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우디이우카 전투

덤프버전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펼치기 · 접기 ]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도네츠크아르테미우스크 전투[우] · 슬로뱐스크 포위전[우] · 마리우폴 전투[우]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우]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러] · 일로바이스크 전투[러] · 데발체베 전투[러] · 아우디이우카 전투[우]
루한스크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러]
반응조지아 민족군단 · 전술그룹 벨라루스 · 성 스테파노 군단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전선동부동부 우크라이나 공세[진] (하르키우 전투[우] 이지움 전투[우] 스타로빌스크 전투[러] 스바토베 전투[러]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진] 크레민나 전투[러] 세베로도네츠크 전투[러]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우] 슬로뱐스크 전투[우] 리만 전투[우] 시베르스크 전투[우] 바흐무트 전투[러] 및 탈환전[진] 솔레다르 전투[러] 아우디우카 전투[진] 부흘레다르 전투[진] 리시찬스크 전투[러] 졸로테 전투[러] 포파스나 전투[러] 마린카 전투[러] 마리우폴 포위전[러]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진])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무승부]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진])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우]
남부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우] · 헤르손 공세[진] (헤르손 전투[우] 미콜라이우 전투[우] 드니프로강 공방전[진] 올레쉬키 전투[진]) · 자포리자 공세[진] (자포리자 전투[우] 멜리토폴 전투[러] 베르댠스크 전투[러] 에네르호다르 전투[러](자포리자 발전소 전투[러]) 오리히우 전투[진]) · 오데사 상륙전[우]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진] · 2023 우크라이나 대반격[러]
북부[우]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호스토멜 공항 전투) · 수미 전투
특수작전 및 전투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U]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U] · 벨고로드 공습[U]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U] · 타간로크 공습[U] · 크림 대교 붕괴 사건[U] · 2023년 모스크바 공습(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미상]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미상])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항공우주군 공습[U](댜길레보 비행장 공격[U] · 엥겔스 비행장 공격[U] · 쿠르스크 공항 공격[U])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미상] ·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U]
전쟁범죄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
경제제재와 영향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전쟁 당사국 지지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사건 사고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기타알렉산드르 두긴 · 이고르 기르킨 ·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3년 11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 각주 ]

[각주]


[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우크라이나군의 승리[러]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친러 반군/러시아군의 승리[진] A B C D E F G H I J K L M 전투 진행 중[무승부] 승부 없음[U] A B C D E F G H I J K 우크라이나군의 공격[미상] A B C 공격 주체 알 수 없음[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B]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


아우디이우카 전투
Бої за Авдіївку
Бои за Авдеевку
Battle of Avdiivka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돈바스 전역의 일부
2022년 2월 21일 ~ 진행중
장소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아우디이우카 일대
교전국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지휘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제밀 이즈마일로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비탈리 바라부쉬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아르템 무라코브스키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데니스 시넨코프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세르게이 아그라노비치
전력
파일:우크라이나군기.svg 우크라이나군
* 대통령 여단
* 제1전차여단
* 제30기계화여단
* 제31기계화여단
* 제47기계화여단
* 파일:제59차량화여단 로고.png 제59차량화여단
* 파일:제72기계화여단 엠블럼.svg제72기계화여단
* 파일:제110기계화여단.png 제110기계화여단
* 제116국토방위여단
파일: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 파일:AZOV_logo.svg 아조우 여단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파일:러시아 연방군기.svg 러시아 연방군
제1근위전차군
제2제병협동군
* 제21차량화소총여단
제8제병협동군
제41제병협동군
* 제90근위전차사단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방부 로고.jpg 제1도네츠크군단
* 파일:소말리 대대 엠블럼.svg 소말리 대대
* 파일:스파르타 대대 엠블럼.svg 스파르타 대대
피해규모
피해 규모 불명피해 규모 불명
결과
1차: 진행중

1. 개요
2. 배경
3. 진행
3.1. 2023년 3월
3.2. 2023년 4월
3.3. 2023년 5월
3.4. 2023년 10월
3.5. 2023년 11월
3.6. 2023년 12월



1. 개요[편집]


파일:아우디우카 1.png
2023년 3월 기준 아우디이우카-마린카 전선 지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도네츠크 주의 아우디이우카에서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도네츠크 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입장에서 아우디우카는 꼭 점령해야 하는 요충지이고, 우크라이나군 에게는 도네츠크를 견제하기 위한 중요한 교두보이다. 따라서 양측 간의 치열한 전투가 2022년 2월부터 1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특히 2023년 3월 들어 러시아군이 도시를 포위하려 하며 전투가 가열되고 있다.

2. 배경[편집]


아우디이우카는 본래 도네츠크시 북쪽 외곽에 있는 인구 3만의 도시였다. 돈바스 전쟁 당시 친러 반군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중심지 도네츠크의 안정을 위해 그 북쪽의 아우디우카를 꼭 점령하려 노력하였다. 하지만 2017년의 아우디우카 전투는 우크라이나 군의 승리로 귀결되었고, 이후 우크라이나 군은 아우디우카에 포대를 설치하고 이따금씩 도네츠크 시가지에 포격을 가하였다.

