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양시 버스 목록

덤프버전 :

||



1. 개요
2. 관내 운행 회사
3. 통과노선 운행사
3.1. 서울
3.2. 시흥
3.3. 광명
3.4. 광주
3.5. 구리
3.6. 군포
3.7. 부천
3.8. 성남
3.9. 수원
3.10. 안산[1]
3.11. 용인
3.12. 시 경계 지역 정류소만 정차하는 노선
3.12.1. 서울
3.12.2. 성남
3.12.3. 수원
3.12.4. 안산
3.12.5. 시흥[2]
3.12.6. 화성
3.13. 석수역 정류소만 정차하는 노선
3.13.1. 서울
3.13.2. 광명
3.13.3. 김포
3.13.4. 안산
4. 종류별 노선 일람
4.1. 광역급행버스
4.2. 경기순환버스
4.3. 일반시내버스
4.4. 마을버스
5. 폐지된 노선
6. 차량


1. 개요[편집]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 중, 안양시 버스 목록.

관내 시내버스 회사는 보영운수, 삼영운수(안양시)가 있다. 사실상 안양시 삼.보영운수는 한 회사나 마찬가지. 마을버스 업체들도 많은 편이지만 삼보영이 워낙 크고 지하철로 환승할 때는 최종요금은 동일하다는 마케팅까지 하고 있었다.[3]

서울 유출입 노선이 타 지자체에 비해 많은 편이다. 수원은 서울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 좌석버스 형태가 발달하였지만, 안양권은 그보다 가깝기도 하고 도시로서의 역사도 길기 때문에 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과천대로로 서울을 진입하는 경기도 버스는 7007-1번을 제외하고 사당에서 바로 회차하지만, 보영운수 소속 11번대 시리즈(11-2, 11-5)는 갯마을까지 조금 더 들어가서 회차한다. 또한, 광명시 시내버스는 개봉역이나 독산역 등 서울유출입 노선들이 대부분 서울 변두리에 있는 1호선 역들을 종점으로 하고 있지만, 여기는 구로디지털단지역(1, 51)은 물론이고, 영등포까지 가는 노선이 있다.(5) 여의도까지 가는 부천 88번이나 시흥 530번보다는 아쉽지만. 또한 성남시, 용인시 등 4권역발 버스도 잘 안 들어가는 대치동 가는 노선도 있다.(11-3, 917) 이 노선들은 송파구 잠실운동장까지 간다. 그 외에도 배차가 길지만 호암로를 이용해 서울로 들어가는 20번 버스도 있다. 그 외에도 광명시 구간이 매우 긴(광명역->철산역) 삼영운수 3번도 있다. 서울의 3, 4, 5(+6[4])권역에 모두 진입하는 일반시내버스를 모두 보유한 유일한 회사.

일반시내버스는 많지만,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는 좀 약한데 이 역할을 전철이 대신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사실 안양에서 서울로 연결되는 자동차전용도로(서부간선도로, 봉담과천로, 우면산로)들이 버스전용차로가 없어서, 직행좌석버스가 생긴다고 해서 출퇴근시간대이 크게 매력있는 옵션이 되지는 않는다.

이런 이유로 코로나 19 기간에도 관내 시내버스 회사 노선들 감차가 비교적 적었다. 팬데믹 기간에도 수익성에 연연하지 않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경쟁해야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감차를 했다가 서울버스들을 포함한 타 지자체 버스들에게 본인들의 파이를 나눠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 때문에 지역 주민들에게 호평을 받기도 한다.

