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경환(군인)

덤프버전 :

파일:haijun.png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41414><bgcolor=#003399> 파일:대한민국 해군 대장.svg ||
||<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손원일 ||<width=20%> 2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박옥규 ||<width=20%> 3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정긍모 ||<width=20%> 4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용운 ||<width=20%> 5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성호 ||
|| 6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맹기 || 7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함명수 || 8대
김영관 || 9대
장지수 || 10대
김규섭 ||
|| 11대
황정연 || 12대
김종곤 || 13대
이은수 || 14대
오경환 || 15대
최상화 ||
|| 16대
김종호 || 17대
김종호 || 18대
김철우 || 19대
김홍열 || 20대
안병태 ||
|| 21대
유삼남 || 22대
이수용 || 23대
장정길 || 24대
문정일 || 25대
남해일 ||
|| 26대
송영무 || 27대
정옥근 || 28대
김성찬 || 29대
최윤희 || 30대
황기철 ||
|| 31대
정호섭 || 32대
엄현성 || 33대
심승섭 || 34대
부석종 || 35대
김정수 ||
|| 36대
이종호 ||<bgcolor=#e0ffdb,#202210>37대
양용모|| || ||
||<-5><bgcolor=#003399>
초대: 해방병단장/조선해안경비대총사령관 · 1대~2대: 해군총참모장 · 2대~현재: 해군참모총장
※ 27대: 예비역 신분 박탈
||
||<-5> ||



대한민국 제14대 해군참모총장
오경환
吳慶煥 | Oh Gyeonghwan
파일:오 참모총장.jpg
출생1931년 12월 17일
경상남도 부산부
사망2021년 12월 16일[1] (향년 89세)
본관해주 오씨
군사 경력
임관해군사관학교 (8기)
복무대한민국 해군
1954년 ~ 1984년
최종 계급대장 (대한민국 해군)
최종 보직해군참모총장
주요 보직제1해역사령관
한국함대사령관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군인으로,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


2. 생애[편집]


1931년 12월 17일에 경상남도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나 1950년에 해군사관학교 8기로 입학했다. 1954년 해군 소위로 임관하였고, 1976년, 해군 전단사령관을 2년 뒤인 1978년에는 해군 해역사령관을 지냈다.

국산 기술로 건조된 함정을 다수 배치하면서 해군력 증강을 주도했다. 이 시기에 첫 국산 초계함인 동해함 등 초계함 4척을 비롯해 고속정을 대체하는 중형고속정 등 10척이 건조 및 도입됐다.

해군본부 정보참모부장과 한국함대사령관[2]을 거쳐 1982년 12월 28일에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이 되었고, 1984년 9월 4일에 퇴임했다.

퇴임 전 해군참모총장 재직 당시 3차례 무장간첩 작전을 성공시켰다. 1983년 8월 경북 월성 근해에 침투한 무장간첩을 소탕하고, 같은 달에 울릉도 근해에서 침투한 무장간첩선 모선을 격침했으며, 같은 해 12월에는 부산 다대포 해안에 침투한 무장간첩선을 격침해 냈다.

2004년, 임관 50주년을 맞아 동기생들과 함께 모교를 방문했다. 2015년에 아내가 지병으로 인해 사별했다.

2021년 12월 16일에 향년 89세로 별세했다. 빈소는 서울특별시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2호에서 장례식을 해군장으로 치러졌으며, 발인 날은 12월 19일 오전 8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2:04:42에 나무위키 오경환(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90세 생일을 하루 앞두고 사망했다.[2] 현재의 해군작전사령부작전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