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릉(효종)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목조효공왕후익조정숙왕후
덕릉德陵안릉安陵지릉智陵숙릉淑陵
도조경순왕후환조의혜왕후
의릉義陵순릉純陵정릉定陵화릉和陵
태조신의왕후신덕왕후정종, 정안왕후
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
태종, 원경왕후세종, 소헌왕후문종, 현덕왕후단종
헌릉獻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
정순왕후세조, 정희왕후덕종, 소혜왕후예종, 안순왕후
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
장순왕후성종, 정현왕후공혜왕후제헌왕후
공릉恭陵선릉宣陵순릉順陵회릉懷陵
연산군, 거창군부인중종단경왕후장경왕후
연산군묘燕山君墓정릉靖陵온릉溫陵희릉禧陵
문정왕후인종, 인성왕후명종, 인순왕후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태릉泰陵효릉孝陵강릉康陵목릉穆陵
공성왕후광해군, 문성군부인원종, 인헌왕후인조, 인열왕후
성릉成陵광해군묘光海君墓장릉章陵장릉長陵
{{{-2 경기 [[남양주시|{{{#bf1400
남양주}}}]]}}}
효종, 인선왕후현종, 명성왕후장렬왕후숙종, 인현왕후, 인경왕후
영릉寧陵숭릉崇陵휘릉徽陵명릉明陵
인경왕후옥산부대빈경종, 선의왕후단의왕후
익릉翼陵대빈묘大嬪墓의릉懿陵혜릉惠陵
영조, 정순왕후정성왕후진종, 효순왕후장조, 헌경왕후
원릉元陵홍릉弘陵영릉永陵융릉隆陵
정조, 효의왕후순조, 순원왕후문조, 신정왕후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
철종, 철인왕후고종, 명성황후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예릉睿陵홍릉洪陵유릉裕陵
폐지된 능호
소릉昭陵 | 회릉懷陵 | 성릉成陵 | 숙릉肅陵 | 문릉文陵



파일:여주효종영릉.jpg

1. 개요
2. 역사
3. 참고사항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寧陵

효종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에 있다. 근처에 세종소헌왕후를 모신 영릉(英陵)이 있으며, 두 묘역을 합쳐 영녕릉(英寧陵)이라 부르기도 한다. 세종대왕의 영릉과 우리말로 똑같아서 헷갈릴 수 있다.[1] 세종의 영릉처럼 능침까지 올라갈 수 있는데, 효종의 릉과 인선왕후의 릉 사이에서 내려다보는 풍경이 볼 만하다.

효종의 영릉과 세종의 영릉은 '여주 영릉과 영릉'이란 이름으로 묶여서 사적 제195호로 지정되어 있다.


2. 역사[편집]


파일:녕릉1930.jpg
1912년 영릉(寧陵)의 모습 (출저 : 조선고적도보)

본래 효종의 릉은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에 있었다. 그런데 왕릉 석물에 금이 가고 파손되는 사태가 계속 발생하자 현종 14년인 1673년 오늘날의 자리로 이장했다. 그리고 원래 효종의 영릉이 있던 자리에는 영조의 원릉이 조성되었다. 이로서 원릉은 조선 왕조 역사상 유일하게 파묘 자리에 다시 조성한 왕릉이 되었다.


3. 참고사항[편집]


입장료는 성인 기준 500원이며 단체관람으론 400원을 받는다.[2] 동절기에는 양 릉을 잇는 단축로가 닫혀 삥 돌아가야 입장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네임밸류가 떨어져서 그런지 관람자도 훨씬 적다. 또한 효종의 영릉은 조선왕릉 중 재실이 가장 온전히 남아 있어 사적으로 따로 지정이 되어 있다.

재실 입구 부근의 회양목은 300살이 넘었다고 하며, 흔히 아파트 단지에서 볼 수 있는 조그만 크기가 아닌 거대한 크기로 천연기념물 제459호 여주 효종대왕릉(영릉) 회양목으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3]

2017년 11월 1일부터 2020년까지 세종대왕릉 공사가 있어 이 기간동안은 세종대왕릉 관람시 여기로 직접 찾아가야 했다(단, 역사문화관은 세종대왕릉 주차장을 이용하여 관람). 물론 지금은 공사가 모두 끝났기에 특별한 목적이 아닌 한 세종대왕릉 입구로 직접 찾는것이 낫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추존왕 진종(효장세자)과 추존왕후인 효순왕후를 모신 왕릉도 발음이 같은 영릉(永陵)이며, 파주삼릉에 위치하고 있다.[2] 여주시 거주자가 아닌 외부인도 해당된다(특히 여주시민은 여기서 신분증 제시하면 50% 할인). 물론 세종의 영릉과 함께 세트로 500원이다.[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67px-%ED%9A%8C%EC%96%91%EB%AA%A9_%EC%B2%9C%EC%97%B0%EA%B8%B0%EB%85%90%EB%AC%BC459%ED%98%B8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