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주종합터미널

덤프버전 :

||
운영사파일:동부고속 로고.svg
주소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85

1. 개요
2. 특징
3. 노선
3.1.2. 수도권
3.1.3. 강원권
3.1.4. 충청권
3.1.5. 영남권
3.1.6. 호남권


1. 개요[편집]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85(홍문동 274-1)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2. 특징[편집]


옆동네 이천종합버스터미널보다 시설이 그나마 낫지만 그래도 다른 도시에 있는 터미널보다 시설이 나쁘다. 특히 승차홈 천장에 석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관리가 잘 안되고 있다. 다만 터미널 내부는 여주시 시내버스 도착정보를 알려주는 버스 도착 안내기를 설치해서 여주터미널 경유하는 여주시내버스를 안내하고 있다. 이는 이천터미널에는 없는 시설이다.

현재 여주터미널에서 지방행 노선들은 거의 이천터미널에서 출발해 여주터미널을 경유지로 하고 있다. 다만 대전이랑 청주 등 여주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지방행 노선들도 있다.

또한 터미널 내부에서 금강고속, 백성운수 시내버스도 이용이 가능하다.

터미널 진입로가 좁아서 버스가 터미널에서 출발할때 아슬아슬하게 진입하기도 하다. 반대편 입구도 마찬가지.


3. 노선[편집]


원래는 이름처럼 고속,시외,시내버스가 모두 들어왔지만 고속버스였던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은 거리 등의 고속버스로서의 기준 미달로 전환시외 노선이 되어 현재는 고속버스 노선은 없고 시외버스시내버스 노선이 있다.

이 터미널의 특징은 수도권, 강원권 노선은 강릉의 노선을 제외하면 전회일반이고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노선은 전회우등이라는 것이다.

3.1. 시외버스[편집]




3.1.1. 전환시외[편집]


운행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간격(분)구분시간표
여주 ↔ 서울경부동부고속여주종합터미널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여주대 20~40분전회 일반형, 학생 할인 적용첫차:06:30(여주 기준), 막차:22:00(여주 기준)
해당노선은 E-Pass사용이 가능하다.



3.1.2. 수도권[편집]


방면행선지업체경유지배차간격비고
수도권 방면동서울경기고속여주대1일 8회(평일)
1일 6회
김포공항, 인천공항경기고속이천1일 2회10석 제한[1][2]
수원경남여객여주대, 신갈영덕, 영통입구, 아주대1일 8회시외버스 8423
양평금강고속개군, 곡수[3]1일 25회농어촌버스 면허[4]
장호원, 구안성터미널백성운수여주시청, 여주신협, 여주대, 점봉초등학교, 점동, 덕평, 노탑, 장호원, 송산, 일죽, 죽산, 삼죽, 동아방송예술대, 마전초등학교, (신)안성터미널, 안성시청, 서인사거리1일 45회, 20~25분 간격막차 점동 종착, 시내버스 면허

3.1.3. 강원권[편집]


방면행선지업체경유지배차간격비고
강원권 방면강릉경기고속무정차1일 6회
원주(직행)금강고속
대원고속
문막1일 15회완행 노선 운행중지


3.1.4. 충청권[편집]


방면행선지업체경유지배차간격비고
충청권 방면대전대원고속, 금남고속이천1일 5회현재 여주의 유일한 충청권 버스


3.1.5. 영남권[편집]



방면행선지업체경유지배차간격비고
영남권 방면동대구대원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구미1일 8회
부산대원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 경남고속뉴부산관광무정차1일 6회
울산대원고속무정차[5]1일 1회(주말만)울산의 둘 뿐인 공업탑, 태화, 신복 미경유 버스
창원대원고속마산1일 1회


3.1.6. 호남권[편집]


방면행선지업체경유지배차간격비고
호남권 방면전주대원고속이천1일 3회시외우등
여주-이천 구간승차 불가


3.2. 시내버스[편집]


내부
일반형 1번대: 양평행 (시간대마다 경유지가 달라지는데 이는 해당 문서 참고.)
일반형 37, 37-1: 안성, 장호원행

외부 (고정배차)
좌석형 111: 여주대행 / 능서, 부발, 이천터미널




[1] 1일 1회 밖에 없어 그 외 시간에는 강남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김포공항역으로 간 다음 인천공항으로 가야 한다.[2] 여주-이천 구간승차 불가[3] 가지 노선이 많은 관계로 주요 경유지만 적었다.[4] 양평 버스 1 문서 참고.[5] 울산까지 몇 안되는 무정차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