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노 쇼마

덤프버전 :

우노 쇼마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리샤르드 요한슨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안드레아스 크로그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2회1928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에른스트 바이어
5회1948 생모리츠파일:스위스 국기.svg 한스 게르슈빌러6회1952 오슬로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헬무트 자입트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미국 국기.svg 로널드 로버트슨8회1960 스쿼밸리파일:체코 국기.svg 카롤 디빈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10회1968 그르노블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
11회1972 삿포로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체트베루힌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14회1984 사라예보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
15회1988 캘거리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16회1992 알베르빌파일:미국 국기.svg 폴 와일리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18회1998 나가노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20회2006 토리노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
21회2010 밴쿠버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22회2014 소치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23회2018 평창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카기야마 유마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페르 토렌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마르틴 스틱스루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스위스 국기.svg 조르주 가우치2회1928 생모리츠파일:벨기에 국기.svg 로베르트 판제이브룩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몽고메리 윌슨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
5회1948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디 라다6회1952 오슬로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임스 그로건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데이비드 젠킨스8회1960 스쿼밸리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도널드 잭슨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앨런10회1968 그르노블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트릭 페라
11회1972 삿포로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트릭 페라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캐나다 국기.svg 톨러 크랜스턴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티크너14회1984 사라예보파일:체코 국기.svg 요제프 사보프치크
15회1988 캘거리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16회1992 알베르빌파일:체코 국기.svg 페트르 바르나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프랑스 국기.svg 필립 캉델로로18회1998 나가노파일:프랑스 국기.svg 필립 캉델로로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괴벨20회2006 토리노파일:캐나다 국기.svg 제프리 버틀
21회2010 밴쿠버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22회2014 소치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데니스 텐
23회2018 평창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페르난데스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 펼치기 · 접기 ]

1회(1896년) ~ 50회(1945년)
[ 펼치기 · 접기 ]

1회1896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길버트 푹스2회1897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3회1898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헤닝 그레난더4회1899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5회1900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6회1901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7회1902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8회1903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9회1904 베를린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10회1905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1회1906 뮌헨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길버트 푹스12회1907 빈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3회1908 트로파우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14회1909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5회1910 다보스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16회1911 베를린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7회1912 맨체스터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18회1913 빈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19회1914 헬싱키파일:스웨덴 국기.svg 괴스타 샌달20회1915취소WWI
21회1916취소WWI22회1917취소WWI
23회1918취소WWI24회1919취소WWI
25회1920취소WWI26회1921취소WWI
27회1922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28회1923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29회1924 맨체스터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30회1925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1회1926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32회1927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3회1928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34회1929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35회1930 뉴욕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36회1931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7회1932 몬트리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38회1933 취리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9회1934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40회1935 부다페스트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1회1936 파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42회1937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
43회1938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44회1939 부다페스트파일:영국 국기.svg 그래험 샤프
45회1940취소WWII46회1941취소WWII
47회1942취소WWII48회1943취소WWII
49회1944취소WWII50회1945취소WWII

51회(1946년) ~ 100회(1995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46취소WWII52회1947 스톡홀름파일:스위스 국기.svg 한스 게르슈빌러
53회1948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54회1949 파리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5회1950 웸블리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56회1951 밀라노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7회1952 파리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58회1953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59회1954 오슬로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60회1955 빈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61회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62회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63회1958 파리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64회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65회1960 밴쿠버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66회1961 프라하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1962 프라하파일:캐나다 국기.svg 도널드 잭슨68회1963 코르티나담페초파일:캐나다 국기.svg 도널드 맥퍼슨
69회1964 도르트문트파일:독일 국기.svg 만프레트 슈넬도르퍼70회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
71회1966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72회1967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3회1968 제네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74회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
75회1970 류블랴나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76회1971 리옹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77회1972 캘거리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78회1973 브라티슬라바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79회1974 뮌헨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80회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볼코프
81회1976 예테보리파일:영국 국기.svg 존 커리82회1977 도쿄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3회1978 오타와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티크너84회1979 빈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5회1980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86회1981 하트퍼드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87회1982 코펜하겐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88회1983 헬싱키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89회1984 오타와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90회1985 도쿄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91회1986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보이타노92회1987 신시내티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
93회1988 부다페스트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94회1989 파리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5회1990 핼리팩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96회1991 뮌헨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7회1992 오클랜드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빅토르 페트렌코98회1993 프라하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9회1994 치바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100회1995 버밍엄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101회(1996년) ~
[ 펼치기 · 접기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
[ 펼치기 · 접기 ]

1회1995-96 파리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우르마노프2회1996-97 해밀턴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3회1997-98 뮌헨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4회1998-99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
5회1999-00 리옹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6회2000-01 도쿄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7회2001-02 키치너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8회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9회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엠마뉴엘 산두10회2004-05 베이징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11회2005-06 도쿄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12회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라이언 주베르
13회2007-08 토리노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테판 랑비엘14회2008-09 고양파일:미국 국기.svg 제레미 애봇
15회2009-10 도쿄파일:미국 국기.svg 에반 라이사첵16회2010-11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
17회2011-12 퀘벡파일:캐나다 국기.svg 패트릭 챈18회2012-13 소치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19회2013-14 후쿠오카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20회2014-15 바르셀로나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1회2015-16 바르셀로나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22회2016-17 마르세유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3회2017-18 나고야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24회2018-19 밴쿠버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
25회2019-20 토리노파일:미국 국기.svg 네이선 첸26회2020-21 베이징취소COVID-19
27회2021-22 오사카취소COVID-1928회2022-23 토리노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29회2023-24 베이징파일:미국 국기.svg 일리야 말리닌30회2024-25 오를레앙파일:국기.svg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1회(1976년) ~ 50회(2025년)
[ 펼치기 · 접기 ]

1회1976 므제브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코커렐2회1977 므제브파일:캐나다 국기.svg 다니엘 버랜드
3회1978 므제브파일:캐나다 국기.svg 데니스 코이4회1979 아우크스부르크파일:소련 국기.svg 비탈리 이고로프
5회1980 므제브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6회1981 런던파일:미국 국기.svg 폴 와일리
7회1982 오버스트도르프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윌리엄스8회1983 사라예보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보먼
9회1984 삿포로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10회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러슨
11회1986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페트렌코12회1987 키치너파일:미국 국기.svg 러디 갈린도
13회1988 브리즈번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엘드레지14회1989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뱌체슬라프 자고로드뉵
15회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소련 국기.svg 이고르 파슈케비치16회1991 부다페스트파일:소련 국기.svg 바실리 예레멘코
17회1992 헐파일:소련 국기.svg 드미트리 페트렌코18회1993 서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예브게니 플리우타
19회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바이스20회1995 부다페스트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
21회1996 브리즈번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22회1997 서울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
23회1998 세인트 존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델모어24회1999 자그레브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클림킨
25회2000 오버스트도르프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판 린데만26회2001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위어
27회2002 하마르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28회2003 오스트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더 슈빈
29회2004 헤이그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그랴제프30회2005 키치너파일:일본 국기.svg 오다 노부나리
31회2006 류블랴나파일:일본 국기.svg 코즈카 타카히코32회2007 오버스트도르프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케리어
33회2008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34회2009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35회2010 헤이그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36회2011 강릉파일:캐나다 국기.svg 안드레이 로고자인
37회2012 민스크파일:중국 국기.svg 옌한38회2013 밀라노파일:미국 국기.svg 조슈아 패리스
39회2014 소피아파일:캐나다 국기.svg 남 응우옌40회2015 탈린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41회2016 데브레첸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다니엘 사모힌42회2017 타이베이파일:미국 국기.svg 빈센트 저우
43회2018 소피아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예로호프44회2019 자그레브파일:미국 국기.svg 토모키 히와타시
45회2020 탈린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모잘료프46회2021 하얼빈취소COVID-19
47회2022 탈린파일:미국 국기.svg 일리야 말리닌48회2023 캘거리파일:일본 국기.svg 미우라 카오
49회2024 타이베이파일:국기.svg ?50회2025 데브레첸파일:국기.svg ?

