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덕터미널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경산시경주시구미시김천시문경시
경산 · 대구대 · 진량 · 갈지리 ·남산 · 용성 · 곡란 · 중앙병원 · 남천 · 영남대 · 자인 · 하양경주고속 · 경주시외 · 불국사·안강동부 · 안강 ·풍산금속 · 안강휴게소 · 입실구미 · 공단 · 낙동강구미휴게소· 선산휴게소 · 장천 · 주공김천 · 김천구미역(하차) · 부곡문경 · 가은아자개 · 농암 · 점촌북부 · 점촌 · 마성 · 산양
상주시안동시영주시영천시포항시
상주 · 경북대상주 · 낙서 · 낙동 · 함창 · 화령 · 내서 · 평온 · 청리 · 옥선 · 은척 · 성주봉안동 · 임동 · 일직 · 안기 · 안동대 · 경북도청 · 옹천 · 용상 · 태화오거리 · 안동병원 · 안동초교 · 과학대영주 · 풍기IC · 꽃동산(하차) · 장수(하차)영천 · 삼창 · 자천 · 창하 · 고경 · 임고 · 자양포항고속 · 포항시청 · 포항 · 나루끝 · 송라 · 청하 · 효자(하차) · 흥해 · 죽장


고령군봉화군성주군영덕군
고령 · 축협 · 귀원봉화 ·법전 · 대현 · 현동 · 황평 · 춘양성주영덕 · 강구 · 장사 · 병원 ·도곡 · 병곡
영양군예천군울릉군울진군
영양 · 입암예천 · 풍양 · 지보 · 예천삼거리 · 가동 · 16부대(후문/정문) · 개포 · 용궁(터미널/)울진· 구산 · 매화 · 사동 · 기성 · 평해 · 후포 · 죽변 · 부구 · 온정 · 금강송(쌍전교차로)
의성군청도군청송군칠곡군
의성 · 도리원 · 단촌 · 다인 · 비안 · 안계 · 춘산 · 탑리 · 가음 · 양지 · 사미 · 빙계2리 · 춘산청도 · 대천 · 동곡 · 동창 · 운문사 · 풍각 · 갈고개 · 김전 · 사전 · 방음 · 신원 · 통점 · 삼계 · 휴양림 · 도계 · 칠성리 · 화양 · 각남청송 · 안덕 · 월정(불로) · 주왕산 · 진보 · 화목 · 도평왜관남부 · 왜관북부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하차)는 하차만 가능한 경우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파일:external/blogfiles3.naver.net/%BF%B5%B4%F6%B1%B3%C5%EB.jpg
1. 개요
2. 특징
3. 노선
3.1. 수도권
3.2. 영남권
3.3. 강원권
4. 주변 지역 및 접근성
5. 중간 정류소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 248-3에 위치한 영덕군의 버스 터미널이며, KD 운송그룹에서 운영한다.

터미널 문은 6시 40분 동서울행 첫차를 시작으로 터미널 문을 연다. 농어촌버스 첫차는 오전 6시 50분이며 농어촌버스 막차는 오후 6시 20분 지품-기사행으로 6시 20분이 되면 농어촌버스 홈은 문을 닫는다. 시외버스 막차는 밤 9시 43분 포항행 막차로 포항행 막차가 떠나면 터미널 문을 닫는다.


2. 특징[편집]


영덕 읍내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위치에 있으며 영덕군 농어촌버스 대부분이 기종점으로 삼고 있다.

아성고속/천마고속이 44.4%로 지분이 제일 높으며, 금아는 39.7%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총 84.1%를 전담하고 있다. 나머지 15.9%는 KD 운송그룹이다.

