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부치 게이조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메이지 시대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이토 히로부미구로다 기요타카야마가타 아리토모마쓰카타 마사요시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이토 히로부미마쓰카타 마사요시이토 히로부미오쿠마 시게노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이토 히로부미가쓰라 다로사이온지 긴모치
제13대제14대
가쓰라 다로사이온지 긴모치
다이쇼 시대
제14대제15대제16대제17대
사이온지 긴모치가쓰라 다로야마모토 곤노효에오쿠마 시게노부
제18대제19대제20대제2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하라 다카시다카하시 고레키요가토 도모사부로
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기요우라 게이고가토 다카아키와카쓰키 레이지로
ta-hash-start=w-ebe4bab9796d8591e73101a9b2cf6296'''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전'''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와카쓰키 레이지로다나카 기이치하마구치 오사치와카쓰키 레이지로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이누카이 쓰요시사이토 마코토오카다 게이스케히로타 고키
제33대
하야시 센주로
ta-hash-start=w-f514659f5c754f0cec51ea59a5e826ae'''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시'''
제34대제35대제36대제37대
고노에 후미마로히라누마 기이치로아베 노부유키요나이 미쓰마사
제38·39대제40대제41대제42대
고노에 후미마로도조 히데키고이소 구니아키스즈키 간타로
ta-hash-start=w-abb8cd30fbef5b0cf3402251455a9b56'''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후'''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시데하라 기주로요시다 시게루가타야마 데쓰
제47대제48-51대제52-54대제55대
아시다 히토시요시다 시게루하토야마 이치로이시바시 단잔
제56·57대제58-60대제61-63대제64·65대
기시 노부스케이케다 하야토사토 에이사쿠다나카 가쿠에이
제66대제67대제68·69대제70대
미키 다케오후쿠다 다케오오히라 마사요시스즈키 젠코
제71-73대제74대
나카소네 야스히로다케시타 노보루
헤이세이 시대
제74대제75대제76·77대제78대
다케시타 노보루우노 소스케가이후 도시키미야자와 기이치
제79대제80대제81대제82·83대
호소카와 모리히로하타 쓰토무무라야마 도미이치하시모토 류타로
제84대제85·86대제87-89대제90대
오부치 게이조모리 요시로고이즈미 준이치로아베 신조
제91대제92대제93대제94대
후쿠다 야스오아소 다로하토야마 유키오간 나오토
제95대제96-98대
노다 요시히코아베 신조
레이와 시대
제98대제99대제100·101대
아베 신조스가 요시히데기시다 후미오
← 태정대신

인세이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오부치 게이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기시 노부스케
2-3대
미키 다케오
4대
카와시마 쇼우지로
5대
후쿠다 다케오
6대
카와시마 쇼지로
7대
마스타니 슈지
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9-10대
미키 다케오
11대
다나카 가쿠에이
12대
후쿠다 다케오
13대
다나카 가쿠에이
14대
호리 시게루
15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16대
니카이도 스스무
17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18대
우치다 쓰네오
19대
오히라 마사요시
20대
사이토 쿠니키치
21-22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23-24대
니카이도 스스무
25대
다나카 로쿠스케
26대
가네마루 신
27대
타케시타 노보루
28대
아베 신타로
29대
하시모토 류타로
30대
오자와 이치로
31대
오부치 게이조
32대
와타누키 타미스케
33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34대
모리 요시로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36대
가토 고이치
37대
모리 요시로
38대
노나카 히로무
39대
고가 마코토
40대
야마사키 타쿠
41대
아베 신조
42대
타케베 쓰토무
43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44대
아소 다로
45대
이부키 분메이
46대
아소 다로
47대
호소다 히로유키
48대
오시마 다다모리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50대
이시바 시게루
51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52-53대
니카이 도시히로
54대
아마리 아키라
55대
모테기 도시미쓰




[ 펼치기 · 접기 ]

