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성 버스 370, 380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안성시 CI_White.png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7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성 370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시외버스터미널)종점경기도 평택시 평택동(평택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5:40기점행첫차07:10
막차22:00막차23:30
배차간격30~35분
운수사명백성운수인가대수7대
노선일죽시외버스터미널 - 죽산시외버스터미널 - 두원공과대학교 - 용월지방산업단지 - 삼죽 - 라촌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안성종합운동장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안성푸르지오아파트 - KT안성지사 - 서인사거리.맥도널드앞 - 구.안성터미널 - 한경대학교 - 이마트안성점 - 안성제1산업단지 - 대덕면사무소 - 중앙대.롯데캐슬아파트 - 내리사거리 - 대림동산 - 부영아파트.만가대 - 공도(금호어울림) - 스타필드.용이동.삼천리가스 - 평택대학교 - 굿모닝병원.SK아파트 - 평택공설운동장 - 합정대로 - 신평동주민센터 - 평택터미널

중간 출발 정류소
일죽터미널 방향(구)안성터미널 13:05~16:45
평택터미널 방향없음
중간 종료 정류소
일죽터미널 방향안성종합버스터미널 평택터미널발 11:15~15:00
평택터미널 방향없음

파일:안성시 CI_White.png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8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성 380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일죽시외버스터미널)종점경기도 평택시 평택동(평택시외버스터미널)[1]
종점행첫차05:50[안성신터미널]
09:10[일죽터미널]
기점행첫차06:40
막차21:45[평택터미널행]
24:00[안성구터미널행]
막차22:25
23:15[안성신터미널행]
배차간격30~35분
운수사명백성운수인가대수8대
노선일죽시외버스터미널 - 죽산시외버스터미널 - 두원공과대학교 - 용월지방산업단지 - 삼죽 - 라촌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안성종합운동장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안성푸르지오아파트 - KT안성지사 - 서인사거리.맥도널드앞 - 구.안성터미널 - 한경대학교 - 안성CGV - 시티프라디움 - 대학9길 - 내리삼거리 - 대림동산 - 부영아파트.만가대 - 공도(금호어울림) - 스타필드.용이동.삼천리가스 - 평택대학교 - 굿모닝병원.SK아파트 - 평택공설운동장 - 합정대로 - 신평동주민센터 - 평택터미널
* 밑줄 친 구간은 370번과 상이되는 구간이다.

중간 출발 정류소
일죽터미널 방향(구)안성터미널 12:45~16:30
평택터미널 방향안성종합버스터미널05:50~09:20
중간 종료 정류소
일죽터미널 방향안성종합버스터미널 평택터미널발 10:55~14:50, 22:45, 23:15
평택터미널 방향(구)안성터미널 일죽터미널발 22:20~24:00


2. 개요[편집]


백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안성시 일죽면에서 평택시까지 한 번에 이어주는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83km이다. 370번 전체 정류장 목록, 380번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6년 6월 22일에 370번이 신설되었다. 당시 안내문 당시 배차간격은 1시간이었고, 수도권 통합 요금제 시행 이전이라 일죽부터 평택까지 전구간 완주하면 3600원을 받았다.

  • 예전에 일죽까지 가지 않고 안성까지만 가던 370-1[2]번과 금호어울림 정차를 제외하면 70번과 똑같았던 370-2번이 있었으나 모두 폐선되었다.[3]


  • 신설 초기에는 공도읍내를 경유했으나[4] 이후 주은풍림~금호어울림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6월 17일 부로 교차로 통행방법 문제로 평택방향 한정으로 정차했던 퍼시스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

  • 2023년 7월 3일 부로 100-2번의 폐선으로 인해 370, 380 통합 운행 횟수가 52회에서 64회로 증회되면서 첫차와 막차 시간이 모두 변경되었다.# 이와 동시에 380번 노선에 한해 내리와 아양지구를 추가로 경유한다. 이에 따라 내리와 아양지구에서도 평택, 일죽으로 가는 버스가 생겼으며, 370, 380번이 격번으로 배차되며 통합 배차간격은 15분이다.


4. 특징[편집]


  • '안성 - 평택' 구간은 70번과 거의 겹치며[5], '안성 - 일죽' 구간은 37번과 동일하다.[6] 37 + 70 = 370 그러나 일죽과 죽산에서 평택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 유일한 버스노선이며, 70번과 1150번(구 50번)이 공도읍사무소 앞으로 가는 반면 이 노선은 대덕면사무소부터 평택공설운동장까지 38번 국도를 타고 쭉 가기 때문에[7] 수요가 제법 있다.