51회(2026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2026 탈린파일:국기.svg ?52회?파일:국기.svg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챔피언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데니스 텐
(2011)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2017)

파일:일본 빙상연맹.svg
전일본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1회(1929-30년) ~ 50회(1978-79년)
[ 펼치기 · 접기 ]

1회1929-30 닛코쿠보 마코토2회1930-31 센다이오이마츠 카즈요시
3회1931-32 시모스와사토 킹고4회1932-33 도쿄카타야마 토시카즈
5회1933-34 도쿄카타야마 토시카즈6회1934-35 도쿄카타야마 토시카즈
7회1935-36 도쿄키타가와 세이지8회1936-37 도쿄카타야마 토시카즈
9회1937-38 도쿄카타야마 토시카즈10회1938-39 도쿄칸다 히로시
11회1939-40 도쿄아리사카 류스케12회1940-41 도쿄아리사카 류스케
13회1941-42취소WWII14회1942-43취소WWII
15회1943-44취소WWII16회1944-45취소WWII
17회1945-46취소WWII18회1946-47 하치노헤아리사카 류스케
19회1947-48 모리오카아리사카 류스케20회1948-49 스와취소
21회1949-50 토마코마이사카이 카츠미22회1950-51 닛코아리사카 류스케
23회1951-52 도쿄?24회1952-53 도쿄잭 B. 조스트
25회1953-54 오사카코바야시 마사미즈26회1954-55 도쿄오하시 카즈오
27회1955-56 쿄토스기타 히데오28회1956-57 도쿄사토 노부오
29회1957-58 도쿄사토 노부오30회1958-59 오사카사토 노부오
31회1959-60 도쿄사토 노부오32회1960-61 도쿄사토 노부오
33회1961-62 오사카사토 노부오34회1962-63 도쿄사토 노부오
35회1963-64 도쿄사토 노부오36회1964-65 오사카사토 노부오
37회1965-66 토마코마이사토 노부오38회1966-67 도쿄코즈카 츠구히코
39회1967-68 도쿄코즈카 츠구히코40회1968-69 도쿄코즈카 츠구히코
41회1969-70 오사카히구치 유타카42회1970-71 도쿄히구치 유타카
43회1971-72 삿포로히구치 유타카44회1972-73 오사카사노 미노루
45회1973-74 교토사노 미노루46회1974-75 히로시마사노 미노루
47회1975-76 도쿄사노 미노루48회1976-77 도쿄사노 미노루
49회1977-78 교토이가라시 후미오50회1978-79 도쿄마츠무라 미츠루

51회(1979-80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1979-80 도쿄이가라시 후미오52회1980-81 도쿄이가라시 후미오
53회1981-82 도쿄이가라시 후미오54회1982-83 도쿄소메야 신지
55회1983-84 도쿄오가와 마사루56회1984-85 도쿄오가와 마사루
57회1985-86 도쿄오가와 마사루58회1986-87 도쿄오가와 마사루
59회1987-88 도쿄카노 마코토60회1988-89 도쿄카노 마코토
61회1989-90 기타큐슈후지 타츠야62회1990-91 요코하마카기야마 마사카즈
63회1991-92 고베카기야마 마사카즈64회1992-93 나고야카기야마 마사카즈
65회1993-94 요코하마아이카와 후미히로66회1994-95 고베아마노 신
67회1995-96 요코하마혼다 타케시68회1996-97 나가노혼다 타케시
69회1997-98 고베타무라 야마토70회1998-99 요코하마타케우치 요스케
71회1999-00 후쿠오카혼다 타케시72회2000-01 나가노혼다 타케시
73회2001-02 오사카타케우치 요스케74회2002-03 교토혼다 타케시
75회2003-04 나가노타무라 야마토76회2004-05 요코하마혼다 타케시
77회2005-06 도쿄다카하시 다이스케78회2006-07 나고야다카하시 다이스케
79회2007-08 카도마다카하시 다이스케80회2008-09 나가노오다 노부나리
81회2009-10 카도마다카하시 다이스케82회2010-11 나가노코즈카 타카히코
83회2011-12 카도마다카하시 다이스케84회2012-13 삿포로하뉴 유즈루
85회2013-14 사이타마하뉴 유즈루86회2014-15 나가노하뉴 유즈루
87회2015-16 삿포로하뉴 유즈루88회2016-17 오사카우노 쇼마
89회2017-18 도쿄우노 쇼마90회2018-19 오사카우노 쇼마
91회2019-20 도쿄우노 쇼마92회2020-21 나가노하뉴 유즈루
93회2021-22 사이타마하뉴 유즈루94회2022-23 카도마우노 쇼마
95회2023-24?96회2024-25?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우노 쇼마
宇野(うの 昌磨(しょうま | Shoma Uno
파일:우노 쇼마 프로필.jpg
출생1997년 12월 17일 (26세)
아이치현 나고야시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학력추쿄대학 부속 추쿄고등학교 (졸업)
추쿄대학 (스포츠과학부 / 중퇴)
종목피겨 스케이팅
신체158cm | 55kg | B형
코치스테판 랑비엘
소속토요타 자동차
랭킹 세계 2위[1]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어린 시절
2.2. 주니어 시즌
2.2.1. 2011-12 시즌
2.2.2. 2012-13 시즌
2.2.3. 2013-14 시즌
2.2.4. 2014-15 시즌
2.3. 시니어 시즌
2.3.1. 2015-16 시즌
2.3.2. 2016-17 시즌
2.3.3. 2017-18 시즌
2.3.4. 2018-19 시즌
2.3.5. 2019-20 시즌
2.3.6. 2020-21 시즌
2.3.7. 2021-22 시즌
2.3.8. 2022-23 시즌
3. 기술 및 평가
4. 기록
4.1. 세계신기록
4.2. 득점 이외의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6. 프로그램
7. 커리어
7.1. 대회 별 상세 점수
8. 기타



1. 개요[편집]


파일:beijinguno.webp
일본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ISU 공인대회에서 역사상 최초로 4회전 플립 점프를 성공했다.


2. 선수 경력[편집]



2.1. 어린 시절[편집]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mhqrelgSIs1qj4k69o1_500.jpg
어린 시절
어른 손바닥 크기의 미숙아로 태어나 유년기에는 천식으로 입퇴원을 반복했다고 한다. 건강해지기 위해서 축구와 테니스 등 갖가지 스포츠를 배웠는데 축구를 할 때는 몸싸움을 무서워해서 계속 골대 뒤에 숨어있었다고 한다. 5살 때 아이스하키를 배우러 갔다가 아사다 마오와 만났고 그 인연으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11살 때 2009-10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3위를 하며 유명세를 탔다.

