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중버스터미널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파일:안중버스터미널_전경.jpg
안중터미널 전경
파일:anjung2.jpg파일:anjung1.jpg
안중터미널 대합실안중터미널 승차장

1. 개요
2. 역사
3. 운행노선
3.1. 승강장 구조
3.4.1. 평택시내ㆍ팽성ㆍ오성ㆍ송탄행
3.4.2. 포승(석정ㆍ원정ㆍ신영리)ㆍ평택항행
3.4.3. 현덕(권관ㆍ인광ㆍ광덕)ㆍ평택호행
3.4.4. 덕우리ㆍ청북(청북신도시ㆍ옥길ㆍ고잔리)행
4. 기타
4.1. 주차장등 편의시설
4.2. 수하물 서비스
4.3. 안중터미널 부지 개발사업: 49층 규모의 주상복합 시설
5. 여담
6. 교통



1. 개요[편집]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현화리 434-5번지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안중으로 대표되는 평택 서부지역의 관문 역할을 하는 터미널이며, 평택도시공사에서 운영·관리한다.[1]


2. 역사[편집]


예전에는 안중읍 안중리 233-1번지 일대에 있었으나, 시가지 한복판에 있고 부지도 비좁다보니 2002년부터 이전 계획을 세웠다.

현재 터미널은 2010년 3월에 착공을 시작하여 같은 해 8월 20일에 완공하였다. 완공하자마자 새 건물로 이전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

2019년 1월 2일부터 동양고속, 금호고속에서 운행하는 서울경부-평택선의 파생노선인 서울 ↔ 안중 시외버스가 1일 8회씩 이 터미널에서 운행을 시작한다.[2]

이로써 평택시 서부 지역에서 서울로 향할 수 있는 노선이 서울경부, 서울남부 2개로 늘었다.


3. 운행노선[편집]



3.1. 승강장 구조[편집]


총 6개의 승차홈으로 구분한다.

승차홈행선지
1서울남부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2인천(관교), 부천(송내역), 향남, 해군기지
3당진, 삽교천
4인천국제공항 (T1.T2), 평택, 수원방향 시내버스
5서울경부, 평택고속버스터미널 , 평택방향 시내버스
6평택방향 시내버스

이 후, 서울경부행 노선에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으며 현재는 기존 인천국제공항행 공항버스 승차홈과 자리를 맞바꿔 공항버스 승차홈으로 변경되었다.


3.2. 시외버스[편집]


지역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 (일)
수도권서울경부[5][6]안중오거리[7]평택고속버스터미널평택대학교ㆍ용이동동양고속8회[8]
서울남부 (R8131)안중오거리ㆍ오성면사무소ㆍ태평아파트[주의]평택시외버스터미널ㆍ평택대학교ㆍ용이동대원고속16회[9]
서울남부 (직통)[10]청북신도시대원고속2회
부천 (R8434)해군기지ㆍ송내역대원고속1회
인천 (8415)향남터미널, 인천터미널대원고속2회
당진 (R8340)권관2리입구ㆍ밀두리ㆍ삽교천터미널ㆍ신평정류장ㆍ기지시대원고속4회[11]


3.3. 공항버스[편집]


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
인천공항T2 (A8822)청북신도시ㆍ향남터미널ㆍ화성시청ㆍ남양성지ㆍ인천공항1터미널 (평택,안중 방면)대원고속6회


3.4. 일반시내버스[편집]



3.4.1. 평택시내ㆍ팽성ㆍ오성ㆍ송탄행[편집]




