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수정

덤프버전 :


파일:와이원엔터테인먼트 로고 투명.png
[ 소속 아티스트 ]

예수정
Ye Soo-jung
파일:예수정프로필.jpg
본명김수정
출생1955년 3월 25일 (69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가족어머니 정애란
언니 김수옥
딸 김예나(1982년생)
형부 한진희
종교개신교[1][2]
학력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독어독문학 / 석사[3])
독일 뮌헨대학교 대학원 (연극학 / 석사)
소속사와이원엔터테인먼트
데뷔1979년 연극 '고독이란 이름의 여인'

1. 개요
2. 특징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드라마
3.3. 연극
4. 수상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배우. 예수정이라는 이름은 어머니 정애란의 성에서 딴 예명으로[4] 개명했다.


2. 특징[편집]


집안 자체가 연극계다. 어머니 정애란[5]은 연극배우 출신의 원로배우로 전원일기에서 최불암의 어머니 역으로 유명했고, 언니도 탤런트 김수옥이다. 82년생 딸 김예나도 연출가 겸 스튜디오 나나다시의 대표로 베를린 국립예술원에서 연극교육학을 전공했다. 형부는 유명배우 한진희다.

정애란 씨는 예수정이 아기 때부터 무대에 계속 섰다고 한다. 예수정의 이모가 데리고 있다가 정애란이 무대에서 퇴장하면 무대 뒤에서 젖을 물려가면서 공연을 계속했다.[6] 나면서부터 무대에 선 셈이다.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은 탓인지 어머니의 성을 따라 개명했다. 배우를 천직으로 여겼던 점과 대범하고 쿨하게 자기 뜻을 관철했던 어머니를 존경한다고 말했다.

73년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 진학한 그녀는 1학년 때 대부말론 브란도를 보고 배우가 되기로 했다. 현재도 긴 전통을 자랑하는 대학 연합 동아리 극예술연구회를 통해 연기를 경험했다.

1979년 연극 고독이란 이름의 여인으로 데뷔했고, 83년부터 8년간 독일 유학을 다녀왔다. 남편 김창화는 고려대 물리학과 출신으로 대학 다닐 때 연애로 만났다. 동갑인 그도 원래 연극에 관심이 많아 부부가 같이 독일 뮌헨으로 연극 공부를 떠난다. 김창화 씨는 95년 상명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연극학과를 창설했다고 한다. 2008년 연극교육학회장을 맡았고 2020년 현재도 상명대 연극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수정은 최근 각종 조연으로 활약하고 있다. 여배우 최초로 3편의 천만영화를 가지게 되었다.(도둑들, 부산행, 신과함께-죄와 벌). 김해숙도 같은 기록을 갖고 있지만 3편 중 2편이 특별출연이라 보기에 따라 1편으로 칠수 있으므로 예수정 단독 기록이 될 수도 있다.

2018년 신과함께-인과 연도 1,200만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하면서 여배우 최초로 4편의 천만 관객 돌파 영화에 출연하는 기록을 세웠다. 동시에 누적관객수 1위라는 기록도 세우게 되었다.

2020년 코로나 시국에 영화계가 어려운 가운데, 영화 〈69세〉가 8월 20일 개봉했다. 예수정이 주연한 이 작품은 심효정이란 69세의 노인이 29세의 남자 간호조무사에게 성폭행을 당하면서 겪는 아픔을 그렸다.

3. 출연 작품[편집]



3.1. 영화[편집]


개봉 연도제목배역관객수(명)
2001년나비
2003년지구를 지켜라!병구 모(단역)-
2004년신성일의 행방불명원장1,508
2006년내 청춘에게 고함근우 모(단역)-
2007년황진이진이 모1,270,644
기담원장644,090
궁녀대비(단역)-
2009년그녀들의 방유석희424
잘 알지도 못하면서제천 - 여배우의 어머니39,984
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고모949,896
시크릿지연 모1,046,787
2011년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임좌수 부인4,786,259
의뢰인장모2,393,103
2012년해로희정5,851
도둑들티파니12,983,821
2013년안녕, 투이수녀(특별출연)-
2014년인간중독우진모1,441,966
해무동식 할머니1,471,841
2015년공백의 얼굴들조연-
2016년비밀은 없다신선미 의원(단역)-
보고싶다강옥자693
우리 연애의 이력강경순3,043
사냥노파(중현모)645,804
부산행인길11,564,035
터널노모(단역)7,120,780
죽여주는 여자복희121,144
2017년신과함께-죄와 벌자홍 / 수홍모14,410,466
2018년염력정씨누님986,647
허스토리박순녀333,441
행복의 나라희자1,006
신과함께-인과 연자홍 / 수홍모[7]12,270,489
2019년말모이조갑윤 부인(특별출연)-
82년생 김지영지영 외할머니(특별출연)-
2020년침입자윤희532,047
어게인한말순1012
69세효정9117
2021년새해전야혜심171,500
간호중사비나4270
탈출: PROJECT SILENCE순옥-
총 관객수68,090,888명
평균 관객수2,431,817명

여배우 누적 관객수 1위이다.