다만 비판점도 있는데, 노선들이 너무 비슷한 길만을 따라가서 음영지역과 주축 지역 간의 교통의 편의성 차이가 크다. 안양권 전체로 넓히면 박달동, 청계동(=안양판교로 축)이 대중교통 소외로 인한 오지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그 외에도 안앙시 중심가라고 볼 수 있는 평촌과 서울을 잇는 버스들이 540, 502를 제외하면 인덕원~관양중~범계역~군포 금정역의 천편일률적인 경로를 따라가기에 안양종합운동장, 평촌역 등 서울 가기 까다로운 지역이 시내버스 노선 수에 비해 많다. 또 다른 음영지역으로는 평촌학원가, 백영고사거리, 자유공원 등 4호선과 흥안대로로 둘러싸인 영역의 버스가 열악한 편이다. 특히, 종합운동장 일대의 비산3동은 서울 사당, 강남쪽으로 나갈 때 인덕원역으로 가는 것이 유리한데 전부 시흥동이나 범계역으로 향해버리는 버스 특성상 관악대로까지 다소 거리가 긴 도보를 하거나 범계역으로 가는 마을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만안구도 노선의 편중이 꽤 있는데, 대부분의 패턴이 구로디지털단지~안양1번가, 안양1번가~금정역~군포시(여기서 운행하는 군포시 지역이 나누어지기 시작한다.)의 형태이다. 한편으로 서울 시흥동과 안양을 잇는 버스 중에서 경수대로축 역시 지나는 것이 적다. 또한, 의왕 고천동을 들어가는 버스 중 많은 노선이 구군포를 경유하여 들어오는데, 고천동 지역에서 구군포 가는 수요보다 범계나 인덕원으로 빠지는 수요가 훨씬 많지만 구군포로 가는 노선이 상당히 많은 점도 이 점에 대해서도 공급 과잉이라는 비판이 많다. 이처럼 노선들이 시 종점만 약간 다르고 역할 중복이 심각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교통 오지가 없는 것도 아닌 점이 아이러니하다.

앞서 언급된 박달동은 M5556번 개통 전까지 서울로 한 번에 가는 버스도 없었고, 강남 쪽으로 갈 때 거치는 인덕원역으로 연결 되는 버스 역시 없다. 안양천 건너 석수동은 서울 가는 버스로 안양 버스 9, 9-3이 있고, 인덕원 가는 버스가 많은 것과 대조되는 부분. 이것 때문에 박달동은 목감이나 광명역보다 강남 가는 데 오래 걸린다는 오명이 씌워졌다. G9633번을 보영이 가져갔을 때 박달동에서도 강남 가는 버스 만들어 달라는 민원이 있었을 정도.[5] 청계동은 그나마 인덕원역과 가까워서 다행이지만, 여기는 아예 인덕원 이상 가는 것이 힘들 정도로 마을버스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다. 가끔 오는 시내버스도 대부분 인덕원을 기점으로 물갈이가 될 정도. 물론 청계동, 넓게는 안양판교로 축에서 시흥, 구로 방향으로 가려면 귀찮다. 그나마 의왕시 마을버스들이 인덕원성당, 인덕원역 8번출구에 모두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어 숨통이 트였다. 평촌역이나 스마트스퀘어 일대도 버스교통의 오지이나 그나마 여기는 초역세권 지역이라 큰 논란이 되지는 않는 듯.

2023년 4월 기준 안양시 시내버스 1, 2위는 3번, 10번이다. 경기도 전체로 환산하면 5, 28위.


2. 관내 운행 회사[편집]



2.1. 시내버스[편집]




2.2. 마을버스[편집]




3. 통과노선 운행사[편집]



