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릉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강릉시 문서
강릉시번 문단을
강릉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강릉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강릉시
강릉시 일원
江陵市
Gangneung
||
파일:국회선거구 강릉시.svg
선거인 수213,198명 (2020)
상위 행정구역강원특별자치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강릉시 전역
舊 강릉시 : 강남동, 경포동, 교1동, 교2동, 내곡동, 성덕동, 송정동, 옥천동, 중앙동, 초당동, 포남1동, 포남2동, 홍제동
명주군 : 주문진읍, 강동면, 구정면, 사천면, 성산면, 연곡면, 옥계면, 왕산면
신설년도2000년
이전 선거구강릉시 갑, 강릉시 을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권성동



1. 개요[편집]


소선거구 체제가 출범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강릉시와 명주군·양양군이 따로 선거구를 운영해오다가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명주군이 강릉시와 통합하어 강릉시는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때 갑/을 선거구로 재편된다. 그러다 다음 선거인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강릉시 전 지역을 담당하는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그 이후 강원도의 모든 지역구가 여러 번 합분구되는 와중에도, 유일하게 단독 선거구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춘천시를 단독 갑/을 선거구로 분구하기 위해 양양군과 합구가 될 예정이였지만, 6개 지역[1]을 복합 선거구로 하려다 여야의 반발로 현안이 취소되었고, 강릉시는 단독 선거구를 유지하게 되었다.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원내대표를 지낸 권성동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최각규
ta-hash-start=w-70c6abb042b76f871a354c8b9f597139[[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강릉시
김문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명주군·양양군
제14대최돈웅
무소속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강릉시
김문기
ta-hash-start=w-ce7de9fe26ec264f69a2f06e81112a2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26일명주군·양양군
최욱철

1993년 6월 12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황학수
ta-hash-start=w-0143f280b72f85e844b60b0f2741c4b3[[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강릉시 갑
최욱철

1996년 5월 30일 ~ 1998년 3월 24일강릉시 을
조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22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최돈웅2000년 5월 30일 ~ 2001년 9월 5일강릉시
2001년 10월 26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심재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최욱철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09년 7월 23일
권성동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9년 10월 29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ta-hash-start=w-4b17121f6c56cba45bade9104c2d8e4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무소속

2020년 5월 30일 ~ 현재

2.1. 강릉시, 명주군·양양군 (13대~14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봉모(李奉模)19,220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9.39%낙선
2허순욱(許淳旭)4,4603위
[include(틀:통일민주당)]6.82%낙선
3이훈(李勳)1,1714위
[include(틀:평화민주당)]1.79%낙선
4최각규(崔珏圭)40,5261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61.98%당선
선거인 수80,733투표율
81.56%
투표 수65,843
무효표 수466

명주군·양양군
명주군·양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문기(金文起)29,082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8.35%당선
2함종빈(咸鍾贇)10,5903위
[include(틀:통일민주당)]17.60%낙선
3정인수(鄭仁壽)5,9034위
[include(틀:평화민주당)]9.81%낙선
4최욱철(崔旭澈)14,5732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24.22%낙선
선거인 수73,327투표율
83.25%
투표 수61,048
무효표 수900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종완(崔鍾浣)18,2392위

ta-hash-start=w-1803742335a36a204b9df8ec6ff20a3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5.35%낙선
2함영회(咸泳會)6,9094위
9.60%낙선
3김필기(金必起)2,9615위
4.11%낙선
4심기섭(沈起燮)16,7543위
23.29%낙선
5최돈웅(崔燉雄)27,0681위
37.63%당선
선거인 수96,020투표율
75.73%
투표 수72,718
무효표 수787

명주군·양양군
명주군·양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문기(金文起)19,9921위
36.45%당선
2최욱철(崔旭澈)13,1673위
24.01%낙선
3최각길(崔珏吉)18,5622위
33.85%낙선
4김시환(金時煥)1,0145위
1.84%낙선
5함영주(咸泳珠)2,0993위
3.82%낙선
선거인 수69,116투표율
80.51%
투표 수55,646
무효표 수812

2.1.3. 1993년 재보궐선거 (명주군·양양군)[편집]


명주군·양양군
명주군·양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명윤(金命潤)19,3492위
41.30%낙선
2최욱철(崔旭澈)22,8981위
49.53%당선
3선복기(宣福基)4,6043위
9.08%낙선
선거인 수63,583투표율
74.68%
투표 수47,484
무효표 수97

2.2. 강릉시 甲/乙 (15대)[편집]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갑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홍제동, 중앙동, 임당동, 옥천동, 내곡동, 장현동, 노암동, 월호평동, 입암동, 두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돈웅(崔燉雄)12,9882위
27.54%낙선
2김진하(金振河)2,8665위
6.07%낙선
3함영회(咸泳會)9,4053위
19.94%낙선
4황학수(黃鶴洙)14,4141위
30.56%당선
5문준식(文準湜)2,1026위
4.45%낙선
6이호영(李浩永)5,3814위
11.41%낙선
선거인 수71,357투표율
67.72%
투표 수48,322
무효표 수1,166