부산행 노선이 매우 부실한 상황이다. 대구광역시 방면 버스에 비하면 그야말로 부실하기 짝이 없다.[1]

3. 노선[편집]


파일:20221201_135303.jpg
파일:20221201_135328.jpg
2022.12.1일 기준

3.1. 수도권[편집]


수도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안동
서울경부
일 2회(금,토,일,월 3회)경기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영덕발 서울경부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안동1:00₩ 11,000(우등)
서울경부4:20₩ 34,000(우등)
운행시각표08:20, 14:00(금,토,일,월), 16:30
시외버스 서울경부-안동 문서 참조.
영덕→안동간 구간승차가 가능하다. 반대편인 안동→영덕은 구간승차 불가능.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개통되었다.
운행횟수가 적고 막차도 이르므로 웬만하면 동서울행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2022년 11월 1일 시외버스 요금이 인상되었지만 이 노선은 오히려 안동이 3300원, 서울경부는 2700원 정도 내려갔다. 이는 과거 34번 국도 경유로 운행하던걸 현재에 와서야 공식적으로 서산영덕고속도로 경유로 수정했기 때문이다.
동서울일 8회경기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영해, 영덕발 동서울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안동1:00₩ 11,000(우등)
동서울4:00₩ 34,000(우등)
운행시각표06:40, 09:30, 10:30, 11:30, 13:40, 15:40, 17:00, 18:40
시외버스 동서울-영해,영양,주왕산 참조.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신안, 원전, 신촌, 진보, 임동, 안동대, 용상, 안동초교, 태화오거리를 무정차 통과한다.
모든 차량이 영해에서 출발한다. 안동 우등 차량이 비는 시간에는 서울경부행이 대신 우등 차량을 추가로 투입시킨다.
오산
수원
안산
인천
일 1회아성고속
천마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울진발 인천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오산5:00₩ 30,000
수원5:30₩ 31,900
서수원5:40₩ 32,700
안산6:20₩ 33,500
인천7:00₩ 36,200
운행시각표10:30
시외버스 인천-울진 참조.
울진에서 출발해 평해, 후포, 영해 등을 들려서 영덕으로 온 다음 강구, 포항, 경주를 거쳐서 경주에서 다시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을 거쳐 인천으로 가는 굴곡 노선으로, 유일하게 500km가 넘는 노선이며 전국에서 소요시간이 가장 오래 걸리는 노선이다.

3.2. 영남권[편집]