#000,#e5e5e5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0f0f0,#000>
|| ||<-1><width=20%><bgcolor=#33D6AD>
[[요시다 시게루|{{{#fff {{{-2 요시다 내각}}}}}}]]
||<-1><width=20%><bgcolor=#173283>
[[가타야마 데쓰|{{{#fff {{{-2 가타야마 내각}}}}}}]]
||<-1><width=20%><bgcolor=#3cb371>
[[아시다 히토시|{{{#fff {{{-2 아시다 내각}}}}}}]]
||<-2><width=40%><bgcolor=#FFFF00>
[[요시다 시게루|{{{#000 {{{-2 요시다 내각}}}}}}]]
|| ||<width=20%> {{{-2 초대}}}[br][[하야시 조지|{{{#555,#ddd 하야시 조지}}}]] ||<width=20%> {{{-2 2대}}}[br][[니시오 스에히로]] ||<width=20%> {{{-2 3대}}}[br][[도마베치 기조|{{{#555,#ddd 도마베치 기조}}}]] ||<width=20%> {{{-2 4대}}}[br][[사토 에이사쿠]] ||<width=20%> {{{-2 5대}}}[br][[마스다 가네시치|{{{#555,#ddd 마스다 가네시치}}}]] || ||<-1><width=20%><bgcolor=#FFFF00>
[[요시다 시게루|{{{#000 {{{-2 요시다 내각}}}}}}]]
||<-4><width=80%><bgcolor=#00FFFF>
[[요시다 시게루|{{{#000 {{{-2 요시다 내각}}}}}}]]
|| ||<width=20%> {{{-2 6대}}}[br][[마스다 가네시치|{{{#555,#ddd 마스다 가네시치}}}]] ||<width=20%> {{{-2 7대}}}[br][[오카자키 가쓰오|{{{#555,#ddd 오카자키 가쓰오}}}]] ||<width=20%> {{{-2 8대}}}[br][[호리 시게루|{{{#555,#ddd 호리 시게루}}}]] ||<width=20%> {{{-2 9대}}}[br][[오카타 다케도라|{{{#555,#ddd 오카타 다케도라}}}]] ||<width=20%> {{{-2 10-12대}}}[br][[후쿠나가 겐지|{{{#555,#ddd 후쿠나가 겐지}}}]] || ||<-2><width=40%><bgcolor=#00FFFF>
[[요시다 시게루|{{{#000 {{{-2 요시다 내각}}}}}}]]
||<-2><width=40%><bgcolor=#00CC00>
[[하토야마 이치로|{{{#fff {{{-2 하토야마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하토야마 이치로|{{{#fff {{{-2 하토야마 내각}}}}}}]]
|| ||<-2><width=40%> {{{-2 10-12대}}}[br][[후쿠나가 겐지|{{{#555,#ddd 후쿠나가 겐지}}}]] ||<-3><width=60%> {{{-2 13-15대}}}[br][[네모토 류타로|{{{#555,#ddd 네모토 류타로}}}]] || ||<-1><width=20%><bgcolor=#3CA324>
[[이시바시 단잔|{{{#fff {{{-2 이시바시 내각}}}}}}]]
||<-4><width=80%><bgcolor=#3CA324>
[[기시 노부스케|{{{#fff {{{-2 기시 내각}}}}}}]]
|| ||<-2><width=40%> {{{-2 16·17대}}}[br][[이시다 히로히데|{{{#555,#ddd 이시다 히로히데}}}]] ||<-1><width=20%> {{{-2 18대}}}[br][[아이치 기이치|{{{#555,#ddd 아이치 기이치}}}]] ||<-1><width=20%> {{{-2 19대}}}[br][[아카기 무네노리|{{{#555,#ddd 아카기 무네노리}}}]] ||<-1><width=20%> {{{-2 20대}}}[br][[시이나 에쓰사부로]] || ||<-5><bgcolor=#3CA324>
[[이케다 하야토|{{{#fff {{{-2 이케다 내각}}}}}}]]
|| ||<-2><width=40%> {{{-2 21·22대}}}[br][[오히라 마사요시]] ||<-3><width=60%> {{{-2 23-25대}}}[br][[구로가네 야스미|{{{#555,#ddd 구로가네 야스미}}}]] || ||<-1><width=20%><bgcolor=#3CA324>
[[이케다 하야토|{{{#fff {{{-2 이케다 내각}}}}}}]]
||<-4><width=80%><bgcolor=#3CA324>
[[사토 에이사쿠|{{{#fff {{{-2 사토 내각}}}}}}]]
|| ||<-1><width=20%> {{{-2 26대}}}[br][[스즈키 젠코]] ||<-2><width=40%> {{{-2 27·28대}}}[br][[하시모토 도미사부로|{{{#555,#ddd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1><width=20%> {{{-2 29대}}}[br][[아이치 기이치|{{{#555,#ddd 아이치 기이치}}}]] ||<-1><width=20%> {{{-2 30·31대}}}[br][[후쿠나가 겐지|{{{#555,#ddd 후쿠나가 겐지}}}]] || ||<-5><bgcolor=#3CA324>
[[사토 에이사쿠|{{{#fff {{{-2 사토 내각}}}}}}]]
|| ||<-1><width=20%> {{{-2 30·31대}}}[br][[후쿠나가 겐지|{{{#555,#ddd 후쿠나가 겐지}}}]] ||<-1><width=20%> {{{-2 32대}}}[br][[기무라 도시오|{{{#555,#ddd 기무라 도시오}}}]] ||<-2><width=40%> {{{-2 33·34대}}}[br][[호리 시게루|{{{#555,#ddd 호리 시게루}}}]] ||<-1><width=20%> {{{-2 35·38대}}}[br][[다케시타 노보루]] || ||<-3><width=60%><bgcolor=#3CA324>
[[다나카 가쿠에이|{{{#fff {{{-2 다나카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미키 다케오|{{{#fff {{{-2 미키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후쿠다 다케오|{{{#fff {{{-2 후쿠다 내각}}}}}}]]
|| ||<-2><width=40%> {{{-2 36·37대}}}[br][[니카이도 스스무(정치인)|니카이도 스스무]] ||<-1><width=20%> {{{-2 35·38대}}}[br][[다케시타 노보루]] ||<-1><width=20%> {{{-2 39대}}}[br][[이데 이치타로|{{{#555,#ddd 이데 이치타로}}}]] ||<-1><width=20%> {{{-2 40대}}}[br][[소노다 스나오|{{{#555,#ddd 소노다 스나오}}}]] || ||<-1><width=20%><bgcolor=#3CA324>
[[후쿠다 다케오|{{{#fff {{{-2 후쿠다 내각}}}}}}]]
||<-2><width=40%><bgcolor=#3CA324>
[[오히라 마사요시|{{{#fff {{{-2 오히라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스즈키 젠코|{{{#fff {{{-2 스즈키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나카소네 야스히로|{{{#fff {{{-2 나카소네 내각}}}}}}]]
|| ||<-1><width=20%> {{{-2 41대}}}[br][[아베 신타로]] ||<-1><width=20%> {{{-2 42대}}}[br][[다나카 로쿠스케|{{{#555,#ddd 다나카 로쿠스케}}}]] ||<-1><width=20%> {{{-2 43대}}}[br][[이토 마사요시]] ||<-1><width=20%> {{{-2 44대}}}[br][[미야자와 기이치]] ||<-1><width=20%> {{{-2 45·47·48대}}}[br][[고토다 마사하루|{{{#555,#ddd 고토다 마사하루}}}]] || ||<-3><width=60%><bgcolor=#3CA324>
[[나카소네 야스히로|{{{#fff {{{-2 나카소네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다케시타 노보루|{{{#fff {{{-2 다케시타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우노 소스케|{{{#fff {{{-2 우노 내각}}}}}}]]
|| ||<-1><width=20%> {{{-2 46대}}}[br][[후지나미 다카오|{{{#555,#ddd 후지나미 다카오}}}]] ||<-2><width=40%> {{{-2 45·47·48대}}}[br][[고토다 마사하루|{{{#555,#ddd 고토다 마사하루}}}]] ||<-1><width=20%> {{{-2 49대}}}[br][[오부치 게이조]] ||<-1><width=20%> {{{-2 50대}}}[br][[시오카와 마사주로|{{{#555,#ddd 시오카와 마사주로}}}]] || ||<-3><width=60%><bgcolor=#3CA324>
[[가이후 도시키|{{{#fff {{{-2 가이후 내각}}}}}}]]
||<-2><width=20%><bgcolor=#3CA324>
[[미야자와 기이치|{{{#fff {{{-2 미야자와 내각}}}}}}]]
|| ||<-1><width=20%> {{{-2 51대}}}[br][[야마시타 도쿠오|{{{#555,#ddd 야마시타 도쿠오}}}]] ||<-1><width=20%> {{{-2 52대}}}[br][[모리야마 마유미|{{{#555,#ddd 모리야마 마유미}}}]] ||<-1><width=20%> {{{-2 53대}}}[br][[사카모토 미소지|{{{#555,#ddd 사카모토 미소지}}}]] ||<-1><width=20%> {{{-2 54대}}}[br][[가토 고이치]] ||<-1><width=20%> {{{-2 55대}}}[br][[고노 요헤이]] || ||<-1><width=20%><bgcolor=#037766>
[[호소카와 내각|{{{#fff {{{-2 호소카와 내각}}}}}}]]
||<-1><width=20%><bgcolor=#007cda>
[[하타 내각|{{{#fff {{{-2 하타 내각}}}}}}]]
||<-2><width=40%><bgcolor=#173283>
[[무라야마 내각|{{{#fff {{{-2 무라야마}}}}}}]] [[무라야마 개조내각|{{{#fff {{{-2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제1차 하시모토 내각|{{{#fff {{{-2 하시모토 내각}}}}}}]]
|| ||<-1><width=20%> {{{-2 56대}}}[br][[다케무라 마사요시]] ||<-1><width=20%> {{{-2 57대}}}[br][[구마가이 히로시|{{{#555,#ddd 구마가이 히로시}}}]] ||<-1><width=20%> {{{-2 58대}}}[br][[이가라시 고조|{{{#555,#ddd 이가라시 고조}}}]] ||<-1><width=20%> {{{-2 59대}}}[br][[노사카 코켄|{{{#555,#ddd 노사카 코켄}}}]] ||<-1><width=20%> {{{-2 60·61대}}}[br][[가지야마 세이로쿠|{{{#555,#ddd 가지야마 세이로쿠}}}]] || ||<-2><width=40%><bgcolor=#3CA324>
[[제2차 하시모토 내각|{{{#fff {{{-2 하시모토}}}}}}]] [[제2차 하시모토 개조내각|{{{#fff {{{-2 내각}}}}}}]]
||<-2><width=40%><bgcolor=#3CA324>
[[오부치 게이조|{{{#fff {{{-2 오부치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모리 요시로|{{{#fff {{{-2 모리 내각}}}}}}]]
|| ||<-1><width=20%> {{{-2 60·61대}}}[br][[가지야마 세이로쿠|{{{#555,#ddd 가지야마 세이로쿠}}}]] ||<-1><width=20%> {{{-2 62대}}}[br][[무라오카 가네조|{{{#555,#ddd 무라오카 가네조}}}]] ||<-1><width=20%> {{{-2 63대}}}[br][[노나카 히로무]] ||<-2><width=40%> {{{-2 64·65대}}}[br][[아오키 미키오]] || ||<-2><width=40%><bgcolor=#3CA324>
[[모리 요시로|{{{#fff {{{-2 모리 내각}}}}}}]]
||<-3><width=60%><bgcolor=#3CA324>
[[고이즈미 준이치로|{{{#fff {{{-2 고이즈미 내각}}}}}}]]
|| ||<-1><width=20%> {{{-2 66대}}}[br][[나카가와 히데나오|{{{#555,#ddd 나카가와 히데나오}}}]] ||<-3><width=60%> {{{-2 67-69대}}}[br][[후쿠다 야스오]] ||<-1><width=20%> {{{-2 70·71대}}}[br][[호소다 히로유키]] || ||<-2><width=40%><bgcolor=#3CA324>
[[고이즈미 준이치로|{{{#fff {{{-2 고이즈미 내각}}}}}}]]
||<-2><width=40%><bgcolor=#3CA324>
[[제1차 아베 신조 내각|{{{#fff {{{-2 아베}}}}}}]] [[제1차 아베 신조 개조내각|{{{#fff {{{-2 내각}}}}}}]]
||<-1><width=20%><bgcolor=#3CA324>
[[후쿠다 야스오 내각|{{{#fff {{{-2 후쿠다}}}}}}]] [[후쿠다 야스오 개조내각|{{{#fff {{{-2 내각}}}}}}]]
|| ||<-1><width=20%> {{{-2 70·71대}}}[br][[호소다 히로유키]] ||<-1><width=20%> {{{-2 72대}}}[br][[아베 신조]] ||<-1><width=20%> {{{-2 73대}}}[br][[시오자키 야스히사]] ||<-1><width=20%> {{{-2 74대}}}[br][[요사노 가오루]] ||<-1><width=20%> {{{-2 75대}}}[br][[마치무라 노부타카]] || ||<-1><width=20%><bgcolor=#3CA324>
[[아소 내각|{{{#fff {{{-2 아소 내각}}}}}}]]
||<-1><width=20%><bgcolor=#EC1C24>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fff {{{-2 하토야마 내각}}}}}}]]
||<-2><width=40%><bgcolor=#EC1C24>
[[간 나오토|{{{#fff {{{-2 간 내각}}}}}}]]
||<-1><width=20%><bgcolor=#EC1C24>
[[노다 요시히코|{{{#fff {{{-2 노다 내각}}}}}}]]
|| ||<-1><width=20%> {{{-2 76대}}}[br][[가와무라 다케오]] ||<-1><width=20%> {{{-2 77대}}}[br][[히라노 히로후미]] ||<-1><width=20%> {{{-2 78대}}}[br][[센고쿠 요시토]] ||<-1><width=20%> {{{-2 79대}}}[br][[에다노 유키오]] ||<-1><width=20%> {{{-2 80대}}}[br][[후지무라 오사무]] || ||<-3><width=60%><bgcolor=#E50038>
[[아베 신조 내각|{{{#fff {{{-2 아베 내각}}}}}}]]
||<width=20%><bgcolor=#E50038>
[[스가 내각|{{{#fff {{{-2 스가 내각}}}}}}]]
||<width=20%><bgcolor=#E50038>
[[제1차 기시다 내각|{{{#fff {{{-2 기시다 내각}}}}}}]]
|| ||<-3><width=60%> {{{-2 81-83대}}}[br][[스가 요시히데]] ||<-1><width=20%> {{{-2 84대}}}[br][[가토 가쓰노부]] ||<-1><width=20%> {{{-2 85·86대}}}[br][[마쓰노 히로카즈]] || ||<-2><width=20%><bgcolor=#E50038>
[[기시다 내각|{{{#fff {{{-2 기시다 내각}}}}}}]]
|| ||<-1><width=20%> {{{-2 85·86대}}}[br][[마쓰노 히로카즈]] ||<-1><width=20%> {{{-2 87대}}}[br][[하야시 요시마사]] ||