강릉시 을
주문진읍, 성산면, 사천면, 운곡면, 교1동, 교2동, 포남1동, 포남2동, 초당동, 송정동, 유천동, 죽헌동, 운정동, 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중규(崔中圭)13,5252위
25.41%낙선
2이참수(李讒洙)2,8445위
5.34%낙선
3최욱철(崔旭澈)23,9881위
45.08%당선
4김문기(金文起)7,9763위
14.98%낙선
5정인수(鄭仁壽)4,8794위
9.16%낙선
선거인 수82,158투표율
66.61%
투표 수54,723
무효표 수1,511

2.2.2. 1998년 재보궐선거(乙)[편집]


강릉시 을
주문진읍, 성산면, 사천면, 운곡면, 교1동, 교2동, 포남1동, 포남2동, 초당동, 송정동, 유천동, 죽헌동, 운정동, 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순(趙淳)28,181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61.13%당선
3유헌수(柳憲洙)3,7793위
8.20%낙선
4최각규(崔珏圭)12,9892위
[include(틀:무소속)]28.17%낙선
5최경운1,1534위
[include(틀:무소속)]2.50%낙선
선거인 수85,160투표율
54.65%
투표 수46,538
무효표 수436


2.3. 강릉시 (16대~현재)[편집]



2.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돈웅(崔燉雄)40,8901위
42.12%당선
2최각규(崔珏圭)26,9882위
27.80%낙선
3노승현(盧昇鉉)3,3056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3.40%낙선
4심재엽(沈在曄)10,1503위
10.46%낙선
5유헌수(柳憲洙)6,5815위
6.78%낙선
6황학수(黃鶴洙)9,1684위
9.44%낙선
선거인 수166,344투표율
59.11%
투표 수98,327
무효표 수1,245


2.3.2. 2001년 재보궐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돈웅(崔燉雄)28,3511위
41.37%당선
2김문기[2]8,8763위
12.95%낙선
3김원덕5,2384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7.64%낙선
4노승현(盧昇鉉)3,4535위
5.04%낙선
5최욱철(崔旭澈)22,6182위
33.00%낙선
선거인 수168,830투표율
41.00%
투표 수69,224
무효표 수688


2.3.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재엽(沈在曄)45,5871위
47.24%당선
2선복기(宣福基)6,9064위
7.16%낙선
3신건승(辛建承)36,5812위
37.91%낙선
4노승현(盧昇鉉)7,4263위
7.70%낙선
선거인 수169,603투표율
57.54%
투표 수97,598
무효표 수1,098

2.3.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준일(洪浚溢)5,8523위
6.93%낙선
2심재엽(沈在曄)29,8602위
35.38%낙선
4염우철(廉隅鐵)2,8854위
3.42%낙선
5홍재경(洪在炅)1,6476위
1.95%낙선
6김봉래(金奉來)2,0245위
2.40%낙선
7박삼하(朴三河)1,2887위
1.53%낙선
8최욱철(崔旭澈)40,8421위
48.39%당선
선거인 수170,344투표율
50.06%
투표 수85,274
무효표 수876


2.3.5. 2009년 재보궐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성동(權性東)34,8341위
50.90%당선
6홍재경(洪在炅)9014위
1.08%낙선
7송영철(宋永喆)23,0972위
33.75%낙선
8심기섭(沈起燮)7,8833위
11.52%낙선
선거인 수170,329투표율
40.34%
투표 수68,721
무효표 수295

2.3.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성동(權性東)57,4331위
60.78%당선
2송영철(宋永喆)37,0512위
39.21%낙선
선거인 수173,579투표율
55.01%
투표 수95,494
무효표 수1,010


2.3.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성동(權性東)54,3591위
57.15%당선
2김경수(金敬洙)35,3252위
37.14%낙선
5최종문(崔鐘文)5,4203위
5.69%낙선
선거인 수177,335투표율
54.49%
투표 수96,633
무효표 수1,529


2.3.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 [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경수(金敬洙)47,0882위
38.76%낙선
2홍윤식(洪允植)13,7043위
11.28%낙선
7장지창(張志彰)1,0475위
0.86%낙선
8전혁(全爀)6596위
0.54%낙선
9최명희(崔明熙)9,3584위
7.70%낙선
10권성동(權性東)49,6181위
40.84%당선
선거인 수184,371투표율
66.63%
투표 수122,855
무효표 수1,381

