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즈메의 문단속/흥행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즈메의 문단속






1. 개요[편집]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의 흥행에 대한 문서.


1.1. 흥행 구조의 특수성[편집]


  • 다음 영화들은 1억 달러 이상 흥행 일본 애니메이션 중 일본 내수 비중이 50% 미만인 영화이다. 즉 아래 목록의 애니메이션들은 세계적으로(Globally) 흥행했다고 볼 수 있다.
    •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일본 내수 비중 43.1% ($79,003,725/$183,442,714) - 최대 흥행 시장 중국 ($86,920,000)
    •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일본 내수 비중 39.6% ($98,882,267/$249,873,988) - 최대 흥행 시장 일본 ($98,882,267)[1]
    • 극장판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 일본 내수 비중 35.8% ($62,000,000/$172,744,662) - 최대 흥행 시장 미국 ($85,744,662)
    • 스즈메의 문단속: 일본 내수 비중 34.6% ($110,618,978/$319,255,336) - 최대 흥행 시장 중국 ($118,190,000)
    •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일본 내수 비중 27.8% ($34,644,279/$124,500,000) - 최대 흥행 시장 일본 ($34,644,279)[2]

스즈메의 문단속은 1억 미국 달러 이상 흥행한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중 전 세계 흥행 성적 대비 일본 영화 시장 흥행이 매우 낮은 애니메이션이다. 쉽게 말해 수출 성적이 일본 내수를 2배 정도로 압도한다.

스즈메의 문단속은 2023년 4월 27일 기준 전 세계에서 3억 미국 달러의 흥행 성적을 거뒀는데, 일본 영화 시장 흥행 성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36.2%에 불과하다. 중국 영화 시장의 스즈메의 문단속 흥행 성적이 전 세계 흥행 성적 대비 38.2%를 차지하여 일본 영화 시장 성적의 비율보다 더 높고, 한국 영화 시장에서의 흥행 비율은 전 세계 흥행 대비 12.6%를 차지하며, 나머지 국가의 흥행 비율이 12.9%를 차지하여 전 세계 흥행 비율 100%를 채운다.

단순 흥행 수치로만 계산하면 더욱 놀라운 성적을 거두었는데, 해외 흥행만 약 2억 달러일본 영화 해외 흥행 1위 기록을 압도적으로 갈아치웠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 최대 흥행작인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의 해외 흥행 성적도 뛰어넘는 수치이다. 작품의 소재는 일본지진이나 폭우로 인한 산사태이고, 이면에는 일본의 고대 설화 등을 모티브로 하는 등 가장 일본적인 소재를 택했지만 오히려 일본 바깥에서 더욱 뛰어난 흥행 성적을 거둔 작품이다.[3]

2. 전 세계[편집]


글로벌 흥행 1억 달러 이상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 펼치기 · 접기 ]

순위영화감독개봉년도제작사일본 배급사최종 수익
1위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소토자키 하루오2020년ufotable도호
애니플렉스
$507,119,058
2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미야자키 하야오2001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395,580,000
3위너의 이름은.신카이 마코토2016년코믹스 웨이브 필름도호$382,238,181
4위스즈메의 문단속신카이 마코토2022년코믹스 웨이브 필름도호$323,638,107
5위더 퍼스트 슬램덩크이노우에 다케히코2022년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279,686,157
6위원피스 필름 레드타니구치 고로2022년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246,570,000
7위하울의 움직이는 성미야자키 하야오2004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235,184,110
8위벼랑 위의 포뇨미야자키 하야오2008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203,204,882
9위극장판 주술회전 0박성후2021년MAPPA도호$196,308,703
10위날씨의 아이신카이 마코토2019년코믹스 웨이브 필름도호$193,932,489
11위STAND BY ME 도라에몽야마자키 다카시
야기 류이치
2014년시로구미, 로봇, 신에이 동화도호$183,442,714
12위극장판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유야마 쿠니히코1998년OLM도호$172,744,662
13위모노노케 히메미야자키 하야오1997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69,785,629
14위마루 밑 아리에티요네바야시 히로마사2010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45,570,827
15위바람이 분다미야자키 하야오2013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36,333,220
16위극장판 포켓몬스터: 루기아의 탄생유야마 쿠니히코2000년OLM도호$133,949,270
17위드래곤볼 슈퍼: 브로리나가미네 타츠야2018년토에이 애니메이션
20세기 폭스
인터내셔널 프로덕션
토에이$124,500,000
18위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미야자키 하야오2023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21,075,952
19위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나가오카 치카2019년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119,875,024
20위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타치카와 유즈루2023년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116,921,563
21위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타치카와 유즈루2018년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108,105,223
22위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미츠나카 스스무2022년TMS 엔터테인먼트
쇼가쿠칸
도호$102,767,033
23위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나가오카 치카2021년TMS 엔터테인먼트
쇼가쿠칸
도호$102,541,050
24위드래곤볼 슈퍼: 슈퍼 히어로코다마 테츠로2022년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100,200,000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The Numbers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2022년 11월 11일$322,547,4962023년 6월 9일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2023년 4월 14일$10,746,2472023년 6월 4일
파일:중국 국기.svg

