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IFA 아랍컵

덤프버전 :



FIFA 아랍컵
정식 명칭FIFA 아랍컵
영문 명칭FIFA ARAB CUP
창설 연도아랍컵: 1963년 (61주년)
FIFA 아랍컵: 2021년 (3주년)
참가 자격아랍 축구 연맹 가맹국 중 예선을 통과한 대표팀과 개최국 대표팀
최근 우승팀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2021)
최다 우승팀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4회)
링크FIFA Arab Cup™

1. 개요
2. 역사
3. 역대 대회
4. 연혁
4.1. 우승 횟수
4.2. 역대 개최국
4.3. 역대 MVP
4.4. 역대 득점왕
4.5. 역대 최우수 골키퍼
5. 통산 랭킹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아랍 문화권 국가들(UAFA)이 참가하는 축구 대회이다.


2. 역사[편집]


초창기 대회는 1963년 레바논에서 개최되었다. 이때는 FIFA가 아닌 아랍 축구 연맹(UAFA)에서 체계적으로 주관한 대회였다. 3회 대회까지 개최한 1966년 이후 20년 동안 중단되었다가 1985년에 재개하였다. 가장 최근에 열린 대회는 2021년 카타르 에서 개최했다.

2021 FIFA 아랍컵 카타르 대회부터 FIFA 주관대회로 바뀌게 되었다.


3. 역대 대회[편집]


공교롭게도 모든 대회는 아프리카가 아닌 아시아에서 개최되었다.
연도 / 회차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
1963 / 1회레바논[a]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시리아 국기(1963-1972).svg 시리아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964 / 2회쿠웨이트[a]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png 이라크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66 / 3회이라크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png 이라크파일:시리아 국기(1963-1972).svg 시리아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82레바논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대회 취소.
1985 / 4회사우디아라비아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png 이라크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88 / 5회요르단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png 이라크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992 / 6회시리아[1]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1998 / 7회카타르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2002 / 8회쿠웨이트[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009없음[3]스폰서 유치 실패로 인해 대회 취소.
2012 / 9회사우디아라비아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21 / 10회카타르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3.1. 2021 FIFA 아랍컵 카타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 FIFA 아랍컵 카타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연혁[편집]




4.1. 우승 횟수[편집]


국가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401964, 1966, 1985, 198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211998, 20021992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119632021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101992-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10201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102021-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03-1963, 1966, 1988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02-1964, 2012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02-1985, 200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01-1998


4.2. 역대 개최국[편집]


회차연도개최국성적전적
1회1963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3위4전 2승 0무 2패
2회1964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3위4전 1승 1무 2패
3회1966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우승4전 3승 1무 0패
4회1985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3위4전 2승 1무 1패
5회1988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4위6전 2승 1무 3패
6회1992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4위4전 0승 3무 1패
7회1998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준우승4전 3승 0무 1패
8회2002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조별리그4전 1승 2무 1패
9회201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4위4전 1승 1무 2패
10회2021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3위6전 4승 1무 1패


4.3. 역대 MVP[편집]


연도수상자국가
1963없음
1964
1966쉬드락 유시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985모하메드 압드 알 자와드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88타우피크 알 사헤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992없음
1998바드르 하지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무바라크 무스타파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02모하메드 누르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12야신 살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021야신 브라히미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4.4. 역대 득점왕[편집]


연도수상자국가득점
1963레본 알투니안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5
1964아흐메드 벤 수에이드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4
1966알리 알 비스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16
1985아나드 아비드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5
1988아흐메드 라디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4
1992아이만 만수르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2
사에드 알오와이란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
왈리드 알 플라야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
1998오베이드 알 도사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8
2002아흐메드 하산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4
모하마드 라프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4
2012야신 살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6
2021세이페딘 자지리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4


4.5. 역대 최우수 골키퍼[편집]


연도수상자국가
1963없음
1964
1966
1985모하메드 살레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1988없음
1992
1998모하메드 알 데아예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02마브룩 자이드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12없음
2021라이스 음볼리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5. 통산 랭킹[편집]



  • 2021년 대회 종료 기준.
  • 승리는 승점 3점, 무승부는 승점 1점, 패배는 승점 0점으로 기록한다.[4]
  • 승점이 같을 경우 평균 점수[5] > 골득실 > 다득점순으로 순위를 산정한다.
랭킹승점진출경기득점실점골득실평균 점수최고 성적최근 성적
1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58628161024720+272.07우승조별리그
2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40728117103832+61.43준우승조별리그
3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36830106144850-21.23위-
4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3483097143842-41.133위조별리그
5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335218942715+121.71우승4위
6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314169422912+171.93우승8강
7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3193387183265-330.944위8강
8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2872913884426+180.97우승조별리그
9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273148332311+121.93우승준우승
10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273148332210+121.93준우승3위
11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274167633916+231.69준우승-
12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203125521610+61.67우승우승
13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20624310122144-230.83준우승조별리그
14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124123361122-111조별리그조별리그
15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106141762028-80.71조별리그조별리그
16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928305915-61.134위8강
17파일:오만 국기.svg 오만425113626-200.88강8강
18파일:예멘 국기.svg 예멘4310118944-350.4조별리그-
19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325104311-80.6조별리그조별리그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11:02:53에 나무위키 FIFA 아랍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토너먼트 방식이 아닌 로빈 라운드 방식.[1] 1992 팬아랍 게임이 진행된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이 대회를 겸해서 진행하였다.[2] 3위 결정전이 진행되지 않았다.[3] 예선까지는 진행됐다.[4] 승부차기는 무승부에 포함된다.[5]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