3.1. 서울[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441월암공영차고지고천사거리ㆍ호계사거리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양재시민의숲ㆍ강남역신사역8~12우신버스
502월암공영차고지고천사거리ㆍ호계사거리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사당역ㆍ이촌역ㆍ서울역한국은행(신세계)10~12우신버스
540군포공영차고지군포경찰서ㆍ호계동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사당역ㆍ고속터미널서울성모병원6~10우신버스
541군포공영차고지금정역ㆍ비산사거리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우면지구ㆍ서초역강남역9~13우신버스
542부곡공영차고지금정역ㆍ범계역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우면지구ㆍ양재역ㆍ강남역신사역20~24대원여객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5530군포공영차고지산본역ㆍ안양1번가ㆍ석수역ㆍ시흥사거리ㆍ신림역ㆍ서울대입구역사당역8~14우신버스
5531군포공영차고지당동ㆍ금정역ㆍ안양1번가ㆍ석수역ㆍ구로디지털역ㆍ보라매역노들역5~8군포교통
5623군포공영차고지경기폴리텍고등학교ㆍ금정역ㆍ안양1번가ㆍ석수역ㆍ구로디지털역ㆍ보라매역ㆍ샛강역여의도환승센터7~10군포교통
5625비산동석수역ㆍ시흥사거리ㆍ구로디지털역ㆍ신풍역ㆍ신길2동영등포8~14서울매일버스
5626비산동안양1번가ㆍ석수역ㆍ시흥사거리ㆍ남구로역ㆍ구로역ㆍ개봉역ㆍ오류동온수역8~14서울매일버스
5713비산동석수역ㆍ시흥사거리ㆍ구로디지털역ㆍ신풍역ㆍ여의도ㆍ광흥창역신촌기차역7~11서울매일버스


3.2. 시흥[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32경원여객안양차고지안양1번가ㆍ목감동ㆍ연성지구ㆍ능곡지구ㆍ장현지구풍림2단지.소래포구입구20~25시흥교통


3.3. 광명[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2은계아란트리서울남부교도소ㆍ천왕지구ㆍ광명사거리역ㆍ철산역ㆍ소하동ㆍ박달동안양역8~10화영운수
11광명돔 경륜장개봉역ㆍ광명사거리역ㆍ광명ICㆍ학온동ㆍ안서초교ㆍ박달동안양역31~39화영운수
12중앙하이츠광명사거리역ㆍ철산역ㆍ하안주공ㆍ소하동ㆍ광명역ㆍ박달동안양역5~8화영운수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1-1관악역석수시장ㆍ석수전화국ㆍ석수도서관ㆍ환경사업소광명역9~10자경마을버스


3.4. 광주[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65광교차고지흥덕지구ㆍ아주대입구ㆍ장안문ㆍ이목동ㆍ고천ㆍ포도원ㆍ명학역안양역3~7대원고속


3.5. 구리[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1650수택동차고지구리여중고ㆍ강변역ㆍ잠실역ㆍ장지역ㆍ가천대ㆍ의왕청계요금소ㆍ비산사거리안양역8~15경기여객


3.6. 군포[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3030군포공영차고지산본역ㆍ범계역ㆍ관양동ㆍ과천ㆍ선바위역ㆍ강남역신사역10~25보영운수


3.7. 부천[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G8808부천터미널복사골문화센터ㆍ송내역ㆍ시흥TGㆍ광명역ㆍ안양1번가ㆍ비산사거리범계역30~40소신여객


3.8. 성남[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영회사
333사기막골신흥역ㆍ수진역ㆍ모란역ㆍ의왕청계영업소ㆍ안양시청ㆍ범계역ㆍ만안구청안양역9~13대원버스
3330도촌동도촌1,2단지ㆍ야탑역ㆍ이매촌한신ㆍ의왕청계영업소ㆍ안양시청ㆍ범계역ㆍ만안구청안양역9~13대원버스


3.9. 수원[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64동탄공영차고지망포역ㆍ 수원터미널ㆍ매교역ㆍ화성행궁ㆍ한일타운ㆍ고천ㆍ호계삼거리ㆍ명학역안양역15~19수원여객
301평택(하북차고지)진위역ㆍ오산역ㆍ병점역ㆍ수원역ㆍ장안문ㆍ만석공원ㆍ고천ㆍ호계사거리범계역5~7성우운수
777수원역장안문ㆍ한일타운ㆍ고천ㆍ호계사거리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남태령역사당역5~17용남고속
900경희대망포역ㆍ수원터미널ㆍ수원역ㆍ한일타운ㆍ고천ㆍ호계사거리ㆍ석수역구로디지털단지역8~10성우운수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 회사
300평택(하북차고지)진위역 ㆍ오산역ㆍ병점역ㆍ수원터미널ㆍ한일타운ㆍ고천ㆍ호계사거리범계역6~8삼경운수