[ 펼치기 · 접기 ]

#000,#e5e5e5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3366> {{{#fff '''외무경 {{{-3 (1869년~1879년)}}} · 외무사무총재 {{{-3 (1873년)}}}'''}}} || ||<-5><bgcolor=#AF001F>
[[메이지 덴노|{{{#fff {{{-2 메이지 정부}}}}}}]]
|| ||<width=20%> {{{-2 초대}}}[br][[사와 노부요시]] ||<width=20%> {{{-2 2대}}}[br][[이와쿠라 도모미]] ||<width=20%> {{{-2 3대}}}[br][[소에지마 다네오미]] ||<width=20%> {{{-2 4대}}}[br][[데라시마 무네노리]] ||<width=20%> {{{-2 5대}}}[br][[이노우에 가오루]] || ||<-5><bgcolor=#f0f0f0,#000>
|| ||<-5><bgcolor=#003366> {{{#fff '''외무대신 {{{-3 (1885년~현재)}}}'''}}} || ||<-5>
||<-2><tablewidth=100%><width=42.5%><bgcolor=#ff0000>
[[이토 히로부미|{{{#fff {{{-2 이토 내각}}}}}}]]
||<width=17.5%><bgcolor=#808080>
[[구로다 기요타카|{{{#fff {{{-2 구로다 내각}}}}}}]]
||<width=17.5%><bgcolor=#808080>
[[야마가타 아리토모|{{{#fff {{{-2 야마가타 내각}}}}}}]]
||<width=22.5%><bgcolor=#808080>
[[마쓰카타 마사요시|{{{#fff {{{-2 마쓰카타 내각}}}}}}]]
||
|| ||<width=20%> {{{-2 5대}}}[br][[이노우에 가오루]] ||<width=20%> {{{-2 6대}}}[br][[이토 히로부미]] ||<width=20%> {{{-2 7대}}}[br][[오쿠마 시게노부]] ||<width=20%> {{{-2 8대}}}[br][[아오키 슈조]] ||<width=20%> {{{-2 9대}}}[br][[에노모토 다케아키]] || ||<-5><bgcolor=#f0f0f0,#000>
|| ||<-5>
||<-2><tablewidth=100%><width=30%><bgcolor=#ff0000>
[[이토 히로부미|{{{#fff {{{-2 이토 내각}}}}}}]]
||<width=40%><bgcolor=#808080>
[[야마가타 아리토모|{{{#fff {{{-2 야마가타 내각}}}}}}]]
||<width=20%><bgcolor=#ff0000>
[[이토 히로부미|{{{#fff {{{-2 이토 내각}}}}}}]]
||<width=10%><bgcolor=#E9897D>
[[오쿠마 시게노부|{{{#fff {{{-2 오쿠마 내각}}}}}}]]
||
|| ||<width=20%> {{{-2 10대}}}[br][[무쓰 무네미쓰]] ||<width=20%> {{{-2 11대}}}[br][[사이온지 긴모치]] ||<width=20%> {{{-2 12대}}}[br][[오쿠마 시게노부]] ||<width=20%> {{{-2 13대}}}[br][[니시 도쿠지로]] ||<width=20%> {{{-2 14대}}}[br][[오쿠마 시게노부]] || ||<-5><bgcolor=#f0f0f0,#000>
|| ||<-1><width=20%><bgcolor=#808080>
[[야마가타 아리토모|{{{#fff {{{-2 야마가타 내각}}}}}}]]
||<width=20%><bgcolor=#ff0000>
[[이토 히로부미|{{{#fff {{{-2 이토 내각}}}}}}]]
||<-2><width=40%><bgcolor=#808080>
[[가쓰라 다로|{{{#fff {{{-2 가쓰라 내각}}}}}}]]
||<width=20%><bgcolor=#ff0000>
[[사이온지 긴모치|{{{#fff {{{-2 사이온지 내각}}}}}}]]
|| ||<width=20%> {{{-2 15대}}}[br][[아오키 슈조]] ||<width=20%> {{{-2 16대}}}[br][[가토 다카아키]] ||<width=20%> {{{-2 17대}}}[br][[소네 아라스케]] ||<width=20%> {{{-2 18대}}}[br][[고무라 주타로]] ||<width=20%> {{{-2 19대}}}[br][[가토 다카아키]] || ||<-5><bgcolor=#f0f0f0,#000>
|| ||<-2><width=40%><bgcolor=#ff0000>
[[사이온지 긴모치|{{{#fff {{{-2 사이온지 내각}}}}}}]]
||<-2><width=40%><bgcolor=#808080>
[[가쓰라 다로|{{{#fff {{{-2 가쓰라 내각}}}}}}]]
||<width=20%><bgcolor=#ff0000>
[[사이온지 긴모치|{{{#fff {{{-2 사이온지 내각}}}}}}]]
|| ||<width=20%> {{{-2 20대}}}[br][[사이온지 긴모치]] ||<width=20%> {{{-2 21대}}}[br][[하야시 타다스]] ||<width=20%> {{{-2 22대}}}[br][[데라우치 마사타케]] ||<width=20%> {{{-2 23대}}}[br][[고무라 주타로]] ||<width=20%> {{{-2 24대}}}[br][[우치다 고사이]] || ||<-5><bgcolor=#f0f0f0,#000>
|| ||<-2><width=40%><bgcolor=#808080>
[[가쓰라 다로|{{{#fff {{{-2 가쓰라 내각}}}}}}]]
||<width=20%><bgcolor=#808080>
[[야마모토 곤노효에|{{{#fff {{{-2 야마모토 내각}}}}}}]]
||<-2><width=20%><bgcolor=#E9897D>
[[오쿠마 시게노부|{{{#fff {{{-2 오쿠마 내각}}}}}}]]
|| ||<width=20%> {{{-2 25대}}}[br][[가쓰라 다로]] ||<width=20%> {{{-2 26대}}}[br][[가토 다카아키]] ||<width=20%> {{{-2 27대}}}[br][[마키노 노부아키]] ||<width=20%> {{{-2 28대}}}[br][[가토 다카아키]] ||<width=20%> {{{-2 29대}}}[br][[오쿠마 시게노부]] || ||<-5><bgcolor=#f0f0f0,#000>
|| ||<width=20%><bgcolor=#808080>
[[오쿠마 시게노부|{{{#fff {{{-2 오쿠마 내각}}}}}}]]
||<-3><width=60%><bgcolor=#808080>
[[데라우치 마사타케|{{{#fff {{{-2 데라우치 내각}}}}}}]]
||<width=20%><bgcolor=#E9897D>
[[하라 다카시|{{{#fff {{{-2 하라 내각}}}}}}]]
|| ||<width=20%> {{{-2 30대}}}[br][[이시이 기쿠지로]] ||<width=20%> {{{-2 31대}}}[br][[데라우치 마사타케]] ||<width=20%> {{{-2 32대}}}[br][[모토노 이치로]] ||<width=20%> {{{-2 33대}}}[br][[고토 신페이]] ||<width=20%> {{{-2 34대}}}[br][[우치다 고사이]]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10%><bgcolor=#E9897D>
[[다카하시 고레키요|{{{#fff {{{-2 다카하시 내각}}}}}}]]
||<width=10%><bgcolor=#808080>
[[가토 도모사부로|{{{#fff {{{-2 가토 내각}}}}}}]]
||<-2><width=40%><bgcolor=#808080>
[[야마모토 곤노효에|{{{#fff {{{-2 야마모토 내각}}}}}}]]
||<width=20%><bgcolor=#808080>
[[기요우라 게이고|{{{#fff {{{-2 기요우라 내각}}}}}}]]
||<width=10%><bgcolor=#89cdf8>
[[가토 다카아키|{{{#fff {{{-2 가토 내각}}}}}}]]
||<width=10%><bgcolor=#89cdf8>
[[와카쓰키 레이지로|{{{#fff {{{-2 와카쓰키 내각}}}}}}]]
||
|| ||<width=20%> {{{-2 34대}}}[br][[우치다 고사이]] ||<width=20%> {{{-2 35대}}}[br][[야마모토 곤노효에]] ||<width=20%> {{{-2 36대}}}[br][[이주인 히코키치]] ||<width=20%> {{{-2 37대}}}[br][[마쓰이 게시로]] ||<width=20%> {{{-2 38대}}}[br][[시데하라 기주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EB483F>
[[다나카 기이치|{{{#fff {{{-2 다나카 내각}}}}}}]]
||<width=10%><bgcolor=#70a3c8>
[[하마구치 오사치|{{{#fff {{{-2 하마구치 내각}}}}}}]]
||<width=10%><bgcolor=#70a3c8>
[[와카쓰키 레이지로|{{{#fff {{{-2 와카쓰키 내각}}}}}}]]
||<-2><width=40%><bgcolor=#EB483F>
[[이누카이 쓰요시|{{{#fff {{{-2 이누카이 내각}}}}}}]]
||<width=20%><bgcolor=#808080>
[[사이토 마코토|{{{#fff {{{-2 사이토 내각}}}}}}]]
||
|| ||<width=20%> {{{-2 39대}}}[br][[다나카 기이치]] ||<width=20%> {{{-2 40대}}}[br][[시데하라 기주로]] ||<width=20%> {{{-2 41대}}}[br][[이누카이 쓰요시]] ||<width=20%> {{{-2 42대}}}[br][[요시자와 겐키치]] ||<width=20%> {{{-2 43대}}}[br][[사이토 마코토]]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2.5%><bgcolor=#808080>
[[사이토 마코토|{{{#fff {{{-2 사이토 내각}}}}}}]]
||<width=15%><bgcolor=#808080>
[[오카다 게이스케|{{{#fff {{{-2 오카다 내각}}}}}}]]
||<width=22.5%><bgcolor=#808080>
[[히로타 고키|{{{#fff {{{-2 히로타 내각}}}}}}]]
||<width=40%><bgcolor=#808080>
[[하야시 센주로|{{{#fff {{{-2 하야시 내각}}}}}}]]
||
|| ||<width=20%> {{{-2 44대}}}[br][[우치다 고사이]] ||<width=20%> {{{-2 45대}}}[br][[히로타 고키]] ||<width=20%> {{{-2 46대}}}[br][[아리타 하치로]] ||<width=20%> {{{-2 47대}}}[br][[하야시 센주로]] ||<width=20%> {{{-2 48대}}}[br][[사토 나오타케]]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62.5%><bgcolor=#808080>
[[고노에 후미마로|{{{#fff {{{-2 고노에 내각}}}}}}]]
||<width=17.5%><bgcolor=#808080>
[[히라누마 기이치로|{{{#fff {{{-2 히라누마 내각}}}}}}]]
||<width=20%><bgcolor=#808080>
[[아베 노부유키|{{{#fff {{{-2 아베 내각}}}}}}]]
||
|| ||<width=20%> {{{-2 49대}}}[br][[히로타 고키]] ||<width=20%> {{{-2 50대}}}[br][[우가키 가즈시게]] ||<width=20%> {{{-2 51대}}}[br][[고노에 후미마로]] ||<width=20%> {{{-2 52대}}}[br][[아리타 하치로]] ||<width=20%> {{{-2 53대}}}[br][[아베 노부유키]]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808080>
[[아베 노부유키|{{{#fff {{{-2 아베 내각}}}}}}]]
||<width=20%><bgcolor=#808080>
[[요나이 미츠마사|{{{#fff {{{-2 요나이 내각}}}}}}]]
||<width=40%><bgcolor=#BD3432>
[[고노에 후미마로|{{{#fff {{{-2 고노에 내각}}}}}}]]
||<width=40%><bgcolor=#BD3432>
[[도조 히데키|{{{#fff {{{-2 도조 내각}}}}}}]]
||
|| ||<width=20%> {{{-2 54대}}}[br][[노무라 기치사부로]] ||<width=20%> {{{-2 55대}}}[br][[아리타 하치로]] ||<width=20%> {{{-2 56대}}}[br][[마쓰오카 요스케]] ||<width=20%> {{{-2 57대}}}[br][[도요다 데이지로]] ||<width=20%> {{{-2 58대}}}[br][[도고 시게노리]]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2.5%><bgcolor=#BD3432>
[[도조 히데키|{{{#fff {{{-2 도조 내각}}}}}}]]
||<width=17.5%><bgcolor=#BD3432>
[[고이소 구니아키|{{{#fff {{{-2 고이소 내각}}}}}}]]
||<width=40%><bgcolor=#BD3432>
[[스즈키 간타로|{{{#fff {{{-2 스즈키 내각}}}}}}]]
||