영남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동대구일 12회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울진발 동대구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강구발권불가
동대구1:50₩ 16,000(우등)
운행시각표08:10, 09:00, 09:50, 10:50, 12:10, 13:30, 14:40, 15:40, 16:50, 17:50, 18:50, 20:10
시외버스 동대구-울진 참조.
원래 일반이었으나 2020년 9월 1일 부터 우등할증을 했으며, 2020년 9월 9일 부터 강구를 경유한다. 또한 이로 인해 영덕 ~ 울진간 구간승차가 불가능해졌다.
동해선 철도와의 경쟁으로 인해 운행횟수가 적고 막차가 이르다. 따라서 막차 시간이후에는 영덕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해 포항역에 내려서 포항에서 갈아타야 한다.
포항경유 준직행은 밑의 문단을 참고할 것.
포항
동대구
일 2회금아리무진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속초/강릉/울진발 동대구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포항0:50₩ 6,300
용계1:52₩ 13,400
동대구2:00₩ 14,200
운행시각표13:20, 16:20
과거에는 울진, 강릉발도 있었고 지금보다 운행횟수가 더 많았지만, 지금은 1일 2회로 대폭 감회되었다.
포항일 1회아성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신도청발 포항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포항0:50₩ 6,300
운행시각표19:00
과거에는 운행횟수가 10회 이상으로 더 많았으나 지금은 저녁에 1일 1회만 운행중이며, 애초에 금아와 아성천마가 영덕 쪽은 버린 게 아닌가 의심이 든다 그 외 시간에는 동대구행을 타고 포항에 내리거나 완행 노선을 타야 한다.
신도청에서 출발한다.
강구
장사
송라
청하
흥해
나루끝
포항
경주
동대구
부산
일 17회금아여행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강릉/울진발 포항//동대구/부산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강구0:10₩ 1,500
장사0:15₩ 2,100
송라0:25₩ 3,000
청하0:30₩ 3,400
흥해0:40₩ 4,800
나루끝(포항북부)0:50₩ 5,700
포항1:00₩ 6,300
경주-
동대구-
부산-
운행시각표07:13, 07:43, 08:23, 09:03, 09:43, 10:43, 11:43, 12:43, 13:43, 14:43, 15:43, 16:43, 17:43, 18:43, 19:43, 20:43, 21:43
위의 무정차와 다르게 7번 국도 연선에 정차하는 완행 노선이다.
원래는 1회를 제외하고 포항에서 더 가서 경주시외, 동대구, 부산으로 가는 노선이었으나 전부 포항으로 단축되었다.[1]
첫차를 제외하면 매시 43분에 출발하며, 1일 3회를 제외하고는 포항행은 완행 밖에 없는 지라 어쩔 수 없이 완행이라도 타야한다.
경주, 동대구, 부산은 따로 설명해야 맞으나 운행중단 됐기도 하고 편의상 같이 서술한다.
강구, 장사는 농어촌버스로도 대체가 가능하며, 청하, 포항은 무궁화호 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경주나 부산은 포항으로 가야한다. 포항터미널에서 최종 목적지에 따라 노포동, 사상, 김해공항[2] 또는 해운대로 갈 수 있다.
[1] 영덕터미널 과거 시간표에 경주/경,대구/경,부산이 그 증거이며, 경주/부산은 완행 밖에 없는 지라 운행중단 되었다.[2] 운행횟수가 1일 3회 밖에 없어 주의해야 한다. 첫차는 연계가 불가능하며, 두 번째 차를 타려면 10:43 차는 타야 하고,(11:43 차를 타면 12:43에 도착하여 12:30에 출발하는 김해공항행 2번째 차를 탈 수 없다.) 막차를 타려면 영덕에서 16:43 차를 타야 한다.
도곡
병원
영해
병곡
후포
평해
월송
기성
사동
매화
구산
울진
죽변
부구
일 17회금아리무진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부산/동대구/경주/포항발 울진/강릉/속초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도곡0:10₩ 1,500
병원????
영해0:15₩ 2,100
병곡0:25₩ 3,100
후포0:40₩ 4,300
평해0:50₩ 5,000
월송0:55₩ 5,400
기성1:00₩ 6,200
사동1:05₩ 6,800
매화1:05₩ 8,300
구산1:20₩ 8,800
울진1:30₩ 9,500
죽변-
부구-
운행시각표08:07, 09:07, 10:07, 11:07, 12:07, 13:07, 14:07, 14:57, 15:47, 16:37, 17:27, 18:17, 19:07, 19:47, 20:27, 21:07, 22:07
위의 반대 방향. 직행 노선은 아래를 참고해야 하며 여기를 참고하면 안된다.
전부 포항에서 출발하며, 원래 부산/동대구/경주에서 출발하는 차량도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전부 포항으로 단축되었다.
현재는 전부 울진까지 가나 원래는 죽변/부구를 거쳐 강릉/속초 까지 가는 차량도 있었으며, 매시 7분에 영덕터미널을 출발한다.
부구 위의 호산 부터는 아래의 강원권 문단 참조.
영해
후포
평해
울진
일 1회금아리무진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포항발 속초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영해0:10₩ 2,100
후포0:35₩ 4,300
평해0:45₩ 5,000
울진1:10₩ 9,500
운행시각표11:15
과거에는 코로나 이후에도 동대구발 구간승차 가능으로 1일 10회 정도 운행했으나 동대구발의 시외우등 전환 이후에는 강구-울진간 구간승차가 안돼 유일한 직행버스가 되었다.
이 차는 속초까지 간다. 삼척/동해/강릉/속초는 밑의 강원권 문단 참조.
진보
임동
안동대
용상
안동초교
안동
신도청
일 2회아성고속
천마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포항/영덕발 신도청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진보0:40₩ 5,800
임동0:50₩ 7,900
안동대1:00₩ 9,900
용상1:05₩ 10,600
안동초교1:10₩ 10,900
안동1:25₩ 10,900
신도청1:40₩ 14,000
운행시각표08:15(포항출발), 14:20(영덕출발)
위의 서울경부, 동서울처럼 고속도로를 타지만 진보를 경유함에 따라 동청송·영양IC에서 34번 국도로 진출한다.
원래는 부산에서 출발하여 포항, 나루끝, 흥해, 청하, 송라, 장사, 강구 등을 거쳐 영덕으로 온 다음에 다음 신안, 원전, 신촌을 거쳐 진보로 갔으나 2020년 2월 11일 부로 시간이 바뀌고 포항/영덕 출발로 바뀌었으며 기존 안동 종착에서 신도청 종착으로 바뀌었다.
과학대는 경유하지 않는다.[1]
[1] 과학대로 가려면 안동터미널에서 내려 김천행 직행버스를 타 과학대에서 내리거나 안동시 시내버스를 타고 과학대에 내려야 한다.
강구
포항
경주
일 1회아성고속
천마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울진발 인천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강구발권불가
포항0:55₩ 6,300
경주시외발권불가
운행시각표10:30
포항으로 가는데 강구만 들르고 곧바로 포항으로 가는 차이며, 현재 영덕에서 경주로 가는 유일한 버스이나 경주까지의 발권은 불가능하다.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은 위의 수도권 문단 참조.