2023년 3월 24일$119,340,0002023년 6월 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11월 11일$110,618,9782023년 5월 1일
파일:대만 국기.svg

2023년 2월 25일$9,325,7892023년 5월 1일
파일:홍콩 국기.svg

2023년 3월 2일$4,015,5662023년 5월 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3월 8일$43,498,8302023년 6월 4일
파일:필리핀 국기.svg

2023년 3월 8일$4,436,8872023년 5월 1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년 3월 8일$2,947,6892023년 5월 1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23년 3월 8일$2,100,1772023년 5월 1일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23년 3월 9일$2,499,8882023년 5월 1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2023년 3월 10일$1,382,1082023년 5월 1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3년 4월 12일$3,695,0692023년 5월 14일
파일:호주 국기.svg

2023년 4월 13일$1,174,1612023년 5월 8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3년 4월 13일$241,1332023년 5월 14일
파일:독일 국기.svg

2023년 4월 13일$2,725,9792023년 4월 30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23년 4월 13일$279,2522023년 5월 21일
파일:헝가리 국기.svg

2023년 4월 13일$94,2102023년 5월 14일
2023년 4월 13일$34,9992023년 4월 30일
2023년 4월 13일$760,4302023년 4월 16일
2023년 4월 14일$1,022,1732023년 4월 23일
2023년 4월 14일$690,1172023년 5월 14일
2023년 4월 14일$110,4332023년 5월 7일
2023년 4월 14일$37,9892023년 5월 7일
2023년 4월 14일$22,5712023년 4월 30일
2023년 4월 20일$117,6602023년 5월 14일
2023년 4월 20일$103,3552023년 5월 14일
2023년 4월 21일$37,2132023년 5월 7일
2023년 4월 21일$101,3632023년 5월 14일
2023년 4월 27일$664,4062023년 5월 7일
2023년 4월 27일$174,2122023년 5월 14일
2023년 4월 28일$7,4932023년 5월 7일

3. 국가별 흥행[편집]



3.1. 대한민국[편집]





3.2. 일본[편집]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44주차2022년 45 ~ 47주차2022년 48주차
원피스 필름 레드스즈메의 문단속더 퍼스트 슬램덩크
흥행통신 박스오피스 모조 KOBIS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1월 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첫 주차에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원피스 필름 레드〉를 따돌리고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1월 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주차에도 1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으며 누적 수익은 41.5억엔을 돌파하였다.#

[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1월 마지막주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3주차에도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였고 누적 수익은 62.6억엔을 기록했다.#

[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2월 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4주차에는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 밀려 2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2월 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5주차에도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2월 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6주차에 〈아바타: 물의 길〉의 개봉에도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 이은 박스오피스 2위를 유지하였고 누적 수익 93.4억엔을 기록했다.#

[  개봉 7주차 순위  ]
파일:2022년 12월 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7주차에도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개봉 45일 만에
누적수익 100억엔을 달성했다.#

[  개봉 8주차 순위  ]
파일:2023년 1월 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8주차에도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  개봉 9주차 순위  ]
파일:2023년 1월 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9주차에도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  개봉 10주차 순위  ]
파일:2023년 1월 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0주차에도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  개봉 11주차 순위  ]
파일:2023년 1월 4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1주차에도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 밀린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누적 수익 128억엔을 기록했다.#

[  개봉 12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2주차에는 박스오피스 4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13주차 순위  ]
파일:2023년 2월 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3주차에는 박스오피스 5위로 내려 앉았지만, 2월 3일 금요일자로 너의 이름은.날씨의 아이에 이어 누적 관객 1000만을 돌파했다.

[  개봉 14주차 순위  ]
파일:2023년 6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4주차에 박스오피스 4위로 상승하였다.

[  개봉 15주차 순위  ]
파일:2023년도 8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5주차에 박스오피스 9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16주차 순위  ]
파일:2023년도 9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6주차에 박스오피스 7위로 상승하였다.

[  개봉 17주차 순위  ]
파일:2023년도 10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7주차에 박스오피스 8위로 내려 앉았다.

[  개봉 18주차 순위  ]
파일:2023년도 1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18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7위로 상승하였다.

[  개봉 29주차 순위  ]
파일:2023년 2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29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8위로 상승하며 최종 관객수 1115만명, 흥행수익은 147.9억엔으로 일본 내 모든 상영을 마무리했다.

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순위에서 14위에 올랐다.

3.3. 북미[편집]


2023년 4월 14일 개봉했다.

개봉 첫 주에 5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박스오피스 7위로 데뷔했다.