국제대회에서도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국내에서는 또래에 적수가 없을 정도로 승승장구 했지만 곧 벽에 부딪혔다.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연습을 시작한 트리플 악셀을 무려 5년 동안 성공하지 못했다. 트리플 악셀을 하루에 100번 이상 뛰면서 연습 시간 대부분을 쏟아부었지만 소용이 없었고 주변 사람들이 하나둘씩 성공할 때마다 혼자 뒤쳐지는 것 같아서 괴로웠다고 한다. 본인도 이 시기를 피겨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기로 회상하고 있다.


2.2. 주니어 시즌[편집]



2.2.1. 2011-12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Lz[2], 3F+2T / 2A
프리3Lz, 2A+3T, 3F, 3Lo / 2A, 3Lo+2T, 3F+2T+2T, 3S

주니어 그랑프리 3차 폴란드 대회에서 4위를 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7차 에스토니아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으나,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는 진출하지 못하였다.

2011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는 5위, 2011 전일본선수권에서는 9위를 차지했다. 2012 인스브루크 청소년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여 은메달을 땄다. 또한 단체전에도 참가하여 금메달을 땄다. 201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


2.2.2. 2012-13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Lo+3T, 3F[3] / 2A
프리2A, 3Lo+2T, 3Lz, 3F, 3Lo / 3F+2T+2T, 2A+3T, 3S

주니어 그랑프리 5차 슬로베니아 대회에서 6위에 그쳤으나, 7차 독일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총점 180점을 돌파하며 은메달을 따냈다. 그러나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는 진출하지 못하였다.

2012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2위를 했고, 2012 전일본선수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7위를 했다.


2.2.3. 2013-14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F+3T, 2A / 3Lo[4]
프리3A, 3Lz, 3Lo / 2A+1Lo+3F, 3Lo+2T, 3F, 2A+3T, 3S

주니어 그랑프리 1차 2013 JGP 라트비아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 이어 4차 에스토니아 대회에서는 197점대를 기록했음에도 4위로 포디움 진입에 실패하며 또다시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이 무산되었다.

201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2위를 했고, 2013 전일본선수권에서는 7위를 했다. 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처음으로 70점을 넘기며 쇼트 3위에 올랐지만, 프리에서 5위를 기록하고 총점 200점을 넘기며 최종 5위로 마무리했다.


2.2.4. 2014-15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A, 3Lz[5] / 3F+3T
프리4T, 3A, 3A+2T, 2A+1Lo+3F, 3Lo, 3Lz, 3S, 3F+2T

주니어 그랑프리 4차 일본 대회에서 지난 시즌베스트 점수보다 약 13점 오른 총점 219.99점을 기록하며 은메달을 땄다. 이어 7차 크로아티아 대회에서는 총점 227.51점을 받아 첫 금메달을 따내며, 생애 첫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파이널에 앞서, 201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염원하던 트리플 악셀 랜딩에 성공하며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4-15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쇼트에서 75.21점으로 3위를 기록했으나, 프리 163.06점을 받아 1위에 오르고 총점 238.27점으로 최종 순위 1위에 등극하며 우승하였다. 특히 프리와 총점 부문에서 주니어 세계신기록[6]을 세웠다. 한 시즌 만에 환골탈태 2014 전일본선수권에서는 하뉴 유즈루에 이은 2위를 하며 처음으로 포디움에 올랐다.

2015 사대륙선수권에 첫 출전하여 쇼트에서 무려 88.90점을 받으며 쇼트 2위에 올랐다. 프리는 167.55점을 받아 5위를 기록하여, 총점 256.45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2015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84.87점을 받아, 주니어 세계신기록[7]을 세우고 당연히 쇼트 1위를 했다. 프리는 147.67점으로 2위였지만 총점 232.54점으로 진보양을 꺾고 주니어 세계선수권 우승자가 되었다. 여담으로 이 시즌 무라 타카히토의 조언으로 4회전 점프 연습을 시작했는데, 불과 몇 주만에 성공시켰다고 한다.


2.3. 시니어 시즌[편집]



2.3.1. 2015-16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3A, 4T / 3F+3T[8]
프리4T+2T, 3A, 3A+3T / 3Lo, 3S, 4T, 3Lz, 2A+1Lo+3F[9]
2015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5위를 하고, 처음 참가한 재팬 오픈에서는 비공인으로 프리 185.48점을 기록하며 개인 1위를 했다. 덤으로 일본 팀도 우승했다.

시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하여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첫 우승[10]을 했다. 따라서 시니어 첫 시즌에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 쇼트에서는 4위로 뒤쳐졌으나 프리에서 개인 최고점인 190.32점을 기록하며 하뉴 유즈루하비에르 페르난데스에 이은 동메달[11]을 획득했다.

2015 전일본선수권에서 하뉴 유즈루의 뒤를 이어 2위에 오르며 사대륙선수권세계선수권 대표로 선발되었다.

2016 사대륙선수권 쇼트에서 92.99점을 받아 개인 최고점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으나 프리에서 점프 실수로 최종 4위에 머물렀다. 첫 출전한 2016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 4위, 프리에서 후반 4회전 토룹 점프에서 넘어져 6위, 최종 순위 7위로 마감했다. 시즌 마지막 대회인 2016 팀 챌린지 컵에 출전하여 쇼트와 프리에서 국제 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4회전 플립 점프를 성공시켰다.


2.3.2. 2016-17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4T+3T / 3A
프리4Lo, 4F, 3Lz / 3A+3T, 4T, 4T+2T, 3A+1Lo+3F, 3S
재팬 오픈에서 비공인으로 프리 198.55점을 기록하며 개인과 모두 팀 1위를 했다.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여 프리에서 3번의 4회전 점프를 성공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하비에르 페르난데스에 이어 2위에 오르며 2년 연속으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그랑프리 파이널 쇼트 경기에서 시차 적응에 애를 먹으며 4위에 그쳤으나 프리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여 2년 연속 3위에 오른다.

디펜딩 챔피언 하뉴 유즈루가 독감으로 불참한 2016 전일본선수권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로 점쳐졌으나 쇼트에서 2번의 실수를 범하여 2위로 출발하였다. 마지막 순서로 연기한 프리에서는 집념의 연기를 보이며 프리 192.36점 합계 280.41으로 첫 우승을 차지했다.[12]

2017 사대륙선수권에서 역사상 4번째로 쇼트 100점을 돌파하였으며 프리에서 4회전 룹 점프를 처음 시도하여 성공했다. 총 3종류의 4회전 점프(4회전 토룹, 플립, 룹) 4개를 모두 성공했지만 2번의 트리플 악셀 점프에서 넘어져 합계 288.05점으로 3위에 올랐다.

사대륙선수권 1주일 후에 열린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2위, 프리에서 1위를 차지하며 합계 281.27로 우승했다. 세계선수권을 앞둔 3월에는 독일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프랭땅 컵에 출전하여 비공인 점수로 합계 303.68점을 돌파하며 우승했다.

2017 세계선수권 시차적응에 대비하여 10일 먼저 출국하여 현지에서 합숙 훈련을 했다. 세계선수권 쇼트에서 104.86점으로 개인 최고 기록을 4.58점 경신하며 2위로 출발하였다. 프리에서는 3회전 러츠 점프 실수를 제외하고 모든 점프를 성공하며 214.45점을 받아 합계 319.31점으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시즌 마지막 경기인 2017 월드 팀 트로피에 출전하여 남자 싱글 선수 중에서 쇼트 1위, 프리 2위 합계 점수로 팀 우승을 이끌었다.


