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천 버스 33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연천군 CI_White.svg 연천군 농어촌버스 33번(심야)
기점[출발]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신탄리역)
[도착]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
종점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동(동두천역)
종점행첫차22:00기점행첫차23:03
막차22:00막차23:03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연천교통인가대수통합 1대
노선신탄리역대광리역신망리역연천역 - 연천군청 - 연천읍슈퍼 - 통재입구 - 고포리입구 - 은대리 - 전곡읍사무소앞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선사박물관앞 - 한탄강관광지입구 - 학담입구 - 초성리역 - 마니커 - 하봉암동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성보주택 - 지방산업단지 - 동양대학교 - 동두천역

파일:연천군 CI_White.svg 연천군 농어촌버스 33-1번(심야)
기점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연천역)종점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동(동두천역)
종점행첫차23:40기점행첫차00:30
막차03:30막차04:10
배차간격1일 3회
운수사명연천교통인가대수통합 1대
노선연천역 - 연천군청 - 연천읍슈퍼 - 통재입구 - 고포리입구 - 은대리 - 전곡읍사무소앞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선사박물관앞 - 한탄강관광지입구 - 학담입구 - 초성3리마을입구 - 초성2리부대앞- 초성검문소 - 마니커 - 하봉암동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성보주택 - 지방산업단지 - 창말,동양대학교- 안창말입구 - 동두천역(회차)

2. 개요[편집]


연천교통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4.5km(33번), 36.6km(33-1번)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33번, 33-1번)


3. 역사[편집]


  • 2019년 7월 26일에 기존 39-2번 심야 노선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4. 특징[편집]


  • 공용차량인 현대 그린시티 1대로 운행된다. 오전.오후시간에는 39-2번에서 운행하고 심야시간대 33번과 33-1번에 고정투입 되는 것.

  • 신설 목적이 36번 심야 노선의 연천구간 대체인 만큼 시간표가 36번 심야 운행 버스와 연계되게 짜여져 있다. 33번과 33-1번 첫차는 1호선 막차, 33-1번 막차는 36번 두 번째 차와도 연계되지만 환승 대기 시간이 상당히 길다.

  • 33-1번의 경우 전산상 초성리역을 경유하지 않고 평화로로 직통하도록 되어 있지만 8월 23일 기준으로 초성리역 앞을 경유한다. 향후 변동이 있을 수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초성리역이 목적지인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다만, 2023년 2월 2일 목요일 기준 실제 탑승 결과, 33-1번은 초성리역 경유를 하지 않는다. 만약 초성리역을 경유해야한다면 꼭 담당 승무원에게 여쭤볼 수 있도록 하자.

  • 전곡터미널 출발 후, 대양운수 노선이 정차하는 전곡재래시장 앞(일명 전곡 구터미널)에도 정차한다.[1]

  • 이 노선의 신설로 시내버스 여행의 신탄리역 출발이 가능해졌고, 모 트위터 유저가 2019년 10월 말에 신탄리역 출발로 다대포로 가는데 성공했다고 전해진다. 이로써 서울과 부산을 잇는 여행 축의 가장 최장거리로 만드는 데 일조한 노선이 된 셈이다.

  • 2019년 뉴카운티디젤차량으로 운행

4.1. 시간표[편집]


연천 버스 33(-1)번 운행시간표
2023년 3월 27일 기준 / 출처
횟수번호신탄리역연천역동두천역연천역
도착출발
13322:0022:2322:5523:0323:37
233-1연천역
출발
23:4000:1600:3001:00
302:1002:4502:5003:20
403:3004:0504:1004:40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3:49:36에 나무위키 연천 버스 3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터미널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고 길가에서 승하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