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특별시의회 본관

덤프버전 :

||
1~3031~6061~9091~120
121~150151~180181~210211~240
241~270271~300301~330331~360
361~390361~390391~420421~450
451~480451~480491~520521~550
[ 1~30호 목록 ]

1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2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3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4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5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6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7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8대한성공회 진천성당
9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10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1서울 구 국회의사당
12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3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4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5대구 동산병원 구관
16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7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8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9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20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1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2철원 노동당사
23구 철원 제일교회
24철원 얼음창고
25철원 농산물검사소
26철원 승일교
27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28진안성당 어은공소
29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30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
파일:문화재청흰로고.png




파일:SAM_0197.jpg
파일:83559_382_7-8.jpg
1. 개요
2. 역사




1. 개요[편집]


일제강점기1935년, 경성부 부립극장으로 지어진 건축물로, 현재는 서울특별시의회 본관으로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어 있다.


2. 역사[편집]


의사당 자리는 원래 조선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 엄씨의 위패를 봉안한 덕안궁이 있던 곳이었다.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가 이 덕안궁을 헐고 경성전기회사로부터 100만원을 기부받아 다목적 부립(府立)극장인 '부민관(府民館)'을 이 자리에 세웠다. 1945년에는 이곳에서 부민관 폭탄의거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1945년 해방 직후 미군정이 접수해서 사용하다 1949년 서울특별시 소유가 되었고, 1950년 4월 29일 국립극단이 창단되면서 국립극장으로 사용되었다.

6.25 전쟁이 일어나자 국립극단은 대구로 이전하였고 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 5월부터 국회의사당으로 사용되었다.(3대 국회) 이곳에서 1960년 3.15 부정선거 규탄 집회를 열고 돌아가던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정치깡패들에게 습격당해 민심이 폭발하여 4.19 혁명으로 이어졌으며, 1966년 김두한 의원의 국회 오물 투척 사건의 현장이 되기도 했다.[1]

1975년 국회여의도 국회의사당으로 이전된 뒤 과거의 용도로 돌아가 시민회관으로 사용되었다가 세종문화회관이 세워지면서 1976년부터 그 별관이 되었다.

지방자치제 실시 직후인 1991년부터 서울특별시의회 본관으로써 시의회 본회의장, 운영위원회 회의장, 의장실 및 시의회사무처 등이 자리하고 있다. 2002년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근대건축물이다.

부민관 시절부터 부분에 아날로그 시계가 있었으나 1975년경(?)[2] 철거되었다가, 48년 만인 2023년에 시계가 복원되어 8월 28일 제막식을 가졌다. 서울시의회가 된 이후에 설치된 '서울특별시의회'라고 세로쓰기로 적힌 간판글씨는 철거되었다.#

[1] 야인시대 속 국회 회의장이 이 건물 내부에서 촬영했다.[2] 철거연도 미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