3. 진행[편집]


2022년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아우디우카에도 대대적인 포격이 있었다. 다만 러시아군의 주력은 키이우, 하르키우, 마리우폴, 헤르손 등지로 향했기에 도네츠크 반군 만으로는 우크라이나가 지난 8년간 요새화를 해둔 아우디우카를 함락하기에 역부족이었다. 우크라이나 북부 전선의 실패 후에야 러시아 군은 본격적으로 아우디우카에 러시아군을 투입하였고, 4월부터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요새화된 도시에 직접 진격하는 대신 러시아군은 바흐무트 전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곽을 차례대로 점령하여 포위하는 전략을 채택하였다. 7월 무렵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아우디우카를 반쯤 포위했다고 밝혔다. 이어진 8월에는 서남쪽 외곽의 피스키에서 격전이 벌어졌고, 결국 러시아 군이 점령하였다. 우크라이나 군의 가을 대공세와 바흐무트 전투의 격화로 한동안 잠잠하던 아우디우카 전선은 2023년 들어 러시아 군이 도시의 남쪽과 북쪽 외곽지를 차례대로 점령하며 도시를 3면으로 포위하자 재차 격화되었다.

3.1. 2023년 3월[편집]


파일:아우디우카 0323.jpg
03.23. 기준 아우디우카 시 전선 지도
  • 2023년 3월 21일 러시아군은 아우디우카의 두 보급로 중 하나를 완전히 차단했다고 밝혔다.

파일:아우디우카 0326.jpg
03.26. 기준 아우디우카 시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시가지의 남쪽과 북쪽 외곽을 조금씩 점령하고 있다.

파일:dkdndldldldldldd.jpg
03.31. 기준 아우디우카 시 전선 지도
  • 우크라이나군이 남쪽 외곽에서 반격하였고, 러시아군이 북동부 외곽에서 일부 진격하였다.

3.2. 2023년 4월[편집]


파일:20230403_165359.jpg
04.3. 기준 아우디우카 시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북부에서 일부 진격하였고, 우크라이나군이 남쪽 외곽에서 반격하였다. 3월 중후반 무렵 치열히 전개되던 아우디우카 전선은 3월 말과 4월 초엽 러시아군이 본격적으로 바흐무트 도심에 대한 공세에 나서며 거의 소강 상태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3.3. 2023년 5월[편집]


파일:아우디우카.jpg
05.11. 기준 아우디우카 시 전선 지도
  • 5월 중순 들어 러시아군은 바흐무트에서 소강 상태에 빠지자 다시 아우디우카에서 진격하였다.

3.4. 2023년 10월[편집]


파일:10.07. 기준 아우디이우카 지도.jpg
10.07. 기준 아우디우카 시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고속도로까지 철도 노선을 따라 아우디이우카 남쪽으로 진격했다. 크라스노봇스크 서쪽으로도 진격했다.
파일:10.14.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jpg
10.14. 기준 아우디이우카 지도
  • 러시아군이 아우디이우카 시 주변에서 도시 북쪽과 남서쪽에서 대규모 공격 작전을 수행했다. 또한 크라스노호리우카 북쪽에 새로운 위치를 차지했다.
  • 러시아군이 10월 중순부터 아우디이우카에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다. 북쪽과 남쪽 측면에서 포위 공격을 노렸지만 30여대의 장비를 손실했지만 북쪽 베르디치 마을 점령에 성공했다. 우크라이나는 수비에 유리한 지형에 8년동안 구축한 방어 요새로 인해 9대의 장비 손실만을 입었다.
파일:20231021_002553.jpg
10.20.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아우디이우카의 남쪽 가장자리로 진격하고 북쪽 베르디치 마을의 점령과 동쪽의 폐기물로 이루어진 고지대 점령을 안정화시켰다.
  • 우크라이나군은 이때 55대의 탱크를 포함해 최소 175대의 차량을 파괴했으며 아우디우카에서 러시아군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ISW는 러시아군은 10월 20일 아우디이우카 근처에서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고, 크라스노호리우카 서쪽(아우디이우카에서 북쪽으로 5km)에서 진격을 했다고 분석했다.#
파일:2023 10 24 .jpg
10.24. 기준 크라스노호리브카 전선 지도
  • 10월 24일 러시아 114 기계화 소총 여단은 폐기물 지대 고지를 점령했다. #
파일:20231104_001547.jpg
11.01.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아우디이우카 시 주변에서 스포일리 끝의 북쪽 가장자리와 남서쪽으로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다.
  • 10월 9일부터 현재까지 공개된 영상의 좌표 추적과 위성 사진 등을 바탕으로 10월 말까지 러시아군은 적어도 197대의 장비를 손실했다.#


3.5. 2023년 11월[편집]


파일:20231104_001547.jpg
11.01.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아우디이우카 시 주변에서 스포일리 끝의 북쪽 가장자리와 남서쪽으로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다.
파일:11.19.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jpg
11.19.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아우디이우카 북쪽의 철도 노선을 가로질러 전진하여 도시로 향하는 우크라이나군의 보급선에 위협을 가하고 있고,남동쪽으로도 진격을 하였다.
  • 우크라이나군은 최근에 도시의 남쪽과 남서쪽에서 잃어버린 위치를 지역을 탈환했다.
파일:11.26.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jpg
11.26.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아우디이우카의 북쪽 방향에서 추가로 전진했다.


3.6. 2023년 12월[편집]


파일:12.03.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jpg
12.03.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아우디이우카 북쪽 전선에서 계속 전진하고 있다

파일:12.10.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jpg
12.10. 기준 아우디이우카 전선 지도

  • 러시아 군이 시가지 북부에 진입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23:06:13에 나무위키 아우디이우카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