번호기점경유지종점배차(분)[12]운행업체
80죽백동평택대학교ㆍ평택시청ㆍ평택터미널ㆍ평택역ㆍ태평Aㆍ오성면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만호리평택항13~40평택여객
80-1 [13]안중터미널오성면ㆍ태평Aㆍ평택역ㆍ평택터미널ㆍ평택시청ㆍ평택대학교죽백동1회
89안중터미널안중오거리 · 대반2리 · 원길음당거삼거리4회
93안중터미널안중오거리 · 대반2리 · 원길음 · 당거사거리 · 창내2리 · 원정삼거리 · K-6구정문 · 팽성국제교류센터대원아파트6회
310-1안중터미널용성리ㆍ길음리ㆍ숙성리ㆍ오성면ㆍ태평Aㆍ평택역ㆍ평택터미널ㆍ평택시청ㆍ평택대학교죽백동5회
320안중터미널용성리ㆍ청북읍ㆍ토진리ㆍ오성면ㆍ안화리ㆍ태평Aㆍ평택역ㆍ평택터미널ㆍ평택시청ㆍ평택대학교죽백동5회
810죽백동평택대학교ㆍ금호어울림Aㆍ용죽푸르지오Aㆍ리더스하임Aㆍ법원검찰청ㆍ힐스테이트Aㆍ부영Aㆍ평택지제역ㆍ태평Aㆍ오성면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모아Aㆍ포승공단평택항30~60
6396안중터미널안중오거리 · 오성면행정복지센터 · 해창리 · 오썸플렉스 · 고덕면사무소 · 제일풍경채 · 행정복지타운 · 고덕파라곤 · 서정리역 · 송탄출장소 · 송탄터미널K55정문20회


3.4.2. 포승(석정ㆍ원정ㆍ신영리)ㆍ평택항행[편집]




번호기점경유지종점배차(분)[14]운행업체
80죽백동평택대학교ㆍ평택시청ㆍ평택터미널ㆍ평택역ㆍ태평Aㆍ오성면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만호리평택항13~40평택여객
81-1성공회앞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만호리ㆍSR아파트(하행만경유)ㆍ평택항ㆍ포승공단모아A40~70
83성공회앞83 : 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도곡리ㆍ쌍용주택, 모아A[15]원정8리60~90
83-1 : 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도곡리ㆍ모아A, 쌍용주택[16]
83-2 : 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도곡리ㆍ원정1.9리[17]ㆍ쌍용주택[18]
83-3 : 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도곡리ㆍ원정1.9리[19]ㆍ쌍용주택[20]
85성공회앞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석정리ㆍ홍원리ㆍ성해리홍원1지구6회
85-1성공회앞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성해리ㆍ홍원리ㆍ석정리ㆍ내기삼거리홍원1지구[21]5회
86성공회앞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방림리ㆍ신영리ㆍ서부두신영2리10회
92-1성공회앞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도곡리ㆍ해군기지ㆍ모아Aㆍ포승공단ㆍ평택항서부두2회
810죽백동평택대학교ㆍ금호어울림Aㆍ용죽푸르지오Aㆍ리더스하임Aㆍ법원검찰청ㆍ힐스테이트Aㆍ부영Aㆍ평택지제역ㆍ태평Aㆍ오성면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내기삼거리ㆍ모아Aㆍ포승공단평택항30~60



3.4.3. 현덕(권관ㆍ인광ㆍ광덕)ㆍ평택호행[편집]




번호기점경유지종점배차(분)[22]운행업체
82-1안중초교앞성심중앙병원ㆍ안중터미널ㆍ현덕면ㆍ인광리ㆍ권관리ㆍ우경A평택호11회평택여객
82-2안중초교앞성심중앙병원ㆍ안중터미널ㆍ현덕면ㆍ인광리ㆍ권관리ㆍ평택호ㆍ우경A평택호예술관8회
82-3안중초교앞성심중앙병원ㆍ안중터미널ㆍ현덕면ㆍ인광리도대1리3회
84안중초교앞84 : 안중터미널→현덕면→황산→구진→대안→신왕→광덕→덕목→소담마을→송담→안중터미널광덕종점[23]60~120
84-1 : 안중터미널→송담→소담마을→덕목→광덕→대안→구진→황산→현덕면→안중터미널
84-2 : 안중터미널→현덕면→황산→구진→대안→신왕→광덕→덕목→삼정→송담→안중터미널
84-3 : 안중터미널ㆍ송담ㆍ소담마을ㆍ덕목ㆍ광덕(이후 역순)
84-4 : 안중터미널→송담→삼정→덕목[24]→광덕→신왕→대안→구진→황산→현덕면→안중터미널
84-5 : 안중터미널→송담→삼정→덕목→광덕→신왕→대안→황산→현덕면→안중터미널
99안중초교앞성심중앙병원ㆍ안중터미널ㆍ현덕면ㆍ장수리기산리9회




