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우크라이나 지지/남아메리카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반응/우크라이나 지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펼치기 · 접기 ]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도네츠크아르테미우스크 전투[우] · 슬로뱐스크 포위전[우] · 마리우폴 전투[우]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우]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러] · 일로바이스크 전투[러] · 데발체베 전투[러] · 아우디이우카 전투[우]
루한스크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러]
반응조지아 민족군단 · 전술그룹 벨라루스 · 성 스테파노 군단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전선동부동부 우크라이나 공세[진] (하르키우 전투[우] 이지움 전투[우] 스타로빌스크 전투[러] 스바토베 전투[러]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진] 크레민나 전투[러] 세베로도네츠크 전투[러]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우] 슬로뱐스크 전투[우] 리만 전투[우] 시베르스크 전투[우] 바흐무트 전투[러] 및 탈환전[진] 솔레다르 전투[러] 아우디우카 전투[진] 부흘레다르 전투[진] 리시찬스크 전투[러] 졸로테 전투[러] 포파스나 전투[러] 마린카 전투[러] 마리우폴 포위전[러]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진])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무승부]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진])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우]
남부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우] · 헤르손 공세[진] (헤르손 전투[우] 미콜라이우 전투[우] 드니프로강 공방전[진] 올레쉬키 전투[진]) · 자포리자 공세[진] (자포리자 전투[우] 멜리토폴 전투[러] 베르댠스크 전투[러] 에네르호다르 전투[러](자포리자 발전소 전투[러]) 오리히우 전투[진]) · 오데사 상륙전[우]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진] · 2023 우크라이나 대반격[러]
북부[우]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호스토멜 공항 전투) · 수미 전투
특수작전 및 전투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U]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U] · 벨고로드 공습[U]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U] · 타간로크 공습[U] · 크림 대교 붕괴 사건[U] · 2023년 모스크바 공습(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미상]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미상])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항공우주군 공습[U](댜길레보 비행장 공격[U] · 엥겔스 비행장 공격[U] · 쿠르스크 공항 공격[U])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미상] ·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U]
전쟁범죄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
경제제재와 영향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전쟁 당사국 지지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사건 사고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기타알렉산드르 두긴 · 이고르 기르킨 ·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3년 11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 각주 ]

[각주]


[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우크라이나군의 승리[러]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친러 반군/러시아군의 승리[진] A B C D E F G H I J K L M 전투 진행 중[무승부] 승부 없음[U] A B C D E F G H I J K 우크라이나군의 공격[미상] A B C 공격 주체 알 수 없음[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B]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




1. 개요[편집]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우크라이나 지지 남아메리카 국가들의 반응을 정리한 문서.

러시아의 전쟁 중단 및 군대 철수에 대한 투표
찬성
반대
기권
불참

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편집]


  • 이반 두케 콜롬비아 대통령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했다.#
  • 마르타 루시아 콜롬비아 부통령 겸 외무장관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책임"을 질 것을 촉구했다.#
  • 두케 대통령이 콜롬비아가 러시아 대신 서방에 석유를 공급하겠다고 나섰다.#

3.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편집]


  • 아미우톤 모우랑 부통령이 "브라질은 중립을 지킬 수 없으며,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존중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면서 "브라질은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침략에 동의할 수 없으며, 이는 명백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특별비자 발급을 통해 우크라이나 피란민들을 인도주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 카를루스 알베르토 프랑카 브라질 외무장관은 중재 의사를 밝혔다.#


  •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대러제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쿠바 미사일 위기를 언급하며 러시아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하였다.#

4.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편집]


  • 루이스 라칼레 포우 대통령은 "러시아의 국제법에 위배되는 행동"을 규탄하고 "항상 평화를 약속하는 나라"라고 선언하면서 갈등의 "문명적 해결"을 위한 협상 복귀를 촉구했다.#


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편집]


  •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침공을 한탄하며 "러시아 연방이 군사 행동을 중단하고 대화로 복귀할 것"을 요청했다.#
  • 산티아고 카페에로 아르헨티나 외무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러시아의 침략을 규탄했다.#

6.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편집]


  • 기예르모 라소 에콰도르 대통령은 "에콰도르는 러시아의 군사작전 개시 결정과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위반을 규탄한다."며 러시아를 규탄했다.#


7.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편집]


  • 세바스티안 피녜라 대통령이 트윗에 "러시아의 침략 행위와 우크라이나의 주권 침해 행위"는 국제법을 위반했다고 말했다.# 가브리엘 보리치 당선인은 "우크라이나 침공, 주권 침해 및 불법적인 무력 사용을 규탄한다"고 전했다.#


8.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편집]


  • 세자르 란다 외무장관 은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완전성에 대한 침해에 직면한 페루는 무력 사용을 거부하고 외교부를 통해 의견을 표명한다고 전했다.#
  • 페드로 카스티요 페루 대통령은 "총알이나 탄약에 자금을 투자하지 말고, 가난, 불평등, 질병과 같은 전세계의 공동의 적들을 공격하기 위해 앉아서 대화하는 데 투자하자."며 전쟁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


9.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편집]


  • 에우클리데스 아세베도 파라과이 외무장관은 대화와 휴전을 촉구했다. 친러시아 분리주의 운동으로 인한 갈등을 예상하였다고 밝혔다.#


10. 수리남[편집]


  • 러시아의 침략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11. 가이아나[편집]


  • 침공을 규탄하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존중할 것을 촉구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