21대 총선 강릉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경수홍윤식최명희권성동
득표수
(득표율)
47,088
(38.76%)
13,704
(11.28%)
9,358
(7.70%)
49,618
(40.84%)
- 2,530
(▼2.08)
122,855
(66.63%)
홍제동40.51%9.27%8.08%40.75%▼0.2567.01
중앙동34.35%11.25%7.61%45.69%▼11.3469.36
옥천동33.03%11.13%7.36%47.25%▼14.2267.97
교1동42.47%9.41%7.64%39.04%△3.4267.69
교2동36.23%10.64%8.86%43.06%▼6.8367.62
포남1동34.87%11.06%7.79%45.23%▼10.3664.04
포남2동36.90%10.02%7.94%43.85%▼6.9664.48
초당동42.81%10.89%8.11%36.98%△5.8370.99
송정동41.68%11.10%6.77%39.23%△2.4568.83
내곡동43.47%9.66%8.16%37.26%△6.2063.00
강남동35.27%11.66%7.47%44.30%▼9.0363.25
성덕동44.59%8.83%7.58%37.37%△7.2262.35
경포동39.07%9.78%7.24%42.46%▼3.3962.55
주문진읍31.28%17.59%7.91%42.08%▼10.7957.99
성산면32.78%12.24%7.73%46.28%▼13.4971.86
왕산면24.60%16.15%6.00%52.48%▼27.8971.08
구정면31.64%11.41%5.96%49.61%▼17.9768.47
강동면27.05%12.72%5.55%52.98%▼25.9369.41
옥계면29.56%16.62%7.15%44.84%▼15.2967.63
사천면35.36%9.90%7.28%45.69%▼10.3371.12
연곡면36.17%12.78%8.23%41.33%▼5.1666.90
후보김경수홍윤식최명희권성동격차
거소·선상투표36.19%12.23%14.06%31.77%△4.43
관외사전투표51.01%15.17%8.40%23.22%△27.79
재외투표74.22%10.30%7.21%6.18%△63.92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한때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이 출마할 것이라는 설이 있었지만, 본인은 출마를 부인했다. # 결국 최종구는 출마하지 않았고, 김경수 지역위원장이 재출마했다.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권성동 의원이 4선을 노리는 가운데 최명희 전 강릉시장, 황교안 전 대표 특별 보좌역을 역임한 김창남 경희대학교 교수, 이영랑 한국이미지리더십센터 대표 등이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모두 컷오프되었고, 홍윤식행정안전부 장관이 전략 공천을 받았다. 이에 권성동 의원과 최명희 전 시장이 공천에 반발해 모두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민중당에서는 장지창 강릉청년센터 대표가 예비 후보로 등록했다.

참고로 강릉시는 옛부터 전통적 보수 우위 지역인데, 보수 후보가 3명이나 난립한 만큼 누가 당선되든 이번 국회의원 선거 최저 득표율 당선인을 배출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구 중 하나였다. 참고로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충청남도 논산시·계룡시·금산군이인제(27.67%)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광주광역시 동구박주선(31.55%)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인천광역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안상수(31.87%)가 각각 기록들을 세웠다.[3]

여론조사는 대체로 김경수≒권성동>최명희>홍윤식의 구도로 전개되고 있다. 학연의 영향력이 강한 강릉답게 고등학교서울특별시에서 나온 홍윤식이 전혀 힘을 못 쓰고 있는 게 주목할 부분인데, 보수 후보들 간 반목이 점점 심해지면서 보수 단일화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였고, 결국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 최명희와 홍윤식이 선거 운동 기간 동안 권성동의 지지율을 추가로 잠식할지, 아니면 밴드웨건 효과로 권성동에게로 쏠릴지가 관건.

그리고 개표 결과, 접전 끝에 2위인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에 불과 2.08%p 앞선 권성동 후보의 당선이 확정되었다. 막판에 보수 표가 권성동에게 쏠린 것으로 보인다.[4] 또한 최저 득표율 당선인이라는 기록 역시 면했다.[5]

이후 권성동 의원은 국회의원 선거 바로 다음 날인 2020년 4월 16일 미래통합당에 복당 신청을 했고, 5개월 뒤에야 정식적으로 미래통합당의 후신인 국민의힘 소속이 되었다.

2.3.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강릉시
강릉시 일원[강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3. 관련 문서[편집]




[1] 속초·철화양인(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강릉] A B C D E F G H I 강남동, 경포동, 교1동, 교2동, 내곡동, 성덕동, 송정동, 옥천동, 중앙동, 초당동, 포남1동, 포남2동, 홍제동
주문진읍, 강동면, 구정면, 사천면, 성산면, 연곡면, 옥계면, 왕산면
[2] 상지대학교 이사장으로 유명한 3선 국회의원 김문기와 동명이인이다.[3] 셋 모두 원래 소속 정당에서 공천을 받지 못해 탈당해서 출마한 뒤 당선되었다는 공통점들이 있다.[4] 특히 10%를 넘길 것으로 보였던 최명희 후보의 득표가 생각보다 크게 저조했는데, 인물론으로 최명희를 찍은 보수표는 표 분열로 김경수에게 어부지리를 안겨줄까 봐 권성동으로 쏠리고, 같은 이유로 강릉고등학교 동문회 표(...)도 당선 가능성이 있는 김경수에게 쏠린 것으로 보인다.[5] 참고로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저 득표율 당선인은 울산광역시 동구권명호(38.36%p)다. 권성동 후보가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얻은 득표율과는 불과 2.48%p 차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