|| ||<width=20%> {{{-2 59대}}}[br][[도조 히데키]] ||<width=20%> {{{-2 60대}}}[br][[다니 마사유키]] ||<width=20%> {{{-2 61대}}}[br][[시게미쓰 마모루]] ||<width=20%> {{{-2 62대}}}[br][[스즈키 간타로]] ||<width=20%> {{{-2 63대}}}[br][[도고 시게노리]] || ||<-5><bgcolor=#f0f0f0,#000>
|| ||<-5><bgcolor=#003366> {{{#fff '''전후 외무대신'''}}} || ||<-5>
||<tablewidth=100%><width=25%><bgcolor=#808080>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fff {{{-2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width=7.5%><bgcolor=#808080>
[[시데하라 기주로|{{{#fff {{{-2 시데하라 내각}}}}}}]]
||<width=7.5%><bgcolor=#3ec7f7>
[[요시다 시게루|{{{#fff {{{-2 요시다 내각}}}}}}]]
||<width=25%><bgcolor=#173283>
[[가타야마 데쓰|{{{#fff {{{-2 가타야마 내각}}}}}}]]
||<width=15%><bgcolor=#ffd918>
[[아시다 히토시|{{{#000 {{{-2 아시다 내각}}}}}}]]
||<width=20%><bgcolor=#bfd324>
[[요시다 시게루|{{{#fff {{{-2 요시다 내각}}}}}}]]
||
|| ||<width=20%> {{{-2 64대}}}[br][[시게미쓰 마모루]] ||<width=20%> {{{-2 65대}}}[br][[요시다 시게루]] ||<width=20%> {{{-2 66대}}}[br][[가타야마 데쓰]] ||<width=20%> {{{-2 67·68대}}}[br][[아시다 히토시]] ||<width=20%> {{{-2 69·70·71대}}}[br][[요시다 시게루]]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33d6ad>
[[요시다 시게루|{{{#fff {{{-2 요시다 내각}}}}}}]]
||<width=20%><bgcolor=#86ae1e>
[[하토야마 이치로|{{{#fff {{{-2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width=24.5%><bgcolor=#3CA324>
[[이시바시 단잔|{{{#fff {{{-2 이시바시 내각}}}}}}]]
||<width=35.5%><bgcolor=#3CA324>
[[기시 노부스케|{{{#fff {{{-2 기시 내각}}}}}}]]
||
|| ||<width=20%> {{{-2 72·73·74대}}}[br][[오카자키 가쓰오]] ||<width=20%> {{{-2 75·76·77대}}}[br][[시게미쓰 마모루]] ||<width=20%> {{{-2 78대}}}[br][[이시바시 단잔]] ||<width=20%> {{{-2 79·80대}}}[br][[기시 노부스케]] ||<width=20%> {{{-2 81·82대}}}[br][[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50%><bgcolor=#3CA324>
[[이케다 하야토|{{{#fff {{{-2 이케다 내각}}}}}}]]
||<width=50%><bgcolor=#3CA324>
[[사토 에이사쿠|{{{#fff {{{-2 사토 내각}}}}}}]]
||
|| ||<width=20%> {{{-2 83·84대}}}[br][[고사카 젠타로]] ||<width=20%> {{{-2 85·86대}}}[br][[오히라 마사요시]] ||<width=20%> {{{-2 87·88대}}}[br][[시이나 에쓰사부로]] ||<-2><width=20%> {{{-2 89·90대}}}[br][[미키 다케오]]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60%><bgcolor=#3CA324>
[[사토 에이사쿠|{{{#fff {{{-2 사토 내각}}}}}}]]
||<width=40%><bgcolor=#3CA324>
[[다나카 카쿠에이|{{{#fff {{{-2 다나카 내각}}}}}}]]
||
|| ||<width=20%> {{{-2 91대}}}[br][[사토 에이사쿠]] ||<width=20%> {{{-2 92·93대}}}[br][[아이치 기이치]] ||<width=20%> {{{-2 94대}}}[br][[후쿠다 다케오]] ||<width=20%> {{{-2 95·96대}}}[br][[오히라 마사요시]] ||<width=20%> {{{-2 97대}}}[br][[기무라 도시오]]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0%><bgcolor=#3CA324>
[[미키 다케오|{{{#fff {{{-2 미키 내각}}}}}}]]
||<width=30%><bgcolor=#3CA324>
[[후쿠다 다케오|{{{#fff {{{-2 후쿠다 내각}}}}}}]]
||<width=30%><bgcolor=#3CA324>
[[오히라 마사요시|{{{#fff {{{-2 오히라 내각}}}}}}]]
||
|| ||<width=20%> {{{-2 98대}}}[br][[미야자와 기이치]] ||<width=20%> {{{-2 99대}}}[br][[고사카 젠타로]] ||<width=20%> {{{-2 100대}}}[br][[하토야마 이이치로]] ||<width=20%> {{{-2 101·102대}}}[br][[소노다 스나오]] ||<width=20%> {{{-2 103대}}}[br][[오키타 사부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60%><bgcolor=#3CA324>
[[스즈키 젠코|{{{#fff {{{-2 스즈키 내각}}}}}}]]
||<width=40%><bgcolor=#3CA324>
[[나카소네 야스히로|{{{#fff {{{-2 나카소네 내각}}}}}}]]
||
|| ||<width=20%> {{{-2 104대}}}[br][[이토 마사요시]] ||<width=20%> {{{-2 105대}}}[br][[소노다 스나오]] ||<width=20%> {{{-2 106대}}}[br][[사쿠라우치 요시오]] ||<width=20%> {{{-2 107·108대}}}[br][[아베 신타로]] ||<width=20%> {{{-2 109대}}}[br][[구라나리 다다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3CA324>
[[다케시타 노보루|{{{#fff {{{-2 다케시타 내각}}}}}}]]
||<width=20%><bgcolor=#3CA324>
[[우노 소스케|{{{#fff {{{-2 우노 내각}}}}}}]]
||<width=20%><bgcolor=#3CA324>
[[가이후 도시키|{{{#fff {{{-2 가이후 내각}}}}}}]]
||<width=40%><bgcolor=#3CA324>
[[미야자와 기이치|{{{#fff {{{-2 미야자와 내각}}}}}}]]
||
|| ||<width=20%> {{{-2 104대}}}[br][[우노 소스케]] ||<width=20%> {{{-2 105대}}}[br][[미쓰즈카 히로시]] ||<width=20%> {{{-2 106대}}}[br][[나카야마 타로]] ||<width=20%> {{{-2 107·108대}}}[br][[와타나베 미치오]] ||<width=20%> {{{-2 109대}}}[br][[무토 가분]]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16.5%><bgcolor=#037766>
[[호소카와 모리히로|{{{#fff {{{-2 호소카와 내각}}}}}}]]
||<width=23.5%><bgcolor=#007cda>
[[하타 쓰토무|{{{#fff {{{-2 하타 내각}}}}}}]]
||<width=20%><bgcolor=#173283>
[[무라야마 도미이치|{{{#fff {{{-2 무라야마 내각}}}}}}]]
||<width=40%><bgcolor=#3CA324>
[[하시모토 류타로|{{{#fff {{{-2 하시모토 내각}}}}}}]]
||
|| ||<width=20%> {{{-2 116대}}}[br][[하타 쓰토무]] ||<width=20%> {{{-2 117대}}}[br][[가키자와 고지]] ||<width=20%> {{{-2 118대}}}[br][[고노 요헤이]] ||<width=20%> {{{-2 119·120대}}}[br][[이케다 유키히코]] ||<width=20%> {{{-2 121대}}}[br][[오부치 게이조]]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2.5%><bgcolor=#3CA324>
[[오부치 게이조|{{{#fff {{{-2 오부치 내각}}}}}}]]
||<width=17.5%><bgcolor=#3CA324>
[[모리 요시로|{{{#fff {{{-2 모리 내각}}}}}}]]
||<width=60%><bgcolor=#3CA324>
[[고이즈미 준이치로|{{{#fff {{{-2 고이즈미 내각}}}}}}]]
||
|| ||<width=20%> {{{-2 122대}}}[br][[고무라 마사히코]] ||<width=20%> {{{-2 123·124·125대}}}[br][[고노 요헤이]] ||<width=20%> {{{-2 126대}}}[br][[다나카 마키코]] ||<width=20%> {{{-2 127대}}}[br][[고이즈미 준이치로]] ||<width=20%> {{{-2 128·129대}}}[br][[가와구치 요리코]]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30%><bgcolor=#3CA324>
[[고이즈미 준이치로|{{{#fff {{{-2 고이즈미 내각}}}}}}]]
||<width=30%><bgcolor=#3CA324>
[[제1차 아베 신조 내각|{{{#fff {{{-2 아베}}}}}}]] [[제1차 아베 신조 개조내각|{{{#fff {{{-2 내각}}}}}}]]
||<width=20%><bgcolor=#3CA324>
[[후쿠다 야스오 내각|{{{#fff {{{-2 후쿠다}}}}}}]] [[후쿠다 야스오 개조내각|{{{#fff {{{-2 내각}}}}}}]]
||<width=20%><bgcolor=#3CA324>
[[아소 내각|{{{#fff {{{-2 아소 내각}}}}}}]]
||
|| ||<width=20%> {{{-2 130·131대}}}[br][[마치무라 노부타카]] ||<width=20%> {{{-2 132·133대}}}[br][[아소 다로]] ||<width=20%> {{{-2 134대}}}[br][[마치무라 노부타카]] ||<width=20%> {{{-2 135대}}}[br][[고무라 마사히코]] ||<width=20%> {{{-2 136대}}}[br][[나카소네 히로후미]]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16.5%><bgcolor=#EC1C24>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fff {{{-2 하토야마 내각}}}}}}]]
||<width=63.5%><bgcolor=#EC1C24>
[[간 나오토|{{{#fff {{{-2 간 내각}}}}}}]]
||<width=20%><bgcolor=#EC1C24>
[[노다 요시히코|{{{#fff {{{-2 노다 내각}}}}}}]]
||
|| ||<width=20%> {{{-2 137·138대}}}[br][[오카다 가쓰야]] ||<width=20%> {{{-2 139대}}}[br][[마에하라 세이지]] ||<width=20%> {{{-2 140대}}}[br][[에다노 유키오]] ||<width=20%> {{{-2 141대}}}[br][[마쓰모토 다케아키]] ||<width=20%> {{{-2 142대}}}[br][[겐바 고이치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5%><bgcolor=#d7003a>
[[아베 내각|{{{#fff {{{-2 아베 내각}}}}}}]]
||<width=10%><bgcolor=#d7003a>
[[스가 내각|{{{#fff {{{-2 스가 내각}}}}}}]]
||<width=45%><bgcolor=#d7003a>
[[기시다 내각|{{{#fff {{{-2 기시다 내각}}}}}}]]
||
|| ||<width=20%> {{{-2 143·144대}}}[br][[기시다 후미오]] ||<width=20%> {{{-2 145·146대}}}[br][[고노 다로]] ||<width=20%> {{{-2 147-149대}}}[br][[모테기 도시미쓰]] ||<width=20%> {{{-2 150대}}}[br][[기시다 후미오]] ||<width=20%> {{{-2 151대}}}[br][[하야시 요시마사]]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d7003a>
[[기시다 내각|{{{#fff {{{-2 기시다 내각}}}}}}]]
||
|| ||<width=20%> {{{-2 152대}}}[br][[가미카와 요코]]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군마 5구)
선거제도 개편제41대
오부치 게이조
제42~49대
오부치 유코

