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코하마선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신칸센 총괄본부
파일:JRE-SKS.svg 도호쿠 신칸센 - 파일:JRE-SKS.svg 조에츠 신칸센 - 파일:JRE-SKS.svg 호쿠리쿠 신칸센
모리오카 지사
도호쿠 본선 - 오후나토선 - 키타카미선 - 카마이시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하나와선 - 야마다선 - 하치노헤선 - 오미나토선 - 오우 본선 - 츠가루선
아키타 지사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키타카미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우에츠 본선 - 오가선 - 고노선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조반선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센잔선 - 이시노마키선 - 케센누마선 - 반에츠토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야마가타 신칸센) - 요네사카선 - 아테라자와선 - 리쿠우토선 - 리쿠우사이선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죠에츠선 - 아가츠마선 - 료모선 - 신에츠 본선 - 하치코선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조반선 - 미토선 - 스이군선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파일:JRE-JO.svg 나리타선 - 카시마선 - 소토보선 - 토가네선 - 우치보선 - 쿠루리선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카와고에선 - 닛코선 - 카라스야마선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힌카쿠선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조반선 (파일:JRE-JJ.svg 조반 쾌속선 - 파일:JRE-JL.svg 조반 완행선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I.svg 츠루미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 파일:JRE-JK.svg 네기시선 - 사가미선 - 파일:JRE-JT.svg 이토선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CO.svg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C.svg 오메선 - 파일:JRE-JC.svg 이츠카이치선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하치코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신에츠 본선 - 우에츠 본선 - 죠에츠선 - 에치고선 - 야히코선 - 하쿠신선 - 요네사카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이야마선
나가노 지사
츄오 본선 - 코우미선 - 시노노이선 - 오이토선 - 신에츠 본선 - 이야마선
폐선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파일:JRE_Wlogo.svg
파일:JRE-JH.svg横浜線(よこはません
Yokohama Line
요코하마선
||
파일:2McO2wM.jpg

E233계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간선
기점하치오지역
종점히가시카나가와역
역 수20
노선기호JH
개업일1908년 9월 23일
소유자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운영자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파일:JR 화물 로고.svg
JR 화물
사용차량E233계 전동차[1]
차량기지카마쿠라 차량센터
노선 제원
노선연장42.6km
궤간1067mm
선로구성복선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자동폐색식
신호장비ATS-P
최고속도95km/h

파일:JR_Yokohama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요코하마선
요코하마→하치오지 방면 주행영상
1. 개요
1.1. 노선 데이터
2. 운행 계통
3. 차량
4. 역 목록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히가시카나가와(東神奈川)역과, 도쿄도 하치오지시하치오지(八王子)역을 잇는 JR 동일본의 간선 철도 노선이다.

도쿄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형 노선을 커버해주는 외곽 순환 노선의 역할을 해주며,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라인과 함께 도카이도 신칸센 신요코하마역 교통을 책임져주는 노선. 국철 7대 흑자 노선에도 들어가는 등 수익 면에서도 선전하고 있다.

이전 205계 당시 츄오-소부선 각역정차, 야마노테선케이힌토호쿠선처럼 6비차도 운행했었는데, 도쿄에도 들어가지 않는 노선[2]이 6비차라는 것은 그만큼 요코하마선의 수요가 어마어마하다는걸 증명한다. 다만 E233계 전동차가 도입된 이후 205계가 전량 퇴역하면서 6비차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노선 계획 당시에는 미나토미라이선과의 직결 운행도 고려되었지만 이미 그쪽이 도큐 도요코선이랑 직결하기로 결정되었고 또한 재정상 문제로 폐지. 현재는 동사 노선인 네기시선과의 직결 운행만 하고 있다. 노선할당기호는 K.


1.1. 노선 데이터[편집]



2. 운행 계통[편집]


출퇴근 시간대에는 극히 일부 열차만 네기시선에 직결하고, 기본적으로 요코하마선 내에서만 반복한다. 즉, 대부분의 열차가 하치오지(八王子)-히가시카나가와(東神奈川)역까지만 운행한다. 바로 다음 역이 요코하마역인데도 히가시카나가와역에서 끊기는 열차 때문에 이용객들의 불만이 상당수 있는 편. 이는 히가시카나가와-요코하마 구간을 케이힌토호쿠선과 공유하기 때문인데, 케이힌토호쿠선의 배차 간격이 굉장히 짧은 편[3]인데다 케이힌토호쿠선의 전 열차가 네기시선으로 직결하다보니 선로 용량이 매우 부족하다.

