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성호(해군)

덤프버전 :


파일:haijun.png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41414><bgcolor=#003399> 파일:대한민국 해군 대장.svg ||
||<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손원일 ||<width=20%> 2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박옥규 ||<width=20%> 3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정긍모 ||<width=20%> 4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용운 ||<width=20%> 5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성호 ||
|| 6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맹기 || 7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함명수 || 8대
김영관 || 9대
장지수 || 10대
김규섭 ||
|| 11대
황정연 || 12대
김종곤 || 13대
이은수 || 14대
오경환 || 15대
최상화 ||
|| 16대
김종호 || 17대
김종호 || 18대
김철우 || 19대
김홍열 || 20대
안병태 ||
|| 21대
유삼남 || 22대
이수용 || 23대
장정길 || 24대
문정일 || 25대
남해일 ||
|| 26대
송영무 || 27대
정옥근 || 28대
김성찬 || 29대
최윤희 || 30대
황기철 ||
|| 31대
정호섭 || 32대
엄현성 || 33대
심승섭 || 34대
부석종 || 35대
김정수 ||
|| 36대
이종호 ||<bgcolor=#e0ffdb,#202210>37대
양용모|| || ||
||<-5><bgcolor=#003399>
초대: 해방병단장/조선해안경비대총사령관 · 1대~2대: 해군총참모장 · 2대~현재: 해군참모총장
※ 27대: 예비역 신분 박탈
||
||<-5>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백홍석
제2대
박승훈
제3-4대
신태영
제5대
김일환
제6대
이선근
제7대
이대영
제8대
이형근
제9대
김홍일
제10대
김성은
제11-12대
이성호
제13-17대
김일환
제18-21대
이맹기
제22대
김종환
제23대
백석주
제24대
최경록
제25-26대
소준열
제27-28대
장태완
제29-30대
이상훈
제31-32대
박세직
제33-34대
박세환
제35대
조남풍
제36대
김진호
제37대
신상태






대한민국 제5대 해군참모총장
이성호
李成浩 | Lee Sung-ho
파일:이성호(해군).jpg
출생1926년
경기도 시흥
사망2019년 3월 27일 (향년 93세)
경기도 고양시
직업군인, 사업가
복무대한민국 해군
1946년 ~ 1962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군제독. 이용운 제독에 이어 5대 해군참모총장을 지냈다. 상선사관 출신으로는 마지막 해군참모총장이다.


2. 생애[편집]


1926년생으로 고향은 경기도 시흥이다. 진해고등해원양성소(한국해양대학교의 전신)를 졸업해 상선에서 근무하다가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 소위로 임관했다. 1950년 6월에 중령으로 한국전쟁을 맞았다. 당시 해군에는 전투함이 4척이었는데, 이 중 1척의 함장을 맡았다.[1] 1957년에는 해군 작전참모부장, 1959년에는 해군 후방참모부장[2]에 올랐다. 1960년에 해군참모총장[3]이 되었고 1962년에 전역했다.

해군을 드라이 네이비(Dry Navy)에서 웨트 네이비(Wet Navy)로 바꾼 인물로 해군 내에서 유명하다. 그는 해군참모총장에 오르자 다른 상선사관 출신들이 아직 많이 남은 해군 내에서 해군사관학교 1기 출신인 함명수 제독이나 이맹기 제독을 중용함으로 해군의 체질을 바꿨다. 그가 해군참모총장에 중용된데는 UN군사령부의 인식이 크게 작용했다. 드라이 네이비 출신들이 많은 탓에 해군에 군살이 많다고 여겨서 함장이나 함대사령관을 경험한 제독들로 해군의 상층부를 바꾸려고 한 것이다.

5.16 군사정변 당시에 대한민국 육군영관급 장교들에게 암살당할 뻔 했다. 해군본부 몰래 쿠데타를 진행하던 해병대 장교들이 그에게 찾아가 협조를 요구했으나 거절했던 탓인데, 이는 해병대가 육군 쿠데타 세력들에게 해군본부에 일절 언급조차 하지 않았으면서 자신들이 해군의 동의와 협조를 얻어냈다고 지휘부에 허위보고한 사고를 저질렀기 때문이다. 당연히, 내막을 알 리 없던 이성호 제독이 "군인이 나라는 안 지키고 뭐하는 짓이냐?"며 화를 내며 거절했다. 그러자 옆에 있던 육군 장교들이 해군본부가 말을 바꾼다며 권총을 들고 난입했고 전속부관이 재빨리 그를 피신시켜 화를 면했다.

퇴역 이후 1962년부터 대한석유공사(현 SK이노베이션)의 사장을 4년간 지낸 바 있었으며, 2009년에 생긴 비영리 사단법인 해군협회의 초대 회장이 되었다.

2019년 3월 27일 사망했다. 기사

[1] 뒤에 해병대사령관을 지내는 공정식(개전 당시 소령) 장군도, 해병대로 전과하기 전에는 PC의 함장을 맡았다.[2] 보급, 경리 등의 업무를 총괄하기 때문에, 워낙에 청탁이 많이 들어오는 자리라서 본인은 기피했다.[3] 본래는 그와 동계급이었고 친구인 이희정 소장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으나 그가 올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1:10:04에 나무위키 이성호(해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