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녕릉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목조효공왕후익조정숙왕후
덕릉德陵안릉安陵지릉智陵숙릉淑陵
도조경순왕후환조의혜왕후
의릉義陵순릉純陵정릉定陵화릉和陵
태조신의왕후신덕왕후정종, 정안왕후
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
태종, 원경왕후세종, 소헌왕후문종, 현덕왕후단종
헌릉獻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
정순왕후세조, 정희왕후덕종, 소혜왕후예종, 안순왕후
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
장순왕후성종, 정현왕후공혜왕후제헌왕후
공릉恭陵선릉宣陵순릉順陵회릉懷陵
연산군, 거창군부인중종단경왕후장경왕후
연산군묘燕山君墓정릉靖陵온릉溫陵희릉禧陵
문정왕후인종, 인성왕후명종, 인순왕후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태릉泰陵효릉孝陵강릉康陵목릉穆陵
공성왕후광해군, 문성군부인원종, 인헌왕후인조, 인열왕후
성릉成陵광해군묘光海君墓장릉章陵장릉長陵
{{{-2 경기 [[남양주시|{{{#bf1400
남양주}}}]]}}}
효종, 인선왕후현종, 명성왕후장렬왕후숙종, 인현왕후, 인경왕후
영릉寧陵숭릉崇陵휘릉徽陵명릉明陵
인경왕후옥산부대빈경종, 선의왕후단의왕후
익릉翼陵대빈묘大嬪墓의릉懿陵혜릉惠陵
영조, 정순왕후정성왕후진종, 효순왕후장조, 헌경왕후
원릉元陵홍릉弘陵영릉永陵융릉隆陵
정조, 효의왕후순조, 순원왕후문조, 신정왕후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
철종, 철인왕후고종, 명성황후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예릉睿陵홍릉洪陵유릉裕陵
폐지된 능호
소릉昭陵 | 회릉懷陵 | 성릉成陵 | 숙릉肅陵 | 문릉文陵



파일:세종대왕릉 관람경로.jpg
영녕릉 지도[1]

1. 개요
2. 영릉(英陵)
3. 영릉(寧陵)
4. 교통편
5. 같이보기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英寧陵

조선 4대 왕 세종소헌왕후의 합장릉인 영릉(英陵)과 조선 17대 왕 효종인선왕후가 안장된 영릉(寧陵)을 합쳐서 부르는 말로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한 조선왕릉군(群)이다. 사적 제195호로 지정되었다.

홈페이지

엄연히 두 개의 왕릉이 위치하고 있는 왕릉군이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을 꼽으면 무조건 순위권에 들어가는 세종대왕의 능이 자리잡고 있는 곳인 까닭에 영녕릉이라는 이름보다는 세종대왕릉이라는 이름이 더 많이 불린다. 북벌의 효종대왕니뮤... 영녕릉에서 가까운 전철역도 세종대왕릉역[2]이며, 영녕릉 능역을 관리하는 관리소 이름도 세종대왕유적관리소다. 덕분에 효종과 인선왕후가 모셔져 있는 영릉(寧陵)에는 영릉(英陵)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적은 인파만이 방문을 하기 때문에 상당히 쾌적한 답사 환경을 제공한다. 발음이 똑같은 영릉(永陵)이라는 능호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예 그런 왕릉이 있는지도 모르는 것에 비하면 그래도(...)


2. 영릉(英陵)[편집]


조선 4대 왕 세종소헌왕후의 합장릉. 자세한 내용은 영릉(세종) 문서로.


3. 영릉(寧陵)[편집]


조선 17대 왕 효종인선왕후가 안장된 동원상하릉 형식의 조선왕릉. 자세한 내용은 영릉(효종) 문서로.


4. 교통편[편집]


경강선 세종대왕릉역여주역에서 시내버스나 택시를 이용해서 갈 수 있다.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세종대왕릉역이 조금 더 노선이 편리하다.


5. 같이보기[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20:41:49에 나무위키 영녕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위 사진은 현재의 모습과 많이 다른데, 과거 박정희 정권에서 성역화 사업으로 세종대왕의 영릉(英陵)을 꾸민 바람에 원래의 모습과 많이 달라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원형 복원 사업을 펼쳤다. 여담으로 이 원형 복원은 2009년 조선왕릉이 유네스코에 등재될 당시 유네스코에서 권고 사항으로 내려진 것이라고 한다. 참고로 현재의 관람 지도는 여기.[2] 이 역명은 정식 왕릉 명칭에서 따온 게 아니기에 욕을 오지게 먹었다. 사실 영릉이라는 정식 명칭만 놓고 보면 능 주인이 조선 세종이라는 사실이 바로 알려지기에는 어렵다는 점 때문이겠지만 능의 정식 명칭도 무시하고 브랜드만을 위해 분명히 존재하는 예법을 훼손한 이름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비판의 여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