3.10. 안산[6][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31-7한라2차아파트입구수리산역ㆍ금정역ㆍ안양1번가ㆍ목감동ㆍ신천동ㆍ소사역부천역차고지15~35경원여객
350경원여객안양차고지안양1번가ㆍ목감동ㆍ수암동ㆍ부곡동ㆍ시청ㆍ안산역ㆍ시화공단오이도20~25경원여객


3.11. 용인[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분)운행회사
8839에버랜드용인터미널ㆍ명지대입구ㆍ용인시청ㆍ강남대역ㆍ기흥역ㆍ신갈ㆍ범계역인천터미널50~90경남여객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1303한국외대모현ㆍ단국대ㆍ오리역ㆍ정자역ㆍ운중동ㆍ서울구치소ㆍ인덕원역ㆍ범계역ㆍ만안구청안양역20~30경기고속


3.12. 시 경계 지역 정류소만 정차하는 노선[편집]



3.12.1. 서울[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152화계사입구성신여대ㆍ동대문ㆍ을지로입구역ㆍ서울역ㆍ노량진역ㆍ신림역삼막사사거리5~9동아운수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6515양천공영차고지고척시장ㆍ영등포역ㆍ노량진ㆍ신림역ㆍ서울대입구역삼막사사거리7~11관악교통


3.12.2. 성남[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103도촌동야탑역ㆍ봇들마을ㆍ운중동ㆍ서울구치소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사당역15~40대원버스


3.12.3. 수원[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7002남부공영차고지인계동ㆍ월드컵경기장ㆍ서수지IC인덕원역35~60용남고속버스라인


3.12.4. 안산[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50푸르지오6차후문중앙역ㆍ성포주공아파트ㆍ월피동ㆍ부곡동ㆍ수암동ㆍ목감동ㆍ박달주유소광명역30~60경원여객


3.12.5. 시흥[7][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5602시화이마트거모동ㆍ군자동ㆍ능곡동ㆍ목감동ㆍ서해안고속도로ㆍ석수역ㆍ시흥사거리구로디지털역10~25시흥교통
5604목감지구남왕마을ㆍ목감사거리ㆍ율포마을ㆍ서해안고속도로석수역10~20시흥교통


3.12.6. 화성[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7200동탄2신도시동탄역ㆍ예당고교ㆍ삼성전자중앙문ㆍ광교중앙역ㆍ서수지IC인덕원역20~60경진여객


3.13. 석수역 정류소만 정차하는 노선[편집]


역시 마찬가지로 안양-서울 경계지역에 속해 있어 석수역만 경유하는 노선이 많아 따로 수록한다.


3.13.1. 서울[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500시흥3동시흥사거리ㆍ신림역ㆍ국사봉터널ㆍ노량진역ㆍ서울역을지로입구역7~10군포교통서울교통네트웍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5618구로동여의도ㆍ영등포ㆍ대림역ㆍ금천구청ㆍ석수역구로동7~13보성운수


3.13.2. 광명[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101화영운수차고광명사거리역ㆍ철산2동ㆍ철산역ㆍ하안주공ㆍ소하6단지석수역6~8화영운수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3001광명역소하동ㆍ석수역ㆍ제2경인ㆍ신기시장ㆍ인하대ㆍ옥련동송도유원지15~25화영운수
3002광명역소하동ㆍ석수역ㆍ제2경인ㆍ가천대ㆍ청학동ㆍ해양경찰청인천대학교25~30화영운수


3.13.3. 김포[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388하늘빛마을모담마을ㆍ김포시청ㆍ고촌ㆍ송정역ㆍ신월동ㆍ개봉역석수역10-15선진상운


3.13.4. 안산[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5609푸르지오6차후문자유센터ㆍ스타플라자ㆍ월피동ㆍ부곡동ㆍ구로디지털역ㆍ공군회관여의도20~60경원여객


4. 종류별 노선 일람[편집]