3.4.4. 덕우리ㆍ청북(청북신도시ㆍ옥길ㆍ고잔리)행[편집]



번호기점경유지종점배차(분)[26]운행업체
87안중터미널안중읍사무소 · 안중구터미널 · 안중초교 · 학현리덕우리5회평택여객
87-3성공회앞안중구터미널ㆍ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부영Aㆍ이안Aㆍ풍림아이원A한내들퍼스트뷰A5~55[27]
870안중오거리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부영Aㆍ브라운스톤Aㆍ풍림아이원A한내들퍼스트뷰A13회
310-2안중오거리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부영Aㆍ이안Aㆍ풍림아이원Aㆍ옥길리ㆍ삼계리ㆍ청북읍ㆍ현곡단지청북중학교9회
313안중오거리안중터미널ㆍ안중출장소ㆍ부영Aㆍ이안Aㆍ풍림아이원ㆍ옥길리ㆍ삼계리청북읍사무소9회
315안중오거리힐스테이트ㆍ안중터미널ㆍ늘푸른Aㆍ안중출장소(상행만경유)ㆍ용성리ㆍ청북읍ㆍ삼계리고잔마트7회



3.5. 일반좌석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28]운행업체
8000안중출장소현화중학교 • 안중오거리 • 오성면사무소ㆍ태평Aㆍ평택지제역평택역15~25(공휴일 25~45)평택여객


3.6. 직행좌석버스[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분)[29]운행업체
6800안중터미널안중주공2단지ㆍ동환아파트ㆍ안중출장소ㆍ부영1차후문ㆍ한전서평택지사ㆍ청북고등학교.한양수자인ㆍ청북읍사무소ㆍ수원버스터미널 ㆍ 수원시청역9번출구.국민연금공단 ㆍ 광교중앙역ㆍ아주대병원창현고교.아주대학교.유신고교20~60평택버스
8471수원역고색초교ㆍ봉담읍사무소ㆍ장안대학교ㆍ바다마트ㆍ향남제약공단ㆍ용성리ㆍ안중오거리안중터미널6회경진여객
8472수원역고색초교ㆍ봉담읍사무소ㆍ장안대학교ㆍ바다마트ㆍ향남제약공단ㆍ청북신도시ㆍ안중오거리안중터미널42~84


4. 기타[편집]



4.1. 주차장등 편의시설[편집]




4.2. 수하물 서비스[편집]


안중버스터미널도 대부분의 버스터미널 처럼 터미널 간 수하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서비스 이용 가능 노선은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서울남부터미널, 부천, 당진 세 가지 노선이며 안산, 인천, 인천국제공항으로는 수하물을 보낼 수 없다.

또한 동양고속과 금호고속에서 운행하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경부) 행 노선의 경우에도 수하물 접수가 불가능하다.[31]

참고로, 안중터미널에는 운수사 직원이 별도로 상주하고 있지 않기때문에 상차등의 대행 서비스를 직접 해주지 않는다. 버스가 출발하기 전까지 터미널에 대기하여야 하며 탁송과정과 운임은 아래와 같다.

  1. 매표소 방문
  2. 행선지와 함께 탁송수하물 접수 요청
  3. 요금 계산 (현금결제만 가능)
  4. 탁송표 (영수증) 수령 후 안내 받은 승차홈과 운행시간에 맞추어
  5. 승차홈에서 대기. 버스진입 후 화물고 직접 오픈, 화물 상차
  6. 탁송 표 (회사용) 기사에게 건넨 후, 차량번호 확인
  7. 받는 사람에게 차량번호 전달.