2.3.3. 2017-18 시즌[편집]



2.3.3.1. 챌린저 시리즈~2018 사대륙선수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 4T+3T, 3A
프리4Lo, 4F, 3Lo / 3A, 4T+2T, 4T, 3A+1Lo+3F, 3S+3T
시즌 첫 경기로 2017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 출전하여 프리에서 4종 5쿼드+2번의 트리플 악셀이라는 괴물같은 구성을 클린에 가깝게 수행해냈다. 이로써 자신의 프리, 총점 공인 기록을 소폭 경신하며 2위와는 약 60점 차이로 우승했다. 그러나 재팬 오픈에서는 단 하나의 컴비네이션 점프도 성공하지 못하며 175.45점으로 개인 3위, 팀 2위에 머물렀다.

2017 스케이트 캐나다에 출전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2017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는 독감 후유증으로 컨디션 난조[13]를 보였지만 은메달을 따냈다. 이로써 3년 연속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고향인 나고야에서 열린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악셀에서 넘어졌고 시간 초과로 인한 감점을 받았다. 이로 인해 클린 경기를 펼친 네이선 첸에게 밀려 쇼트 2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이어진 프리 경기에서 네이선 첸이 쿼드러플 플립 착지 불안, 살코 더블링, 쿼드러플 러츠 스텝아웃, 쿼드러플 토룹에서 넘어지는 등 온갖 실수를 연발하였고, 우노는 두 번의 점프 실수를 제외하면 나름 준수한 경기를 펼쳐 프리 1위를 가져가게 되었다. 충분히 금메달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었으나, 총점에서 네이선 첸에게 단 0.5점 차이로 밀려 은메달을 획득하였다.시간초과와 트악의 합작이전 두 시즌 동안 동메달을 땄었던 사실을 생각하면 발전한 결과지만, 우승자가 소숫점 차로 갈리는 바람에 우노로서는 매우 아쉬운 일이었다.

2017 전일본선수권에서는 2년 연속 우승하며, 평창올림픽 출전을 확정지었다. 올림픽에 앞서 열린 2018 사대륙선수권에서 진보양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2.3.3.2. 2018 평창 동계올림픽[편집]

단체전 쇼트 경기에 출전하여 경쟁자들이 컨디션 난조를 보이는 가운데 100점을 돌파하며 1위에 올랐으며, 일본 팀은 5위를 기록했다.

개인전에서는 쇼트에서 클린 경기를 선보이며 104.17점을 받았다. 프리에서 마지막 순서로 경기했는데, 쿼드러플 룹에서 넘어지는 실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클린하며 202.73점을 받았다. 총점 306.90점으로 하뉴 유즈루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3.3.3. 2018 세계선수권[편집]

올림픽 프리 도중 무너진 스케이트 화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오른쪽 발등 부상을 당했으나, 다음 시즌 자국에서 열릴 2019 세계선수권의 출전권 확보를 위해 세계선수권 출전을 강행하였다. 공식 연습 도중 걷기도 힘들 정도로 부상이 악화되어 기권을 고려했으나, 점프 구성을 대폭 낮춘 뒤 진통제를 맞고 경기에 출전하였다. 그러나 구성을 낮춘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실수를 범하며 쇼트 5위로 출발하였고, 부상이 다소 회복세를 보이자 프리에서는 4번의 4회전 점프에 도전했다. 초반 4회전 점프에서 3번이나 넘어졌으나 후반부 컴비네이션 점프 3개를 연속으로 성공시켰다. 그리고 뒤이어 경기를 펼친 선수들의 실수가 이어지며 결국 최종 2위로 행운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로써 이번 시즌 A급 국제대회에서 모두 2위를 차지했다. 랜드슬램 달성!


2.3.4. 2018-19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4T+2T / 3A
프리4S, 4F, 4T / 4T+2T, 3A, 3A+1Eu+3F, 3S+3T
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했으며 재팬 오픈에서는 개인 1위, 팀 1위를 차지했다.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우승하면서 대회 2연패를 달성했고, NHK 트로피에서도 우승하며 1순위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쇼트와 프리 모두 네이선 첸의 뒤를 이어 2위를 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 전일본선수권에서는 무난하게 우승하였다.

2019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4위(91.76점)였으나 프리에서 역전하여 우승함으로써 시니어 데뷔 이후 첫 메이저 대회 타이틀을 얻었다. 콩라인 탈출! 참고로 프리에서 기록한 197.36점은 새로운 채점제 도입 이후 세계 신기록이기도 하다. 그러나 자국에서 열린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로 메달 획득에는 실패하였다. 2019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3위, 팀 2위를 기록했다.


2.3.5. 2019-20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4T+2T / 3A
프리4F, 4T, 3A, 3Lo / 4T+2T, 3A+1Eu+3F, 3S+3T
재팬 오픈에 참가하여 팀 2위, 개인 2위를 기록했다. 2019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는 우승했다. 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쇼트에서 트리플 악셀에서 넘어지고, 프리에서는 2번의 컴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한 것을 빼고는 모두 실패하여 본인의 역대 그랑프리 최하위 순위인 8위를 기록했다. 2019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9 전일본선수권부터 스테판 랑비엘을 코치로 정했으며, 처음으로 하뉴 유즈루를 제치고 우승했다. 이 대회가 끝나고 코치를 스테판 랑비엘로 변경하였다.


2.3.6. 2020-21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4T+2T / 3A
프리4S, 4F, 4T, 3A / 4T+2T, 3S+3T, 3A+1Eu+3F

2020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 배정받았으나 대회가 취소되어, 시즌 첫 대회로 2020 전일본선수권에 참가했고 하뉴 유즈루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2021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를 하며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21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7위, 팀 3위를 기록했다.


2.3.7. 2021-22 시즌[편집]



2.3.7.1. 그랑프리 시리즈~2021 전일본선수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4T+3T / 3A
프리4Lo, 4S, 4T+2T, 3A / 4F, 4T, 3A+1Eu+3F
재팬 오픈에 참가하여 팀 1위, 개인 1위를 기록했다.

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 2021 NHK 트로피에서 우승했다. 2021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3.7.2.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편집]

파일:단체전 쇼마.jpg
파일:쇼마 오보에 개인전.jpg
단체전 쇼트 경기에 참여하여, 모든 요소를 클린해 105.46점을 기록하며 네이선 첸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개인전에서는 쿼드러플 토룹+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손을 짚는 실수를 제외하고 완벽한 경기를 선보이며 105.90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감점 1점을 포함한 187.10점을 기록해 총점 293.00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3.7.3. 2022 세계선수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4T+3T / 3A
프리4Lo, 4S, 4T+2T, 3A / 4F, 4T, 3A+1Eu+1F

쇼트 경기에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109.63점을 받았다. 프리 경기에서는 쿼드러플 토룹 점프에서 스텝 아웃을 했고, 후반부 트리플 악셀+오일러+트리플 플립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후반 플립 점프를 싱글로 처리했다. 프리 점수 202.85점을 기록했고, 최종 312.48점을 받아 첫 세계선수권 우승을 달성했다.


