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500

덤프버전 :

||


파일:서울500_3271.png
파일:서울 버스 500_8351.jpg
서울교통네트웍 차량군포교통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00 노선도.png
기점[출발]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석수역)
[도착]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기아대교)
종점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1가(을지로입구.시청입구)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06
막차23:00막차00:10
평일배차7~10분주말배차토요일 9~12분 / 공휴일 13~15분
운수사명서울교통네트웍 / 군포교통인가대수32대(예비 2대)[1][2]
노선(석수역 →/기아대교 ←)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KT구로지사 - 난곡입구 - 신림사거리(신림역) - (→ 당곡중학교 → 봉천역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 현대시장 - 국사봉터널 - 상도4동약수맨션 - 상도2동아이파크.포스코더샵아파트 - 장승배기역.상도2치안센터 - 노량진역 - 노들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7번 승강장) → 남대문시장 → 롯데영프라자 → 을지로입구.시청입구 → 숭례문-삼성본관앞 → 서울역버스환승센터(4번 승강장)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군포교통서울교통네트웍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3.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석수역 - 시흥대로 - 여의대방로 - 대방역 - 노량진역 - 신용산역 - 서울역 - 퇴계로 → 서울운동장 → 을지로 순으로 운행했다. 당시 운행 대수는 72대이었다. 노선 자체는 구.76번 적색 노선이었다.

  • 그러나 수요에 비해 차량이 너무 많은데다 독산로/대림동/신길동 지역 민원으로 인해 2004년 8월 26일 507번이 별도로 신설되면서 운행 대수가 36대를 감차하였다.

  • 2004년 12월 20일, 동대문운동장 주차장을 경유하고 양방향 을지로로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5년 8월 22일부터 150번과 중복 되는 노선 정리와 5011번의 폐선으로 대체 노선을 담당하기 위해 시흥IC - 구로디지털단지역 - 여의대방로 - 대방역 - 노량진역 구간에서 시흥IC - 신림사거리(신림역) - 봉천역 - 국사봉터널 - 장승배기역 - 노량진역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면서 2008년 3월 31일에 광희동 회차로 변경되었다.

  • 석수역 길가에 주차하던 것이 문제가 되었고, 안양BRT 버스중앙차로가 완공되면서 2009년 6월 29일에 석수역에서 운행을 시작해 기아대교에서 운행을 마치는 것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군포교통이 서울교통네트웍 컨소시엄에서 탈퇴하면서 2010년 8월 2일부터 두 회사가 공동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3년 3월 19일에 서울특별시의 장거리 노선 단축 정책의 일환과 을지로 구간의 중복 노선 정리, 을지로 구간 수요 저조를 이유로 '을지로입구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구간이 단축되었고, 롯데영프라자 → 을지로입구.시청입구 → 삼성본관앞 → 숭레문 루프 회차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8월 16일부터 주말/휴일 운행횟수가 감회되어(평일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 공휴일 배차간격이 1분가량 늘었다. 관련 공문

  • 2021년 3월 15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평일/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6회/5회/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문

  • 2023년 2월 1일부로 군포교통 측 예비차 1대가 감차되어 8561번으로 이동되었다.


4. 특징[편집]


  • 서울교통네트웍 차량은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며, 2023년 12월 4일부터는 서울시 방침 변경에 따라 군포교통도 현금을 받지 않는다.


  • 신림사거리부터 노량진역까지의 구간은 152번이나 504번과 경로가 다르다. 152번과 504번은 당곡사거리에서 직진하여 신대방삼거리역을 지나 장승배기역으로 가지만, 이 노선은 당곡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현대시장과 국사봉터널을 지나서 장승배기역으로 간다. 그래서 신림사거리에서 노량진역까지 소요시간은 500번이 152번이나 504번의 1.5배 정도 된다.

  • 출근 시간에는 봉천역 - 현대시장 - 장승배기역 구간에서 승객이 꽉 들어차 노량진역까지 만원버스가 되며 퇴근시간에는 그 반대 방향 이동 차량이 만원버스가 된다. 국사봉터널 인근 지역에서 봉천역이나 서울 도심까지 연결시켜 주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이다. 특히 출근 시간에는 버스 출입문 계폐도 어려울 정도로 승객이 과밀되 2017년부터 출근 시간 다람쥐버스인 8551번이 신설되었다. 물론 현대시장 - 노들역 구간은 5535번도 같이 분담해서 다니는데 이 노선의 심각한 혼잡 때문에 5535번이 국사봉터널 경유로 변경된 것이고 지금까지 별 문제 없이 잘 다니고 있다.

  • 2004년 개편 당시 신설된 #00번 단위 주간선 노선들 중에서 600번과 더불어 현재까지 살아남은 노선 중 하나이며 507번과 함께 소하동에서 가스 충전을 한다.

  • 심야버스를 제외하면 502번[3], 507번[4]등과 함께 용산역 근처에서 가장 막차가 늦게 도착하는 노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막차가 00:26에 신용산역 정류장을 통과하기 때문에 여수EXPO발 용산행 KTX-산천 522 열차[5]나 목포발 용산행 KTX 440 열차[6]로 서울에 도착한 5권역행 여행객들이 많이 이용하기도 한다.[7] 독산동은 소요시간이나 막차나 507번이 더 낫기 때문에 제외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0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7,704명-
2014년17,481명▽ 223
2015년18,026명△ 545
2016년18,007명▽ 19
2017년17,784명▽ 223
2018년17,524명▽ 260
2019년17,827명△ 303
2020년13,845명▽ 3,982
2021년13,644명▽ 201
2022년14,921명△ 1,277
※ 하차 인원 미포함


4.2. 시간표[편집]


  • 석수역과 시청 출발시각이며, 교통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다만 석수동차고지가 그리 넓지 않아 회차지 휴게시간을 엄격히 지키므로 대체로 시간표를 준수한다.
파일:서울-서울교통네트웍 500.png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석수역[8], 노량진역, 용산역[A], 남영역[9], 서울역, 시청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 봉천역, 을지로입구역, 시청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신용산역, 삼각지역, 숙대입구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노들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역[A],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신림역, 당곡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A],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2212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화성, 광주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화성시
광주시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김포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김포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양주시
704송추
서울05옥정
파주시
773운정
774파주읍
서울03운정
9714운정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서울교통네트웍 18대(예비 1대) / 군포교통 14대(예비 1대)[2] 토요일 23대(서울교통네트웍 13대, 군포교통 10대) / 공휴일 17대(서울교통네트웍 10대, 군포교통 7대) 운행[3] 용산역 00:45 막차[4] 신용산역 00:39 막차[5] 용산역 23:26 도착[6] 용산역 00:15 도착[7] 특히 상도동과 봉천역 - 시흥IC 사이 남부순환로 연선으로 갈 때에는 심야버스를 제외하면 500번이 거의 유일한 교통수단이 된다.[8] 을지로입구 방면 운행 시에만 정차[A] A B C 신용산역 하차[9]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 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