2023년 5월 3일 북미 영화 시장 흥행 1,000만 미국 달러돌파하였다. 사실 썩 좋은 흥행은 아니다. 북미 영화 시장에서 1,000만 미국 달러를 넘은 일본 애니메이션은 20편이 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1000만 달러 돌파는 유의미한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 '너의 이름은'이 500만, '날씨의 아이'가 약 700만 달러의 수익을 달성했기에 이번 스즈메의 문단속 수익을 통해 점차 미국에서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영화 입지가 올라간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3.4. 중국[편집]


중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11주차2023년 12주차2023년 13주차
保你平安스즈메의 문단속 스즈메의 문단속
2023년 12주차2023년 13주차2023년 14주차
스즈메의 문단속스즈메의 문단속 龙马精神
중국 박스오피스

스즈메의 문단속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중국 위안)

스즈메의 문단속2023년 3월 24일 중국 영화 시장에 개봉하여 개봉 첫 주 중국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하였다. 개봉 첫 주차 주말 중국 박스오피스는 3억 4,124만 9,700 중국 위안으로, 미국 달러로 약 4,967만 2,831달러에 해당한다. 스즈메 중국 개봉 첫 주차 주말 박스오피스로 한국 전체 박스오피스의 2배 이상이며, 스즈메 일본 전체 흥행 기록의 절반 가량 된다.

개봉 9일 만에 5억 위안을 돌파하며 벌써 일본 흥행의 70% 가량을 중국에서 벌어들였다. #

개봉 10일만에 5.7억 위안을 돌파하며 중국 개봉 일본 영화 사상 최고 흥행기록을 세웠다. 종전 기록은 신카이 감독의 전작인 너의 이름은.이었다.#
파일:중국1위스즈메.png

중국에서 이 작품이 호평을 얻고 흥행한 이유는 이 작품이 지진 재난의 공포와 피해자들에 대한 격려를 주제로 한 작품인데 중국은 2008년 쓰촨성 대지진이 있었고 일본처럼 지진이 꽤 많은 나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작품의 일부 내용을 이해하지 못 하던 한국과 달리[4] 중국은 이 작품에 깊이 몰입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한편 중국에서는 다른 나라와 달리 본 작품의 주제가 스즈메를 중국어로 개사하여 중국의 국민가수 주심이 부른 커버곡으로 대신하였다.

개봉 이후에는 3월에 개봉한게 다행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 이유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영향으로 인해 중국에서 방류 전부터 일본 제품 불매운동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방류가 시행되자 한한령처럼 일본에 대한 제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개봉이 조금이라도 늦었다면 흥행 참패는 물론이고 중국의 국가 구조상 상영을 아예 금지했을 가능성도 높았다.[5] 스즈메의 흥행에 중국의 비중이 상당히 높고 중국 개봉 일본 영화 1위 타이틀을 가져갔다는걸 감안하면 그야말로 천운이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

3.5. 홍콩[편집]


홍콩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8주차2023년 9주차2023년 10주차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스즈메의 문단속 스즈메의 문단속
2023년 9주차2023년 10주차2023년 11주차
스즈메의 문단속스즈메의 문단속 스즈메의 문단속
2023년 10주차2023년 11주차2023년 12주차
스즈메의 문단속스즈메의 문단속 존 윅 4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홍콩 주말 흥행 집계 기준


3.6. 싱가포르[편집]




3.7. 대만[편집]


중화민국 흥행 1위 영화
2023년 8주차2023년 9주차2023년 10주차
關於我和鬼變成家人的那件事스즈메의 문단속스즈메의 문단속
2023년 9주차2023년 10주차2023년 11주차
스즈메의 문단속스즈메의 문단속스즈메의 문단속
2023년 10주차2023년 11주차2023년 12주차
스즈메의 문단속스즈메의 문단속존 윅 4
대만 박스오피스


스즈메의 문단속 대만 공식 예고편.


3.8. 프랑스[편집]




3.9. 호주[편집]




3.10. 독일[편집]




3.11. 헝가리[편집]




3.12. 페루[편집]




3.13. 오스트리아[편집]




3.14. 스페인[편집]




3.15. 인도[편집]



[1] 중국 영화 시장($86,620,000)과 한국 영화 시장($35,903,989), 대만 영화 시장($14,900,000) 세 군데가 일본의 흥행 비중을 낮췄다.[2]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같은 경우 일본 내수 비중이 1위이긴 했지만 미국 영화 시장($30,712,119)과 멕시코 영화 시장($10,454,604) 흥행 성적이 일본 내수와 비슷한 수준이었다.[3] 이는 기생충의 해외 흥행 당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찬사를 받은 것을 연상시키기도 한다.[4] 한국의 경우는 평론가들은 재난에 대해 언급하지만 리뷰 사이트의 일반 관객평은 일본, 중국 평과 달리 지진을 이야기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지진 재난을 겪어본 적이 거의 없기 때문.[5] 비슷한 사례로 전작인 날씨의 아이가 한국에서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 진행되는 중에 개봉했는데 작품의 호불호도 있었지만 불매운동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탓에 한국 내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다. 물론 한국에서 개봉한 다른 일본 극장판 애니메이션들이 지브리 작품을 제외하면 100만을 넘기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날씨의 아이는 오히려 흥행한 편에 속하긴 하지만 하필 전작이 한국에서 380만을 찍어버린 너의 이름은.이고 후속작인 스즈메도 550만을 찍어버려서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