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암역

덤프버전 :

鐵岩驛Cheoram Station

철암역
동대구·부전 방면
석 포
← 10.2 ㎞
동백산
6.1 ㎞ →
시종착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Cheoram
한자鐵岩
간체자铁岩
가나鉄岩(チョラム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389
(철암동 370-1)
관리역 등급
보통역(3급)
태백역 관리/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운영 기관
영동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영동선1940년 8월 1일
무궁화호1986년 3월 21일
파일:누리로 BI.svg2021년 1월 5일
동해산타열차2020년 8월 19일
V-train2013년 4월 12일

철도거리표
영동선
철 암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_MG_0046_%BE%F7%B7%CE%B5%E5%BF%EB.jpg
현 역사(1985년 준공)[1]
파일:1940.8-1985.9yuk.jpg
구 역사(1956년 준공, 1985년 철거)
1. 개요
2. 역명 유래
3. 특징
4. 관광열차
5. 승강장
6. 일평균 이용객
7. 시간표
8. 여담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철암역 스탬프.jpg
철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전국에 석탄의 열기를 실어 나르다

1936년, 단일탄광으로는 국내 최대규모인 장성탄전의 석탄이 철암으로 운반되어오면서 이 지역에 본격적인 탄광사회가 형성된다. 1940년 8월 영업을 시작한 철암역이 바로 이 탄광사회의 중심이다. 철도가 없는 장성에서 생산된 석탄이 철암역을 통해 전국으로 퍼져나갔기 때문에 역의 위상은 대단했다. 당시 강릉역 역무원이 28명이던 80년대, 철암역에서 근무하는 역무원이 300여 명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였다.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추진에 따라 활력을 잃어가던 철암역은 2013년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운행과 2014년 문을 연 철암탄광역사촌과 더불어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의 철도역이자 석포역과 함께 영동선에서 여객 업무와 화물 업무를 모두 하는 역[2]이다.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389(철암동 370-1)에 있다. 현재 역사는 1985년 완공되었다.

2022년 2월 1일부터 역에서 승차권 발매를 중단해서 인터넷에서 예매하거나 차내발권을 해야한다.

2. 역명 유래[편집]


철암역이라는 역명은 이 동네에 철도가 개통된 이후 강릉 방면으로 약 4㎞ 부근에 쇠돌바위라는 기암괴석이 형성되어 그 경치가 훌륭했고, 그 이름을 따서 동명을 철암(鐵岩)이라고 칭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3. 특징[편집]


||
1~3031~6061~9091~120
121~150151~180181~210211~240
241~270271~300301~330331~360
361~390361~390391~420421~450
451~480451~480491~520521~550
[ 1~30호 목록 ]

1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2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3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4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5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6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7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8대한성공회 진천성당
9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10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1서울 구 국회의사당
12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3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4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5대구 동산병원 구관
16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7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8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9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20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1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2철원 노동당사
23구 철원 제일교회
24철원 얼음창고
25철원 농산물검사소
26철원 승일교
27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28진안성당 어은공소
29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30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
파일:문화재청흰로고.png




파일:1940.8-1985.9yuk.jpg
파일:구 철암역.jpg
파일:구 철암역 구내.jpg
구 역사
과거 태백시 지역의 무연탄을 취급하는 매우 큰 역이었지만[3], 석탄 산업 자체가 사양되면서 역 앞도 대낮에 가도 휑했다. 하지만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성공 이후 역 앞의 을씨년스러운 건물 상당수를 철거하고 철암천이 바로 보이도록 하였다. 일부만 관광자원으로써 남겨 놨다.

부산~동해간 무궁화호를 포함한 영동선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아직도 화물 수요가 상당하다. 역 구내를 보면 엄청 큰데 화물이 주 업무여서 그렇고, 여객은 그냥 부수업무로 취급된다. 참고로 매표소 앞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데 도안이 화물열차가 아니라 영동관문이다.

구내 선탄(選炭)시설은 국가등록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어있다.

남쪽에 건널목이 하나 있는데 차단기가 수동식이다. 이름은 '철암남부건널목'이다.


4. 관광열차[편집]


2013년 4월 1일 중부내륙순환열차백두대간협곡열차가 운행을 개시하면서 닫혀있던 창구를 개방하고 승차권 단말기도 다시 비치, 한켠에는 스토리웨이까지 입점하였다. 그리고 2014년에는 폐광촌 일부를 주민과의 협의하에 '철암탄광역사촌'이라는 박물관 및 탄광촌 풍경들을 구현한 시설로 리모델링했다. 덕분에 예전의 썰렁했던 때와 달리 협곡열차 출발 시간이 가까워오면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로 붐빈다.


5. 승강장[편집]


동백산
|32||1
석포


6.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V−train

O−train

동해산타열차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
총합비고
2003년193명
2004년234명
2005년184명
2006년131명
2007년115명
2008년105명
2009년94명
2010년91명
2011년72명
2012년83명
2013년757명176명933명[4]
2014년543명233명776명
2015년448명169명617명
2016년282명191명473명
2017년355명170명525명
2018년269명156명425명
2019년268명146명414명
2020년77명44명121명
2021년22명35명5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7. 시간표[편집]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16무궁화1680영주
09:52무궁화1672동해
14:28무궁화1682동해
22:04무궁화1674동해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2:13무궁화1671동대구
17:03무궁화1681부전
19:03무궁화1673동대구
19:17무궁화1683동해

동해산타열차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2:22동해산타열차2502[관광]분천

동해산타열차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6:22동해산타열차2503[관광]강릉

백두대간협곡열차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12:35백두대간협곡열차2512[관광]분천
15:53백두대간협곡열차2514[관광]영주

8. 여담[편집]


이명세 감독의 대표작인 인정사정 볼 것 없다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박중훈안성기의 빗속 맨몸 격투장면이 이 곳의 선탄시설에서 촬영되었다.

드라마 굿 닥터의 주인공인 박시온이 성장한 곳이 이 일대로 추정된다. 1회 내용 중 박시온이 레지던트로 근무하기 위해 고향인 태백을 떠나 서울로 가기 위해 청량리역으로 가는 기차를 기다리는 장면이 있는 데 이 장면이 촬영된 역이 철암역이다. 다만 극이 방영되던 시기 철암역에서 청량리역으로 한 번에 연결하는 무궁화호는 존재하지 않았다. 극 중 고증 오류에 해당. 물론 지금도 없다.


9. 둘러보기[편집]


영동선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파일:태백시 CI_White.svg 태백 8경
[ 펼치기 · 접기 ]





[1] 출처[2] 분천역 같은 역들도 화물 업무를 했으나 지금은 화물 업무를 안 한다.[3] 한때 철암역의 한 해 수입이 호남지방 모든 노선을 관할하는 순천지방철도청의 한 해 수입과 맞먹거나 그 이상이었다고 한다. 현재도 이 흔적이 역 안에 남아있는데 바로 승강장에 가면 보이는 거대한 선탄시설(석탄을 싣는 시설)이며, 근대문화유산이라고 한다. 백두대간협곡열차 탑승시 간단하게 설명을 들을 수 있다.[4] O-train, V-train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6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관광] A B C D 수 ~ 일요일에만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