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주시 공영버스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영버스 브랜드
[ 펼치기 · 접기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마실버스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맞춤형버스
고양시남양주시성남시양주시
고양누리버스땡큐버스누리·반디버스공영버스
양평군용인시오산시화성시
행복버스용인시 공공버스까산이버스H버스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삼척시원주시영월군
마실버스오랍드리버스누리버스행복버스
평창군
Happy 700 평창 우리동네 평화마을버스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아산시
마중버스




파일:양주15-1.png
1993년 개통한 양주시 최초의 공영버스 15-1번[1]

1. 개요
2. 노선



1. 개요[편집]


양주시 공영버스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등급으로 운행되며 일반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가 수익성을 이유로 운행하지않는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양주시가 운수사에게 재정지원을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운행노선은 지선노선 포함 32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20번대의 번호를 사용한다. 다만 14번과 지선인 14-1번은 양주시 공영버스 번호체계를 사용하고 있지만 특이하게도 공영버스는 아니고 마을버스로 운행한다. 본래 10번대의 번호만 사용했으나, 노선이 점차 확대되면서 20번대도 사용하게 되었다.[2]

운행 회사들은 본래 6개 업체에서 운행하였으나, 마전2통공영버스운영위원회양주교통에 인수되고 장흥공영버스가 재정난으로 폐업신청을 하면서 현재는 신암교통, 양주교통, 은현교통, 진명여객으로 4개 업체에서 운행중에 있다.

2019년 3월 17일 20번이 개통과 동시에 최초로 자체적인 도색이 적용되었으며, 이후 현재 전 노선으로 자체 도색이 확대되었다.[3]


2. 노선[편집]


  • 마을버스는 노랑색 바탕, 시내버스는 초록색 바탕
노선번호기점종점운수사명개통시기 및 비고
10궤제회관세아아파트은현교통2003년 개통
첫차 한정 덕정주공 출발
11양주교통본사고암동양주교통1996년 개통
1일 4회 청담마을 경유
12마전리시장앞2001년 개통
1일 1회 12(B)번 녹양역 및 가능역 경유
13가래비주유소기우리종점신암교통
13-1백석농협2017년 11월 3일 개통
15장욱진미술관지축역신암교통1일 3회 신흥유원지 및 일영유원지 경유
15-1양주역신암교통1993년 개통
막차 한정 구파발역 연장운행
16신산리종점조양중학교2004년 개통
17가래비주유소지행역일부 시간대 두곡리 미경유(17B)
18양주역안고령2000년 개통
19장흥자연휴양림구파발역진명여객2016년 10월 10일 개통
1일 2회 구파발역 방향 한정 돌고개 경유(19-1)
20덕정주공1단지은현복지회관양주교통2018년 3월 17일 개통
1일 2회 운암리전원마을 연장운행
21경동대학교휴리조트2019년 5월 21일 개통
22송추반석전원교회고양동현대아파트진명여객2019년 5월 1일 개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8:28:45에 나무위키 양주시 공영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신암교통이 15-1번을 운행중이다.[2] 28번의 경우 공영버스의 확대 이전부터 해당 번호를 사용한것일 뿐, 공영버스에 포함되지 않는다.[3] 단, 예외도 있는데 13번의 경우 원래 자체도색을 적용하고 있었으나, 차량이 대차되면서 경기도 마을버스 신도색이 적용되었고 15번15-1번 역시 장흥공영버스가 폐업하면서 양주교통과 신암교통에서 임시로 운영하고 있어 자체도색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