파일:안양시 시내버스 인가대수 현황 220819.jpg

4.1. 광역급행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M5333동안경찰서.범계역남부시장ㆍ석수역ㆍ강남순환로ㆍ수서역ㆍ송파역ㆍ석촌호수잠실역20~30삼영운수
M5556석수3동석수아이파크 - 박달삼거리.박달2동행정복지센터.한양수자인에듀파크ㆍ박달사거리ㆍ안양여중고ㆍ안양대교앞ㆍ석수역사당역20~40화영운수

4.2. 경기순환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8407범계역비산사거리 - 대동문고 - 시흥요금소 - 김포요금소 - 백석역 - 마두역 - 주엽역 - 대화역킨텍스20~60경원여객

4.3. 일반시내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운행회사
1평촌차고지평촌역ㆍ범계역ㆍ만안구청ㆍ안양1번가ㆍ석수역ㆍ시흥사거리구로디지털단지역15~20삼영운수
1-1월암공영차고지의왕역ㆍ고천ㆍ내손동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남태령역사당역8~15삼영운수
1-2석수공영차고지안양1번가ㆍ만안구청ㆍ호계도서관ㆍ호계사거리ㆍ고천ㆍ의왕역월암동.부곡중6~10삼영운수
1-5월암공영차고지의왕역ㆍ고천ㆍ내손동ㆍ인덕원역청계휴먼시아30~40삼영운수
3평촌차고지민백마을ㆍ범계역ㆍ비산사거리ㆍ안양1번가ㆍ박달동ㆍ광명역ㆍ소하동철산역5~8삼영운수
5월암공영차고지의왕역ㆍ고천ㆍ명학역ㆍ안양1번가ㆍ석수역ㆍ시흥사거리ㆍ구로디지털역ㆍ신풍역당중초등학교10삼영운수
5-2월암공영차고지장안마을ㆍ의왕역ㆍ여성회관ㆍ평촌공고ㆍ학원가ㆍ범계역ㆍ대림대학ㆍ관악역ㆍ연현마을석수역10~15삼영운수
6충훈부충훈2교ㆍ안양역ㆍ성결대ㆍ호계도서관ㆍ범계역ㆍ평촌역벌말초교8~15삼영운수
8석수공영차고지박달시장ㆍ안양1번가ㆍ비산사거리ㆍ관양동ㆍ인덕원역ㆍ호계사거리ㆍ군포역우성고등학교5~10삼영운수
8-1충훈부박달시장ㆍ안양공고ㆍ안양1번가ㆍ비산사거리ㆍ관양동ㆍ인덕원역포일자이아파트5~8삼영운수
8-2광명역석수3동ㆍ안양1번가ㆍ만안구청ㆍ금정역ㆍ금정동ㆍ군포역ㆍ당정동우성고등학교15~20삼영운수
9[8][9]충훈부안양1번가▷인덕원역▷과천▷사당역▷신림역▷시흥대로▷관악역충훈부8 ~10삼영운수
9-3[10]충훈부관악역▷시흥대로▷신림역▷사당역▷과천▷인덕원역▷안양1번가충훈부8 ~10삼영운수
10창박골안양예고ㆍ안양1번가ㆍ메가트리아ㆍ범계역ㆍ범계중ㆍ호계사거리의왕시청4~7보영운수
11-2군포공영차고지산본역ㆍ만안구청ㆍ비산사거리ㆍ관양동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사당역정금마을6~10보영운수
11-3창박골안양1번가ㆍ비산사거리ㆍ관양동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양재역ㆍ도곡역ㆍ삼성역잠실운동장6~10보영운수
11-5군포공영차고지금정역ㆍ호계사거리ㆍ범계역ㆍ관양동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사당역정금마을6~10보영운수
15창박골안양1번가ㆍ만안구청ㆍ금정역ㆍ능안공원ㆍ문화예술회관ㆍ경기폴리텍고등학교궁내동4~7보영운수
15-1효성아파트종점양지초교ㆍ프라자아파트ㆍ성원아파트ㆍ삼덕공원안양역10~15보영운수
15-2창박골안양1번가ㆍ만안구청ㆍ금정역ㆍ한얼공원ㆍ산본역ㆍ한세대의왕시청6~10보영운수
20송정지구대야미역ㆍ군포역ㆍ금정역ㆍ안양1번가ㆍ경인교대ㆍ난곡ㆍ신대방역구로디지털역10~20삼영운수
22송정지구부곡휴먼시아ㆍ당정동ㆍ제일모직ㆍ호계사거리ㆍ인덕원역ㆍ청계농협덕장초등학교8~18보영운수
33숲속마을3.5단지인덕원역ㆍ평촌역ㆍ범계역ㆍ농수산물시장ㆍ계원예술대학교ㆍ백운사거리롯데몰의왕점현장20~40삼영운수
51평촌차고지계원예대ㆍ인덕원역ㆍ관양동ㆍ비산사거리ㆍ대림대학ㆍ석수역ㆍ시흥사거리구로디지털역5~8삼영운수
52창박골안양예고ㆍ안양역ㆍ비산사거리ㆍ평촌역ㆍ학원가ㆍ평촌공고ㆍ덕고개ㆍ고천의왕시청10~15삼영운수
52-1송정지구의왕역ㆍ우성고ㆍ덕고개ㆍ평촌공고ㆍ학원가ㆍ평촌역부안중학교20~30삼영운수
55[OUT]송정지구부곡지구ㆍ군포첨단산업단지ㆍ한국복합물류ㆍ수리산역ㆍ산본역금정역20~35보영운수
60군포공영차고지당동주공ㆍ군포역ㆍ호계사거리ㆍ범계역ㆍ경기글로벌통상고ㆍ관양중동편마을8~12삼영운수
60-1월암공영차고지장안마을ㆍ우성고ㆍ여성회관ㆍ호계사거리ㆍ농수산물시장ㆍ인덕원역동편마을25~40삼영운수
80석수역관악역ㆍ안양1번가ㆍ비산사거리ㆍ동편마을ㆍ인덕원역포일2지구(숲속마을)10~15삼영운수
81산현동남왕마을ㆍ목감사거리ㆍ율포마을ㆍ범고개ㆍ충훈2교ㆍ박달동안양역6~10삼영운수
83석수역석수시장ㆍ충훈고교ㆍ박달사거리ㆍ안양1번가ㆍ비산사거리ㆍ안양시청ㆍ스마트스퀘어ㆍ인덕원역포일2지구(숲속마을)30~40보영운수
87[OUT][11]고천동(백운사입구)고천체육공원ㆍ당정동ㆍ금당터널ㆍ산본역ㆍ문화예술회관금정역7~10보영운수
88충훈부박달시장ㆍ안양1번가ㆍ만안구청ㆍ금정역ㆍ신환사거리ㆍ산본역수리산역5~8삼영운수
917군포공영차고지금정역ㆍ호계도서관ㆍ범계역ㆍ관양동ㆍ인덕원역ㆍ과천청사ㆍ양재역ㆍ대치역ㆍ삼성역잠실운동장15보영운수