일본국 제84대 내각총리대신
오부치 게이조
小渕恵三 | Obuchi Keizō
[1]
파일:오부치 케이조 전 총리.jpg
출생1937년 6월 25일
군마현 아가츠마군 나카노조정
사망2000년 5월 14일 (향년 62세)
도쿄도 분쿄구 준텐도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재임기간제84대 내각총리대신
1998년 7월 30일 ~ 2000년 4월 5일[2]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오부치 미쓰헤이(1904 ~ 1958)
어머니 오부치 치요(1906 ~ 1996)
형제형 오부치 미쓰헤이[1](1930 ~ 2008)
배우자오부치 치즈코
자녀장남 오부치 쓰요시
장녀 오부치 아키코
차녀 오부치 유코
신장168cm[2]
학력가쿠슈인 중등과 (졸업)
도쿄도립 키타고등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문학부 (영문학 / 학사)
와세다대학 대학원 (정치학 / 석사)
정당

지역구군마 5구
의원 선수12 (중)
의원 대수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약력중의원 의원
제10대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
제29대 총리부총무장관
제49대 내각관방장관[3]
제27대 자유민주당 간사장
제13대 자유민주당 부총재
제126대 외무대신
제18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84대 내각총리대신

[1] 아버지랑 이름이 똑같다. (光平(みつへい) 전직 정장(한국으로 치면 군수나 읍장, 면장 정도)[2] 딸과 키가 같다.[3] 후술할 헤이세이 아저씨 당시의 직책.
1. 개요
2. 생애
2.1. 헤이세이 아저씨
2.2. 식은 피자에서 근성의 총리로
2.3. 재임 중 과로사
3. 한국과의 관계
4. 선거 이력
5. 기타
6.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일본정치인. 다케시타 노보루를 중시조로 하는 자민당보수본류 파벌 헤이세이 연구회 회장으로, 제84대 총리를 재임했다. 오늘날엔 한일 관계 관련해 김대중 오부치 선언으로 더 잘 알려진 총리이다.


2. 생애[편집]



1937년 6월 25일 군마현의 나카노조 마을에서 태어났다. 도쿄에서 북쪽으로 약 13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 나카노조는 대략 일본의 주요 섬 혼슈의 중앙에 있으며 산으로 둘러싸인 푸른 환경에 있다고 한다. 게이조의 부친은 비단 공장장이었다. 게이조는 오부치 미쓰헤이와 그의 아내 치요의 둘째 아들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당시에 반장을 지냈다고 한다. 초등학교에서 지방 중학교로 진학한 그는 13세때 당시 중의원으로 있던 아버지의 권유로 도쿄의 유명 사립 중학교인 가쿠슈인 중등과로 전학했다. 중학생 때는 산수와 자연 과목을 잘했다고 한다. 그러나 상류층만 다녔던 학교였기에 중산층 출신인 오부치는 촌놈, 서민이라고 왕따(...)를 당하게 되어[3] 가쿠슈인 고등과 진학을 포기하고 다른 공립 고등학교로 진학하였다. 고등학생 때는 친구들과 후지산 등산을 즐겼다고도 한다.