평시에는 기본적으로 아래의 운행 패턴을 20분 간격으로 반복한다.
쾌속 열차도 운행되며, 상행은 나카야마역에서, 하행은 마치다역에서 앞서가는 각역정차 열차를 추월한다.
이 시간대에는 과반수 이상의 열차가 사쿠라기쵸(桜木町)역까지 운행한다. 주말에는 요코하마 - 마츠모토 간 특급 '하마카이지'가 운행되기도 하였다.

당초엔 네기시선의 열차가 요코하마선, 케이힌토호쿠선으로 각각 1:1 비율로 직통 운행을 실시했기 때문에 요코하마선 주민들이 요코하마역으로 진입하는 것이 간단했다. 하지만 네기시선 연선 주민들의 "우리는 도쿄 (23구내) 가는 전철을 원합니다"라는 민원[4]에 점점 요코하마선 직통은 줄고, 대부분의 열차가 케이힌토호쿠선 직통 열차가 되어버렸다. 요코하마선인데 요코하마역을 못 가는 고자 신세가 되어버린 것. 대신 히가시카나가와행 열차의 경우 요코하마방면 열차와 동일승강장에서 환승이 가능하도록 조치해놓고 있다.


3. 차량[편집]


수도권에서는 얼마 남지 않은 205계 전동차 운행 노선이었으나, 사이쿄선과 함께 E233계 전동차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205계 전동차는 2014년 8월 23일부로 영업 운전이 종료되었고, H3, H5, H10, H16, H20, H26편성[5]을 제외한 나머지가 전부 자카르타로 팔려나갔다. 그리고 자카르타로 양도된 일부 편성은 난부선 동력객차 2칸을 집어넣어 10량으로 증결된 편성도 있다[6]우와 돈일본에서도 안 하던 짓을 또한 요코하마선과 직결하던 사가미선의 205계 조차 2022년 3월을 기하여 퇴역했기 때문에 205계는 요코하마선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참고로 H27, H28은 야마노테선 출신차량이며, 두 차량 모두 자카르타로 팔려가서 열심히 달리고 있다. H28편성은 야마노테선, 케이요선, 무사시노선을 거쳐서 2009년에 들어온 차량으로 유일하게 6비차가 없었다.[7]

요코하마선의 노선색은 연두색에 야마노테선과 구분하기 위한 녹색이 더해진 형태인데 205계 전동차때부터 적용되었다. 103계 전동차 시절에는 짬뽕편성에다가 대충 '요코하마선' 헤드마크만 붙이고 운행했다. 난부선처럼 가장 많은 색이 연두색이어서 노선색으로 정해진 것.[8]

취소선은 은퇴 차량

4. 역 목록[편집]


표기이름
쾌속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JR 동일본 요코하마선
노선역번호역명km쾌속환승노선소재지
직통운행일부 열차: 파일:JRE-JK.svg네기시선 오후나까지 직통운행



JK11사쿠라기초 (파일:JR_area_HAMA.svg)
(桜木町)
3.8JR 동일본 파일:JRE-JK.svg네기시선[11]
요코하마시 교통국 파일:YHSub-B.svg블루라인 (B18)








나카구
JK12요코하마 (파일:JR_area_HAMA.svg)
(横浜)
1.8¶JR 동일본 파일:JRE-JT.svg도카이도선 (JT05),
파일:JRE-JO.svg요코스카선 (JO13), 파일:JRE-JS.svg쇼난신주쿠라인 (JS13)
도큐 전철 파일:TK-TY.svg도요코선 (TY21)
사가미 철도 파일:Sotetsu-SO.svg본선 (SO01)
요코하마 고속철도 파일:YMRC-MM.svg미나토미라이선 (MM01)
케이큐 전철 파일:Keikyu-KK.svg본선 (KK37)
¶요코하마시 교통국 파일:YHSub-B.svg블루라인 (B20)
니시구