  • 중앙대 다빈치캠퍼스 앞에서 평택시내로 가장 최단시간에 갈 수 있는 노선이다. 1150번은 공도읍내 경유에 평택시내투어까지 하고, 70번은 평택시내투어는 하지 않아도 공도읍내에서 시간을 많이 까먹는데 반해 이 노선은 중앙대 다빈치캠퍼스 앞 부터 평택 굿모닝병원까지 일직선으로 그대로 쏜다. 평택시내투어 없이 합정대로를 거쳐 평택터미널로 들어온다. '평택대-굿모닝병원-합정대로-평택터미널' 코스는 70번 역시 동일하게 운행중이다. 운이 좋다면 중앙대 다빈치캠 앞에서 평택터미널까지 30분 안에도 주파가 가능하다.

  • 두원공과대학에 들어갔다가 나오는데 양방향 같은 승강장을 쓰기 때문에 행선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이는 죽산터미널에서도 마찬가지, 참고로 두원공대가 방학에 들어가거나, 안성까지만 운행후 당왕동차고지로 회송하는 차량의 경우 절대 두원공대 내부로 들어가지 않으니 주의 할것

  • 일부 시간대(10시~15시 사이)에는 차량 정비, 주유 등으로 인하여 평택터미널 출발차량은 안성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일죽터미널 출발차량은 (구)안성터미널까지만 운행한다.[8] LED에 '차 고 지 행'이 띄워져 있고, 노선 번호판에 '안성까지 운행', '안성종합터미널까지 운행' 이라는 팻말이 붙어있다면, 그 차량은 안성 신터미널까지 운행하고 이후 당왕동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9] (대체노선-일죽방향: 37-1 평택방향: 1150[10], 70)

  • 평택행의 경우 동아방송예술대학부터 버스 안이 꽉 차는데 서인사거리에서 대거 하차하므로 이후부터는 앉아갈 수 있다.

  • 전체 노선을 보면 대학교를 6군데 경유한다. 일죽 출발 기준으로 나열해보면 두원공과대학 - 동아방송예술대학[11] - 한경대학교 - 중앙대학교 - 안성 폴리텍대학[12] - 평택대학교 순으로 경유한다.

  • 장거리 노선인데도 소요시간이 적은 편이다. 두 노선 모두 1150번이나 70번과 마찬가지로 안성-평택간 버스경쟁에 해당되는 노선 특성상 과속이 많은 것도 있고 시내구간도 적기 때문에 막히지 않으면 1시간 10분만에 주파할 때도 있다.

  • 여담으로 증차민원이 가장 많이 올라오는 노선이다. 노선 길이가 길어서 370번과 380번 인가대수를 합친 13대임에도 배차가 길게 벌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증차하기도 애매한게 이 노선은 상술했듯 무려 6군데의 대학교를 경유하기에 이들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데, 방학에 들어가면 학기시즌보다 승객이 60%나 줄어든다. 안성시내까지만 운행하는 시간대가 존재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한다.[13]

  • 해당노선 좌석형 차량에는 모두 전좌석에 안전띠가 설치되어 있지만, 거의 모든 차량의 안전띠가 좌석 밑에 채워져 있고 실제 착용은 불가능하다.이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1조 제6항 위반이다.[14]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시간표[편집]