오부치는 부친인 오부치 미쓰헤이(재선 의원)가 4번씩이나 낙선[4]하는 것을 보고『죽어도 정치는 하지 않겠다!』며 강하게 의지를 드러내고 고등학생 때부터 꿈꿔왔던 국제 무대에서 역할을 맡기 위해 부모님의 뜻과 다르게 문학부 영문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열심히 준비하여 1958년 와세다대학 문학부 영문학과에 입학했다. [5] 입학 후 셰익스피어에 몰두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가 두 번째로 하원에 선출된 후 1958년 54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을 때 오부치는 정치의 세계로 들어감으로써 아버지의 임무를 수행하기로 결심했다.

대학생 시절 국제무대에 서는 꿈을 접고, 정치가의 꿈으로 전향한 오부치는 정치인으로서 다양한 것을 경험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외국에 여행을 가기로 결심한다. 여행을 가기 위해 접시닦이, 카메라 조수 등 각종 아르바이트를 열심히 하여 돈을 모아 대학 졸업 직후인 1963년 1월에 무려 9개월 동안 남미, 북미, 유럽, 중동, 스리랑카 등 38개국 장기 여행을 시작했다. 지금도 저 정도 나라를 여행하는 사람은 드물다는 것과 요즘 젊은 세대들의 희망사항이기도 하기에 나름 시대를 앞선 배낭 여행의 선배로 봐도 무방하다. 그는 워싱턴 여행 중, 모았던 돈을 다 써버린지라 남은 돈으로 당시 동서 냉전 중이던 독일 베를린에 가서 자신이 카메라 조수 아르바이트 한 것을 경험 삼아 독일 방송국에서 우여곡절 끝에 카메라 아르바이트를 했다고 한다. 무거운 카메라를 어깨에 지고 일일이 뛰어다녔다고 하는데 너무 무거워서 어깨와 허리가 나갈 뻔했다고 하며, 다행히 돈을 마련하고 다시 일본으로 귀국했다고 한다. 이런 여행의 경험으로 여러 사회 현상을 지켜봤고, 또 여행을 통해 많은 것을 느꼈다고 한다. 이후 성실했던 정치인의 모습이나 한국 등 세계에 우호적인 입장을 가지고 실천적으로 노력한 모습도 여행을 하면서 느낀 바가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된다. 즉, 38개국 여행이 자신이 변하는데 여러모로 도움이 된 것이다. 이 세계여행이 이미지 메이킹을 위한 영리한 선택이었다는 설도 있는데, 아래 문단에도 적혀 있지만 당시 같은 지역구의 경쟁자 중 거물들이 많았기에, 이들과 경합하기 위해서는 신선한 청년이라는 이미지를 줄 필요가 있었고 세계기행이 그를 위한 스펙 메이킹이었다는 것.

이와 같이 대학생 시절 아버지의 급서 이후로부터 정치가로서 소양을 쌓기 위해 노력하였고 대학원 재학 중 아버지의 지반을 이어 총선거에 출마, 26세의 나이로 처음 당선되어 그의 정치 인생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당선 동기로 동갑내기이며 역시 26세에 당선된 하시모토 류타로 전 총리가 있다. 참고로 당시 그의 지역구인 舊 군마현 제3구는 나카소네 야스히로, 후쿠다 다케오, 일본사회당 소속 야마구치 츠루오 의원 같은 당대의 거물들이 버티고 있던 곳이었고 중선거구제 하에서 오부치는 나카소네, 후쿠다는 물론 야마구치 츠루오에게도 밀려 4위 턱걸이로 당선된 경우가 많았다.[6] 소선거구제로 전환된 현재 군마현에도 이들 가문의 영향력이 건재해, 중의원 의원 5명 중 3명이 총리의 혈족이다. 군마현 제1구엔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손자 나카소네 야스타카, 군마현 제4구엔 후쿠다 다케오의 손자이자 후쿠다 야스오의 아들인 후쿠다 다쓰오가 있으며 군마현 제5구오부치 유코가 오부치 게이조의 딸이다.

2.1. 헤이세이 아저씨[편집]


그는 다케시타 노보루의 측근이자 그의 파벌인 다케시타파의 유력 차기 주자 그룹인 다케시타파 칠봉행의 일원으로 다케시타 내각[7]에서 요직인 내각관방장관을 맡아 다케시타를 보좌했고, 관방장관 재임중이던 1989년 쇼와 덴노가 붕어한 후 수상관저에서 새로운 연호헤이세이를 공표했다. 1989년(쇼와 64년) 1월 7일 오후 1시경(이 때는 쇼와 덴노가 사망한 날)에 발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파일:헤이세이 아저씨.jpg

新しい元号は「平成」であります。

새로운 연호는 헤이세이입니다.


이 장면은 지금도 쇼와 시대에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하는 시대의 상징적인 장면이 되었고, 연호가 써 있는 액자를 들고 있는 오부치 관방장관은 '헤이세이 아저씨(平成おじさん)'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8][9] 이 별명은 30년 후 레이와라는 새로운 연호(21세기에 처음으로 발표된 연호)를 발표한 '레이와 아저씨(令和おじさん)'가 물려받았다.

이후 사가와 규빈 사건에서 분열한 다케시타파를 추슬러 자신의 파벌인 헤이세이 연구회로 발전시켜 당내 최대 파벌 오부치파 회장이 되었으며, 1995년 라이벌 하시모토 류타로가 자민당 총재에 취임해 잠시 당 특별고문으로 물러났다가, 1997년 9월 하시모토 내각 외무대신에 취임하였고 이듬해 총리대신에 취임한다.

참고로, 오부치 장관이 들고있는 헤이세이의 서(書)는, TV 감정평가 프로그램에 출품되어 그 행방이 확인되었다. 출품자는 당시 총리인 다케시타 노보루의 손자 DAIGO.

2.2. 식은 피자에서 근성의 총리로[편집]


당시 일본 역시 다른 아시아 국가들처럼 경제 위기가 심각한 상황이었는데, 오부치는 관방장관과 외무대신 등 경제와 별 관련없는 부처를 거쳤기에 경제위기 대처능력에 대한 기대감이 낮았고[10], "3일이면 오래 간다", "식은 피자(冷めたピザ)" 등의 별명으로 여론으로부터 전방위로 불신을 샀다.

미국 뉴욕타임즈 98년 7월 13일 기사 Fresh Faces Are Few For Top Job In Japan에 존 뉴퍼[11]의 코멘트가 실렸는데, 그 중 "Obuchi has all the pizzazz of a cold pizza(오부치는 식은 피자 정도의 활력/매력이 있을 뿐이다.)[12]라는 문구가 있었고, 이것이 일본 내 언론에 확대 재생산 되면서 식은 피자라는 별명이 유명해진 것.

이에 오부치는 출마 회견에서 "식은 피자도 전자레인지에 데우면 따뜻해진다" 라고 맞받아치고, 98년 7월 18일 저녁 그의 집 앞에서 대기하던 기자들에게 따뜻한 피자를 돌리며 자신이 식은 피자가 아님을 강조하는 퍼포먼스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 방송에서 "레인지로 데운 피자는 맛이 없다."며 물고 늘어져 피자 논쟁이 이어지기도.

파일:attachment/오부치 게이조/obuchi-pizza.jpg

이 일화로 1998년 타임지에 피자를 들고 있는 사진이 표지로 선정되는 위엄(?)을 달성하기도 했다.

오부치는 "인기의 하시모토, 실력의 오자와, 인품의 오부치"라는 말처럼[13] 적을 만들지 않는 온화한 인품과 특유의 근성으로 이런 위기를 돌파했는데, 대표적으로 각계에 전화를 걸어 의견을 수렴하는 등 경청하는 자세로 정국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갔다. 결국 재임기 별 탈없이 원만하게 이끌어 나간다는 평으로 바닥을 치던 지지율은 후반기에 50%를 돌파하게 되면서 총리로서 평판을 높이게 되었다. 관련 영상.

또한 경제통이자 미국통인 미야자와 기이치 전 총리에게 대장대신을 맡도록 설득한 것도 도움이 되었다. 이때 했던 정책이 대량의 감세와 "국채 팔기" 정책. 물론 훗날 이 국채 팔기 정책이 빚더미 일본의 기초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일본 국채 자체가 자국민들에게 파는 국채가 많아서 재정적으로 아주 심각한 부담은 되지 않았단 의견도 있으며, 어찌 됐든 당시엔 급한 불은 껐다. 그렇게 경제 위기를 돌파하면서 결국 식은 피자라는 비아냥에서 시작했지만 오부치 폰으로 대표되는[14] 근성의 총리라는 평가를 얻는데 성공한다.

1998년 11월엔 23조엔 규모의 긴급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는데, 이때 실제로 국민들에게 현금성 상품권을 배부하기도 했다. 약 3,500만 명에게 '고향쿠폰'이라는 상품권을 배부하는데(대상자 1인당 2만엔 꼴) 여기에 실제로 7천억엔이 소요되었다. 하시모토 류타로 정권 시절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다시 자극하려는 의도였다.



사망 직전인 총리 집권 마지막 해인 2000년 모습.

오키나와에도 많은 관심을 쏟았는데, 혹자는 오키나와를 생각해준 마지막 리더라는 평까지 할 정도. 강력한 진흥정책과 2000년 제 26차 G8 규슈-오키나와 정상회의를 개최한 것이 대표적이다. 슈레이몬이 그려져 있는 2천 엔권 지폐도 이 시기에 발행한 것.