2.3.8. 2022-23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F, 4T+3T / 3A
프리4Lo, 4S, 4F, 3A+2A+SEQ / 4T+3T, 3A, 4T+1Eu+3F
재팬 오픈에 출전하여 후반부의 쿼드러플 플립을 더블링 하는 실수와 컴비네이션 하나를 스킵하는 실수가 있었지만 193.80점으로 개인 1위, 팀 1위를 기록했다.
2022 스케이트 캐나다에 출전하여 4T+3T 컴비네이션에서 후속 점프를 싱글링 하는 실수를 하며 89.98점을 받았다. 프리에선 첫 점프인 4Lo의 랜딩 불안, 4S와 4F에서 쿼터 판정을, 후반 점프인 3A에서 언더, 4T에서 투풋으로 인한 언더 판정으로 감점을 받으며 183.17점을 받아 총점 273.1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출전한 2022 NHK 트로피에서 쇼트에서 4T에서 넘어지며 컴비네이션을 연결하지 못해 콤보 판정을 받으며 91.66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F을 더블링 하는 실수와 후반부 4T+3T 컴비네이션의 후속 토룹의 더블링, 컴비네이션 하나를 스킵하며 188.10점을 받아 총점 279.76점으로 1위를 차지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2022-23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컴비네이션의 후속 토룹 점프를 더블링 하며 99.99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후반부의 4T의 랜딩에서 프리렉이 닿으며 컴비네이션 하나를 연결하지 못했지만 204.47점으로 개인 최고점을 세웠다. 총점 304.46점으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전일본선수권 점프 구성
프리4Lo, 4S, 4F, 3A / 4T+3T, 4T, 3A+2A+SEQ
2022-23 전일본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4T의 후속 점프를 더블링하며 100.45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S를 더블링했고 4F에서 쿼터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으나 후반부에 두 개의 4T에 각각 3T과 2T을 연결했고 3A+2A+SEQ에 추가로 2A을 연결하며 191.28점을 받아 총점 291.73점으로 3년 만에 대회 다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23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쇼트에서 컴비네이션의 후속 토룹 점프를 더블 토룹으로 수행하였으며 스텝 시퀀스 레벨 3을 받은 것을 제외하면 깔끔한 수행을 하면서 104.63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살코에서 스텝 아웃을 했고, 후반 쿼드러플 토룹+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의 후속 점프를 싱글로 처리하면서 196.51점을 받았다. 총점 301.14점으로 대회 우승에 성공하며 세계선수권 2연패를 달성했다
또한 일본 남자선수 최초 세계선수권 2연패의 기록도 세우게 되었다.

2023 월드 팀 트로피 출전이 확정 되었으나 발목 부상으로 기권하였다.[14]

3. 기술 및 평가[편집]


4Lo[15][16]3A[17][18]CCoSp[19][20]
4종류의 4회전 점프(4F, 4Lo, 4S, 4T)를 구사한다. 쿼드러플 플립은 최초로 국제대회에서 성공했지만, 270도에 육박하는 과도한 프리 로테이션과 풀 블레이드를 지니고 있다. 러츠(Lz) 점프는 성공률이 낮으며 엣지콜[21]을 자주 받는다. 트리플 악셀은 비거리가 좋고 잘 뛰는 점프 중 하나다.

비점프 요소도 훌륭한데, 스핀[22]과 스텝에서도 최고 레벨과 높은 가산점을 잘 받는다. 상체 사용력, 스케이팅 스킬, 음악성도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현역 선수 중 몇 안되는 예술적인 남자 스케이터로 꼽힌다.

표정 연기도 잘 하는 편이다. 특히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자정은 우노 쇼마의 표현력의 진수를 알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캔틸레버(Cantilever)를 시그니처 무브로 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프로그램에 넣고 있다.


4. 기록[편집]



4.1. 세계신기록[편집]


  • 2018-19 시즌부터 새로운 GOE 채점제가 실시됨에 따라 쇼트, 프리, 총점 부문에서 총 4개의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남자 싱글 총점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8.09.15276.20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2018년 10월 20일 네이선 첸에 의해 경신.
남자 싱글 쇼트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8.09.13104.15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신채점제 실시 이후 쇼트 100점을 넘은 최초의 선수.
2018년 11월 3일 하뉴 유즈루에 의해 경신.
남자 싱글 프리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9.02.09197.362019 사대륙선수권2019년 3월 23일 하뉴 유즈루에 의해 경신.
2018.09.15172.05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2018년 9월 22일 미하일 콜랴다에 의해 경신.

  • 2017-18 시즌까지 진행된 채점제에서 주니어 부문 3개의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주니어 남자 싱글 종합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4.12.14238.272014-15 JGP 파이널2016년 9월 10일 차준환에 의해 경신.
주니어 남자 싱글 쇼트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5.03.0684.872015 주니어 세계선수권2017-18 시즌까지 진행된 채점제에서 가장 높은 점수.
주니어 남자 싱글 프리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4.12.14160.362014-15 JGP 파이널2016년 3월 20일 다니엘 사모힌에 의해 경신.


4.2. 득점 이외의 기록[편집]


  • 일본 남자 싱글 최초 세계선수권 2연패를 달성한 선수
  • 쿼드러플 플립 점프를 성공한 최초의 선수
  • 쿼드러플 룹 점프를 성공한 2번째 선수[23]
  • 총점 310점을 돌파한 3번째 선수[24]
  • 총점 300점을 돌파한 5번째 선수[25]
  • 프리 200점을 돌파한 6번째 선수[26]
  • 쇼트 100점을 돌파한 4번째 선수[27]

5.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109.63(2022 세계선수권)
프리204.47(2022-23 그랑프리 파이널)
총점312.48(2022 세계선수권)


6.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3-2024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OST
• I Love You Kung Fu
by Son Lux
Clair de Lune
by 클로드 드뷔시
• Timelapse
by Mari Samuelsen
• Spiegel im Spiegel
by Benjamin Hudson
Come Together
by Gary Clark Jr.
2022-2023Gravity
by 존 메이어
G선상의 아리아
by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Padam, Padam
by 파트리샤 카스
2021-2022Oboe Concerto
(Concerto In C Minor For Cello)
by 알레산드로 마르첼로
볼레로
by 모리스 라벨
• Planet Earth/Earth Song
• History
by 마이클 잭슨
2020-2021Great Spirit
by 아민 반 뷰렌
Dancing On My Own
by 칼럼 스콧
Oboe Concerto
(Concerto In C Minor For Cello)
by 알레산드로 마르첼로
2019-2020This Town
by 나일 호런
2018-2019Stairway to Heaven
by 로드리고 이 가브리엘라
월광 소나타
by 루트비히 반 베토벤
Great Spirit
by 아민 반 뷰렌
사계 中 여름
by 안토니오 비발디
Time After Time
by 해리 코닉 주니어
분노의 질주: 더 세븐 OST
See You Again
by 위즈 칼리파, 찰리 푸스
2017-2018사계 中 겨울
by 안토니오 비발디
투란도트
• Nessun dorma
• Violin Fantasy
by 자코모 푸치니
This Town
by 나일 호런
2016-2017라벤더의 연인들 OST
by Nigel Hess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자정
by 아스토르 피아졸라
See You Again
by 위즈 칼리파, 찰리 푸스
La Vie En Rose
by 안드레아 보첼리
This Town
by 나일 호런
2015-2016Legends
by Sacred Spirit
투란도트
• Nessun dorma
• Violin Fantasy
by 자코모 푸치니
돈주앙 OST
• Habanera
• Don Alfonso
by Michael Kamen
바이올린 소나타 크로이처
by 루트비히 반 베토벤
2014-2015바이올린 소나타 크로이처
by 루트비히 반 베토벤
돈주앙 OST
• Habanera
• Don Alfonso
by Michael Kamen
The Blessed Spirits
by 바네사 메이
2013-2014The Blessed Spirits
by 바네사 메이
Steps
by 시크릿 가든
탕게라
by 마리아노 모레스
2012-2013탕게라
by 마리아노 모레스
Bad Boy Good Man
by Tape Five
2011-2012터커 OST
by Joe Jackson
치간느
by 모리스 라벨
Fly Me to the Moon
by 바트 하워드
2010-2011--
2009-2010Opus No.1Reel Around the Sun
2008-2009• Perfidia
• España Cañí
2007-2008-
2006-2007Opus No.1


