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남권을 순환하는 광역철도 노선 계획에 대한 내용은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문서
동남권순환 광역철도번 문단을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1호선2호선3호선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건설 중인 노선건설이 확정된 노선
4호선대구산업선
추진 중인 노선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Mega-city Train eXpress, MTX
파일: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png
노선 정보
분류광역급행철도[1]
총사업비9656억 원[2]
구성노선경전선, 부전마산선(창원~부전)
동해선(부전~신경주)
중앙선(신경주~영천)
대구선(영천~동대구)
경부선(동대구~서대구)
대구산업선(서대구~대구국가산단)
대합산단산업선
(대구국가산단~대합산단)[미확정]
창원산업선(대합산단~창원)[미확정]
개업일미정
소유자대한민국 정부[3][4][5]
(국가철도공단이 위임)
운영자미정
사용차량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297.3km
궤간1435mm
선로구성복선, 단선[6]
사용전류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통행 방향좌측통행

1. 개요
2. 역사
3. 역 목록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ega-city Train eXpress, MTX)는 부울경이 일반선[7] 및 창원산업선을 활용하여 순환선 형태로 급행열차 운행을 중앙정부에 건의한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명칭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2. 역사[편집]


  • 2020년 1월 16일, 더불어민주당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비전위원회에서 '동남권 광역급행철도'(MTX)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
  • 2020년 2월 4일, 더불어민주당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동남권의 광역철도망 구축을 공약했다. #
  • 2020년 7월 30일, 제7회 부울경 광역교통실무협의회에서 '메가시티 급행철도' 건설을 논의했다. #
  • 2020년 8월 5일, 영남권 5개[8] 시도지사들은 제1회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에서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TX)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공동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영남권 5개 시도지사들은 이 노선이 영남권을 동일 생활권으로 묶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했다. #
  • 2020년 10월 27일, 부울경이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건설을 국토교통부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방문해 정부에 공동 건의했다. 부울경은 초광역 교통인프라 구축을 통해 동남권 경제공동체를 구축하고 영남권 1300만 명 인구의 교류 활성화로 국가 균형발전 기여 효과를 기대했다. #
  • 2021년 2월 5일, 경상남도가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라는 명칭을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로 바꿔 사용하기 시작했다. #
  • 2021년 3월 3일, 경남은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TX)를 포함한 17개 노선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켜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
  • 2021년 4월 22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공청회를 통해 MTX의 중요 구간인 창원산업선이 탈락하고 추가 검토 사업 17위로 나타나 사업 진행에 적신호가 켜졌다.[9]
  • 최근에 엑스포 유치를 위해 부산에서 부산형 급행철도, 일명BuTX를 제안했다. 논의된 노선들은 울산선, 창원선, 양산선, 대구선이다. 울산선은 태화강에서 좌천, 동부산, 북항, 가덕도 신공항으로 가는 노선, 창원선은 동부산에서 부전, 에코델타시티, 창원, 마산으로 가는 노선, 양산선은 양산 북정에서 노포, 부전, 북항으로 가는 노선, 대구선은 동대구에서 밀양, 진영, 에코델타시티, 가덕도 신공항으로 가는 노선이다. 다만 기존의 MTX 순환노선이 이에 따라 사업이 분리될지 아니면 같이 추진하게 될지는 미지수.#

3. 역 목록[편집]


기존 선의 역을 모두 표기했다. 미개통 및 신설 역명은 가칭이다. 급행철도 특성상 향후 정확한 계획이 나오면 역 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일러두기
[ 펼치기 · 접기 ]

여객, 화물 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X동해산타열차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T광역철도 급행 정차t광역철도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km역번역명환승노선경유노선소재지
0.0창 원경전선
부전마산선
경상남도창원시의창구
창원중앙
신 월김해시
장 유
부산경남경마공원부산광역시강서구
에코델타시티
강서금호
사 상파일:Busan2.svg 부산 2호선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파일:Busan5.svg부산 5호선
[10]
사상구
부 전파일:Busan1.svg 부산 1호선[11]부산진구
동해선
거제해맞이연제구
거 제파일:Busan3.svg 부산 3호선
교 대파일:Busan1.svg 부산 1호선
동 래파일:Busan4.svg 부산 4호선[12]동래구
안 락
부산원동
재 송해운대구
센 텀
벡스코파일:Busan2.svg 부산 2호선
신해운대
송 정
오시리아기장군
기 장
일 광
좌 천
월 내
서 생울산광역시울주군
남 창
망 양
덕 하
개운포남구
태화강 울산 1호선
북울산 울산 2호선북구
경주경상북도경주시
중앙선
아 화
영 천영천시
대구선
금 호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하 양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경산시
동대구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파일:Daegu4.svg 대구 4호선
대구광역시동구
경부선
대 구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북구
서대구파일:Daegu5.svg 대구 5호선서구
대구산업선
서재세천달성군
계명대파일:Daegu2.svg 대구 2호선달서구
성서산단호림
설화명곡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달성군
달성군청
달성산단
테크노폴리스
대구국가산단
대합산단대합산단산업선경상남도창녕군
창 녕창원산업선
영 산
남 지
칠 서함안군
감 계창원시의창구
297.3창 원


4. 둘러보기[편집]









[1] 영남권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의 하나로 제시된 노선이 MTX이다.[2] 차량구입비 미포함, 사업노선 1개(창원산업선)[미확정] A B [3] 부전~마산 구간: 임대형 민자사업으로 건설[4] 임대형 민자사업 구간은 개통 후 대한민국 정부에 기부채납하기 이전까지는 관할 시행사가 소유하게 되며, 회계장부에는 '건설 중인 자산'으로 인식한다.[5] 대구산업선은 건설이 확정된 노선이고 창원산업선과 대합산단산업선은 2022년 기준으로 건설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노선이다.[6] 대구산업선.[7] 동해선, 중앙선, 대구선, 경부선, 대구산업선, 부전마산선[8]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9] 대구~창원~부산 간 연결을 포기하고 반쪽짜리 순환선으로 밀어붙이거나, 경부선을 통해 서대구역에서 김천으로 올라가고, 김천-성주-합천~진주 간 남부내륙선을 거친 뒤 경전선을 통해 마산으로 돌아가는 우회 경로를 택해야 한다. 전자는 부산과 대구의 연결을 통해 얻을 시너지가 퇴색되고, 후자의 경우 142.2km나 더 돌아가야 한다.[10] 모두 간접 환승[11] 간접환승[12] 낙민역 간접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