2.3. 재임 중 과로사[편집]


혼수상태이며 인공호흡기로 호흡을 하고 있습니다.

아오키 미키오 총리 권한대행 겸 내각관방장관 발언


사실 오부치는 총리 이전부터 병원에 자주 입원할 정도로 심장이 좋지 않은 상태였는데, 총리가 된 이후부턴 쉬지 않고 여러 사람들과 만나며 직무를 무리하게 수행한 탓에 몸에 이상증세가 찾아왔다. 뇌경색이 찾아온 결정적 계기는 2000년 4월 1일 토요일 오자와 이치로와 연립정부를 구성하려 했지만 오자와 당수가 연정탈퇴를 표명하자 그 영향으로 큰 충격을 받은 걸로 추정된다. 이때 경색된 표정으로 관저로 복귀하던 도중 기자들의 질문에 10초간 말을 하지 못했고, 4월 2일 새벽에 관저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송 직후 검사 결과 뇌사식물인간 상태로 발전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FNN, KBS, MBC, SBS 보도문)[15]

그렇게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자, 4월 3일부터 아오키 미키오 내각관방장관을 총리 권한대행으로 하는 내각이 출범되었다. 다만 이때 언론에선 오부치 총리가 쓰러진 4월 2일 새벽부터 뇌경색 사실이 밝혀진 4월 3일까지 내각에서 총리가 쓰러졌다는 사실을 극비에 부친 것과 13시간 동안이나 총리 공백 상태가 유지되었다는 것을 국기위기 관리 체제 부실과 관련해 비판하기도 했다.

4월 5일 신임 총리로 모리 요시로를 정식 내정했다. 모리 요시로 내각이 정식으로 출범한 이후 오부치는 총리로서의 임기가 종료되었고, 결국 1달 뒤인 5월 14일 도쿄도 분쿄구 준텐도대학 부속병원(약칭 준텐도병원)에서 사망했다. 일본 총리가 재임 중 사망하는 것은 하라 다카시, 가토 도모사부로, 가토 다카아키, 이누카이 쓰요시, 오히라 마사요시 이후 여섯 번째였으며 이들 중 하라와 이누카이는 병사가 아니라 암살당해 죽었다. 하마구치 오사치의 경우 암살미수에서 살아남았으나 3개월 이상 입원 치료를 받느라 시데하라 기주로 당시 외무대신에게 권한대행을 맡겼고, 직무 복귀 후에도 한 달 만에 사임했으며 피격 10개월 만에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6월 8일 열린 장례식에서는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가 추도사를 낭독했고,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도 참여했으며, 김대중 대통령도 장례식에 참석하여(대한민국 대통령 최초의 외국 정상 장례식 참석) 애도의 뜻을 전했다.(MBC 영상1, 영상2, KBS) 또한 클린턴 미 대통령이 오부치 총리 장례식에 참석하여 그의 영정에 고개를 90도로 숙여 인사하여 조문을 하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오부치가 타계한 지 겨우 한 달밖에 안 된 6월 19일에 오부치가 관방장관 시절 헤이세이 연호를 발표할 적의 총리이자 와세다대학 선배이기도 했던 다케시타 노보루 총리까지 세상을 떠났다. 한 달 간격으로 전/현직 총리를 두 명이나 보내는 비보를 맞은 것이다.[16]

2001년에는 규슈-오키나와 G8 정상회의가 열렸던 오키나와 정상회의장 앞에 오부치 게이조 총리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졌고, 2002년에는 고향인 군마현에도 동상이 세워졌다.

재임 시기 국민들과 소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 총리인 만큼 재임 중후반기엔 인기도 제법 있었고, 그가 병으로 사망했을 땐 많은 사람들이 조문했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그의 재임 시절에 대한 기억이 희미하거나 없는 1990년대 이후 출생자들에게는 '전임 수상'보다는 '헤이세이 연호의 발표자'로 더 알려진 편이다.


3. 한국과의 관계[편집]


파일:0401201010095348700053487018697.jpg
내각총리대신 시절인 1998년 10월, 도쿄 영빈관에서 일본을 공식 방문한 김대중 대통령과 함께 악수하는 모습.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은 '한일 파트너십'이라고도 불리는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일본이 과거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커다란 피해와 고통을 안겨준 역사적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통절한 반성과 마음에서의 사죄(痛節な反省と心からの謝り)'를 했다.


오부치는 한국과의 원만한 관계를 외교적 수사 뿐만 아니라, 행동으로도 취하기 위해 제법 노력한 총리였다. 한국에도 나름 우호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그의 수상 재임시기 한일관계는 원만했다. 이후의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등과 함께, 헤이세이 시대의 일본 총리들 중에서 한국에 우호적이었던 대표적 사례.[17] 수상 재임 이전에도 1987년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당시엔 일본의 내각관방장관이었으며, 하치야 마유미와 하치야 신이치의 정체를 밝히는데 도움을 주었다.

총리 시절인 1998년에는 한국을 방문해 당시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과 한일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방문에서 오부치 총리는 일본의 과거 식민지배에 대해 '가해자=일본, 피해자=한국, 그리고 사죄'라는 보다 직접적이고 분명한 표현을 했다. 해당 영상.

이전에도 일본의 사과에는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 등이 있기는 했지만, 둘 다 한국에 대해 직접적인 사과가 아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김대중 오부치 선언(한·일 파트너쉽 공동선언) 내의 사과는 한국을 지칭한 사과라는 점[18], 기존의 담화형식이 아닌 공식문서화 했다는 점, 자민당 보수정권의 사과라는 점에서 상당히 진일보한 사과라고 볼 수 있다.[19] 김대중 대통령도 이 같은 일본의 역사 인식 표명을 진지하다고 평가했다. 참고로 이후 일본 총리들은 딱 이 수준 혹은 더 못한 수준에서 사과 발언들을 했다.

그리고 김대중 대통령은 오부치 총리에게 일본 대중문화 개방 조치를 추진할 것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것이 11개 항목(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쉽 공동선언)의 핵심 내용과 43개 항목(부속서: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쉽을 위한 행동계획)의 행동 계획으로 구성된 이른바 '김대중-오부치 게이조 선언'이다. 한국은 미래를 바라보고, 일본은 과거를 되돌아본다는 취지로 지금도 한일관계에서 대표적인 양국 협력 선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여담으로 오부치 총리는 김 대통령이 써준 '경천애인' 휘호를 좌우명으로 삼고 있다면서 여기에는 한일 양국 국민간의 사랑과 협력의 뜻도 들어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나가는 김 대통령을 붙잡고 웃으면서 친근하게 말하기도 했다. 관련 영상.

또한 1999년 방한 당시에는 해인사를 방문해 팔만대장경을 돌아봤고(MBC 뉴스), 동시에 일부 학생들의 시위에도 불구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일본 총리로는 최초로 강연을 하였는데, 어색한 한국말로 "오늘은 고려대학교에 초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그 외 오부치 총리는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 여성 다우치 치즈코[20] 여사가 전남 목포시에 설립한 고아원 공생원에 매화나무 묘목 20그루를 보내기도 했고, 2008년 공생원 설립 80주년 행사에는 오부치 총리의 부인인 오부치 치즈코 여사가 초청을 받아 방문했다. 오부치 총리 본인도 생전에 공생원 방문을 희망했으나 병세가 악화되어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망했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3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구)군마 3구

47,350 (14.7%)당선 (3위)초선
1967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61,543 (18.2%)재선
1969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50,185 (13.8%)당선 (4위)3선
1972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7,258 (9.7%)4선
1976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76,012 (18.5%)당선 (2위)5선
1979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62,375 (15.4%)당선 (3위)6선
1980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59,647 (14.6%)당선 (4위)7선
1983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028 (12.5%)8선
1986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75,289 (18.5%)9선
1990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76,932 (17.7%)10선
1993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9,440 (22.7%)당선 (1위)11선[21]
1996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군마 5구127,052 (70.7%)12선[22]

5. 기타[편집]


