디르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
2008키아누시 라마티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3
2010알리 알 노노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4
2012카심 사이드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4
아흐마드 알 두니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4
2014부알렘 쿠키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6
2019후세인 알리 알 사에디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3


5. 통산 랭킹[편집]



  • 2019년 대회 종료 기준.
  • 승리는 승점 3점, 무승부는 승점 1점, 패배는 승점 0점으로 기록한다.[4]
  • 승점이 같을 경우 평균 점수[5] > 골득실 > 다득점순으로 순위를 산정한다.
랭킹승점진출경기득점실점골득실평균 점수최고 성적최근 성적
1파일:이란 국기.svg 이란[6]6472819725616+402.29우승-
2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5683116874022+181.81우승준우승
3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45931129103728+91.45준우승4위
4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3682999113240-81.24우승조별리그
5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2441566386+21.6우승우승
6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22414644171701.57우승조별리그
7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15275021210+22.14우승-
8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1392234151635-190.593위3위
9파일:오만 국기.svg 오만12411335913-41.093위-
10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127183312925-160.67조별리그조별리그
11파일:예멘 국기.svg 예멘83102261013-30.84강조별리그
1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638134310-70.75조별리그조별리그
13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31310239-61조별리그-
14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01300308-80조별리그-


6. 관련 문서[편집]


[1] 다만 걸프컵에 견줘 적었다 뿐이지 그래도 명색이 지역 축구 대회라서 꽤 후한 보상이 있긴 했다.[2] 현재는 이란 축구 협회가 중앙 아시아 소속으로 바꾸면서 참가하지 않는다.[3] 본래 2017년 12월 8일부터 17일까지 요르단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이후 모종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2018년 5월 21일로 연기되었고 개최 국가도 이라크로 바뀌었다. 이후 11월로 또 연기되었다가 다시 이듬해인 2019년 7월 25일부터 8월 15일로 최종적으로 연기되었다.[4] 승부차기는 무승부에 포함된다.[5]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6] 2014년 서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동, 현재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2:31:28에 나무위키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