행선지요금
서울남부7,000
부천7,000
당진6,000


4.3. 안중터미널 부지 개발사업: 49층 규모의 주상복합 시설[편집]


파일:안중터미널 주상복합 조감도.jpg
안중버스터미널 주변 부지에 지상 49층, 지하 6층 규모의 주상복합 시설이 건설될 예정이다. 해당 시설에는 700여 세대의 공동주택, 영화관 등 문화시설, 판매시설이 들어설 계획이다. [32]

앞서 평택도시공사는 평택 서부지역의 지역경제 활성화 및 주민들의 생활 개선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복합시설 랜드마크를 조성하기 위하여 2020년 9월에 '안중현화지구 상업용지 개발사업'에 참여할 민간사업자를 공모(公募)하였다. 이후 2020년 11월 12일에 KB증권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33]

해당 주상복합 시설은 2022년에 착공하여 2026년에 준공될 계획이다. 관련 기사


5. 여담[편집]





6. 교통[편집]


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의 교통
[ 펼치기 · 접기 ]

철도고속
철도
파일:SRT BI.svg평택지제역
일반
철도
경부선평택역, 서정리역
서해선안중역
도시
철도
파일:Seoulmetro1_icon.svg평택역, 평택지제역, 서정리역, 송탄역, 진위역
도로고속
도로
경부선[1][2], 서해안선, 평택제천선, 평택파주선, 평택시흥선, 익산평택선
국도1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 77번 국도, 82번 국도
버스
터미널
고속
버스
평택고속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평택공용버스터미널, 송탄시외버스터미널, 안중버스터미널
버스시내
버스
버스 목록
바로가기
항만평택·당진항

[1] 경부고속도로 안성IC의 소재지는 안성시 공도읍이지만, 서동대로를 기준으로 반대편이 바로 평택 시가지(용이동)이다.[2]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에 소재한 경부고속도로 남사진위IC의 구조물 일부가 진위면에 걸쳐있다.
경기도의 교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3:19:29에 나무위키 안중버스터미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8년까지는 평택여객에서 운영하다가 2019년부터 평택도시공사로 관리 주체가 넘어갔다. 이 영향인지 많은 평택여객 차량이 운행 종료후 안중터미널에서 주박을 하며 사무실도 마련되어있다.[2] 2022년 1월부터 금호고속은 안성에 단독배차하고 동양고속은 평택, 안중에 단독배차하여 현재는 동양고속만 이용할 수 있다.[3] 이 두 노선은 터미널 밖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승차가 가능하다.[4] 서울경부 발 19시 05분 / 20시 40분 버스, 안중터미널에서 대기 후 다음날 새벽 6시 15분과 6시 45분에 서울경부로 출발하는 버스이다.[5] 2019년 1월 2일 개통, 자세한 노선 정보는 서울 ↔ 안중 문서로[6] 안중버스터미널에서도 학생증을 제시하면, 대학생 요금 할인발권이 가능하다.[7] 안중터미널에서 승차 후 오거리 하차 불가.[8] 2022년 1월 23일 부로, 동양고속 단독운행[주의] 오성면사무소와 태평아파트는 일 5회, 일부시간대만 정차한다.[9] 2019년 1월 10일부터 1일 운행횟수가 기존 32회에서 23회로 대폭 축소되었다. KD 운송그룹 서초영업소측에서는 타 운송회사 추가노선 운행으로 인한 감차가 아닌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인한 인력부족으로 부득이하게 감차를 결정하였다고 한다.[10] 2019년 8월시행 일 2회, 오전시간대 (6시 30분, 7시 30분) 청북신도시(국민은행 앞)를 경유, 청북TG로 진입하여 서울까지 무정차 직통노선을 운행한다. 평택 경유노선 보다 운행시간이 약 30분 단축된다.[11] 주말.공휴일 6회 [12]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13] 80번의 첫, 막차 개념이다.[14]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15] 안중방면[16] 원정리방면[17] 원정리방면[18] 안중방면[19] 안중방면[20] 원정리방면[21] 85번과는 반대로 순환[22]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23] 종점은 광덕이지만 84-3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순환운행[24] 덕목5리 안까지 들어간다.[25] 87번은 터미널 안쪽 승강장에서 탑승한다.[26]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27] 추가로 안중~청북을 갈 때 배차가 뜸할경우에는 310-2, 313, 870번을 이용해야 한다.[28]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29] '회'로 표시한 것은 일 운행 횟수이다.[30] 2023년 현재 분식집과 ATM기는 없어졌다.[31] 서울경부행 노선의 경우, 평택고속버스터미널 에서만 접수 가능.[32] 출처 = http://daily.hankooki.com/lpage/society/202011/dh20201118142113137880.htm?s_ref=nv [33] 출처: 평택도시공사 https://www.puc.or.kr/search.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