7. 커리어[편집]


대회
올림픽012
세계선수권220
사대륙선수권111
그랑프리 파이널132
월드 팀 트로피111
아시안 게임100
청소년 올림픽110
주니어 세계선수권100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100
합계89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대표로 참가한 대회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은메달2018 평창남자 싱글
동메달2022 베이징단체전
동메달2022 베이징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2022 몽펠리에남자 싱글
금메달2023 사이타마남자 싱글
은메달2017 헬싱키남자 싱글
은메달2018 밀라노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2019 애너하임남자 싱글
은메달2018 타이베이남자 싱글
동메달2017 강릉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2022-23 토리노남자 싱글
은메달2017-18 나고야남자 싱글
은메달2018-19 밴쿠버남자 싱글
은메달2023-24 베이징남자 싱글
동메달2015-16 바르셀로나남자 싱글
동메달2016-17 마르세유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팀 트로피
금메달2017 도쿄단체전
은메달2019 후쿠오카단체전
동메달2021 오사카단체전
파일:아시아올림픽평의회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2017 삿포로남자 싱글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청소년 올림픽
은메달2012 인스브루크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15 탈린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2014-15 바르셀로나남자 싱글
파일:오륜기.svg Mixed-NOCs 대표로 참가한 대회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 청소년 올림픽
금메달2012 인스브루크단체전

국제대회:시니어
대회09–1010–1111–12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23–24
올림픽2nd3rd
세계선수권7th2nd2nd4thC4th1st1st
사대륙선수권5th4th3rd2nd1stWD
GP 파이널3rd3rd2nd2ndC1st
GP 컵 오브 차이나2nd
GP NHK 트로피1st1st1st2nd
GP 스케이트 캐나다1st1st1st
GP 로스텔레콤 컵2nd4th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1st2nd8thC
GP 스케이트 아메리카2nd1st2nd
CS 핀란디아 트로피1st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st1st1st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5th
챌린지 컵1st
쿠페르 드 프린템스1st
아시안 게임1st
아시안 트로피1st
가데나 스프링스 트로피1st
국제대회:주니어
청소년 올림픽2nd
주니어 세계선수권10th7th5th1st
JGP 파이널1st
JGP 크로아티아1st
JGP 일본2nd
JGP 라트비아3rd
JGP 독일2nd
JGP 슬로베니아6th
JGP 에스토니아3rd4th
JGP 폴란드4th
국내대회
전일본선수권9th11th7th2nd2nd1st1st1st1st2nd2nd1st
전일본 주니어선수권3rd4th5th2nd2nd1st
서일본선수권3rd J3rd J2nd J
주부선수권1st J1st J
단체전
올림픽5th T
1st P
3rd T
2nd P
월드 팀 트로피1st T
1st P
2nd T
3rd P
3rd T
7th P
재팬 오픈1st T
1st P
1st T
1st P
2nd T
3rd P
1st T
1st P
2nd T
2nd P
1st T
1st P
1st T
1st P
팀 챌린지 컵3rd T
1st P
청소년 올림픽1st T
2nd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C=취소


7.1. 대회 별 상세 점수[편집]


  • 시니어
2023–24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3.11.24-262023 NHK 트로피2
100.20
1
186.35
2
286.55
2023.11.10-122023 컵 오브 차이나1
105.25
2
174.73
2
279.98
2022–23 시즌
2023.03.20-262023 세계선수권1
104.63
1
196.51
1
301.14
2022.12.21-252022-23 전일본선수권1
100.45
1
191.28
1
291.73
2022.12.08-112022-23 그랑프리 파이널1
99.99
1
204.47
1
304.46
2022.11.18-202022 NHK 트로피2
91.66
1
188.10
1
279.76
2022.10.28-302022 스케이트 캐나다2
89.98
1
183.17
1
273.15
2022.10.082022 재팬 오픈1
193.80
1P/1T
2021–22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2.03.21-272022 세계선수권1
109.63
1
202.85
1
312.48
2022.02.08-10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인전3
105.90
5
187.00
3
293.00
2022.02.04-07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2
105.46
3T/2P
2021.12.22-262021-22 전일본선수권2
101.88
3
193.94
2
295.82
2021.11.12-142021 NHK 트로피1
102.58
1
187.57
1
290.15
2021.10.22-24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2
89.07
3
181.61
2
270.68
2021.10.022021 재팬 오픈1
181.21
1P/1T
2020–21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1.04.15-182021 월드 팀 트로피9
77.46
6
164.96
3T/7P
242.42
2021.03.22-282021 세계선수권6
92.62
3
184.82
4
277.44
2020.12.24-272020-21 전일본선수권3
94.22
2
190.59
2
284.81
2019–20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0.02.20-232020 챌린지 컵1
91.71
1
198.70
1
290.41
2019.12.18-222019-20 전일본선수권2
105.71
1
184.86
1
290.57
2019.11.15-172019 로스텔레콤 컵4
87.29
4
164.95
4
252.24
2019.11.11-13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4
79.05
9
136.79
8
215.84
2019.10.11-132019 CS 핀란디아 트로피2
92.28
1
162.95
1
255.23
2019.10.052019 재팬 오픈2
169.09
2P/2T
2018–19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9.04.11-142019 월드 팀 트로피3
92.78
3
189.46
2T/3P
282.24
2019.03.18-242019 세계선수권6
91.40
4
178.92
4
270.32
2019.02.07-102019 사대륙선수권4
91.76
1
197.36
1
289.12
2018.12.20-242018-19 전일본선수권1
102.06
1
187.04
1
289.10
2018.12.06-092018-19 그랑프리 파이널2
82.51
2
150.61
2
275.10
2018.10.26-292018 NHK 트로피1
92.49
1
183.96
1
276.45
2018.10.26-292018 스케이트 캐나다2
88.87
1
188.38
1
277.25
2018.10.06-062018 재팬 오픈1
186.69
1P/1T
2018.09.12-16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
104.15
1
172.05
1
276.20
2017–18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8.03.19-252018 세계선수권5
94.26
2
179.51
2
273.77
2018.02.16-17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인전3
104.17
3
202.73
2
306.90
2018.02.09-12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1
103.25
5T
2018.01.22-282018 사대륙선수권1
100.49
2
197.45
2
297.94
2017.12.21-242017-18 전일본선수권1
96.83
1
186.47
1
283.30
2017.12.07-102017-18 그랑프리 파이널2
101.51
1
184.50
2
286.01
2017.11.17-192017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2
93.92
1
179.40
2
273.32
2017.11.03-052017 스케이트 캐나다1
103.62
1
197.48
1
301.10
2017.10.072017 재팬 오픈3
175.45
3P/2T
2017.09.14-172017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
104.87
1
214.97
1
319.84
2016–17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7.04.20-232017 월드 팀 트로피1
103.53
2
198.49
1T/1P
302.02
2017.03.29-04.022017 세계선수권2
104.86
2
214.45
2
319.31
2017.03.10-122017 쿠페 드 프린템스1
104.31
1
199.37
1
303.68
2017.02.23-26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1
92.43
1
188.84
1
281.27
2017.02.15-192017 사대륙선수권2
100.28
3
187.77
3
288.05
2016.12.22-252016-17 전일본선수권2
88.05
1
192.36
1
280.41
2016.12.09-102016-17 그랑프리 파이널4
86.82
2
195.69
3
282.51
2016.11.04-062016 로스텔레콤 컵1
98.59
2
186.48
2
301.47
2016.10.21-23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1
89.15
1
190.19
1
279.34
2016.10.072016 재팬 오픈1
198.55
1P/1T
2016.09.14-172016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
86.68
2
172.25
1
258.93
2015–16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6.04.22-242016 팀 챌린지 컵1
105.74
1
192.92
3T/1P
2016.03.28-04.032016 세계선수권4
90.74
6
173.51
7
264.25
2016.02.16-212016 사대륙선수권2
92.99
5
176.82
4
269.81
2015.12.24-272015-16 전일본선수권2
97.94
3
176.82
2
267.15
2015.12.10-132015-16 그랑프리 파이널4
86.47
4
190.32
3
276.79
2015.11.13-152015 트로피 에릭 봉파르1
89.56
취소
2015.10.23-25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4
80.78
1
176.65
2
257.43
2015.10.032015 재팬 오픈1
185.48
1P/1T
2015.09.16-202015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9
93.14
1
154.96
5
207.41