JK13히가시카나가와 (파일:JR_area_HAMA.svg)
(東神奈川)
0.0¶JR 동일본 파일:JRE-JK.svg케이힌토호쿠선[12]
케이큐히가시카나가와역 : 케이큐 전철 파일:Keikyu-KK.svg본선 (KK35)
카나가와구




JH13
JH14오구치 (파일:JR_area_HAMA.svg)
(大口)
2.2
JH15키쿠나 (파일:JR_area_HAMA.svg)
(菊名)
4.8¶도큐 전철 파일:TK-TY.svg도요코선 (TY15)코호쿠구
JH16신요코하마 (파일:JR_area_HAMA.svg)
(新横浜)
6.1JR 도카이 파일:JRC-SKS.svg도카이도 신칸센
¶요코하마시 교통국 파일:YHSub-B.svg블루라인 (B25)
¶사가미 철도 파일:Sotetsu-SO.svg 신요코하마선(SO52)
¶도큐 전철 파일:TK-SH.svg신요코하마선 (SH01)
JH17코즈쿠에 (파일:JR_area_HAMA.svg)
(小机)
7.8
JH18카모이 (파일:JR_area_HAMA.svg)
(鴨居)
10.9미도리구
JH19나카야마 (파일:JR_area_HAMA.svg)
(中山)
13.5¶요코하마시 교통국 파일:YHSub-G.svg그린라인 (G01)
JH20토카이치바 (파일:JR_area_HAMA.svg)
(十日市場)
15.9
JH21나가츠타 (파일:JR_area_HAMA.svg)
(長津田)
17.9¶도큐 전철 파일:TK-DT.svg덴엔토시선 (DT22), 파일:TK-KD.svg코도모노쿠니선 (KD01)
JH22나루세
(成瀬)
20.2도쿄도
마치다시
JH23마치다
(町田)
22.9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오다와라선 (OH27)
JH24코부치
(古淵)
25.7








미나미구
JH25후치노베
(淵野辺)
28.4주오구
JH26야베
(矢部)
29.2
JH27사가미하라
(相模原)
31.0
JH28하시모토
(橋本)
33.8¶JR 동일본 사가미선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사가미하라선 (KO45)
미도리구
JH29아이하라
(相原)
35.7

마치다시
JH30하치오지미나미노
(八王子みなみ野)
38.6하치오지시
JH31카타쿠라
(片倉)
40.0케이오카타쿠라역 :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타카오선 (KO48)
JH32하치오지
(八王子)
42.6¶JR 동일본 파일:JRE-JC.svg츄오 쾌속선 (JC22), 하치코선
케이오하치오지역 :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케이오선 (KO34)


5. 기타[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1:56:16에 나무위키 요코하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000번대[2] 정확히 말하자면 흔히 '도쿄'를 일컫는 도쿄 23구에 들어가지 않는다.[3] RH 4분, NH 6분[4] 타마 지역도 도쿄도긴 하지만 흔히 '도쿄'로 불리는 23구 지역과는 별개의 지역으로 취급된다.[5] 난부선 나하 17편성으로 개명되었지만 이것도 양도 못되고 나가노로 가서 최후를 맞았다.[6] 참고로 자카르타 양도 후에 작업된 것이다. 즉 3호차와 6비차 칸인 2호차 사이에 2칸이 들어간 편성도 있고 아니면 1호차와 6비차 칸인 2호차 사이에 들어간 편성도 있다.[7] 야마노테선 야테15편성 → 케이요선 케요23편성 → 무사시노선 M66편성 → 요코하마선 H28편성 순 [8] 한국의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색상은 약간 비슷한데, 연두색과 녹색 위치가 반대고 이쪽은 중간에 흰띠가 있다.[9] 네기시선 직통에 대응하여 D-ATC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다.[10] 녹색줄이 더해진것을 제외하면 야마노테선의 205계와 비슷해보였었다.[11] 일부 직통운행[12] 카와사키, 시나가와, 도쿄, 아키하바라, 미나미우라와, 오미야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