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야마구치현 제1구(중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존재하는 선거구에 대한 내용은 야마구치현 제1구 문서
야마구치현 제1구번 문단을
야마구치현 제1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폐지된 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야마구치현 제1구
山口県第1区
||
선거인 수555,871명 (1993)
상위 도도부현야마구치현
하위 행정구역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정수4
마지막 선출 국회의원아베 신조, 하야시 요시로, 가와무라 다케오, 고가 다카아키




1.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구 야마구치 1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의원명소속정당
23회(1947)이마즈미 이사무

사카모토 미노루

스토 히데오

쇼 타다토

24회(1949)요시다케 에이치

스토 히데오

이마즈미 이사무

사카모토 미노루

25회(1952)요시다케 에이치

니시카와 사다이치

스토 히데오

이마즈미 이사무


(

)
26회(1953)다나카 다쓰오[1]
무소속

호소카코 가네미츠


(

)
요시다케 에이치

이마즈미 이사무


(

)
27회(1955)스토 히데오
다나카 다쓰오
이마즈미 이사무
( )
호소카코 가네미츠
( )
28회(1958)다나카 다쓰오
아베 신타로[2]
스토 히데오
이마즈미 이사무
29회(1960)호소카코 가네미츠
다나카 다쓰오
스토 히데오
아베 신타로
30회(1963)호소카코 가네미츠
다나카 다쓰오
스토 히데오
이마즈미 이사무
31회(1967)아베 신타로
다나카 다쓰오
스토 히데오
에다무라 요사쿠
32회(1969)아베 신타로
다나카 다쓰오
하야시 요시로[3]
이마즈미 이사무
33회(1972)아베 신타로
하야시 요시로
다나카 다쓰오
에다무라 요사쿠
34회(1976)아베 신타로
하야시 요시로
다나카 다쓰오
에다무라 요사쿠
35회(1979)아베 신타로
하야시 요시로
다나카 다쓰오
에다무라 요사쿠
36회(1980)아베 신타로
하야시 요시로
다나카 다쓰오
에다무라 요사쿠
37회(1983)아베 신타로
하야시 요시로
다나카 다쓰오
하마니시 데쓰오
38회(1986)아베 신타로
하야시 요시로
다나카 다쓰오
하마니시 데쓰오[4]
39회(1990)아베 신타로[5]
오가와 마코토
하야시 요시로
가와무라 다케오
40회(1993)아베 신조
하야시 요시로
가와무라 다케오
고가 다카아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2.1.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1구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타로127,947표1위
31.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시 요시로86,948표2위
21.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나카 다쓰오84,361표3위
21.0%당선
파일:일본 사회당 로고 반전.png에다무라 요사쿠71,408표4위
17.8%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사노 켄지30,512표5위
7.6%낙선
유효표 수545,270표투표율
77.08%
선거인 수538,233인

2.2.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1구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타로108,448표1위
28.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시 요시로71,472표2위
18.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나카 다쓰오67,211표3위
17.6%당선
파일:일본 사회당 로고 반전.png하마니시 데쓰오62,269표4위
16.3%당선
파일:일본 민사당 로고.svg야스히로 요시노리37,376표5위
9.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유키35,582표6위
9.3%낙선
유효표 수545,270표투표율
70.75%
선거인 수545,270인

2.3.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1구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타로139,123표1위
34.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시 요시로81,312표2위
20.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나카 다쓰오70,093표3위
17.5%당선
파일:일본 사회당 로고 반전.png하마니시 데쓰오54,951표4위
13.7%당선
파일:일본 민사당 로고.svg야스히로 요시노리30,411표5위
7.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모토 다케오25,279표6위
6.3%낙선
유효표 수401,169표투표율
75.46%
선거인 수545,700인


2.4.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1구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타로102,204표1위
24.8%당선
파일:일본 사회당 로고 반전.png오가와 마코토95,824표2위
23.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시 요시로87,473표3위
21.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와무라 다케오77,506표4위
18.8%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가와 쇼지35,895표5위
8.7%낙선
모리타 시게코12,876표6위
3.1%낙선
유효표 수411,778표투표율
75.65%
선거인 수548,954인


2.5.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야마구치현 제1구
시모노세키시, 우베시, 하기시, 오노다시, 나가토시, 미네시, 아사군, 토요우라군, 미네군, 오츠군, 아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아베 신조97,647표1위
24.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하야시 요시로65,709표2위
16.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와무라 다케오65,467표3위
16.2%당선
파일:japan_renewal_party_logo_mono.png고가 다카아키51,055표4위
12.7%당선
파일:일본신당 로고 반전.png에시마 기요시48,119표5위
11.9%낙선
파일:일본 사회당 로고 반전.png오가와 마코토43,076표6위
10.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가와 쇼지28,508표7위
7.1%낙선
連合사사키 노부오3,995표8위
1.0%낙선
유효표 수403,576표투표율
73.42%
선거인 수555,871인


[1] 다나카 기이치의 장남.[2] 아베 히로노부 전 미쓰비시상사 임원과 아베 신조 전 내각총리대신, 기시 노부오 전 방위대신의 아버지.[3] 하야시 요시마사 전 외무대신의 아버지.[4] 1987.11.21 임기 중 사망[5] 1991.05.15 임기 중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