3.2. 드라마[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배역비고
2006년파일:OCN 로고.svg썸데이구미꼬
2007년파일:MBC 로고(2005-2011).svg궁S한 상궁
2014년파일:SBS 로고.svg신의 선물-14일영부인
2015년파일:MBC 로고.svg여왕의 꽃레나 정 어머니
이브의 사랑현미숙
파일:SBS 로고.svg풍문으로 들었소민주영 엄마27회 출연
2016년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공항 가는 길고은희
뷰티풀 마인드계진성네 옆집 할머니
파일:JTBC 로고.svg이번 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현우 母
파일:네이버TV 로고.svg마이 올드 프렌드애심
2017년파일:SBS 로고.svg피고인명금자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최강 배달꾼정임
파일:tvN 로고(2012-2021).svg비밀의 숲박무성 어머니
슬기로운 감빵생활김제혁 어머니
2017년~2018년파일:JTBC 로고.svg언터처블박영숙
2018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마더글라라특별출연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슈츠조 여사
파일:KBS 2TV 로고.svg오늘의 탐정이다일의 어머니특별출연
파일:채널A 로고.svg열두밤이리
2018년~2019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톱스타 유백이오강순의 할머니
2019년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장희은
2019년~2020년블랙독윤여화
2020년반의반은수정
파일:MBC 로고.svgSF8 - 간호중엄마
파일:SBS 로고.svg브람스를 좋아하세요?나문숙
2021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마인엠마 수녀
파일:SBS 로고.svg원 더 우먼김경신
파일:tvN 로고(2012-2021).svg지리산금례
2021년~2022년파일:KBS 1TV 로고.svg태종 이방원신의왕후 한씨
2022년파일:tvN 로고.svg링크\: 먹고 사랑하라, 죽이게나춘옥
파일:JTBC 로고.svg인사이더신달수
파일:TV CHOSUN 로고.svg마녀는 살아있다오라클
파일:MBC 로고.svg멧돼지 사냥옥순주연
파일:넷플릭스 로고.svg더 패뷸러스표지은의 할머니특별출연
2023년파일:SBS 로고.svg악귀김석란
파일:Disney+ 로고.svg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최악의 악윤원길
2023년~2024년파일:tvN 로고.svg마에스트라배정화

3.3. 연극[편집]


  • 나는 너다(2014) - 조마리아
  • 과부들(2014) - 쏘피아 푸엔떼스
  • 벚꽃동산(2015) - 라네프스까야
  • 세일즈맨의 죽음(2017) - 린다 로만[8]
  • 파묻힌 아이(2021)


4.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작품
2004년제5회 김동훈연극상
2005년제41회 동아연극상여자연기상
제26회 서울연극제연기상
제10회 히서 연극상
2006년제1회 한국여성연극인상연기상
2012년제32회 올해의 최우수예술가상 연극부분
2017년제27회 이해랑 연극상
2018년제2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코리안 판타스틱 여우주연상행복의 나라
제2회 더 서울 어워즈영화부문 여우조연상신과함께-죄와 벌
2020년제21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연기상69세
2022년MBC 연기대상여자 조연상멧돼지 사냥

5. 여담[편집]





[1] 출처[2] 이름에서도 추측할 수 있듯이 예수정이다. 물론 어머니 정애란의 성씨(본명 예대임)에서 따기도 했다. 생전에 스님 역을 도맡았던 작고한 배우 박용식과 더불어 보수적인 한국 개신교계에서는 이례적으로 불교신자 배역이나 가톨릭 수녀 역을 맡기도 했다. [3] 석사 학위 논문: Friedrich Duerrenmatt의 희극 Romulusder Grobe에 나타난 비극성[4] 정애란의 본명, 예대임.[5] 2005년 작고.[6] 당시 변기종, 강계식 등 어머니의 당시 동료 배우들도 같이 거들었다고 한다.[7] 단 인과 연편에서의 자홍은 이미 환생한 후이기 때문에 자홍은 등장하지 않는다.[8] 주인공 윌리 로만의 아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