4.4. 마을버스[편집]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
01[12]박달2동(관동/박달교장)석수역안양고교·박달삼거리·안양대교·관악역·석수체육공원25~40분
1[13]박달2동(관동/박달교장)안양역안양고교·박달삼거리·우성아파트·안양공고·삼덕공원4분
2안양예술공원신성고등학교안양세무서·근명여자정보고·안양중앙성당·안양역·안양2동·만안초교·안양대교10분
2-1안양예술공원평촌역안양예술공원사거리·대림대학교·비산사거리·부흥고·범계역·안양시청30분
3-1임곡중학교안양역대림대학교·안일교·임곡교·안양1동30분
5평촌차고지관양고교평촌역·동안고교·평촌중앙공원·평촌고교·범계역·삼호아파트·안양종합운동장7분
5-1양명여고평촌스마트베이[14]안양역후문·비산사거리·범계역·안양시청·평촌역·부안중·평촌스마트베이7분
5-3명학역무궁화코오롱아파트덕천초교·비산사거리·동안구청·범계역·평촌고교30~60분
5-5동편마을 2단지자유공원수촌교·평촌도서관·법원·평촌역·동안고교·학원가10~20분
6[15]한가람한양A한가람한양A평촌경영고-법원-평촌역-동안고교-내손동-평촌공고-범계역-학운공원7분
6-1포도원한림대병원호계e편한세상·안양국제유통단지·신기사거리·범계역·시청·평촌역11분
6-2경인교대금정역관악역·대림대학교·범계역·안양국제유통단지·LS타워8분
6-5호계푸르지오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금정역·명학역·학원가30분
7디지털엠파이어임곡주공아파트평촌역·동안고교·내손동·농수산물도매시장·평촌고교·범계역·비산사거리7분
8포도원동편마을호계e편한세상·호계시장·범계역·안양시청·평촌역·인덕원역10~15분
9[16]관악역신안초교2001아울렛·안양1번가·안양역·영화아파트·관악역10분
10-12001아울렛한림대병원안양샘병원·안양세무서·성결대학교·명학역·범계역·시청·부림중학교·평촌역7분
10-2평촌학원가(무궁화진흥A)신성고등학교평촌고교·범계역·명학역·성결대학교·안양6동10분
70명학역주공뜨란채아파트안양7동주민센터·덕천교·래미안메가트리아30분