안성시 버스 370, 380번 운행시간표
2023년 9월 24일 기준 / 차량 내 시간표에서 발췌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횟수노선번호일죽안성노선번호평택안성
1380-05:5038006:4007:30
237005:4006:1037007:1007:50
3380-06:2538007:2508:15
437006:0006:4037007:4008:30
5380-06:5538007:5708:50
637006:3007:1037008:2009:10
7380-07:2538008:3509:25
837007:0007:4037008:5209:45
9380-07:5538009:0809:55
1037007:3008:1037009:2410:10
11380-08:2538009:3510:25
1237007:5508:4037009:5010:35
13380-08:5538010:0510:50
1437008:2509:0537010:1511:05
15380-09:2038010:3011:20
1637008:5509:3537010:4511:35
1738009:1009:5038010:55[안성행]12:45
1837009:3010:1037011:15[안성행]13:05
1938009:4510:2538011:30[안성행]13:15
2037010:0010:4037011:50[안성행]13:30
2138010:1510:5538012:00[안성행]13:45
2237010:3011:1037012:15[안성행]14:05
2338010:5011:3038012:35[안성행]14:15
2437011:0511:4537012:50[안성행]14:30
2538011:2512:0538013:10[안성행]14:50
2637011:3512:1537013:20[안성행]15:05
2738011:5512:3538013:40[안성행]15:25
2837012:1012:5037013:55[안성행]15:35
2938012:3013:1038014:15[안성행]14:55
3037012:4513:2537014:30[안성행]16:10
3138013:0513:4538014:50[안성행]16:30
3237013:1513:5537015:00[안성행]16:45
3338013:4014:2038015:2516:15
3437014:0514:4037015:4816:35
3538014:1514:5538016:0016:50
3637014:3015:1037016:2017:10
3738014:4515:2538016:3517:20
3837015:0515:4537016:5217:45
3938015:1515:5538017:0817:55
4037015:3016:1037017:2418:10
4138015:5016:3038017:4018:30
4237016:0516:4537017:5618:45
4338016:2517:0538018:1219:05
4437016:3517:1537018:2819:15
4538016:5517:3538018:4519:35
4637017:1017:5037019:0019:50
4738017:3018:1038019:2020:10
4837017:4518:2537019:3420:25
4938018:0018:4038019:5020:40
5037018:1518:5537020:0520:55
5138018:3519:1538020:2021:10
5237018:5019:3037020:3521:25
5338019:1019:5038020:5521:45
5437019:2520:0537021:1021:55
5538019:4520:2538021:2522:15
5637019:5520:3537021:4522:30
5738020:1520:5538022:0022:45
5837020:3021:1037022:1522:57
5938020:4521:2538022:2523:10
6037020:5521:3537022:3523:20
6138021:1521:5538022:45[안성행]-
6237021:3022:1037023:0523:45
6338021:4522:2538023:15[안성행]-
6437022:0022:4037023:3024:10
6538022:20[안성행]-
6638022:40[안성행]-
6738023:00[안성행]-
6838023:20[안성행]-
6938023:40[안성행]-
7038024:00[안성행]-
[안성행]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평택방면은 (구)안성터미널 종료, 일죽방면은 안성신터미널 종료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평택역[15]
  • 일반 철도역: 평택역(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2:11:42에 나무위키 안성 버스 37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노선 GBIS 상으로는 안성종합버스터미널에서 평택으로 나갔다가 일죽을 경유 이후 다시 안성종합버스터미널로 되돌아오는 기.종점으로 되어있다.[안성신터미널] [일죽터미널] [평택터미널행] [안성구터미널행] [안성신터미널행] [2] 370-1번 폐선 이전에는 370번과 380번의 중간 안성까지 운행타절이 없었지만, 폐선 후 이 노선에 운행했던 차량들을 모두 370번과 380번에 증차하면서 중간에 안성까지만 운행타절구간이 생긴 것[3] 370-2번은 후 380번으로 변경하고 공도터미널을 거치지 않고 금호어울림 직통으로 변경했었다.[4] 공도터미널을 경유한 후 어울림3단지를 거쳐 어울림1단지 밑 육교를 경유하는 방식이었다.[5] 이 노선은 공도읍내를 미경유하고, 70번은 공도읍내를 경유한다.[6] 이 노선은 두원공대 내부를 들어가지만 37번은 들어가지 않는다.[7] 단, 공도풍림아이원, 공도금호어울림에는 정차한다.[8] 안성행만 우르르 배차되는 건 아니고 안성-종점-안성-종점 순으로 온다.[9] 안성까지 운행하는 경우 BIS를 끄고 운행한다.[10] 단, 봉산로터리-안성신터미널 구간은 다니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11] 위에 언급한 2개의 대학교 덕분에 농촌지역인 일죽, 죽산, 삼죽을 운행함에도 그 구간에서 수요가 많은 이유가 되었다. 일죽, 죽산 중고등학교 통학수요도 있긴 하나 이들은 주로 37번을 탄다.[12] 금호어울림 정류장에서 약 10분 거리이다.[13] 이 두 노선을 합치면 약 15~20분 배차가 나와야 되는데, 안성까지만 운행하는 시간대를 보면 일반적인 통학시간대를 벗어나며, 해당 시간대의 전 구간 운행배차가 40분 정도까지 벌어진다.[14] 안성 버스 70, 안성 버스 37 또한 안전벨트가 좌석 밑에 채워져 있기 때문에 위반에 해당한다.[15] 도보로 3분 거리.(197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