  • 주니어
2014–15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5.03.02-082015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1
84.87
2
147.67
1
232.54
2015.02.09-152015 사대륙선수권시니어2
88.90
5
167.55
5
256.45
2014.12.26-282014-15 전일본선수권시니어3
85.53
3
165.75
2
251.28
2014.12.11-142014-15 JGP 파이널주니어3
75.21
1
163.06
1
238.27
2014.11.22-242014-15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1
82.72
2
128.00
1
210.72
2014.10.08-112014 JGP 크로아티아주니어1
74.82
1
152.69
1
227.51
2014.09.11-142014 JGP 일본주니어2
69.78
2
150.21
2
219.99
2013–14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4.03.10-16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3
70.67
5
135.83
5
206.50
2013.12.22-252013-14 전일본선수권시니어6
72.15
7
144.34
7
216.49
2013.11.22-242013-1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2
71.61
3
134.49
2
206.10
2013.11.01-042013 서일본선수권주니어1
70.37
2
130.34
2
200.71
2013.10.10-132013 JGP 에스토니아주니어3
67.09
3
130.73
4
197.82
2013.09.27-292013 주부선수권주니어1
70.18
1
129.26
1
199.44
2013.08.28-312013 JGP 라트비아주니어6
58.22
3
117.59
3
175.81
2012–13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3.02.25-03.03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7
61.66
6
125.42
7
187.08
2012.12.22-252012-13 전일본선수권시니어7
67.56
11
131.47
11
199.03
2012.11.25-272012-1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2
66.21
2
124.37
2
190.58
2012.11.01-042012 서일본선수권주니어3
60.38
3
118.47
3
178.85
2012.10.10-132012 JGP 독일주니어2
63.48
1
125.00
2
188.48
2012.09.26-292012 JGP 슬로베니아주니어4
61.42
6
112.92
6
174.34
2011–12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2.02.27-03.042012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10
57.71
10
118.21
10
175.92
2012.01.14-162012 인스브루크 청소년 동계올림픽주니어6
51.52
2
115.63
2
167.15
2011.12.22-252011-12 전일본선수권시니어7
63.49
10
126.93
9
190.42
2011.11.25-272011-12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3
61.56
5
111.90
5
173.46
2011.11.03-062011 서일본선수권주니어4
61.75
3
119.28
3
181.03
2011.10.12-152011 JGP 에스토니아주니어4
56.29
3
118.86
3
175.15
2011.09.30-10.022011 주부선수권주니어3
59.38
3
114.35
1
173.73
2011.09.14-172011 JGP 폴란드주니어8
48.69
3
150.21
4
163.24
2009–10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09.12.25-272009-10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4
52.95
4
95.09
3
148.04


8. 기타[편집]


  • 2남 중 장남으로 아버지가 IT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어머니가 매우 엄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4살 아래의 남동생과는 우애가 매우 깊다.[28] 할아버지[29]는 유명한 화가다.
  • 큰 눈망울과 뚜렷한 이목구비로 일본에서 쟈니스계 훈남이라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파일:쇼마 댄온마.jpg
파일:쇼마 22.jpg
  • 2017 세계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딴 직후 일본에서 인기가 많아졌다. 2017년부터 광고모델로 활약하는 스포츠 목걸이 브랜드의 팬싸인회에 2500명의 팬들이 몰리기도 하였다. 2018년 일본 구글 화제의 인물 7위, 2021년 일본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운동선수 7위, 오리콘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 랭킹 남자 부문에서 2018년 4위, 2019년 6위, 2020년 8위, 2022년 3위를 기록하였다.
  • 화내는 모습을 거의 본적이 없다고 할 정도로 얌전하고 순하지만[30] 마이 페이스 성향이 강해서 천연 4차원 캐릭터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기 싫어하고 향상심이 높다. 연습이 생각만큼 잘 되지 않는 날이면 분한 마음에 울면서 집에 돌아 온다고 하며 스테판 랑비엘은 우노를 "야심가지만 겉으로 잘 드러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 성실하고 누구나 인정하는 연습벌레지만 사생활은 매우 헐렁하다. 가방 안은 언제나 뒤죽박죽이고 아이스 쇼에 출연할 때 의상을 호텔에 두고 오는 실수를 하는 일도 잦다.
  • 팬 서비스가 투철하고 무척 예의가 바르다. 어머니가 굉장히 엄해서 예의범절에 특히 주의를 많이 받는다.
  • 히구치 미호코 코치와는 처음 스케이팅을 시작할 때부터 2018-19 시즌까지 배웠으며, 안무도 받았다.[31] 탑 스케이터로 성장한 후 사람들이 왜 코치를 바꾸지 않냐고 그에게 물었을 때 오히려 그는 미호코 코치를 더 인정받게 해주고 싶어 열심히 훈련했다고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32]
파일:쇼마 미호코.png
파일:평창 미호코 키크존.jpg
파일:쇼마 랑비.jpg
  • 하루 3끼 고기만 먹으며 야채를 극도로 싫어하는 것으로 유명하다.[33] 야채를 먹는 횟수가 1년에 겨우 몇 번 정도라고.[34]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 출전 당시 경기가 끝난 후 객석에서 날아들어온 배추 인형이 중계 카메라에 포착된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우노가 워낙 야채를 안 먹다보니 건강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팬들의 걱정에서 비롯된 일이라는 해석이 있다.
  • 단 음식을 좋아해서 아이스쇼 쉬는 시간에 군것질을 하다가 예브게니 플루셴코에게 잔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 취미는 게임과 다트라고 한다. 게임은 피겨와 맞먹을 정도의 열정과 노력을 쏟아 붓고 있으며[35] 올림픽 경기가 끝난 뒤 인터뷰에서 게임 대회에 나가보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 잠이 매우 많아서 항상 졸린 얼굴을 하고 있다. 시차적응에도 어려움을 겪어서, 매번 해외에서 대회가 있을 때는 일찍 도착하여 시합을 준비하는 편이다.
  • 패션에 전혀 관심이 없어서 항상 서랍장 제일 위에 있는 옷을 꺼내 입는다고 한다.
  • 동문인 무라카미 카나코와 친한 사이다. 또한 2살 아래의 후배 야마모토 소타와 3살 위의 선배인 타나카 케이지와도 친하다.
  • 2017년 7월 1일에 도요타 자동차 소속 계약[36]을 맺었다.
  • 존경하는 선수는 다카하시 다이스케이다. 9살에 전일본선수권에 화동으로 참가하여 다카하시의 연기를 직접 보고 팬이 되었다. 표현력 면에서도 그의 영향을 받아 주니어 시절에는 미니 다카하시, 다카하시 다이스케 2세라고 불리기도 했다. 본인도 항상 다카하시를 우상으로 꼽는다. 단신, 스텝 및 스킬, 표현력 등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파일:sadfaaf.jpg
  • 후배 카기야마 유마가 존경하는 선수로 우노를 꼽는데 계속 존경받는 선수로 있을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하며 큰 동기부여가 되는듯 하다.
  • 현역 선수 중에 가장 좋아하는 선수로 네이선 첸을 여러 번 언급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에는 본인의 우승을 바라는 건 네이선의 실패를 바라는 것과도 같아서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2018 평창 올림픽에서의 부진이 안타까웠고 좋은 경기력으로 우승해줬으면 하는 생각이 강했다고 밝혔다.[37]
  • 미즈노의 간판 모델로 활약중이다. 실제로 일본 미즈노 매장에 방문하면 우노의 사진으로 도배되어 있다.
파일:우노 미즈노.jpg
  • 2022년 1월 1일 산케이 스포츠에서 혼다 마린과 3년째 진지한 연애를 하는 중이며 양가 가족들이 응원하는 사이라는 기사가 나왔고 두 사람의 소속사 측은 아무 대응도 하지 않았으나, 2022년 9월 15일 주간문춘에서 혼다 마린과 교토의 스타벅스에서 데이트하는 모습을 포착해 기사가 나왔고 2022년 9월 18일 공식 홈페이지에서 혼다 마린과의 연애를 공식 인정했다.