5. 폐지된 노선[편집]


안양시·군포시·의왕시 버스 목록/폐선 참조.


6. 차량[편집]


안양시 시내버스/차량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2:40:24에 나무위키 안양시 버스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원여객이 1980년대까지는 안양 면허로 운행했었다. 이후 안산 면허로 변경.[2] 석수역과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 정류장도 정차하므로 이곳에 수록.[3] 이들 회사들은 군포교통, 서울매일버스, 우신버스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경쟁하고 있다.[4] 구로디지털단지역이나 영등포역이 6권역 소속이지만 서울진입은 모두 5권역인 금천구 석수역을 지난다.[5] 2022년 5월 16일 자로 M5556번이 개통되어 그나마 서울로 가는 버스 노선이 생겼다. 그러나 이 노선은 석수역강남순환로를 거쳐 사당역 까지만 운행하기 때문에, 인덕원 쪽으로 가려면 여전히 환승을 해서 가야 한다.[6] 경원여객이 1980년대까지는 안양 면허로 운행했었다. 이후 안산 면허로 변경.[7] 석수역과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 정류장도 정차하므로 이곳에 수록.[8] 9-3번과 정반대로 도는 순환버스이다.[9] 밑의 마을버스 9번과 안양1번가에서 같은 정류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탈때 주의해서 타야한다.[10] 9번과 정반대로 도는 순환버스이다.[OUT] A B 아웃 안양 노선[11] 금정역 방면 편도운행 시 안양시계는 스친다.[12] 1번의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개통했지만...현실은...[13] 박달교장과 관동교장을 갈수 있는 유일한 노선. 서울특별시 5개 자치구 (영등포, 구로, 금천, 관악, 동작) 예비군들과 고등학생 수요가 많아 매우 혼잡한 노선이다.[14] 본 종점은 변경된 것으로 변경되기 전에는 한림대병원 이었다. 그리고 변경전에는 범계역 사거리에서 그대로 직진후 평촌고에서 좌회전하여 평촌도서관을 경유하기까지 S자 형태로 빙 도는 식으로 운행했으나 변경후에는 범계역 사거리에서 그냥 좌회전하고 도서관도 경유 안하고 쭉 직진한다.[15] 순환노선이다. 고양 버스 88이나 서울 지하철 2호선처럼 외선/내선 둘 다 존재하며, 외선은 06번, 내선은 6번으로 등록되어있다.[16] 위의 시내버스 9번과 안양1번가에서 같은 정류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탈때 주의해서 타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