3.3. 강원권[편집]


강원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호산
임원
장호
근덕
삼척
동해
강릉
강릉아산병원
주문진
남애
인구
하조대
손양
양양
낙산
설악산입구
속초
일 0회(미운행)운수회사 없음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부산/동대구/경주발 강릉/속초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행선지 공통-
운행시각표배차 없음
부산/동대구/경주발로 운행하던 완행이었으며, 부산/동대구/경주/포항에서 울진 이북으로 가는 완행 노선이 전멸함에 따라 여기서도 자연스럽게 전멸하였다.
삼척
동해
강릉
속초
일 1회금아리무진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동대구발 속초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삼척????₩ 18,700
동해????₩ 20,700
강릉????₩ 24,700
속초????₩ 31,900
운행시각표11:15
1일 1회 뿐이므로 영덕-울진-호산, 임원-(강원권 행선지)로 가는 것이 훨씬 낫다.
동대구에서 출발한 차량이며, 영해, 후포, 평해, 울진 등 영남권은 위의 영남권 문단 참조.

4. 주변 지역 및 접근성[편집]


7번 국도와 엄청나게 가까이 있기는 하지만 영덕 읍내에서 크게 멀리 떨어져있는 것도 아닌데다가, 영덕군 자체가 태백산맥때문에 남북으로 교통망이 발달할 수밖에 없는 위치라서 이용객이 꽤 있다. 근처에 동해선 영덕역이 있어 향후 동해선이 부산부터 강릉까지 완전 개통된다면 철도와 크게 한 판 싸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영덕에서 포항까지 무궁화호는 기본요금인 2,600원으로 34분이면 가지만 시외버스는 6,300원에 거의 50분[2]~1시간[3]이 소요되어 시간과 요금 모두 크게 밀린다. 그나마 버스가 배차간격이 넘사벽으로 짧고 포항역이 시가지에서 좀 떨어져있다는게 위안. 대구방면은 철도가 버스를 시간상으로 압도하는데, 철도와 버스 요금이 각각 12,600원 VS 14,200원 ~ 16,000원으로 버스가 오히려 더 비싼데 포항역에서 KTX 환승연계가 잘 되어있어 1시간 20분이면 가지만 버스는 무정차를 타더라도 1시간 50분 정도 걸리고 포항을 거치는 버스의 경우 20분 정도 더 걸리고, 경주까지 거치는 완행같은 경우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4] 평균적으로 거의 소요시간이 철도의 두 배나 된다. 서울 방면은 조금 애매하다.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버스와 철도의 시간차이가 1시간 미만이고 KTX의 운임이 꽤나 비싸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앙선 개량에 따라서 안동역안동터미널 바로 옆으로 이전하면서 안동까지 시외버스를 탄 후에 안동역에서 KTX로 환승해서 서울로 갈 수 있다. 소요 시간은 3시간 수준이고 포항역에서 KTX 타고 서울로 가는 것보다 운임도 훨씬 저렴하다.다만 시외버스와 KTX는 상호 접속을 전제로 시각표가 짜여 있는게 아니라서 안동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청주행 버스는 없다.[5] 여기서 청주 간다고 하면 못 알아들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5. 중간 정류소[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시외버스 노선 · 영업소 · 이야깃거리 · 문제점 및 비판

[ 운송 사업 ]
[ 비운송 사업 ]


7번 국도 직행 시외버스 정류장
강구시외버스터미널영덕터미널도곡정류장


[1] 2020. 02. 14, 동대구행 50회, 부산행 4회.[2] 무정차[3] 완행[4] 현재 포항경유 준직행, 경주경유 완행은 포항으로 단축되었다. 포항경유는 현재 1일 2회 남았으나 동대구까지의 발권은 불가능하다.[5] 강구로 가야 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운행 중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