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속초시·고성군·양양군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속초시·고성군·양양군.svg
선거인 수138,833명 (2016)
상위 행정구역강원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속초시 전역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

고성군 전역
고성읍, 장전읍, 간성읍, 거진읍, 서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외금강면

양양군 전역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속초시·양양군·고성군·인제군
이후 선거구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국회의원
ta-hash-start=w-f019a7405d9a08a4f1ce7dd24477696d[[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양수



1. 개요[편집]


강원도의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다. 여러번의 선거구 개편에도 불구하고 속초시와 고성군은 항상 같은 선거구에 배정됐다. 15대, 16대 총선때 인제군도 같은 선거구였는데 이후에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으로 떨어져 나갔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제군이 다시 들어와 본 선거구는 폐지된다.

이 지역을 근간으로 제11·12, 14·15대[1] 국회의원을 지낸 정재철 전 의원과 제17·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문헌 전 의원은 부자지간이다.

참고로 이 선거구가 제 8대 국회의원 선거구에 존재했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편집]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이 속했던 옛 선거구의 국회의원
총선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13대최정식
ta-hash-start=w-6857ad84c916877199cc3ddaf2c8e9f3[[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속초시·고성군
김문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명주군·양양군
14대정재철
ta-hash-start=w-532b7cbe070a3579f424988a040752f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속초시·고성군
김문기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31일
명주군·양양군
최욱철

1993년 6월 12일
~ 1996년 5월 29일
15대송훈석
ta-hash-start=w-81beb0c897b55ba7bc4d35105d2aaa6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속초시·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16대
ta-hash-start=w-9c3d8b4f680f08008c37278b8b3f076e[[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정문헌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속초시·고성군·양양군
18대송훈석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정문헌
ta-hash-start=w-8f0ba28049c871e3c7f552a32affdbe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이양수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속초시·고성군·양양군
속초시 일원[속초], 고성군 일원[강원고성], 양양군 일원[양양]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문헌(鄭文憲)23,369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5.79%당선
2송훈석(宋勳錫)14,0873위

ta-hash-start=w-b3962f007f6d528b8ee484cfa98fa25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1.57%낙선
3이동기(李東起)17,1472위

ta-hash-start=w-3443099e8096dd060b40ac5513737505[[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6.26%낙선
4장종수(張悰洙)5,7634위

무소속

8.83%낙선
5함범희(咸凡熙)4,9315위

무소속

7.55%낙선
선거인 수112,701투표율
58.86%
투표 수66,336
무효표 수1,039


3.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속초시·고성군·양양군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동기(李東起)9,8083위

ta-hash-start=w-2980006c31bc27533342523b884fa8be[[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16.58%낙선
2조동용(趙東龍)21,944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7.1%낙선
3황정기(黃正起)1,0605위

ta-hash-start=w-d1e39c9bda5c80ac3d8ea9d658163967[[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1.79%낙선
4이성국(李星國)1,3704위
2.32%낙선
6최효섭(崔孝燮)7286위
1.23%낙선
7송훈석(宋勳錫)24,2391위
40.98%당선
선거인 수112,343투표율
53.16%
투표 수59,724
무효표 수575


3.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속초시·고성군·양양군
속초시 일원[속초], 고성군 일원[강원고성], 양양군 일원[양양]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문헌(鄭文憲)31,4471위
48.72%당선
2송훈석(宋勳錫)22,9642위
35.57%낙선
6강주덕(康柱德)8784위
1.35%낙선
7손문영(孫文榮)8,5773위
13.28%낙선
8황정기(黃正起)6815위
1.05%낙선
선거인 수115,080투표율
56.65%
투표 수65,195
무효표 수652


3.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속초시·고성군·양양군
속초시 일원[속초], 고성군 일원[강원고성], 양양군 일원[양양]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양수(李亮壽)37,6901위
62.00%당선
2김주학(金周學)23,0972위
37.99%낙선
5송훈석(宋勳錫)사퇴
선거인 수116,584투표율
53.6%
투표 수62,507
무효표 수1,720


3.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이 선거구 인구가 하한선에 미달하여 어떻게 재획정할 지가 관심사였는데, 국회에서 획정안을 내놓지 못하면서 획정위 위원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최초 획정안에서는 속초시와 고성군은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과 한 선거구에, 양양군은 강릉시와 한 선거구로 하는, 즉, 강원도의 최동단과 최서단이 같은 선거구로 묶이는 희대의 안이 탄생...할 뻔 했으나 여야 국회의원들이 한 목소리로 반대했고, 결국 다시 획정된 선거구는 인제군이 다시 합류하여 15·16대 때와 같은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이 되었다.


[1] 11·12대는 속초시·양구군·인제군·고성군/14대는 속초시·고성군/15대는 전국구[속초] A B C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강원고성] A B C 고성읍, 장전읍, 간성읍, 거진읍, 서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외금강면[양양] A B C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