  • 그의 사후, 차녀 오부치 유코가 아버지와 똑같이 26세의 나이로 지역구인 군마현 제5구를 이어받아 당선되어 중의원에 입성했다.(자세한 내용은 오부치 유코 문서 참조)
  • 1989년(쇼와 64년) 1월 7일에 당시 내각관방장관시절에 새 연호인 헤이세이를 발표했다.해당영상[23]
  • 2000년 1월, 오부치 게이조가 발족한 자문기구 '21세기 일본의 구상'이 낸 보고서 중 '영어 제2공용어화 계획'이 수록된 게 밝혀져 일본 열도에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24] 그러나 해당 계획은 오부치 사후 사실상 사장(死葬)되었다.
  • 그의 별명 변천사는 헤이세이 아저씨→식은 피자→오부치 폰이다.
  • 평소 유머스런 말을 꽤 잘했다고 한다.
  • 정작 인터뷰를 할땐 쑥스러움을 제법 탔다. 그래서 기자들 질문에 답변할때 약간 부끄러움을 타는 것도 종종 볼 수 있었다.
  • 원래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았으나 정치생활을 하면서 시력이 나빠지기 시작해 안경을 착용하기 시작했다.
  • 총리 시절 잠버릇이 상당히 독특했다. 잠을 잘 때 바지만 잠옷으로 입고 웃옷은 양복 와이셔츠 차림 그대로 입고 잤다. 이유는 언제 비상사태가 생길지 몰라 출동할 일이 생기면 바지만 갈아 입고 곧바로 집무실로 출동하기 위해서였다. 이 정도로 일에 열심이었으니 과로사하지 않는 게 이상할 지경.
  • 평소 아이들을 좋아해 유치원에 방문하여 아이들과 사진을 찍어주는 경우도 있었다.
  • 생애 황소 모형을 좋아하여 젊은 시절부터 수집하기 시작해 집에 황소 모형으로 가득하다고 한다.
  • 오부치가 태어난 1937년은 '쇼와 12년'이며, 그가 과로사로 세상을 떠난 2000년은 '헤이세이 12년'이다.
  • 총리 시절이었던 1999년, 시카고 컵스의 홈 구장인 리글리 필드에서 시구를 한 적이 있다.해당영상
  • 총리 재임 시절 한 여성에게 "저 아세요?" 라고 물었는데 모른다는 답을 듣고 입을 붕어처럼 내민 채 연호 액자를 들고 있는 시늉을 하자 곧바로 알아 맞혔다고 한다.
  • 총리 재임 시절에 도쿄의 어느 라멘집에서는 그의 지지율 변동에 따라서 라멘값을 다르게 받았다는 소문이 있다.
  • 1999년 자민당 정치극 1년해당영상
  • 총리 시절 러시아에 방문했을 당시 러시아 털모자를 착용하고 행진한 적이 있다. 오부치 총리의 러시아 방문.
  • 오부치 총리의 독일 방문#
  • 오부치 총리의 폼페이 방문#
  • 오부치 총리의 중국 방문#
  • 오부치 총리의 프랑스 방문#, #
  • 오부치 총리의 필리핀 방문#


6. 대중매체에서[편집]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7기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에서 총리(한국판에서는 김대중 대통령) 역으로 특별출연 하기도 했다. 같은 해에 방영된 《흉내내기를 잘하는 마사오 군이라구》 편에서는 카자마 토오루(김철수)가 이 인물을 흉내 냈는데, 한국판에서는 김제둥으로 현지화 했다. 실제로 김제동과 외모가 비슷하다는 평을 받았다. 해당 장면 이후에 나오는 짱구의 식은 피자 드립은 상기된 내용에서 기인한 것. 다만 한국에서는 김제동과 식은 피자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었기에 좀 붕 뜬 느낌이 되어버렸다.

은혼 4기 2화 (267화) 엔딩이 끝나고 사카타 긴토키가 오부치 게이조의 연호를 공개하는 장면을 패러디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9:35:44에 나무위키 오부치 게이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에서는 (깊을 연)을 인명에서 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淵과 渕의 경우에는 신자체구자체의 관계가 아니며 이체자이다.[2] 연혁상의 공식적인 임기는 4월 5일까지이나 4월 3일부터 5일까지는 후술하듯 혼수상태에 빠져 아오키 미키오 당시 내각관방장관이 총리 권한대행을 했다. 재임 중에 아예 사망해버린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는 임기 종료일 = 사망일이지만 오부치 총리는 사망하지 않고 혼수상태였던 점을 반영하여 오부치 총리는 임기 종료일 = 모리 요시로 후임 총리 취임일이다.[3] 군마 촌동네 양잠업자 출신 중의원 의원의 아들이면 당시 화족에서 화족제 폐지 이후 얼마 되지도 않은 진짜 귀족의 자녀들의 입장에서 보면 천박한 촌놈으로 보일 만했다. 이 때문에, 총리 관저 홈페이지에 업로드된 개인 프로필 겸 일대기에 가쿠슈인 중등과 시절에 대한 언급은 지방 중학교에서 가쿠슈인 중등과로 전학했다는 내용만 있을 정도다. 오부치 게이조의 소년 시절 프로필.[4] 첫 선거에서 낙선, 두번째 선거에서는 당선. 이후에는 3연속 낙선이었다.[5] 오부치는 역대 일본 총리들 중 유일한 어문계열 전공 총리다. 지금까지 문학사 총리는 오부치 본인의 선배이자 와세다대학 철학과 출신의 이시바시 단잔뿐이었고, 그 외에 모든 총리들의 전공은 (정규 대학을 졸업하지 못한 다나카 가쿠에이스즈키 젠코를 제외하고) 법학, 정치학, 상학, 그리고 사관학교 출신들이 전부였다. 그나마 나중에 공학부 출신의 하토야마 유키오, 물리학과 출신의 간 나오토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공계 전공 총리도 없었다.[6] 더 정확히 말하자면, 중선거구제 시절 (구) 군마 3구에서 나카소네 야스히로 vs 후쿠다 다케오가 1위 대결을 했고, 야마구치 츠루오 vs 오부치 게이조가 3위 대결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7] 우연의 일치인지 의도된 것인지는 당사자들만 알겠지만 둘 다 와세다대학 동문이었으며 다케시타 총리의 다다음 사람과 오부치 총리의 바로 다음 후임자도 동문. 오부치 총리 이전에는 이시바시 단잔 총리가 와세다대학 출신이었다. 일본 사회도 학연이 알게 모르게 많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오부치 총리의 전임자다다음 사람은 와세다대학의 영원한 숙적게이오기주쿠대학 출신이다. 대강 나열해보면 다케시타(와세다) - 가이후(와세다) - 하시모토(게이오) - 오부치(와세다) - 모리(와세다) - 고이즈미(게이오) - 후쿠다 야스오(와세다) - 노다 요시히코(와세다) 등 헤이세이 시대는 소케이 출신들이 2:1 비율로 번갈아가면서 총리를 해먹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중간중간에 타 대학 출신들도 없지는 않으며, 노다 이후는 8년간 세이케이대학 출신인 아베 신조가 독점하고 있었다가 스가 요시히데호세이대학 출신 첫 총리가 되었고 2021년 10월에 다시 와세다대학 출신인 기시다 후미오가 총리를 꿰차 와세다대학은 현재까지 총리를 8명 배출함으로써 도쿄대학의 뒤를 이어 두 번째로 총리를 많이 배출한 대학의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8] 한 일화로, 골프장에서 만난 대학생 여성에게 "나를 알고 있나요?"라고 물으면서 액자를 내거는 시늉을 했다고 한다.[9] 극장판 가면라이더 지오 Over Quartzer에서 가면라이더 발크스가 들고 있는 방패에 헤이세이 라이더 전원이 힘을 합쳐서 '헤이세이' 글씨로 구멍을 내 버리고 발크스가 이 광경을 쳐다보고는 벙찌는 장면으로 패러디되었다.[10] 전임 총리대신인 하시모토 류타로는 경제관계 대신직 중 최고 요직인 통상산업대신과 대장대신(現 재무대신)을 거쳤다.[11] 일본 영사관에서 일하거나 일본의 한 연구소에서 지내면서 정치 관련 뉴스기사를 송고하기도 한 인물.[12] 보면 알겠지만 pizzazz 와 pizza로 말장난을 유도했고, 존 뉴퍼 본인 스스로도 단순히 glib comment였다고 하는 등, 이렇게 일본에서 논란을 불러올 지 몰랐다고 한다. 존 뉴퍼는 이 일로 일본에 대해서 알지 못하는 자가 일본 정치에 대해 코멘트를 했다는 둥, 존 뉴퍼가 대체 누구냐는 둥 비난에 시달렸다.[13] 원래는 일본프로야구에서 비롯된 말로 인기의 세-리그, 실력의 파-리그(人気のセ、実力のパ)가 원본이다.[14] 짬날 때마다 아무에게나 불쑥불쑥 전화를 걸어 대화를 나누던 전화광이라 붙은 별명.[15] KBS 측은 이윤배 도쿄특파원(전 해설위원실장), MBC는 박광온 도쿄특파원, SBS는 조윤증 도쿄특파원(전 SBS미디어넷 사장)이 각각 보도했고, 이 중 박광온은 뉴스데스크 앵커이던 김은혜와 20년 후 21대 국회에서 경기도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만났다.[16] 비슷한 사례로 한국에서도 2009년 직접적인 전-후임 관계이자 같은 당 출신인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이 각각 5월과 8월에 연이어 타계한 일이 있었다.[17] 다만 하토야마 총리와 간 총리는 민주당 계열 출신의 총리들이었고, 때문에 오부치는 자민당 출신 총리로서는 거의 유일하게 한국과 가장 잘 맞았던 편이라고 할 수 있다.[18] 무라야마 담화는 아시아 식민지 국가들에 대한 사과였다.[19] 물론 당시 자민당 내부 강경파들은 이런 총리의 행보에 반발도 있었다고 한다. 반대로 보면 당시 김대중 정부가 이 수준까지의 행보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고도 볼 수 있다. 외교란 결국 주고 받는 것이기 때문.[20] 한국명 윤학자. 목포에서 고아들을 돌보는 복지 사업에 전념하여 광복 전후 목포시에서 명망을 얻었다.[21]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22] 임기 중 작고.[23]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시절 녹화한 VHS 비디오 영상이며 4:3 비율의 아날로그 감성이 돋보이는 아날로그 시절 일본의 인상깊은 영상자료다.[24] 공교롭게도 오부치는 와세다대학 영문과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