[ 입장문 / 펼치기 · 접기 ]

この度の一部報道にもありましたように、私、宇野昌磨は本田真凜さんと以前より良いお付き合いをさせて頂いております。

이번 일부 보도에도 있었듯이 저 우노 쇼마는 혼다 마린씨와 이전보다 더 좋은 교제를 하고 있습니다.

報道内容におきましては一部事実と異なる部分もございますが、今後とも温かく見守って頂けますと嬉しいです。

보도 내용에 있어서는 일부 사실과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만 따뜻하게 지켜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どうぞ宜しくお願い致します。

잘 부탁드립니다.

宇野昌磨

우노쇼마


[1] 2023년 10월 22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3/2024 Men[2] 이번 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3] 이번 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4] 이번 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5] 이번 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6] 종전 주니어 남자 싱글 프리 세계신기록은 제이슨 브라운의 154.09점이었고, 따라서 프리 160점을 넘은 최초의 주니어 선수가 되었다. 이후 다니엘 사모힌에 의해 경신되었다. 또한 종전 주니어 남자 싱글 총점 세계신기록은 조슈아 패리스의 228.32점이었고, 따라서 총점 230점을 넘은 최초의 주니어 선수가 되었다. 이후 차준환에 의해 경신되었다.[7] 종전 기록은 아디안 피트케예프의 76.94점이었다. 따라서 쇼트 80점을 넘은 최초의 주니어 선수가 되었다. 참고로 이 기록은 2018-19 시즌을 앞두고 채점제가 바뀔 때까지 깨지지 않아, 이전 채점제에서의 영원한 세계기록으로 남게 되었다.[8] 시즌 마지막 팀 챌린지 컵 대회에서는 4F, 4T+3T / 3A로 구성했고, 이 구성은 당시 시니어 남자 싱글 선수들 중 가장 어려운 쇼트 구성이었다.[9] 시즌 마지막 팀 챌린지 컵 대회에서는 4F, 3A+3T, 3Lz / 3Lo, 3S, 4T, 4T+3T, 3A+1Lo+3F로 구성했다.[10] 파리 테러 사건으로 프리 경기가 취소되어 쇼트 점수만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11] 남자 싱글 선수 최초로 데뷔 년도에 시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메달을 획득했다.[12] 프리 경기를 끝낸 직후 바로 울음을 터트렸는데 반드시 우승해야 한다는 시선에 대한 부담감이 컸고 시즌 내내 해왔던 모든 점프에 후속 점프를 붙이는 연습이 헛되지 않았다는 기쁜 마음에서였다고 한다.[13] 캐나다에서 귀국한 직후 독감에 걸려 열이 39도까지 오르고 체중이 2kg이나 줄었다. 몸이 나을 때까지 회복 기간을 가진 후 경기 1주일 전 훈련을 재개했다.[14] 세계 선수권 출전 당시에도 발목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우노 쇼마가 기권한 자리에는 사토 슌이 대신 출전했다.[15] 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당시 가산점(GOE) 2.43[16] 당시 기술점(TES) 14.43[17] 2022 세계선수권 당시 가산점(GOE) 3.43[18] 당시 기술점(TES) 12.23[19] 당시 가산점(GOE) 만점(1.50)[20] 당시 기술점(TES) 5.00[21] 주니어 마지막 시즌에 줄곧 롱엣지 판정을 받던 러츠 점프를 교정했지만 2017-18 시즌 쿼드러플 살코를 추가하며 러츠를 구성에서 제외했다.[22] 2016-17 그랑프리 파이널 프리 경기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GOE 올 +3점을 기록했는데, 이는 남자 싱글에서 스테판 랑비엘에 이은 두번째 기록이다.[23] 하뉴 유즈루 - 본인 순.[24] 하뉴 유즈루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본인 순.[25] 하뉴 유즈루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네이선 첸 - 진보양 - 본인 순.[26] 하뉴 유즈루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패트릭 챈 - 네이선 첸 - 진보양 - 본인 순.[27] 하뉴 유즈루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네이선 첸 - 본인 순.[28] 시간이 될 때는 해외 원정에 동행하여 영어를 전혀 하지 못하는 쇼마를 위해 통역 겸 매니저 역할을 해주기도 하고 나중에 스포츠 매니지먼트 공부를 해서 형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소망을 밝히기도 했다. 쇼마는 다정한 형이자, 동생과 함께 있을때 심리적으로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외모도 많이 닮았는데 키가 166cm로 형의 키를 훌쩍 뛰어넘었다.[29] 우노 후지오(宇野藤雄)[30] 해설자인 혼다 타케시가 웜업 때 다른 선수들을 지나치게 배려해서 점프 타이밍을 못잡고 있다고 지적했을 정도다.[31] 명작으로 꼽히는 돈주앙,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자정, 투란도트가 미호코 코치의 작품이다.[32] 올림픽에서 은메달이 확정된 직후 본인보다 미호코가 오열했는데, 그만큼 서로 간 사이가 얼마나 각별한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33] 파일:야채를못먹어요우노군.jpg[34] 그나마 4대륙 선수권 같은 중요한 경기나 대회 기간 중에는 그래도 야채를 어찌 먹기는 한다고 한다.[35] 게임과 스케이트 중 뭐가 더 좋냐는 질문에 당연하다는 얼굴로 게임이라고 대답한 적이 있다.[36] 코즈카 타카히코도 현역 시절 도요타 자동차 소속으로 은퇴 후 도요타 사원으로 일하다가 프로 스케이터로 복귀했다.[37] 첸의 프리 스케이팅 경기가 끝난 후 본인의 일처럼 기뻐하는 모습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3:44:33에 나무위키 우노 쇼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